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스타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스타비는 고대 조지아의 도시로, 조지아 역사에서 중요한 지역이다. 4세기에 건설된 루스타비는 정치, 행정의 중심지였으며, 5세기에는 주교 관할 지역이 설립되었다. 19세기에는 몽골의 침략으로 파괴되었으나, 소련 시대에 주요 공업 중심지로 재건되었다. 현재는 조지아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조지아인 외에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루스타비는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이며, 루스타비 국제 모터파크, BC 루스타비 농구팀 등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 자매 도시로는 숨가이트, 간자, 우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루스타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루스타비 |
현지 명칭 | რუსთავი |
현지 명칭 (언어) | ka |
도시 유형 | 도시 |
![]() | |
![]() | |
행정 구역 | |
주 | 크베모카르틀리주 |
자치체 | 가르다바니 자치체 |
정부 | |
정부 형태 | 시장-의회 정부 |
통치 기구 | 루스타비 시 의회 |
시장 | 니노 라차비제 (GD) |
면적 | |
총 면적 | 60.6 km² |
인구 | |
2024년 | 127,200명 |
민족 구성 (인구 조사 기준) | |
조지아인 | 91.8% |
아제르바이잔인 | 3.7% |
아르메니아인 | 1.6% |
러시아인 | 1.2% |
오세트인 | 0.4% |
시간대 | |
시간대 | 조지아 시간 |
UTC 오프셋 | +4 |
지리 | |
해발 고도 | 330 m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3700 |
지역 번호 | (+995) 341 |
기후 | 온난 습윤 기후 (Cfa) |
웹사이트 | 루스타비 시 공식 웹사이트 |
2. 초기 역사
루스타비는 조지아의 고대 도시 중 하나로, 그 역사는 크게 두 시기로 나뉜다. 13세기 몽골의 침입으로 도시가 파괴되기 전까지의 초기 역사와 소비에트 시대(소련)부터 현재까지의 현대사이다.
레온티 므로벨리의 기록과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루스타비는 기원전 5~4세기 이전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므크바리 강변에 위치한 루스타비는 카르틀로스의 아내가 건설한 '보스탄-칼라키'(정원의 도시)로 불렸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저항한 도시 중 하나로 언급되기도 한다.
4세기 카르틀리의 왕 트리다트는 루스타비에 교회와 수로를 건설했고, 바흐탕 고르가살리 통치 시기(5세기)에는 조지아의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 루스타비에는 주교 관할 지역이 성립되었고, 루스타비 주교는 바흐탕 고르가살리의 뜻에 따라 임명되었다. 6세기 초, 조지아는 페르시아에 대항해 저항했지만 패배했고, 카르틀리 왕국은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4세기 루스타비와 우자르마는 카케티 지역에서 성장했다. 우자르마는 바흐탕 고르가살리 왕의 주요 거주지였다. "오스탄" 또는 "보스탄"은 왕국을 의미하며, 루스타비가 조지아 왕의 거주지였음을 알 수 있다.
8세기 루스타비는 카케티의 주요 행정 중심지 중 하나였다. 카케티-헤레티의 통치자 크비리케 대제는 에리스타비를 루스타비에 파견하여 카케티 지역을 통치하게 했다. 이후 셀주크가 조지아를 침입하여 트빌리시와 루스타비를 점령했고, 루스타비는 트빌리시 탈환을 위한 군사 기지로만 남게 되었다.
11세기 말, 건설자 다비트는 셀주크에 대한 공물 진상을 중단하고 조지아 통합을 추진했다. 1115년 루스타비를 탈환했고, 1121년 디드고리 전투에서 승리하며 트빌리시를 포함한 조지아 전역을 해방시켰다.
그러나 13세기, 몽골의 침입으로 루스타비는 완전히 파괴되었다.[3][4]
2. 1. 고대 도시
레온티 므로벨리는 루스타비의 건립을 조지아 사람들의 조상과 연관짓는다. 그의 작품 "조지아 왕국의 해설"에서 루스타비는 로스탄-칼라키라고 불리며, 므크바리 강에 위치해 있으며 카르틀로스의 아내가 건립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녀는 라글루지 산 동부에 성곽을 건설했다.[3]역사가 레온티 므로벨리는 알렉산더 대왕의 대군에 저항했던 성곽들 중에 루스타비를 언급했다. 비록 역사에서 알렉산더 대왕이 조지아를 침입한 적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루스타비는 우플리스치헤, 우르브니시, 므츠헤타, 사르키네티와 같은 고대 도시들과 함께 언급되어, 기원전 5~4세기에 건립되었다는 증거를 뒷받침한다.[4]
레온티 므로벨리는 "왕들의 삶"에서 카르틀리의 제28대 왕 트리다트가 교회와 수로를 건설했다고 기록했다. 학술 위원 니콜로즈 베르제니슈빌리는 그 시대부터 루스타비가 큰 규모의 정치와 행정의 중심지로 여겨졌다고 기술했다.
바흐탕 고르가살리(5세기) 통치 기간 동안, 루스타비는 조지아의 정치적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루스타비에 주교 관할 강론 지역이 성립되었고, 12명 가운데 한 주교는 바흐탕 고르가살리의 바램에 따라 축성되었다. 카르틀리의 교회들이 바흐탕 고르가살리왕에 대항한 행동을 한 것은 그들이 페르시아의 영향권 하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카르틀리의 왕은 중요한 주교를 해임하고 자기 편 사람을 임명했다. 루스타비의 주교 관할 지역은 13세기부터 몽골에 의해 손상되기 전까지 실재했다. 후일에 주교 관할 지역은 마르트코피로 전환되었지만 마르트코비의 주교는 루스타벨리(루스타비) 칭호를 지니고 있었다.
6세기 초, 503년에 조지아 대군은 페르시아에 대항해서 저항전을 벌였다. 그 때의 전투에서 바흐탕 고르가살리 왕은 치명적인 부상을 입었다. 조지아의 전사들은 사령관을 잃었고 페르시아에게 패배했다. 페르시아는 카르틀리 왕국을 파괴했고 통치권은 샤흐의 마르자한에게 넘어갔다.
원고 이외에도, 루스타비 성곽 유적은 루스타비가 대규모의 정치적, 행정적 중심지였다는 것을 증명했다. 고고학적 발굴 기간 동안에 고대 건물들의 유물들이 발견되었는데, 그 유물들은 4세기와 5세기의 건축물들의 조각들이다.
4세기에 루스타비와 우자르마는 카케티에서 성장했다고 알려졌다. 우자르마는 바흐탕 고르가살리 왕의 주요 거주지였고 그 지역의 이름은 페르시아에서 왔다. "오스탄" 또는 "보스탄"은 왕국을 의미하며, 그 지역의 고대 이름이 보스탄-칼라키였던 이유가 된다. 이러한 해석을 고려해 본다면, 루스타비가 조지아 왕의 거주지였다는 사실을 확신 할 수 있다. 루스타비는 아랍에게 침입 당할 때도 여전히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8세기에는 카케티였고 최고 행정 중심지 중에 하나가 되었다.
카케티-헤레티의 최고권자인 크비리케 대제는 3명의 에리스타비(국가 수석) 가운데 1명의 에리스타비를 루스타비에 파견해서 카케티의 모든 지역들을 통치하게 했다. 아랍인들이 패배하여 도망가는데, 또 다른 적인 셀주크가 조지아에 침입했다. 셀주크는 1068년에 술탄 알파르산의 지휘 하에 첫 번째로 조지아를 침입했다. 바그라트 4세 왕과 적과의 전투는 끔찍했다. 그러나 바그라트 4세는 쓰디쓴 패배를 맛봤다. 셀주크는 아칼칼라키를 점령했다. 그 후에 카케티의 왕은 셀주크와 가까운 거리에 들게 되었고 그들은 카르틀리의 내부 지역을 점령했다. 그 때는 겨울이었는데도 불구하고 그들은 조지아를 떠났고 적들이 고향을 두고 떠나고 있을 때 트빌리시와 루스타비를 점령했으며 그들을 파들론(아미라)에게 넘겼다. 그 때는 루스타비의 생존에 있어서 고난의 시기였다. 그 곳의 경제는 피폐해졌고 군사 기지만 남아 있을 뿐이었다. 그것은 트빌리시를 탈환하려는 전략적인 의미가 있었다.
1069년 바그라트 4세는 아라니아 파들론을 무찔렀고 루스타비 요새와 파르츠키시, 아가라니도 그에 합류시켰다. 1072년 11월 24일, 바그라트 4세가 죽고 게오르게 2세가 왕위에 올랐다. 그는 모든 동료들과 무력보다 더 나은 상냥한 말, 호의로운 대우, 선물들과 그 외의 것들로 적들과 합세하여 조지아를 요새화하려는데 지쳐갔다. 게오르게 2세는 배신자 이바네 오르벨리아니에게 삼슈빌데를 넘겨줘야 했는데, 카케티의 왕의 관점에서 본다면 루스타비를 준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모든 왕족들은 게오르게 2세에게 반대했다. 그들은 그를 납득할 수 없었다. 그래서 그는 퇴위를 강요당했고 1089년에 16살인 그의 장남이 왕으로 칭송되었다. 나중에 그는 건설자 다비트라고 불리었다. 그 때에 그 도시는 재개발되었고, 니코프시가 다루반디로 성장하는 시작점이었다.
1097년에 건설자 다비트는 셀주크에게 공물을 진상하는 것을 그만두었다. 1104년, 그는 카케티-헤레티도 그의 왕국으로 만들었다. 1105년에 그는 간자의 아미라와 적의 모든 군대를 격퇴시켰다. 그 때까지도 트빌리시, 루스타비, 삼슈빌데, 솜키티, 아그라니가 적의 손아귀에 있었는데, 1110년에 다비트는 삼스빌데를 탈환했고, 1115년에는 루스타비를 탈환했다. 적은 그들 가축들의 먹이가 있는 목초지들이 사방에 있는 루스타비를 잃었다는 것애 대해 분개했다. 그 지역은 1121년 8월에는 유명한 디드고리 전투가 일어났다. 조지아의 대군(55,600명의 전사들)은 군인의 수가 약 50만명인 모셀렘에게 승리했다. 1122년 건설자 다비트는 트빌리시를 탈환했다. 해방과 통합은 조지아 전역에 미쳤다. 그 커다란 전투들에서 루스타비는 굉장히 중요한 지역이었다.
1220년, 또 다른 역경이 찾아왔다. 조지아는 적에 대항해서 또 다시 전투를 벌였다. 그 때는 몽골이 아시아의 동부 전역을 휩쓸고 있을 때였고 그들은 조지아에 다다랐다. 몽골 황금 군단의 통수권자인 베르카 칸은 1265년 봄에 캅카스에 이르렀다. 그 당시 조지아는 두 적들에 대항해서 싸웠다. 이란의 일칸과 몽골이 그 적들이었다. 몽골의 지도자 티무르는 루스타비를 모조리 파괴했고, 그 곳은 황무지가 되었다.
2. 2. 중세 시대
레온티 므로벨리는 루스타비의 건립을 조지아 사람들의 조상과 연관 짓는다. 그의 작품 "조지아 왕국의 해설"에서 루스타비는 로스탄-칼라키라고 불리며, 므크바리 강에 위치해 있으며 카르틀로스의 아내가 건립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녀는 라글루지 산 동부에 성곽을 건설했다.레온티 므로벨리는 알렉산더 대왕의 대군에 저항했던 성곽들 중에 루스타비 도시를 언급했다. 비록 역사에서는 알렉산더 대왕이 조지아를 침입한 적이 없다고 하지만, 루스타비는 우프리스치케, 우릅니시, 므츠헤타, 사르키네티와 같은 고대 도시들과 함께 언급되어, 기원전 5~4세기에 건립되었다는 증거를 뒷받침한다.
레온티 므로벨리는 "왕들의 삶"에서 카르틀리의 제28대 왕 트리다트가 교회와 수로를 건설했다고 기록했다. 학술 위원 니콜로즈 베르제니슈빌리는 그 시대부터 루스타비가 큰 규모의 정치와 행정의 중심지로 여겨졌다고 기술했다.
바흐탕 고르가살리(5세기)의 통치 기간 동안 루스타비는 조지아의 정치적 생존에 있어서 중요한 지역이 되었다. 루스타비에 주교 관할 강론 지역이 성립되었고, 12명의 주교 가운데 한 명인 루스타비 주교는 바흐탕 고르가살리의 바램에 따라 축성되었다.
카르틀리의 교회들이 바흐탕 고르가살리 왕에 대항한 것은 페르시아의 영향권 하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카르틀리의 왕은 중요한 주교를 해임하고 자기 편 사람을 임명했다.
루스타비의 주교 관할 지역은 13세기 몽골에 의해 손상되기 전까지 실재했다. 이후 주교 관할 지역은 마르트코피로 전환되었지만, 마르트코피의 주교는 루스타벨리(루스타비) 칭호를 유지했다.
6세기 초(503년), 조지아 대군은 페르시아에 대항해 저항전을 벌였다. 이 전투에서 바흐탕 고르가살리 왕은 치명적인 부상을 입었다. 조지아 전사들은 사령관을 잃고 페르시아에 패배했다. 페르시아는 카르틀리 왕국을 파괴했고, 통치권은 샤흐의 마르자한에게 넘어갔다.
원고 외에도 루스타비 성곽 유적은 루스타비가 대규모의 정치적, 행정적 중심지였음을 증명한다. 고고학적 발굴 기간 동안 고대 건물들의 유물들이 발견되었는데, 그 유물들은 4세기와 5세기의 건축물들의 조각들이다.
4세기에 루스타비와 우자르마는 카케티에서 성장했다고 알려졌다. 우자르마는 바흐탕 고르가살리 왕의 주요 거주지였고, 그 지역의 이름은 페르시아에서 왔다. "오스탄" 또는 "보스탄"은 왕국을 의미하며, 이것이 이 지역의 고대 이름이 보스탄-칼라키였던 이유이다. 이러한 해석을 고려하면, 루스타비가 조지아 왕의 거주지였다는 사실을 확신할 수 있다. 루스타비는 아랍에게 침입당할 때도 여전히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8세기에는 카케티의 최고 행정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카케티-헤레티의 최고권자인 크비리케 대제는 3명의 에리스타비(국가 수석) 가운데 1명의 에리스타비를 루스타비에 파견해서 카케티의 모든 지역들을 통치하게 했다. 아랍인들이 패배하여 도망가고, 셀주크가 조지아를 침입했다. 셀주크는 1068년에 술탄 알파르산의 지휘 하에 처음으로 조지아를 침입했다. 바그라트 4세 왕과 셀주크 간의 전투는 끔찍했지만, 바그라트 4세는 패배했다. 셀주크는 아칼칼라키를 점령했다. 이후 카케티의 왕은 셀주크와 가까워졌고, 그들은 카르틀리의 내부 지역을 점령했다. 겨울이었음에도 그들은 조지아를 떠났고, 적들이 고향을 떠날 때 트빌리시와 루스타비를 점령하여 파들론(아미라)에게 넘겼다. 루스타비는 경제가 피폐해지고 군사 기지만 남은, 트빌리시 탈환을 위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1069년 바그라트 4세는 아라니아 파들론을 무찌르고 루스타비 요새, 파르츠키시, 아가라니를 점령했다. 1072년 11월 24일, 바그라트 4세가 죽고 게오르게 2세가 왕위에 올랐다. 그는 동료들과 함께 무력보다는 상냥한 말, 호의로운 대우, 선물 등으로 적들과 합세하여 조지아를 요새화하려 했다. 게오르게 2세는 배신자 이바네(오하네스) 오르벨리아니에게 삼슈빌데를 넘겨줘야 했는데, 카케티 왕의 관점에서는 루스타비를 준 것이나 다름없었다. 모든 왕족들은 게오르게 2세에게 반대했고, 그는 퇴위를 강요당했다. 1089년, 16살인 그의 장남이 왕으로 칭송되었으며, 그는 나중에 건설자 다비트로 불리었다. 그 때 도시는 재개발되었고, 니코프시가 다루반디로 성장하는 시작점이었다.
1097년, 건설자 다비트는 셀주크에게 공물 진상을 중단했다. 1104년, 그는 카케티-헤레티를 그의 왕국으로 만들었다. 1105년, 간자의 아미라와 적의 모든 군대를 격퇴시켰다. 당시 트빌리시, 루스타비, 삼슈빌데, 솜키티, 아그라니가 적의 손아귀에 있었는데, 1110년에 다비트는 삼스빌데를, 1115년에는 루스타비를 탈환했다. 적은 가축들의 먹이가 있는 목초지들이 사방에 있는 루스타비를 잃은 것에 분개했다. 1121년 8월, 디드고리 전투가 일어났다. 조지아 대군(55,600명)은 약 50만 명의 모셀렘 군대에게 승리했다. 1122년, 건설자 다비트는 트빌리시를 탈환했다. 해방과 통합은 조지아 전역에 미쳤다. 이 전투들에서 루스타비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다.
1220년, 조지아는 다시 적과 전투를 벌였다. 몽골이 아시아 동부 전역을 휩쓸고 조지아에 다다랐다. 몽골 황금 군단의 통수권자 베르카 칸은 1265년 봄 캅카스에 이르렀다. 당시 조지아는 이란의 일칸과 몽골, 두 적에 대항해서 싸웠다. 몽골의 지도자 타메를라네는 루스타비를 모조리 파괴했고, 그 곳은 황무지가 되었다.[3][4]
3. 현대 역사
루스타비의 역사는 크게 두 시기로 나뉜다. 13세기 도시 파괴 이전의 초기 역사와 소련 시대부터 현재까지의 현대사이다.
1991년 소련의 붕괴 이후, 루스타비는 통합된 소련 경제의 붕괴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다. 대부분의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도시 인구의 65%가 실직했고, 높은 범죄율과 빈곤 등 사회 문제가 심각해졌다. 주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다른 곳으로 떠나면서 인구는 1990년대 중반 16만 명에서 2002년 11만 6천 명으로 감소했다.
뉴욕 출신의 예술가 그렉 린드퀴스트는 2010년 "Nonpasts" 전시회와 같은 그의 회화와 설치 작품에서 루스타비의 무너져 가는 콘크리트 공장을 기록했다. 린드퀴스트는 기오 숨바제와 같은 조지아 예술가들과 협력하여 이러한 건축물의 현재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중요성을 다루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2010년, 로라 팔머 재단은 트빌리시 도로부 건물에서 린드퀴스트와 숨바제가 조지아 교통 시스템의 역사를 다루는 그림을 설치한 전시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3. 1. 소련 시대의 발전
루스타비는 소련 시대에 주요 공업 중심지로 다시 건설되었다. 루스타비의 발전은 스탈린의 급속한 산업화 정책의 일환이었으며, 여기에는 제철소, 제강소, 화학 공장, 그리고 트빌리시-바쿠 철도의 중요한 역이 포함되었다. 루스타비에는 약 90개의 크고 작은 산업 시설이 있었다.

도시 산업 활동의 중심은 1941년부터 1950년까지 인근 아제르바이잔의 철광석을 가공하기 위해 건설된 루스타비 제철 공장이었다. 스탈린은 조지아의 여러 지역, 특히 조지아 서부의 가난한 농촌 지역에서 노동자들을 이곳으로 데려왔다. 루스타비는 트란스캅카스 지역의 주요 산업 중심지가 되었다. 산업 활동은 강철 제품, 시멘트, 화학 물질, 인조 섬유 제조 등으로 확대되었다.
1944년 5월은 루스타비 현대사의 중요한 시점이었다. 지질학자들은 제철소가 건설될 지역의 토양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이 지역은 임시 숙소와 판잣집을 제외하고는 거의 비어 있었다. 조지아 각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루스타비로 왔다. 1944년 8월 30일, 지역 최초의 신문이 발행되었는데, "메탈루르기이삿비스"(მეტალურგიისათვისka, 조지아어로 "야금을 위하여"라는 뜻)라고 불렸다.
매일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이주하면서 루스타비에서는 집들이 파티가 자주 열렸다. 1948년, 루스타비의 첫 번째 거리가 소년 공산주의자 동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두 번째 거리는 루스타비 건설자들의 이름을 따서, 세 번째 거리는 고대 이름인 보스탄-칼라키를 따서 명명되었다.
1948년 1월 19일,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법령에 따라 루스타비는 공화국의 주요 도시로 선포되었다. 1950년 4월 27일, 도시 전체는 조지아 최초의 산업용 강철 생산을 축하했다. 이 기념식은 이 지역에 처음 정착한 것으로 알려진 고대 민족인 할리브족에게 헌정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포로로 잡힌 독일 포로들이 루스타비시 건설에 동원되었다. 현대 루스타비는 '즈벨리 루스타비'(옛 루스타비)와 '아할리 루스타비'(새 루스타비)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옛 루스타비는 스탈린주의 건축 양식을 따르는 반면, 새 루스타비는 수많은 소련 시대의 블록 아파트가 주를 이룬다. 1991년 소련의 붕괴는 루스타비에 재앙적인 결과를 가져왔는데, 이는 도시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통합된 소련 경제의 붕괴를 야기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산업 시설이 폐쇄되었고, 도시 인구의 65%가 실업자가 되었으며, 그에 따른 높은 범죄율과 극심한 빈곤과 같은 사회 문제가 발생했다. 주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다른 곳으로 이주하면서 인구는 1990년대 중반 16만 명에서 2002년 11만 6천 명으로 감소했다.
3. 2. 독립 이후의 변화
1991년 소련의 붕괴는 루스타비에 재앙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루스타비가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했던 통합된 소련 경제가 붕괴되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산업 시설이 폐쇄되었고, 도시 인구의 65%가 실업자가 되었으며, 그에 따른 높은 범죄율과 극심한 빈곤과 같은 사회 문제가 발생했다. 주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다른 곳으로 이주하면서 인구는 1990년대 중반 16만 명에서 2002년 11만 6천 명으로 감소했다.4. 인구 통계
2021년 초, 루스타비의 인구는 130,072명으로, 2014년 인구 조사 이후 4% 증가했다.[5][6] 이는 조지아에서 네 번째로 많은 인구이며, 지속적인 인구 감소를 겪고 있는 쿠타이시 다음이다. 루스타비는 소련 시대 스탈린 통치하의 산업화로 인해 급속한 성장을 경험했다. 1991년 조지아 독립 이후 내전과 경제 위기로 많은 주민들이 실업으로 인해 이민을 떠났으나, 2010년대 산업 활동과 고용이 재개되면서 인구 성장세가 회복되었다.
4. 1. 민족 구성
2014년 루스타비의 민족 구성은 거의 92%가 조지아인이었으며, 아제르바이잔인(3.7%), 아르메니아인(1.6%), 러시아인(1.2%)이 소수 민족으로 나타났다.[12] 500명 이상의 오세티아인(0.4%)이 도시에 거주했다.[12] 다른 소수 민족으로는 315명의 우크라이나인, 239명의 예지디족, 166명의 그리스인, 55명의 아시리아인과 소수의 키스트인, 유대인, 압카스인, 보샤인 등이 있었다.[12]도시 내 소수 민족의 비율은 소련 시대와 비교하여 변화가 있었다. 소련 시대에는 러시아인의 수가 상당히 많았고, 상당한 규모의 오세티아인 공동체도 있었다. 그러나 소련 붕괴 이후 및 내전으로 인한 이주로 인해 도시는 조지아인 중심의 단일 민족 사회가 되었다.
루스타비의 역사적 민족 구성 | ||||||||||||||
---|---|---|---|---|---|---|---|---|---|---|---|---|---|---|
연도 | 1959[7] | 1970[8] | 1979[9] | 1989[10] | 2002[11] | 2014[12] | 2021[5] | |||||||
루스타비 시[13] | 62,395 | 98,210 | 129,084 | 158,661 | 116,384 | 125,103 | 130,072 | |||||||
조지아인 | 27,680 | 44.4% | 55,158 | 56.2% | 79,820 | 61.8% | 103,523 | 65.2% | 102,151 | 87.8% | 114,819 | 91.8% | ||
아제르바이잔인 | 3,693 | 5.9% | 5,765 | 5.9% | 7,443 | 5.8% | 11,576 | 7.3% | 4,993 | 4.3% | 4,661 | 3.7% | ||
아르메니아인 | 4,367 | 7.0% | 5,943 | 6.1% | 6,707 | 5.2% | 6,872 | 4.3% | 2,809 | 2.4% | 1,965 | 1.6% | ||
러시아인 | 19,724 | 31.6% | 21,610 | 22.0% | 23,060 | 17.9% | 21,267 | 13.4% | 3,563 | 3.1% | 1,459 | 1.2% | ||
오세티아인 | 1,601 | 2.6% | 3,224 | 3.3% | 4,493 | 3.5% | 5,613 | 3.5% | 1,410 | 1.2% | 545 | 0.4% | ||
참고: 2014년 인구 조사에서 조지아 국가 통계청의 자료와 설명할 수 없는 차이점이 발견되었습니다. UN의 지원을 받은 연구에 따르면 2002년 인구 조사는 약 8~9% 과장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4] |
5. 도시 நிர்வாக
루스타비는 자치 도시이다. 시의 대표 기관은 시의회이고, 행정 기관은 시청이다. 행정 구역상으로 루스타비는 다음 10개의 지역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15]
- 다비드 아그마셰네벨리 구
- 구 루스타비 구
- 쇼타 루스타벨리 구
- 지울리 샤르타바 구
- 기오르기 츠콘디델리 구
- 일리아 차브차바제 구
- 바흐탕 고르가살리 구
- 야곱 추르타벨리 구
- 니콜로즈 바라타슈빌리 구
- 13 아시리아 성인 이름을 딴 구
5. 1. 시의회

'''루스타비 시의회'''(რუსთავის საკრებულო|루스타비스 사크레불로ka)는 2021년 기준으로 35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루스타비 시의 대표 기구이며,[16] 4년마다 선출된다.
마지막 사크레불로 선거는 2021년 10월에 실시되었다. 루스타비는 2021년 집권 여당인 조지아의 꿈이 시의회 과반수 확보에 실패한 7개 지자체 중 하나였다.[17]
정당 | 2017년[18] | 2021년[19] |
---|---|---|
조지아의 꿈 | 16 | 16 |
조지아 통합국민운동 | 3 | 11 |
조지아를 위하여 | 1[20] | 3 |
레로 | 2[21][22] | |
무소속 | 3[22] | |
유럽 조지아 | 2 | |
조지아 애국자 동맹 | 1 | |
노동당 | 1 | |
인민당 | 1[23] | |
총계 | 25 | 35 |
5. 2. 시장
가장 최근 시장 선거는 2021년 10월 2일에 치러졌으며, 10월 30일 결선 투표에서 니노 라차비제(조지아의 꿈)가 다빗 키르키타제(조지아 통합국민운동)를 누르고 승리했다.[24]후보 | 정당 | 1차 투표 득표수 | 2차 투표 득표수 |
---|---|---|---|
니노 라차비제 | 조지아의 꿈 | 22,352 | 27,298 |
다빗 키르키타제 | 조지아 통합국민운동 | 21,706 | 23,523 |
베카 릴루아슈빌리 | 조지아를 위하여 | 3,401 | |
토르니케 아레바제 | 조지아 애국자 동맹 | 1,231 | |
바자 바흐투리제 | 조지아 유럽 민주당 | 751 | |
엘구자 코치아슈빌리 | "백인들" | 408 | |
무효표 | 2,308 | 2,205 | |
총 투표수 | 52,212 | 53,037 | |
유권자 수 | 106,895 | 106,869 |
'''역대 루스타비 시장'''
- 이라클리 타바구아(조지아의 꿈) (2017~2021)
- 다빗 지키아(조지아의 꿈) (2014~2017)
6. 기후
루스타비는 덥고 습한 여름과 비교적 춥고 건조한 겨울을 특징으로 하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기후 구분: ''Cwa'')를 가지고 있다.
7. 스포츠
루스타비에는 경주 트랙, 농구 클럽이 있으며, 전통 스포츠와 무술 경기를 개최하는 샤브파로스네비(შავფაროსნები) 스튜디오가 있다.[27]
7. 1. 루스타비 국제 모터파크
소련 시대에 건설된 마지막 경주 트랙 중 하나이다. 1979년 말에 대회가 시작되었으며, 1989년까지 11차례의 소련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2009년 이전까지 트랙의 상태는 악화되었다. 같은 해에 해당 지역은 국영 경매를 통해 Stromos라는 사기업에 매각되었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전면적인 재건축을 거친 후,[26] 트랙은 다시 문을 열었고, TCR 인터내셔널 시리즈, 포뮬러 알파 시리즈, 레전드 선수권 대회, BMW 연례 축제, 드래그 및 드리프트 경기, 아마추어 경주 등 여러 레이싱 이벤트를 개최했다.7. 2. 농구
루스타비시는 조지아 수퍼리그의 농구 클럽 BC 루스타비의 연고지이다. 이 팀은 루스타비 스포츠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7. 3. 무술
샤브파로스네비(შავფაროსნები)는 전통 스포츠와 무술 경기를 개최하는 활동적인 스튜디오이다.[27]8. 자매 도시
국가 | 도시 |
---|---|
숨가이트 | |
아제르바이잔 | 간자 |
우치 ''(1995년~)[31] | |
아크메네(Akmenė) | |
체르카시(Cherkasy) | |
이네괼(İnegöl) | |
우크라이나 | 이바노프란키우스크(Ivano-Frankivsk) |
키루나(Kiruna) | |
우크라이나 | 크리비이리흐(Kryvyi Rih) |
리투아니아 | 파네베지스(Panevėžys) |
폴란드 | 플워츠크(Płock) |
조지나(Zhodzina) |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gions
https://geostat.ge/m[...]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2024-04-28
[2]
웹사이트
Population -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https://www.geostat.[...]
2023-06-28
[3]
서적
Manuel de Généalogie et de Chronologie pour le Caucase chrétien (Arménie, Géorgie, Albanie)
Rome
1976
[4]
웹사이트
Вахушти Багратиони. История царства грузинского. Возникновение и жизнь Кахети и Эрети. Ч.1
http://www.vostlit.b[...]
2007-06-29
[5]
웹사이트
Population and Demography - Population by cities and boroughs (daba), as of 1 January
https://www.geostat.[...]
2022-03-31
[6]
간행물
Main Results of the 2014 Census (Publication)
https://web.archive.[...]
2016-04-28
[7]
웹사이트
Population of Georgia
http://www.ethno-kav[...]
2022-03-31
[8]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of Georgia 1970
http://pop-stat.mash[...]
2022-03-03
[9]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of Georgia 1979
http://pop-stat.mash[...]
2022-03-03
[10]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of Georgia 1989
http://pop-stat.mash[...]
2022-03-03
[11]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of Georgia 2002
http://pop-stat.mash[...]
2022-03-03
[12]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of Georgia 2014
http://pop-stat.mash[...]
2022-03-30
[13]
웹사이트
Population cities & towns of Georgia
http://pop-stat.mash[...]
2022-03-31
[14]
웹사이트
Population Dynamics in Georgia - An Overview Based on the 2014 General Population Census Data
https://geostat.ge/m[...]
2022-03-30
[15]
웹사이트
About Rustavi
https://georgiantrav[...]
2021-04-15
[16]
웹사이트
Election Code of Georgia (art. 148, 149, Annex 1)
https://matsne.gov.g[...]
2022-03-31
[17]
웹사이트
GD Falls Short of Securing Majorities in 7 Sakrebulos
https://civil.ge/arc[...]
2022-03-31
[18]
웹사이트
Protocol elected municipal council members and mayors 2017
https://cesko.ge/res[...]
CESKO Central Election Commission
2022-03-03
[19]
웹사이트
Protocol elected municipal council members and mayors 2021
https://cesko.ge/sta[...]
CESKO Central Election Commission
2022-03-03
[20]
웹사이트
რუსთავის საკრებულოს "ქართული ოცნების" თავმჯდომარის მოადგილე გახარიას პარტიას შეუერთდა
https://npg.ge/ka-GE[...]
2024-06-19
[21]
웹사이트
რუსთავის საკრებულოს ფრაქცია "ნაციონალური მოძრაობის" წევრი "ლელოში" გადავიდა
https://www.radiotav[...]
2024-06-19
[22]
웹사이트
რუსთავის საკრებულოში ფრაქცია "ნაციონალური მოძრაობა" რამდენიმე წევრმა დატოვა
https://www.radiotav[...]
2024-06-19
[23]
웹사이트
რუსთავის საკრებულოს თავმჯდომარემ "ქართული ოცნება" დატოვა და გოგაშვილის პარტიას შეუერთდა
https://www.radiotav[...]
2024-06-25
[24]
웹사이트
Interactive results 2021 municipal elections
https://agenda.ge/el[...]
2021-03-31
[25]
웹사이트
Climate: Rustavi
http://en.climate-da[...]
2016-02-27
[26]
잡지
Black Sea Racetrack
http://viewer.zmags.[...]
2022-03-31
[27]
웹사이트
Georgia: Reviving Ancient Martial Arts Traditions
http://www.eurasiane[...]
EurasiaNet
2012-09-15
[28]
웹사이트
რუსთავთან დამეგობრებული ქალაქები
https://rustavi.gov.[...]
Rustavi
2020-12-07
[29]
웹사이트
Міжнародна співпраця
https://kr.gov.ua/in[...]
Kryvyi Rih
2020-12-07
[30]
웹인용
Climate: Rustavi
http://en.climate-da[...]
2016-02-27
[31]
웹인용
Twin Cities
https://web.archive.[...]
UMŁ
2010-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