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포비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소포비아는 포르투갈에 대한 혐오 또는 반감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이 단어는 고대 로마의 루시타니아 속주와 공포증을 뜻하는 '포비아'에서 유래되었다. 19세기 브라질에서는 민족주의적 정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1831년 페드루 1세의 몰락 이후 살바도르에서 반 포르투갈 폭동이 발생하기도 했다. 2007년에는 매들린 매캔 실종 사건 이후 영국 언론의 비판적인 보도로 인해 루소포비아와 유사한 정서가 나타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포르투갈 감정 - 12.3 사건
12.3 사건은 1966년 12월 3일 포르투갈령 마카오에서 발생한 반정부 시위 및 폭동으로, 중국 공산당의 지원을 받은 시위대가 포르투갈 기관을 공격하고, 포르투갈은 시위대의 요구를 수용하여 마카오가 중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된 사건이다. - 공포증 - 접촉공포증
접촉공포증은 타인과의 신체 접촉에 대한 과도한 공포와 혐오감을 느끼는 불안 장애로, 심리적, 신체적 증상을 동반하며 사회적 고립, 트라우마, 뇌 기능 이상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며 인지 행동 치료, 노출 요법, 약물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공포증 - 방사선 공포증
방사선 공포증은 초기 라디오 방송 공포에서 시작되어 원자력 실험과 의료용 X선 공포로 확장되었으며, 핵실험, 방사능 피해 사례, 원전 사고 등을 거치며 사회적 불안과 편견, 차별을 심화시키는 과도한 방사선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한다.
루소포비아 | |
---|---|
개요 | |
정의 | 포르투갈, 포르투갈인, 포르투갈어, 포르투갈 문화에 대한 적대감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루소폰 |
2. 어원
"루소포비아"(lusofobiapt)라는 단어는 루시타니아와 마찬가지로, 현재 포르투갈의 중앙 및 남부 포르투갈과 에스트레마두라 지역을 포함했던 고대 로마의 로마 속주인 "루시타니아"와 "공포증"을 의미하는 "포비아"에서 파생되었다. 반대 개념은 "루소필리아"이다.
19세기 브라질에서는 "루소포비아"라는 용어가 주로 민족주의적 정서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브라질은 포르투갈 제국의 옛 식민지였으며, 리우데자네이루와 페르남부쿠의 자유주의 정치인들은 포르투갈 이민과 브라질 경제 참여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그들 거의 모두가 포르투갈계 브라질인이었다는 점에서 특이한 점이 있었다.[1]
3.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소규모 국가 급진 단체인 "자코비누스"는 브라질에서 가장 큰 민족 문화 공동체였던 포르투갈 이민자, 즉 '갈레고스'에 대한 가장 강력한 반대 세력이었다.[2]
페드루 1세 (브라질)가 1831년에 몰락한 직후, 살바도르에서 노예를 포함한 가난한 혼혈 및 흑인들이 반 포르투갈 폭동을 벌였다.[3]
3. 1. 19세기 브라질의 루소포비아
19세기 브라질에서는 "루소포비아"라는 용어가 주로 민족주의적 정서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브라질은 포르투갈 제국의 옛 식민지였으며, 리우데자네이루와 페르남부쿠의 자유주의 정치인들은 포르투갈 이민과 브라질 경제 참여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그들 거의 모두가 포르투갈계 브라질인이었다.[1]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소규모 국가 급진 단체인 "자코비누스"는 브라질에서 항상 가장 큰 민족 문화 공동체였던 포르투갈 이민자, 즉 '갈레고스'의 가장 강력한 반대 세력이었다.[2]
페드루 1세 (브라질)가 1831년에 몰락한 직후, 노예를 포함한 가난한 혼혈 및 흑인들이 살바도르에서 반 포르투갈 폭동을 벌였다.[3]
3. 2. 자코비누스의 반포르투갈 운동
19세기 브라질에서 "루소포비아"라는 용어는 민족주의적 정서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포르투갈 제국의 옛 식민지였던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와 페르남부쿠의 자유주의 정치인들은 포르투갈 이민과 브라질 경제 참여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그들 거의 모두가 포르투갈계 브라질인이었다는 점에서 특이한 점이 있다.[1]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소규모 국가 급진 단체인 "자코비누스"는 브라질에서 항상 가장 큰 민족 문화 공동체였던 포르투갈 이민자, 즉 '갈레고스'의 가장 강력한 반대 세력이었다.[2]
3. 3. 살바도르 반포르투갈 폭동
브라질 제국의 페드루 1세가 1831년에 퇴위한 직후, 살바도르에서 노예를 포함한 가난한 혼혈 및 흑인들이 반 포르투갈 폭동을 일으켰다.[3]
4. 영국
2007년 매들린 매캔이 포르투갈에서 실종된 후, 많은 영국 언론들이 포르투갈과 포르투갈 경찰을 비판하는 기사를 썼다.[4] 일부 언론은 포르투갈을 보이콧하자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5] 토니 파슨스의 기사는 언론 불만 위원회에 많은 불만이 제기되었다.[9][10][11]
4. 1. 매들린 매캔 실종 사건과 루소포비아
2007년, 3살 된 매들린 매캔이 포르투갈 남부 알가르브 지역의 프라이아 다 루스에서 실종된 후, 많은 영국 언론들은 포르투갈과 포르투갈 경찰을 강하게 비판하는 기사를 썼으며, 포르투갈을 "후진 바나나 공화국"으로 묘사했다.[4] 다른 언론들은 포르투갈을 휴가 목적지로 보이콧하자는 등의 반포르투갈 정서를 조장했지만,[5] 이는 일반 대중의 여론에는 반영되지 않았고, 기록적인 수의 영국 관광객이 포르투갈을 방문했다.[6][7] 추산에 따르면 2007년에 명의 영국 관광객이 포르투갈에서 휴가를 보냈다.[8] 토니 파슨스의 주목할 만한 반포르투갈 기사는[9] 그 해 언론 불만 위원회에 기록적인 수의 불만을 받았다.[10][11]4. 2. 언론 불만 위원회 제소
2007년, 3살 된 매들린 매캔이 포르투갈 남부 알가르브 지역의 프라이아 다 루스에서 실종된 후, 많은 영국 언론들은 포르투갈과 포르투갈 경찰을 강하게 비판하는 기사를 썼으며, 포르투갈을 "후진 바나나 공화국"으로 묘사했다.[4] 다른 언론들은 포르투갈을 휴가 목적지로 보이콧하자는 등의 반포르투갈 정서를 조장했지만,[5] 이는 일반 대중의 여론에는 반영되지 않았고, 기록적인 수의 영국 관광객이 포르투갈을 방문했다.[6][7] 2007년에 200만 명의 영국 관광객이 포르투갈에서 휴가를 보낸 것으로 추산된다.[8] 토니 파슨스의 주목할 만한 반포르투갈 기사는[9] 그 해 언론 불만 위원회에 기록적인 수의 불만을 받았다.[10][11]5. 한국과 포르투갈의 관계
(빈 문서)
참조
[1]
논문
Political Mobilization, Party Ideology, and Lusophobia in Nineteenth-Century Brazil: Pernambuco, 1822-1850
Hispanic American Historical Review
2000-11
[2]
간행물
Jacobinos versus Galegos: Urban Radicals versus Portuguese Immigrants in Rio de Janeiro in the 1890s
https://www.jstor.or[...]
Journal of Interamerican Studies and World Affairs
1976-05
[3]
웹사이트
Instructional Support Center
http://isc.temple.ed[...]
2015-05-09
[4]
뉴스
Media have rushed to judge Portuguese police
https://www.theguard[...]
2007-09-10
[5]
웹사이트
David Cameron's message to the Essex boys
https://www.telegrap[...]
2015-05-09
[6]
웹사이트
Madeleine McCann Disappearance: Algarve Tourism Board: Increase of UK tourists is the answer to the boycott appeal from Telegraph
http://gazetadigital[...]
2015-05-09
[7]
웹사이트
Região de Turismo do Algarve : Aumento do número de turistas britanicos é a resposta ao boicote do Telegraph
http://noticiasdaeur[...]
[8]
웹사이트
"Caso Madeleine" não tem efeito negativo em ano com número recorde de turistas britânicos
http://www.barlavent[...]
[9]
웹사이트
OH, UP YOURS, SENOR
https://www.mirror.c[...]
2015-05-09
[10]
웹사이트
Press Complaints At All Time High
http://news.sky.com/[...]
[11]
뉴스
McCann piece and Heat stickers propel PCC complaints to record high
https://www.theguard[...]
2015-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