맨위로가기

루드비크 스보보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드비크 스보보다(Ludvík Svoboda)는 체코슬로바키아의 군인,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을 이끌며 소련군과 함께 싸웠다. 그는 1968년 프라하의 봄 이후 알렉산데르 둡체크 총리의 추천으로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에 선출되었으나,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이후 모스크바 의정서에 서명하며 정치적 어려움을 겪었다. 스보보다는 1975년 건강 악화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났으며,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영웅,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고,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슬로바키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리하르트 테사르지크
    리하르트 테사르지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과 체코슬로바키아 군에서 활약하며 여러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뛰어난 용맹함으로 다양한 훈장을 받은 군인이다.
  • 체코슬로바키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마리에 리알코바
    마리에 리알코바는 체코슬로바키아와 소련 군대에서 저격수로 활동하며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30명 이상의 적군을 사살하고 저격수 교관과 군의관으로 복무했으며, 체코 공화국 백사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 체코의 군사 지도자 - 요한 폰 클레나우
    오스트리아 제국군 장군인 요한 폰 클레나우는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하며 명성을 얻었고, 아스페른-에슬링 전투에서의 공헌으로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을 수여받았다.
  • 체코의 군사 지도자 - 브르제티슬라프 2세
    브르제티슬라프 2세는 11세기 후반 보헤미아의 공작으로, 교회 개혁 추진, 슬라브 수도사 추방, 로마 교황청의 라틴 전례 강화, 상속 원칙 변경 시도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1100년 암살당했다.
  • 체코의 장군 - 페트르 파벨
    페트르 파벨은 체코의 정치인이자 퇴역 육군 대장으로 2023년부터 체코의 대통령을 맡고 있으며, NATO 군사위원회 의장을 역임했고, 1993년 카린 기지 구출 작전 공로로 훈장을 받았으며, 친서방, 친EU 성향으로 우크라이나 지원과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한다.
  • 체코의 장군 - 얀 지슈카
    얀 지슈카는 후스 전쟁에서 바겐부르크 전술과 화약 무기를 활용해 후스파의 승리를 이끈 체코의 군인이자 전략가로, 실명 후에도 군 지휘를 계속하며 후대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루드비크 스보보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8년 루드비크 스보보다 (국방부 장관 시절)
직함체코슬로바키아의 대통령
임기 시작1968년 3월 30일
임기 종료1975년 5월 29일
총리요제프 레나르트
올드르지흐 체르니크
루보미르 슈트로우갈
이전 대통령안토닌 노보트니
다음 대통령구스타프 후사크
출생일1895년 11월 25일
출생지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모라바 변경백국, 흐로즈나틴
사망일1979년 9월 20일
사망지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프라하
정당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배우자이레나 스보보도바 (1901–1980)
서명
군 경력
별칭해당사항 없음
충성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체코슬로바키아
군 종류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복무 기간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1916–1950년 (체코슬로바키아)
최종 계급육군 대장
지휘소련 주둔 제1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참전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즈보로프 전투
바흐마치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소콜로보 전투
키예프 전투
두클라 고개 전투
프라하 공세
수상백사자 훈장
성 게오르기 훈장
수보로프 훈장
레지옹 도뇌르 훈장
레지온 오브 메리트
바스 훈장
국방부 장관
직함체코슬로바키아 국방부 장관
임기 시작1945년 4월 5일
임기 종료1950년 4월 25일
이전 장관얀 마사리크
다음 장관알렉세이 체피치카
기타 정보

2. 어린 시절

루드비크 스보보다는 1895년 11월 25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이자 모라바 변경백국의 흐로즈나틴에서 얀 스보보다(1862-1896)와 프란티슈카 할루포바(1868-1959)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늙은 농부 가족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루드비크가 겨우 1살 때 에 치여 사망하였다. 1898년 그의 어머니는 프란티셰크 니예들리(1862-1913)와 재혼하였다. 루드비크는 어머니의 첫 결혼 생활에서 얻은 형과 누이, 그리고 어머니의 두 번째 결혼 생활에서 얻은 세 명의 동생들과 함께 자랐다. 시골 학교를 졸업한 후, 그는 벨케 메제르지치에 있는 지방 분구 농업 학교에서 농경 교육을 받았으며, 오스트리아포도주 양조장에서 실습을 하며 교육을 마쳤다. 그의 누이 마리는 루드비크와 그의 형 요세프가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에 징병되었을 때 이미 결혼한 상태였다. 그의 어머니와 세 동생은 어머니의 두 번째 남편이 사망한 후 흐로즈나틴의 농장에 홀로 남아있었다.[3][4]

3. 군사 경력

루드비크 스보보다는 1921년 체코슬로바키아 육군에 입대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다. 크로메르지시에서 제3 보병 연대 소속으로 복무를 시작한 후, 1923년 우즈호로드의 제36 보병 연대로 전출되었다. 그는 여러 군사 과정을 이수하고 헝가리어를 배우는 등 군인으로서의 역량을 키웠다. 1931년부터 1934년까지는 군사 학교에서 교관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34년 중령으로 진급한 후 제3 보병 연대로 복귀하여 대대장까지 역임했다.

1939년 3월,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점령하자 스보보다는 반파시스트 군사 조직인 Obrana národa(국방)에 가담하여 비밀리에 활동했다. 같은 해 여름, 폴란드로 건너가 체코슬로바키아인 부대를 편성했지만, 9월 소련으로 이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스보보다는 소련 내 체코슬로바키아 군대를 조직하고 지휘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42년 2월, 제1 체코슬로바키아 독립 보병 대대 창설을 주도했으며, 1943년 3월부터는 이 부대를 이끌고 직접 전투에 참여했다. 소콜로보 전투를 시작으로, 키예프 전투 (1943년), 빌라체르키우, 자슈키우 등 주요 전투에서 뛰어난 지휘력을 발휘하며 붉은 군대와 함께 체코슬로바키아 해방에 앞장섰다. 1944년부터는 제1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을 이끌었다.

전쟁 중 스보보다는 뛰어난 군사적 업적과 리더십을 인정받아 1945년 4월, 전후 체코슬로바키아의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3. 1. 제1차 세계 대전

1915년 학교를 떠난 스보보다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 징집되어 동부 전선으로 보내졌다.[5] 1916년 체코 군단에 입대하기 전 러시아군에 투항하여 포로로 잡혔다.[5] 그는 즈보로프 전투와 바흐마치 전투에 참전했다. 이후 "시베리아 아나바시스"를 통해 귀국했다.[5]

3. 2. 전간기 시대

러시아 내전이 끝나고 연합국이 체코슬로바키아의 독립을 승인한 후, 스보보다는 고국으로 돌아왔다. 많은 옛 전우들과 달리, 스보보다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반공주의 성향의 다른 재향 군인 베테랑과의 협력을 막지는 않았다. 스보보다처럼 레브 프르할라 장군도 모라바 출신으로, 시베리아를 횡단하는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행렬 동안 유명해졌다.[29]

1920년 귀국하여 체코슬로바키아군 장교가 된 스보보다는, 1921년 이레네 스트라틸로바와 결혼하고 크로메르지시에서 제3 보병 연대를 지휘했다. 이후 아버지의 사유지에서 일하다 1931년부터 1934년까지 흐라니체 군사 아카데미에서 헝가리어를 비롯한 군사 과목 강사로 재직한 후 보병 대대장이 되었다.[29]

스보보다는 고집 센 장교로 알려졌으며, 자신의 비타협적인 성격 때문에 동료들만큼 빨리 진급하지 못하고 중령 계급에 머물렀다. 그는 항상 공적인 생활에 관심을 갖고 참여했으며, 국제 정세, 특히 체코슬로바키아의 위치와 안보에 관심을 가졌다. 스페인 내전이 발발했을 때, 그는 공개 집회에서 인민전선스페인 정부와 연대감을 표현했다. 그는 나치 독일파시스트 이탈리아의 개입 정책에 반대했을 뿐만 아니라, 공화주의 스페인을 돕지 않는 체코슬로바키아와 다른 유럽 국가들의 정책에도 동의하지 않았다.[29]

3. 3. 제2차 세계 대전

독일의 점령과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수립 이후, 스보보다 중령은 비밀 지하 조직인 Obrana národa(국방)의 일원이 되었고, 소련 정보부와 연계된 것으로 추정된다. 1939년 6월, 폴란드로 도피하여 크라쿠프에 체코슬로바키아 군부대를 창설, 3개월 안에 1,200명의 공군 병력을 프랑스로 파견했다.[6]

폴란드 침공 사흘 뒤인 1939년 9월 3일, 폴란드 대통령은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창설을 허용했지만, 스보보다는 전투에 개입할 기회가 거의 없었다. 폴란드 패배 이후, 스보보다는 700명 이상의 장교와 병사들을 소련으로 이동시켰다. 당시 독소 불가침 조약을 맺고 있던 소련은 이들을 민간인처럼 흩어지지 않도록 수용소에 격리했다.[7]

스보보다는 소련 당국과 외교 협상을 벌여 체코슬로바키아 군부대를 유지하고, 더 많은 장교와 부사관들을 독일에 대항해 싸우는 국가들로 수송하고자 했다. 소련의 도움으로 총 12차례 수송이 이루어졌다.[7]

1941년 7월 18일, 독일이 소련을 공격한 후, 체코슬로바키아와 소련은 외교 관계를 회복하고 소련의 제1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군단이라는 별도 군부대를 조직하기로 합의했다. 스보보다는 군사 협정 준비와 소련 및 체코슬로바키아 정보 기관 협력 조건 협상에 기여했다.[7]

1942년 봄, 스보보다가 서명한 소련 굴라그 수감 체코슬로바키아 시민 보고서 전달 중 요제프 베로운스키 부관이 사망하며, 스보보다는 소련과 협정 이행 희망을 잃었다.[16]

전쟁 기간 동안 스보보다는 소련 내 체코슬로바키아 군대를 조직, 지휘했다. 소련의 제1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군단 시초가 된 독립 야전 대대는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루테니아인, 유대인, 반파시스트 독일인 및 헝가리인 등 다양한 출신 자원병으로 구성되었고, 스보보다는 규정에 어긋남에도 불구, 여성들을 군대에 받아들였다.[18][17]

1943년 1월 30일, 스보보다는 대령으로 진급, 소콜로보 전투에서 대대를 지휘했다. 이후 키예프 전투 (1943년)와 서부 우크라이나 전투에서 여단을 지휘, 1943년 12월 준장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여단은 루다, 빌라체르키우, 자슈키프 등 많은 도시를 해방했다.

1944년 5월 18일, 얀 크라토흐빌 준장이 제1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군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나, 두클라 고개 전투 작전 실패로 1944년 9월 10일 스보보다 준장으로 교체되었다.[19]

1945년 1월, 군단이 슬로바키아 영토에 진입 후, 스보보다는 소련 장군 레프 메클리스 요청에 따라 군단 첩보부서를 설립했다.[22]

1945년 4월 4일, 스보보다는 에드바르트 베네시 대통령에 의해 비당파적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클라팔레크 장군에게 군단 지휘를 맡겼다. 1945년 5월 10일 사단장, 1945년 8월 1일 군단장으로 진급했다.

3. 3. 1. 독일군 침공

1938년 9월 30일, 독일군이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시작하자, 스보보다는 즉시 군사 행동에 투입되었다. 제14부대 사령관이 독일군의 공습으로 사망하자, 그는 제3 보병 연대 제1군대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 스보보다는 모라바 남부에서 독일군 제13대의 측면에 대항하여 프르할라 장군의 실패한 반격에 가담하였다. 제2대가 무너진 후, 사단은 슬로바키아를 향해 철수했고, 브르노 북부에서 독일군을 상대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두 번이나 부상을 입은 스보보다는 독일군의 포위를 가까스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프랑스소련 연합군이 지원해 줄 때까지 독일군을 저지하기를 바라면서 카르파티아산맥 서부를 따라 새로운 방어선을 구축하려 했다. 그러나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헝가리의 침공 소식을 접한 후, 스보보다와 그의 부대는 북쪽으로 후퇴하여 폴란드 국경에 도달하여 해외에서 계속 싸우기를 희망했다. 그는 자신의 부대가 11월 2일 국경을 넘을 때까지 폴란드 당국에 의해 억류되었다.

억류된 군인들의 상황은 어려웠다. 스보보다와 다른 체코슬로바키아 군인들은 제한된 식량과 함께 억류되었다. 소련군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그디니아를 거쳐 프랑스로 가는 탈출로는 불가능해졌다.

독일의 점령과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의 수립 이후, 스보보다 중령은 비밀 지하 조직인 Obrana národa(국방)의 일원이 되었다. 동시에 그는 소련 정보부와 연계를 맺은 것으로 추정된다. 1939년 6월, 그는 폴란드로 도피하여 크라쿠프에 체코슬로바키아 군부대를 창설했다. 수백 명의 망명 장교들이 이 캠프를 거쳐 갔다. 3개월 안에 1,200명의 공군 병력이 프랑스로 파견되었다. 폴란드에 남은 병사들은 폴란드 영토 내의 체코 공화국 군부대에 합류했다.[6]

3. 3. 2. 망명 군사 경력

1939년 1월 5일 그의 억류소는 소련군에 의하여 해방되었다. 그는 1월 30일 소련에서 체코슬로바키아 군대를 형성한 온드르제이 메즐 사단장과 함께 일을 하였다. 그들의 전투 부대인 보병 사단이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로시강 근처에 있는 폴로베츠케에서 그해 4월에 형성되어 소련의 영토에서 붉은 군대와 더불어 싸운 첫 연합국 부대가 되었다. 그 부대는 폴란드의 억류소에서 탈출하거나 해방된 체코슬로바키아군의 전직 일원들, 소련에 살던 체코슬로바키아 시민들과 체코계 소련 시민들로부터 형성되었다.[7]

스보보다는 군단을 위한 무기와 장비 할당 뿐만 아니라 영국이 떨어진 후에 체코슬로바키아군을 프랑스로 옮기는 것에 소련 정부와 성공적으로 협상하였다. 3월 그는 대령으로 진급하였고 제1 체코슬로바키아 소총 사단의 연대 사령관들 중의 하나로 임명되었다. 그는 처음에 1939년 7월 18일 처음에 전투에 들어가 재결성을 위하여 10월 2일 부대가 철수되기 전에 자신이 두번이나 상처를 입은 자모시치 근처에서 폴란드군을 상대로 싸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41년 그는 준장으로 진급하였고 제2 체코슬로바키아 소총 사단의 지휘가 주어졌다. 1942년 4월 18일 그는 군단의 지휘가 주어졌다. 그는 1943년 우크라이나에서 소콜로보 전투를 통하여 우수성과 함께 군단을 지도하였고 1943년-1944년 우크라이나의 해방, 매우 큰 싸움이 일어난 후 이 부대가 처음으로 체코슬로바키아 국경을 건너는 데 성공했을 때 1944년가을두클라 고개 전투에 참전하였다. 스보보다의 카리스마 넘치는 지도력과 개인적인 용기는 당시 자신의 사령관 소련의 이반 코네프 장군에 의하여 매우 가치있게 여겨졌다.[6]

1941년 7월 18일, 독일이 소련을 공격한 지 한 달 후, 체코슬로바키아 정치 대표들은 소련과 외교 관계를 회복하고 독일과의 전쟁에서 상호 협력하기 위한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은 소련의 제1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군단이라는 별도의 군부대를 조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스보보다는 이 군사 협정의 준비와 소련 및 체코슬로바키아 정보 기관의 협력 조건 협상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7]

1942년 봄, 부관 요제프 베로운스키는 순양함 ''HMS 에든버러''를 타고 무르만스크에서 영국으로 돌아왔다.[11] 그는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를 위한 체코슬로바키아 군사 임무 책임자인 헬리오도르 피카 대령[12]으로부터 중요한 메시지를 받았는데, 이는 스보보다가 서명한 소련 굴라그에 수감된 체코슬로바키아 시민에 대한 보고서였다. 4월 30일, 순양함은 독일 잠수함의 공격을 받았고 요제프 베로운스키는 그의 선실에서 사망했다.[13][14][15] 이 사건 또한 스보보다의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베로운스키의 죽음으로, 그는 체코슬로바키아 부대가 형성된 상황이 바뀔 것이라는 희망을 잃었다.[16]

전쟁 기간 동안 스보보다의 활동은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군대 조직 및 지휘와 관련되었다. 스보보다는 수용 기간 동안 준비한 93명의 장교 및 부사관 그룹과 함께, 소련 전역에서 자원한 체코슬로바키아 시민들로 구성된 독립 야전 대대를 조직했는데, 이것이 소련의 제1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군단의 시초가 되었다. 이 부대에는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자카르파티아 루스에서 온 루테니아인, 체코슬로바키아 유대인, 그리고 소련 영토에 거주하는 망명자들뿐만 아니라 체코슬로바키아 시민권을 가진 독일 및 헝가리 반파시스트들도 포함되었다.[17] 스보보다는 또한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규정에 어긋남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을 군대에 받아들였다.[18][17]

전선으로 가기 전인 1943년 1월 30일, 스보보다는 대령으로 진급했다. 스보보다 대령은 소콜로보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낸 대대를 지휘했다(스탈린그라드와 하르키우에 대한 독일군의 보복 작전에 맞서 싸움).[17] 그는 키예프 전투 (1943년)와 서부 우크라이나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여단을 지휘했다. 1943년 12월, 키예프 해방 후 그는 준장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지휘하에 있는 여단은 루다, 빌라체르키우, 자슈키프 등 많은 도시를 해방시켰다.

1944년 5월 18일, 얀 크라토흐빌 준장이 제1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군단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지휘하에 군단은 두클라 고개 전투에 배치되었다. 1944년 9월 10일, 제1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지휘는 얀 크라토흐빌 준장에서 스보보다 준장에게로 넘어갔다(소련 제1 우크라이나 전선 사령관, 코네프 소련 원수의 명령에 의해).[19]

1945년 1월, 군단이 슬로바키아 영토에 진입한 후, 스보보다는 소련 제4 우크라이나 전선 군사 위원회의 위원으로서 전선의 정보 기관 활동을 조정했던 소련 장군 레프 자하로비치 메클리스의 직접적인 요청에 따라 군단 첩보부서를 설립했다.[22]

1945년 4월 4일, 에드바르트 베네시 대통령은 즈데네크 피어링거의 제1 내각을 임명했다. 스보보다는 비당파적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클라팔레크 장군에게 군단의 지휘를 맡겼다.

스보보다는 1945년 5월 10일 사단장으로 진급했다. 그는 1945년 8월 1일 군단장이 되었다.

4. 전후 정치 경력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체코슬로바키아의 상당 부분이 붉은 군대와 스보보다가 이끄는 제1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에 의해 해방되었다. 스보보다는 동부 전선의 영웅으로 환영받으며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소련은 국민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렸고, 1946년 선거에서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전국 득표율의 38%를 얻었다.

1948년 2월 22일, 공산당 서기장 클레멘트 고트발트와 다른 공산주의자들의 행태에 항의하기 위해 거의 모든 비공산주의 내각 장관들이 사임했다.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스보보다가 사무실에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사람 중 하나였다. 공산주의가 지배하는 혁명적 노동조합 운동은 만장일치로 12명의 사임 장관을 친공산주의 장관으로 교체하기로 결정했다. 무장 노동자와 인민 민병대가 거리에 쏟아져 나오자 스보보다가 "군은 인민을 향해 행진하지 않을 것이다"라며 군사력으로 반란을 진압하는 것을 거부했다. 이틀 후 (그리고 250만 명의 시민이 참여한 총파업 하루 후), 에드바르트 베네슈 대통령은 고트발트의 압력에 굴복하여 공산주의자와 친소련 사회 민주주의자가 지배하는 정부를 임명했는데, 이는 사실상 공산주의 쿠데타를 합법적으로 승인한 것이다. 이 과정은 유혈사태 없이 이루어졌다. 임기 초부터 "비정치적" 장관이라는 꼬리표가 붙었던 스보보다가 이후 공산당에 입당하여 1948년 선거에서 국민의회 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50년 스보보다가 1945년 11월 육군 대장 계급에 오른 육군에서 소련의 압력으로 쫓겨났다. 그는 1950년부터 1951년까지 부총리를 역임했다. 이어진 숙청에서 스보보다가 투옥되었고, 자살을 함으로써 그의 이미지를 구하도록 "권고"받았지만, 결국 석방되어 모든 직책에서 박탈되었다. 스보보다가 전쟁 중에 만났던 흐루쇼프의 개인적인 소망에 따라 그의 공직 복귀가 이루어졌고, 이후 클레멘트 고트발트 군사 아카데미를 이끌었다.

1946년에 그는 유고슬라비아 인민 영웅 칭호를 받았다. 스보보다 또한 1965년 11월 24일에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23]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다(1970년과 1975년에도 이 칭호를 다시 받았다). 그는 레닌 평화상 (1970)을 수상했다.

5. 대통령 재임 (1968년-1975년)

루드비크 스보보다는 국가 전쟁 영웅으로서 국민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누렸으며, 정치적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존경을 받았다. 그는 전시 복무와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들을 하나로 묶는 능력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여론 조사에서 그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가장 신뢰받는 정치인 중 하나였다.

스보보다는 체코슬로바키아 사회민주당의 알렉산데르 둡체크 총리와 가까운 관계였으며, 국내 정책에서 둡체크와의 긴밀한 연관성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스보보다와 둡체크는 정치적 적을 견제하기 위해 노력했다. 1978년 루보르 징크의 중도 우파 연합 붕괴 후, 스보보다는 둡체크를 총리로 임명하면서 연방 의회에서 정치적 권력 균형을 무시하고 중도 우파 다수에도 불구하고 새 정부를 구성하도록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1968년 초, 안토닌 노보트니가 사임하면서 프라하의 봄이 시작되는 중대한 시점을 맞이했다. 스보보다는 1968년 3월 30일 알렉산데르 둡체크의 추천으로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 모두에게 수용 가능한 후보였으며, 전쟁 영웅이자 1950년대 초 숙청의 희생자였기 때문에 국민들 사이에서 높은 존경을 받았다.

스보보다 대통령은 1968년 8월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개입 전까지 개혁 과정을 완만하게 지지했다. 1968년 8월 17일, 소련 대사 스테판 체르보넨코와의 회담에서 스보보다 대통령은 침공이 "재앙"이 될 것이며 체코슬로바키아 국민들이 "앞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소련에 대한 모든 믿음을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군사적 수단을 사용하지 말라"고 하였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 경험으로 그는 체코슬로바키아군이 침공하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대와 충돌하는 것을 막는 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침공군에 의해 납치된 둡체크와 다른 개혁 지도자들의 석방을 위해 모스크바로 갔다. 스보보다가 도착했을 때 레오니트 브레즈네프KSČ 강경파가 침공을 요청했다는 공식 노선을 뒷받침하기 위해 "농민 노동자 정부"를 임명할 것을 요구했다. 스보보다 대통령은 이를 거부하고 둡체크와 다른 개혁주의자들이 석방되지 않으면 브레즈네프 앞에서 자신의 머리에 총알을 박겠다고 위협했다.

스보보다 대통령은 브레즈네프가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들에게 모스크바 의정서에 서명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24] 이 의정서는 비밀로 유지되었으며, 10월 의회에서 완곡하게 표현된 바와 같이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대가 체코슬로바키아에 "일시적으로 주둔"하는 것을 허용했다. 또한 개혁 과정을 중단하기 위해 당 지도부가 정치, 문화 및 기타 변화를 촉진하도록 규정했다. 스보보다 대통령은 마틴 주르 국방부 장관을 지지하여 체코슬로바키아군에게 저항하지 말라고 명령했다.

스보보다의 대통령직은 정치적 거래 및 부패 혐의로 얼룩진 1978년 대통령 선거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의 헌법 개혁을 통해 대통령 선거를 직접 선거에서 연방 의회 합동 회의에 의한 간접 선거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5. 1. 첫 기간 (1968년-1973년)

1968년 "스보보다 징집" 운동이 1968년 대통령 선거에서 그의 후보직을 선언하는 데 그를 설득시켰다. 스보보다는 후보로서 자신을 제공하기 위해, 자신을 위하여 정치적 상황이 진정한 의무를 창조하였고 그들의 대통령이 되는 데 대중의 명령이 있었다는 것을 확신해야 했다.

대통령으로서 스보보다는 베네시-마사리크 독트린으로 알려진 체코슬로바키아의 중립 정책을 지속하였다. 그는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으로서 소련과 특별한 관계를 즐겼다는 가정으로 통치하였다. 동유럽서유럽 사이의 다리로서 알렉산데르 둡체크와 체코슬로바키아의 역할을 강화시킨 스보보다는 1970년, 1971년, 1972년 3회에 걸쳐 프라하에서 열린 전략 무기 제한 협상에 강대국 간 회담을 위한 외교 중심지로서 외무장관 요세프 코르벨과 함께 양성하였다. 스보보다는 서독과 관계를 정상화하는 노력에 활동적이었으며, 1970년 12월 7일 서독과 체코슬로바키아 평화 조약으로 마무리하여 양국 간 경계에 대한 합의로 공식적이고 오랫동안 지연된 제2차 세계 대전의 종료를 의미하였다. 그는 또한 소련, 폴란드, 동독과 다른 동구권 국가와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련과 자신의 연결을 이용하기도 했다. 둡체크 정부의 소련과 서독과의 화해로 고수가 논쟁적이면서 스보보다의 적극적인 지지는 정책에 대중의 신뢰를 제공하였다.

슬로바키아에 대하여 항상 깊고 따뜻한 느낌을 가졌던 정치인으로서 그는 동부 슬로바키아 대중 사이에 특히 인기가 있었다. 대통령으로서 그는 가끔 슬로바키아를 방문하였고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들 사이의 유대 강화에 기여하였다.

1972년 6월부터 스보보다의 쇠퇴하는 건강이 분명해졌다. 1972년 6월 18일 그는 뇌졸중을 겪었고, 이듬해 큰 어려움을 겪으면서 새해 연설을 하였다. 1973년부터 그의 쇠퇴하는 건강에 관한 소문들이 돌기 시작하였으나 언론은 대통령의 사생활을 존중하여 이 소문들을 침묵시키는 노력을 하였다. 1973년 3월부터 8월까지 건강 문제로 대통령직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을 때, 스보보다를 직위에서 퇴위시키는 헌법 제66조를 촉발하는 상원 토론이 있었다. 그동안 연정에서 다른 후보를 찾거나 스보보다를 지지하는 것에 관한 토론이 있었다. 재선에 79세가 될 스보보다 자신은 한 임기 후에 은퇴하는 것을 숙고하였으나, 그해 6월 15일 중도 좌파 정당들에 의하여 후보 지명을 받아들여 자신의 건강에 관한 추측을 부정하였다.

5. 2. 바르샤바 조약군의 침공과 모스크바 의정서

1968년 8월,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개입 전까지 스보보다 대통령은 새로운 당 지도부의 개혁 과정을 완만하게 지지했다. 1968년 8월 17일, 소련 대사 스테판 체르보넨코와의 회담에서 스보보다 대통령은 침공에 대해 "재앙"이 될 것이며 체코슬로바키아 국민들이 "앞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소련에 대한 모든 믿음을 잃게 될 것"이라며 경고했다.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감히 군사적 수단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의 경험에 경악한 그는 체코슬로바키아군이 침공하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대와 연루되는 것을 막는 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침공군에 의해 납치된 알렉산데르 둡체크와 다른 개혁 지도자들의 석방을 확보하기 위해 모스크바로 갔다. 그러나 스보보다가 도착했을 때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KSČ(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강경파가 직접 침공을 요청했다는 계획된 공식 노선을 뒷받침하기 위해 "농민 노동자 정부"를 임명할 것을 요구했다. 스보보다 대통령은 이를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둡체크와 다른 개혁주의자들이 석방되지 않으면 브레즈네프 앞에서 자신의 머리에 총알을 박겠다고 위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보보다 대통령은 브레즈네프가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들에게 악명 높은 모스크바 의정서에 서명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24] 이것들은 비밀로 유지되었으며 10월 의회에서 완곡하게 표현한 바와 같이,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대가 체코슬로바키아에 "일시적으로 주둔"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 의정서는 또한 개혁 과정을 중단하기 위해 당 지도부가 정치, 문화 및 기타 변화를 촉진하도록 규정했다. 스보보다 대통령은 또한 체코슬로바키아군에게 저항하지 말라고 명령한 국방부 장관 마틴 주르를 지지했다.

5. 3. 두번째 기간 (1973년-1975년)과 정상화 체제

1973년 스보보다는 두 번째 임기를 위해 재선되었다. 1968년과 달리 그의 후보 지명은 체코 사회민주당, 체코 국민사회당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만의 지지를 받았다. 우익의 체코 공화당과 1968년 스보보다의 후보직을 지지한 체코슬로바키아 인민당은 스보보다의 노령과 건강 문제를 우려하여 독자 후보 지명을 고려했다. 사회민주당 총리 둡체크와 스보보다의 긴밀한 관계는 우익 정당들의 비판 대상이었다.[29]

선거는 3차 투표까지 가는 논란과 당파 분열, 냉전의 원한을 드러냈다. 양측의 격렬한 수사, 정치적 거래, 뇌물 및 부패 혐의로 비판받았다. 2차 투표에서 공화당 후보 마르틴 흐라비크가 앞섰으나, 3차에서 스보보다가 153표를 얻어 승리했다. 흐라비크는 127표로 2위를 했다. 흐라비크를 지지할 것으로 예상된 독일인과 헝가리인 소수 민족 정당 출신 16명을 포함한 24명의 입법자들이 투표에서 기권했는데, 이는 둡체크 집권 연합에 의한 정치적 거래와 부패 혐의로 비판받았다. 2명의 공화당 대리인과 1명의 자유민주당 상원의원도 3차 투표에 결석했다.[29]

1970년대 중후반, 스보보다의 건강 악화 소문이 돌았으나 언론은 대통령의 사생활을 존중하여 침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보보다의 노령과 건강으로 인해 다음 선거가 1978년보다 빨리 시작될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다. 그는 1973년 새해 연설을 큰 어려움 속에 했고, 1973년 9월부터 1974년 5월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없어 대부분의 권력이 정부로 넘어갔다. 1974년 4월 25일 폐경색으로 입원했고, 몇 차례 뇌졸중을 겪은 후 즉시 입원했다. 1974년, 1976년, 1977년 입원 동안 스보보다를 퇴진시키는 헌법 개정 논의가 있었으나, 그는 퇴원하여 어려움 속에서 직무를 재개했다. 1977년 10월 입원 후, 대통령 직무 수행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29]

체코슬로바키아의 역사가와 정치 저널리스트들은 스보보다가 대통령직에 매달린 이유를 최소한 세 가지로 보았다. 첫째, 후임 후보자들 중 누구도 체코슬로바키아의 소련 정책을 충분히 잘 관리할 수 없을 것이라고 믿었다. 둘째, 체코슬로바키아-소련 관계 개선의 여지가 있으며 자신의 경험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셋째, 최대한 오랫동안 일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 더 오래 살 수 있다고 믿었다.[29]

스보보다는 프라하의 봄 이후 개혁 공산주의자들이 제거되는 상황에서 살아남았지만, 시민 자유의 숙청과 억압을 수동적으로 지켜보았다. 그는 언론 억압에 일조했으며, 1969년 4월 구스타프 후사크가 두브체크를 대체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죽는 날까지 브레즈네프 앞에서의 자신의 복종적인 행동이 수천 명의 생명을 "엄청난 결과"로부터 구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믿고 주장했으며, 전쟁의 참혹했던 자신의 기억을 떠올리며 이 정책을 옹호했다.[29]

후사크는 스보보다를 신뢰하지 않았고, 여러 차례 몰아내려 했다. 스보보다는 1975년까지 버텼지만, 헌법 조항(제64조 Nr.143/1968 Sb.)에 의해 퇴임해야 했다. 이 조항은 현직 대통령이 1년 이상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연방 의회가 영구적인 후임자를 선출할 권한을 갖는다고 명시했다. 스보보다의 경우, 오랫동안 건강이 좋지 않아 이 조항이 적용되었다. 후사크가 그의 뒤를 이었다.[29]

6. 퇴직과 사망

1979년 9월 20일 스보보다는 일련의 뇌졸중을 겪은 후 8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29] 1980년 7월 17일 부인 이레나 여사가 사망하였다.

스보보다는 9월 22일부터 9월 25일까지 프라하성에 있는 블라디슬라프 홀에 안치되었으며, 둡체크 총리는 22일부터 국장을 위하여 선언된 날짜인 9월 25일까지 3일간 애도 기간을 공고하였다. 장례 미사는 스베즈테크 비투스 대성당에서 열려 프라하 대주교 도미니크 두카에 의하여 거행되었다. 장례식에는 소련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공산당 서기장, 미국의 월터 먼데일 부통령, 프랑스의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대통령, 서독의 카를 카르스텐스 대통령, 오스트리아의 루돌프 키르히슐레거 대통령, 영국의 마거릿 대처 총리와 유고슬라비아요시프 브로즈 티토 대통령을 포함한 몇몇의 외국 고위 인사들이 참석하였다.

장례식이 열린 동안 전직 대통령의 영예에 21발의 축포가 쏘아졌다. 그 후에 그의 관은 소련에서 체코슬로바키아 군대의 행렬곡〈Směr Praha〉(방향 프라하)의 음성에 의하여 동행된 군사 행렬과 함께 프라하성에서 레트나로 옮겨졌다. 행렬은 그에게 작별 인사를 하러 온 수천명의 시민들에 의하여 동행되었다. 결국 가족의 요청에 따라 프라하의 스트라시니체 화장터에서 비공개 장례식이 이어졌고 스보보다의 유해는 크로메르지시에 있는 가족 묘비로 옮겨졌다.

스보보다 가족의 묘비

7. 유산 및 평가

루드비크 스보보다는 프라하의 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개혁 공산주의자들이 제거되는 상황에서 살아남았지만, 잠시 회복되었던 시민 자유의 숙청과 억압을 수동적으로 지켜보았다. 그는 심지어 언론을 억압하는 데 일조했으며 1969년 4월 구스타프 후사크가 두브체크를 대체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죽는 날까지 브레즈네프 앞에서 자신의 복종적인 행동이 수천 명의 생명을 "엄청난 결과"로부터 구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믿고 주장했으며, 전쟁의 참혹했던 자신의 기억을 떠올리며 이 정책을 옹호했다.

후사크는 스보보다를 결코 신뢰하지 않았고, 그를 몰아내기 위해 여러 차례 시도했다. 스보보다는 1975년까지 버틸 수 있었지만, 헌법 조항(제64조 Nr.143/1968 Sb.)에 의해 퇴임해야 했다. 이 조항은 현직 대통령이 1년 이상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연방 의회가 영구적인 후임자를 선출할 권한을 갖는다고 명시했다. 스보보다의 경우, 그는 오랫동안 건강이 좋지 않아 이 조항이 적용되었다. 후사크가 그의 뒤를 이었다.

스보보다는 여러 차례 정치인들에 의해 그들의 목표를 위해 악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들 사이에서 어느 정도 신뢰를 받고 있는데, 이는 아마도 체코슬로바키아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에 보여준 그의 용기 때문일 것이다. 체코슬로바키아 모두의 광장과 거리는 그의 이름을 계속 사용하고 있는 반면, 다른 대부분의 공산주의 시대 지도자들의 이름은 벨벳 혁명 이후 제거되었다. 그의 태도는 "내가 지금까지 해온 모든 것은 나의 국민과 조국을 위해 최선을 다하려는 나의 의도로 평가되어야 한다"라는 말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8. 서훈

루드비크 스보보다의 서훈 내역은 다음과 같다.

국가훈장 및 메달
체코슬로바키아 (1920–1939)Řád sokolacs (매 훈장), 칼과 함께[1]
체코슬로바키아 (1920–1939)Řád Karla IV.cs (카를 4세 훈장)[1]
체코슬로바키아 (1920–1939)Řád M. R. Štefánikacs (M. R. 슈테파니크 훈장)[1]
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영웅 금성 훈장, 세 번 (1965년 11월 24일, 1970년 4월 30일, 1975년 5월 30일)
체코슬로바키아클레멘트 고트발트 훈장, 세 번 (1959년, 1970년, 1975년)
체코슬로바키아백사자 훈장 "승리를 위하여", 1등급 (1945년)
체코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민족 봉기 훈장, 1등급
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 전쟁 십자 1939–1945, 세 번
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 용감성 훈장 (1945년)
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 "공로 훈장"
체코슬로바키아제2차 민족 저항 기념 메달
체코슬로바키아연합국 승리 훈장
체코슬로바키아즈보로프스카야 기념 메달
체코슬로바키아바흐마치 기념 메달
체코슬로바키아기념 메달 en. 공동체 1918–1919년 dobrovolecke (배지)
체코슬로바키아메달 cs.dobrovolnika 1918–1919 (위기)
체코슬로바키아기념 메달: 제3 보병 연대 얀 지슈카; 제4 소총 연대 프로코프 대왕; 제5 소총 연대 T. G. M.; 제6 소총 연대 하나케; 제9 소총 연대 K.H. 보로브스키; 제10 소총 연대 P. J. 코지나; 제21 소총 연대 테론스코; 제30 보병 연대 A. 지라세크; 제1 기동 연대 브란디스의 존 스파크; 러시아 포병 부대; 러시아 열차 부대 독립 교통 작업장 기계 건설 회사; 이탈리아 1918–1948년의 dobrovolecke 군단
체코슬로바키아기념 십자, 러시아 군단 제2 연대
체코슬로바키아슈테파니쿠프 기념 배지
체코슬로바키아소련 라벨이 부착된 군사 기념 메달 (1945년)
체코슬로바키아두켈스카야 기념 메달
체코슬로바키아소콜로프스카야 기념 메달
체코슬로바키아명예 비행대 조종사 cs. 육군
체코슬로바키아명예 체코슬로바키아 군 조종사
체코슬로바키아배지 cs. 게릴라
체코슬로바키아제2차 민족 저항 기념 메달
체코슬로바키아명예 훈장 반 파시즘 투사, 1등급
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 소콜 TCH CS 군사 řád Bílého lva 1st 훈장 지휘관 (1945년)
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 전쟁 십자 1918
체코슬로바키아2월 25일 훈장, 1등급
체코슬로바키아2월 승리 훈장
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 용맹 십자 1914–1918
러시아 제국성 게오르기 십자 3급 및 4급 (1917년)
소련소련 영웅 (1965년 11월 24일)
소련레닌 훈장 2개 (1943년, 1965년)
소련10월 혁명 훈장 (1970년)
소련수보로프 훈장, 1급 (1945년) 및 2급 (1943년)
소련독일과의 대조국 전쟁 1941–1945 승리 훈장 (1945년)
소련프라하 해방 훈장 (1945년)
소련레닌 평화상 "국가 간의 평화를 위해" (1970년)
폴란드무공 훈장, 1등급 (1947년)
폴란드그룬발트 십자 훈장, 1등급 (1948년)
폴란드폴로니아 레스티투타 훈장, 1등급 (1969년)
폴란드군사 십자 (1944년)
폴란드바르샤바 1939–1945 훈장
폴란드오데르, 나이세, 발트해 훈장
폴란드1945년 승리와 자유 훈장
유고슬라비아인민 영웅 훈장 (1946년)
유고슬라비아"인민에 봉사한 공로" 훈장, 1등급
헝가리적기 훈장
헝가리"공로 훈장", 1등급 (1950년)
프랑스레지옹 도뇌르 그랜드 오피서
프랑스전쟁 십자 1939–1945
영국바스 훈장 기사단장
미국공로 훈장, 사령관 (1945년)
핀란드핀란드 백장미 훈장 (1969년)
아프가니스탄최고 태양 훈장 (1970년)
이란페르시아 제국 건국 2,500주년 기념 메달 (1971년 10월 14일)[25]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y in Czech at his web page http://www.ludviksvo[...] 2009-02-17
[2] 웹사이트 Generál na Hradě http://www.praha.eu/[...] 2023-11-25
[3] 서적 Cestami života Orego 1996
[4] 서적 Ludvík Svoboda: životopis Město Kroměříž 2005
[5] 서적 Masaryk a legie Paris Karviná in association with the Masaryk Democratic Movement, Prague
[6] 서적 Československý zahraniční odboj za 2. světové války Computer Media 2012
[7] 서적 Deník z doby válečné: červen 1939 – leden 1943 Mladá fronta 2008
[8] 서적 Českoslovenští letci v boji proti fašismu Naše vojsko 1987
[9] 서적 Mnozí nedoletěli Naše vojsko 1989
[10] 서적 Takoví nám vládli, Komunističtí prezidenti Československa a doba, v níž žili Brána 2003
[11] 웹사이트 Při torpédování křižníku HMS Edinburgh zahynul plk. Josef Berounský 30. 4. 1942 https://www.fronta.c[...] 2022-08-23
[12] 웹사이트 Čeští a slovenští piloti u Sovětů http://www.vrtulnik.[...] 2022-08-23
[13] 웹사이트 Berounský, Josef : B https://www.valka.cz[...] 2012-04-00
[14] 웹사이트 Za den třikrát unikl smrti. Přečtěte si neznámý příběh českého vojáka https://www.idnes.cz[...] 2019-03-26
[15] 웹사이트 Plk.i.m. Šťastný Jan https://www.chorusic[...] Obec Chorušice 2022-08-23
[16] 서적 Nevšední doteky dějin Plus 2013
[17] 서적 Hrdinové od Sokolova : 1. čs. samostatný polní prapor Ministerstvo obrany České republiky - Agentura vojenských informací a služeb 2006
[18] 웹사이트 Československé ženy bojující bojující v zahraničních vojenských jednotkách za druhé světové války http://www.zeny-boju[...] 2022-08-23
[19] 서적 Od priesmyku Predeal po Kurovske sedlo: boje vo Východných Karpatoch v roku 1944 Vojenský historický ústav 2011
[20] 서적 Vojenské osobnosti československého odboje 1939–1945 Ministerstvo obrany ČR - AVIS 2005
[21] 서적 Šestnástimi krajinami za slobodou Pravda 1978
[22] 서적 Bez milosti a slitování: B. Reicin – fanatik rudého teroru Ostrov 2011
[23] 웹사이트 Biography at the website on Heroes of the Soviet Union and Russia http://www.warheroes[...]
[24] 서적 Trinásť prezidentov Ikar 2004
[25] 웹사이트 Badraie http://badraie.com/g[...] 2016-03-05
[26] 웹사이트 Sokolovo (1974) https://www.filmovyp[...] 2020-07-22
[27] 웹사이트 Osvobození Prahy (1976) https://www.filmovyp[...] 2020-07-22
[28] 웹사이트 RECENZE: Rok 1968 aneb Dubček v Moskvě a České století v trenkách https://www.idnes.cz[...] 2014-11-16
[29] 뉴스 プラハの春で活躍した スボボダ前大統領死亡 朝日新聞 1979-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