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르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틀리는 5세기 조지아 문학 작품에서 처음 등장한 지명으로, 조지아의 역사적 지역을 가리킨다. 중세 조지아 연대기에 따르면, 카르틀리는 전설적인 조지아의 지도자 카르틀로스에서 유래되었으며, 므트크바리 강에 도시를 건설하고 이 지역을 다스렸다. 카르틀리는 캅카스 이베리아로 알려진 고대 조지아 왕국의 핵심 지역이었으며, 기독교를 받아들여 후기 조지아 통일의 기반을 형성했다. 15세기 조지아 왕국 분열 이후에는 트빌리시를 수도로 하는 왕국으로 남았으며, 오스만 제국과 사파비 제국 간의 전쟁, 내전 등을 겪었다. 1801년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고, 1813년 골리스탄 조약으로 합병이 확정되었다. 중세 시대 카르틀리는 시다 카르틀리, 크베모 카르틀리, 제모 카르틀리의 세 지역으로 나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의 지리 - 아르마지
    아르마지는 고대 이베리아 왕국의 주요 도시이자 종교 중심지로, 요새화된 도시로 건설되어 로마 제국과의 관계 속에서 번성하며 고대 조지아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수도 이전과 아랍의 침략으로 쇠퇴한 후 성녀 니노 수도원이 세워졌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보호받는 고고학 유적지이다.
  • 조지아의 지리 - 우프리스치케
    우프리스치케는 고대 카르틀리 왕국의 정치, 종교적 중심지였던 조지아의 오래된 도시 유적지로, 암굴 도시 구조와 다양한 시대 유물을 통해 고대 조지아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어 보존되고 있다.
  • 조지아의 역사 - 1956년 조지아 시위
    1956년 조지아 시위는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연설에 반발한 조지아인들이 스탈린 명예 회복과 흐루쇼프 퇴진을 요구하며 트빌리시를 중심으로 조지아 전역에서 벌인 시위로, 소련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와 체포자가 발생했으며 조지아 민족주의 부상과 독립 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
  • 조지아의 역사 - 장미 혁명
    2003년 조지아에서 일어난 비폭력 시민 운동인 장미 혁명은 부정부패한 셰바르드나제 정권을 무너뜨리고 사카슈빌리를 대통령으로 만들었으며, 독립 언론과 NGO의 활동, 서방 국가들의 지원 감소가 영향을 미쳐 시민들의 반정부 시위로 셰바르드나제 사임과 사카슈빌리 집권, 그리고 조지아의 친서방 개혁을 이끌어냈다.
카르틀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현대 조지아 국제 국경 내 역사적인 카르틀리 지역 지도 (내부, 하부, 상부)
현대 조지아 국경 내에서 역사적인 카르틀리 지역을 강조한 지도
기본 정보
이름카르틀리
원어 이름ქართლი
기타 이름해당 없음
유형역사적 지역
위치조지아
행정 구역시다카르틀리
크베모카르틀리
삼츠헤-자바헤티
수도트빌리시
면적21,333 km²
인구정보 없음
인구 밀도자동 계산
하위 구역
역사
관련 문화슐라베리-쇼무 문화
쿠라-아락세스 문화
카르틀로스 전설
트리알레티 문화
콜키스 문화
디아우에히
무슈키
고대콜키스
아리안 카르틀리
이베리아 왕국
파르나바지드 왕조
조지아 로마 시대
이베리아의 아르탁시아드 왕조
폼페이우스 원정
이베리아-아르메니아 전쟁
라지카
이베리아의 아르사시드 왕조
사산 이베리아
호스로이드 왕조
이베리아 기독교화
중세이베리아 전쟁
라지카 전쟁
이베리아 공국
우마이야의 조지아 침공
조지아의 아랍 통치
트빌리시 에미레이트
타오 공국
클라르제티 공국
바그라티오니 왕조
헤레티 왕국
이베리아 왕국
압하지야 왕국
이베리아 테마
클데카리 공국
조지아 왕국 통일
조지아 왕국
라차 공국
카케티-헤레티 왕국
비잔티움-조지아 전쟁
대 튀르크 침공
조지아-셀주크 전쟁
조지아 황금 시대
몽골의 조지아 침공
동부 조지아 왕국
서부 조지아 왕국
조지아 왕국 내 아르메니아
티무르의 조지아 침공
투르크만족의 조지아 침공
아라그비 공국
조지아 왕국 붕괴
근세크사니 공국
삼츠헤-사타바고
카르틀리 왕국
카케티 왕국
이메레티 왕국
구리아 공국
스바네티 공국
밍그렐리아 공국
압하지야 공국
사파비 조지아
칠디르 에얄레트
카르틀리-카케티 왕국
현대러시아 제국 내 조지아
1832년 조지아 음모
구리아 공화국
트란스캅카스 민주 연방 공화국
조지아 민주 공화국
붉은 군대의 조지아 침공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91년 이후 조지아
러시아-조지아 전쟁
기타
관련 주제어원
군주
국가
트빌리시
군사사
전쟁
전투
연표

2. 어원

"카르틀리"라는 명칭은 5세기 조지아 문학 작품인 성녀 슈샤니키시 여왕의 순교에서 처음 등장한다.[13][1] 중세 조지아 역대기에 따르면, 카르틀리는 므트크바리에 도시를 건설한 전설적인 조지아의 에트나츠인 카르트로스에서 유래했다. 이 도시는 카르틀리(아마도 후대의 아르마지)로 불렸으며, 카르트로스와 그의 후손들이 다스리는 나라 전체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명칭이 되었다.[13][1] 그러나 카르트로스는 중세 시대에 창작된 인물로 보이며, 카르틀리의 에포니모우스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조지아 주립 대학교(애틀랜타)의 스티븐 H. 랩은 중세 연대기 작가가 "고대적 느낌을 주기 위해" 이 이름을 그리스어 주격 접미사 -ος (''os'')로 표현한다고 추정했다.[14][2]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 교수는 카르틀리라는 지명을 메그렐어(조지아어의 카르트벨리아어 자매어)와 일부 서부 조지아 방언에서 "가축 우리" 또는 "울타리가 쳐진 장소"를 의미하는 단어 ''karta'' (ქართა)와 연결시켰다.[15][5] ''kar''라는 어근은 조지아 전역의 수많은 지명에서 나타나며, 멜리키슈빌리는 이것이 인도유럽어족의 원형과 의미론적 유사성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게르만어파의 ''gardaz''("울타리", "정원"), 리투아니아어의 ''gardas''("울타리", "장애물", "가축 우리"), 고대 슬라브어의 ''gradu''("정원", "도시"), 히타이트어의 ''gurtas''("요새") 등이 있다.[15][5] 또한 칼디와 고전 자료의 카르두치와의 관계도 연구되었다.[16][6] 이 용어 자체는 궁극적으로 원시 카르트벨어 뿌리 ''*kart-''("조지아인")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 언어학자들은 이를 고대 내부 카르트벨어 형성으로 간주한다.[3][4]

2. 1. 명칭의 기원

"카르틀리"라는 명칭은 5세기 조지아 문학 작품인 성녀 슈샤니키시 여왕의 순교에서 처음 등장한다.[13][1] 중세 조지아 역대기에 따르면, 카르틀리는 므트크바리에 도시를 건설한 전설적인 조지아의 에트나츠인 카르트로스에서 유래했다. 이 도시는 카르틀리(아마도 후대의 아르마지)로 불렸으며, 카르트로스와 그의 후손들이 다스리는 나라 전체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명칭이 되었다.[13][1] 그러나 카르트로스는 중세 시대에 창작된 인물로 보이며, 카르틀리의 에포니모우스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조지아 주립 대학교(애틀랜타)의 스티븐 H. 랩은 중세 연대기 작가가 "고대적 느낌을 주기 위해" 이 이름을 그리스어 주격 접미사 -ος (''os'')로 표현한다고 추정했다.[14][2]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 교수는 카르틀리라는 지명을 메그렐어(조지아어의 카르트벨리아어 자매어)와 일부 서부 조지아 방언에서 "가축 우리" 또는 "울타리가 쳐진 장소"를 의미하는 단어 ''karta'' (ქართა)와 연결시켰다.[15][5] ''kar''라는 어근은 조지아 전역의 수많은 지명에서 나타나며, 멜리키슈빌리는 이것이 인도유럽어족의 원형과 의미론적 유사성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게르만어파의 ''gardaz''("울타리", "정원"), 리투아니아어의 ''gardas''("울타리", "장애물", "가축 우리"), 고대 슬라브어의 ''gradu''("정원", "도시"), 히타이트어의 ''gurtas''("요새") 등이 있다.[15][5] 또한 칼디와 고전 자료의 카르두치와의 관계도 연구되었다.[16][6] 이 용어 자체는 궁극적으로 원시 카르트벨어 뿌리 ''*kart-''("조지아인")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 언어학자들은 이를 고대 내부 카르트벨어 형성으로 간주한다.[3][4]

2. 2. 언어학적 분석

"카르틀리"라는 지명은 5세기 조지아 문학 작품인 ''성녀 슈샤니크의 순교''에 처음 등장한다.[13][1] 중세 시대의 ''조지아 연대기''에 따르면, 카르틀리는 신화 속 조지아 에트나츠인 카르틀로스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그는 므트크바리 강에 도시를 건설했다. 그 도시는 카르틀리(아마도 후대의 아르마지)라고 불렸으며, 이 이름은 카르틀로스와 그의 후손들이 다스리는 국가 전체에 적용되었다.[13][1] 카르틀로스는 중세 시대의 창작물로 보이며, 그가 카르틀리의 에포니모우스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13] 조지아 주립 대학교(애틀랜타)의 스티븐 H. 랩은 중세 연대기 작가가 "고대적 느낌을 주기 위해" 이 이름을 그리스어 주격 접미사 -ος (''os'')로 표현한다고 추정했다.[14][2]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 교수는 카르틀리라는 지명을 밍그렐리아어 (조지아어와 관련된 카르트벨리아어 언어)와 일부 서부 조지아 방언에서 발견되는 단어 ''karta'' (ქართა)와 연결시켰으며, 이는 "가축 우리" 또는 "울타리가 쳐진 장소"를 의미한다. 뿌리 ''kar''는 조지아 전역의 수많은 지명에서 나타나며, 멜리키슈빌리의 견해에 따르면, 이는 인도유럽어족의 원형과 의미론적 유사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게르만어파의 ''gardaz''("울타리", "정원"), 리투아니아어의 ''gardas''("울타리", "장애물", "가축 우리"), 고대 슬라브어의 ''gradu''("정원", "도시"), 히타이트어의 ''gurtas''("요새") 등이 있다.[15][5] 또한 칼디와 고전 자료의 카르두치와의 관계도 탐구되었다.[16][6]

3. 역사

카르틀리와 그 민족인 카르트벨리(ქართველი)의 형성은 제대로 기록되어 있지 않다. 고대, 주로 아나톨리아 출신의 여러 부족들이 오늘날 조지아 영토로 침투하여 원주민들과 융합된 것이 이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초기 중세 연대기인 ''카르틀리의 개종''에 나오는 반전설적인 조지아 원주민 서식지인 아리안-카르틀리의 이야기에도 반영되었을 수 있다.[7]

기원전 3세기 동안, 카르틀리와 그 원래 수도인 므츠헤타 (5세기 동안 트빌리시로 대체됨)는 고대 조지아 왕국이 형성되는 핵을 이루었고, 그리스-로마인들에게는 이베리아로 알려졌다. 4세기 초에 기독교를 받아들임으로써 카르틀리는 후기 조지아 통일의 기반을 형성하는 핵심적인 민족 및 정치 단위로서의 역할이 더욱 커졌다. 비잔틴과 이란 문명의 영향을 받은 지역에 위치한 카르틀리는 자체적인 문자를 가진 유일한 카르트벨리 지역이라는 사실에 힘입어 기독교 문화를 발전시켰다. 8세기 동안 트빌리시에 아랍 통치가 굳어지면서 카르틀리의 정치적 수도는 남서쪽으로 옮겨졌지만, 당시 조지아 문인들은 카르틀리에 종교, 문화, 언어가 유사한 중세 조지아의 모든 땅을 지칭하는 더 넓은 의미를 부여했다. 중세 조지아 문학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구절 중 하나인 9세기 작가 기오르기 메르출레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그리고 카르틀리는 전례와 모든 기도가 조지아어로 행해지는 광대한 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키리에 엘레이손"만 그리스어로 말해지는데, 이는 조지아어로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또는 "주님, 우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를 의미한다.[8]



11세기 초에 다양한 조지아 정치체가 조지아 왕국으로 통일된 후, "카르틀리"와 "카르트벨리"라는 이름은 조지아 자기 지칭인 사카르트벨로의 기반이 되었다. 조지아의 환사 접사 ''sa''-X-''o''는 X가 민족명일 때 "X가 거주하는 지역"을 지정하는 표준적인 지리적 구조이다.[10]

15세기 동안 조지아 왕국이 분열되면서 조지아의 왕들은 트빌리시를 수도로 하여 카르틀리만을 갖게 되었다. 카르틀리 왕들은 자신들이 합법적인 계승자라고 주장하는 모든 조지아 군주들의 칭호를 포기하지 않았다. 그래서 유럽인들은 이를 "진정한 조지아"로 알고 있었고, 나중에는 러시아어 Карталиния 를 통해 카르탈리니아라고 부르기도 했다. 마찬가지로, 페르시아어에서 지명 고르제스탄(조지아)은 일반적으로 카르틀리의 더 좁은 의미로 사용되었다.[12]

카르틀리 왕국은 오스만-사파비 전쟁, 인접한 조지아와 코카서스 통치자 간의 갈등, 그리고 18세기까지의 자체적인 내전의 격전지였다. 1550년부터, 그리고 1614년부터 더욱 엄격하게 조지아 통치자들은 페르시아의 지배자들과 "타협의 정치"를 추구했다. 이는 페르시아가 카르틀리 또는 그들이 통치하는 다른 지역이 상당한 자율성을 유지하도록 허용하고, 바그라티드의 조지아 왕조가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고 샤에게 종속되는 것을 조건으로 왕좌를 소유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했다. 조지아 문서에서 조지아 통치자들은 계속 왕으로 불렸지만, 페르시아 공식 문서에서는 그들을 고르제스탄의 왈리("총독")라고 언급하여 샤에 대한 종속 관계를 강조했다. 카르틀리 귀족 엘리트의 많은 구성원들이 페르시아 군대와 행정부에 중요한 직책을 맡았고, 여러 귀족 여성들이 샤의 하렘에 들어갔다. 이러한 상황은 1745년 나데르 샤의 허가를 받아 테이무라즈 2세가 기독교 관습에 따라 카르틀리의 왕으로 즉위하면서 바뀌었다. 1748년, 카르틀리는 페르시아 종속의 형식적인 측면만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 독립하게 되었다. 1762년, 카르틀리는 인접한 동부 조지아의 카헤티 왕국과 단일 국가로 통합되었고, 1783년에는 러시아 보호령이 되었지만, 1795년 페르시아의 새로 건립된 카자르 왕조의 아가 모하마드 칸이 조지아를 다시 페르시아의 헤게모니 아래 두려고 했을 때 파괴적인 페르시아 침략을 겪었다. 약화된 왕국은 1801년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고,[12] 이 새로운 재편은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1804-1813) 이후 1813년 골리스탄 조약에 의해 확인되었다.[12]

3. 1. 고대

카르틀리와 카르틀리인(카르트벨리)의 형성은 불완전하게 기록되었다.[17] 현재 조지아 영토에 있는, 주로 아나톨리아인인 몇몇 고대 부족의 침입과 원주민과의 융합은 카르틀리 형성 절차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는 중세 초기 연대기 카르틀리의 개종에서 발견된 조지아인의 토착 거주지의 준전설적인 지역인 아리안카르틀리의 이야기를 반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17]

기원전 3세기에, 카르틀리와 그 지역의 수도 므츠헤타(5세기에 트빌리시에 의해 계승됨)에는 그 곳을 중심으로 크레코-로마의 세계에 발전된 이베리아라고 알려진 고대 조지아 왕국이 형성되었다.[17] 4세기에 그 다음 세대 조지아인들의 통합과, 기반을 형성했었던 민족적, 정치적 속성 단위인 카르틀리의 역할은 더 나아가 그 지역 사람들의 기독교화의 결과를 증진시켰다.[17] 비잔티움이라니안 세력이 교차하는 곳에 위치했어서, 그들 만의 문자 언어로 오직 카르트벨리아인의 지역이라는 사실이 도움이 되어, 카르틀리는 활기찬 기독교 문화를 발전시켰다. 8세기에 트빌리시아랍인의 법률을 병합하여, 카르틀리의 정치적 중심지는 남동쪽으로 옮겨졌다. 그러나 그 당시 조지아인 학자들은 카르트리에, 기독교로 함께 뭉쳤던 중세 조지아의 모든 사람들의 토지들을 표시하는 폭넓은 의미를 부여했다.[18] 중세 조지아어 문학의 가장 많이 인용된 구절중의 한 절에는, 9세기의 작가 기오르기 메르출레는 "그리고 조지아 언어로 그 전례서와 모든 기도문들이 말하기를 카르틀리는 그 넓은 영토를 포함한다."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강조 조지아어로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또는 "주님,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를 의미하는 강조, 구절을 그리스어로, 키리에 엘레이손이라고 말한다."라고 되어 있다.[18]

11세기에 다양한 조지아의 정지 형태들이 조지아 왕국으로 통일된 이후에, "카르틀리"와 "카르트벨리"의 이름들은 조지아의 독자적 칭호인 사카르트벨로의 기반이 되었다. 조지아어 접환사 사~오는 표준 지리학적 건축물을 가리키는 "~ 민족이 거주하는 (민족 이름) 지역"이다.[19]

3. 2. 중세

15세기 동안 조지아 왕국이 분열되면서 조지아의 왕들은 트빌리시를 수도로 하여 카르틀리만을 갖게 되었다. 카르틀리 왕들은 자신들이 합법적인 계승자라고 주장하는 모든 조지아 군주들의 칭호를 포기하지 않았다. 그래서 유럽인들은 이를 "진정한 조지아"로 알고 있었고, 나중에는 러시아어 Карталиния 를 통해 카르탈리니아라고 부르기도 했다. 마찬가지로, 페르시아어에서 지명 고르제스탄(조지아)은 일반적으로 카르틀리의 더 좁은 의미로 사용되었다.[12]

카르틀리 왕국은 오스만-사파비 전쟁, 인접한 조지아와 코카서스 통치자 간의 갈등, 그리고 18세기까지의 자체적인 내전의 격전지였다. 1550년부터, 그리고 1614년부터 더욱 엄격하게 조지아 통치자들은 페르시아의 지배자들과 "타협의 정치"를 추구했다. 이는 페르시아가 카르틀리 또는 그들이 통치하는 다른 지역이 상당한 자율성을 유지하도록 허용하고, 바그라티드의 조지아 왕조가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고 샤에게 종속되는 것을 조건으로 왕좌를 소유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했다. 조지아 문서에서 조지아 통치자들은 계속 왕으로 불렸지만, 페르시아 공식 문서에서는 그들을 고르제스탄의 왈리("총독")라고 언급하여 샤에 대한 종속 관계를 강조했다.[12] 카르틀리 귀족 엘리트의 많은 구성원들이 페르시아 군대와 행정부에 중요한 직책을 맡았고, 여러 귀족 여성들이 샤의 하렘에 들어갔다.

이러한 상황은 1745년 나데르 샤의 허가를 받아 테이무라즈 2세가 기독교 관습에 따라 카르틀리의 왕으로 즉위하면서 바뀌었다. 1748년, 카르틀리는 페르시아 종속의 형식적인 측면만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 독립하게 되었다. 1762년, 카르틀리는 인접한 동부 조지아의 카헤티 왕국과 단일 국가로 통합되었고, 1783년에는 러시아 보호령이 되었지만, 1795년 페르시아의 새로 건립된 카자르 왕조의 아가 모하마드 칸이 조지아를 다시 페르시아의 헤게모니 아래 두려고 했을 때 파괴적인 페르시아 침략을 겪었다. 약화된 왕국은 1801년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고,[12] 이 새로운 재편은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1804-1813) 이후 1813년 골리스탄 조약에 의해 확인되었다.[12]

3. 3. 근세

15세기 조지아 왕국의 분열로 조지아 왕들은 트빌리시를 수도로 하는 카르틀리만을 갖게 되었다.[12] 카르틀리 왕들은 자신들이 합법적인 계승자라고 주장하며 모든 조지아 군주들의 칭호를 포기하지 않았다. 유럽인들은 카르틀리를 "진정한 조지아"로 알았고, 러시아어 Карталиния 를 통해 카르탈리니아라고 불렀다. 페르시아어 지명 고르제스탄(조지아)은 일반적으로 카르틀리의 더 좁은 의미로 사용되었다.[12]

카르틀리 왕국은 오스만-사파비 전쟁, 인접한 조지아와 코카서스 통치자 간의 갈등, 그리고 18세기까지의 자체적인 내전의 격전지였다. 1550년부터, 그리고 1614년부터 더욱 엄격하게 조지아 통치자들은 페르시아의 지배자들과 "타협의 정치"를 추구했다. 페르시아는 카르틀리가 상당한 자율성을 유지하도록 허용하고, 바그라티드의 조지아 왕조가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고 샤에게 종속되는 것을 조건으로 왕좌를 소유하도록 허용했다. 조지아 통치자들은 계속 왕으로 불렸지만, 페르시아 공식 문서에서는 그들을 고르제스탄의 왈리("총독")라고 언급하여 샤에 대한 종속 관계를 강조했다.[12] 카르틀리 귀족 엘리트의 많은 구성원들이 페르시아 군대와 행정부에 중요한 직책을 맡았고, 여러 귀족 여성들이 샤의 하렘에 들어갔다.

1745년 나데르 샤의 허가를 받아 테이무라즈 2세가 기독교 관습에 따라 카르틀리의 왕으로 즉위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1748년, 카르틀리는 페르시아 종속의 형식적인 측면만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 독립했다. 1762년, 카르틀리는 카헤티 왕국과 단일 국가로 통합되었고, 1783년에는 러시아 보호령이 되었지만, 1795년 파괴적인 페르시아 침략을 겪었다. 약화된 왕국은 1801년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고,[12] 이 새로운 재편은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1804-1813) 이후 1813년 골리스탄 조약에 의해 확인되었다.[12]

4. 지리적 구분

중세 시대에, 카르틀리는 전통적으로 므트크바리 강을 따라 세 개의 중요한 지역으로 분할되어 있었다.[20][11]


  • 시다 카르틀리(შიდა ქართლი), 즉 내 카르틀리는 므츠헤타와 우플리스치케를 중심으로 므트크바리 강 북쪽과 남쪽, 지류인 아라그비 강 서쪽의 모든 중앙 카르틀리를 포함한다.[11] 현재 조지아의 지방 중 고리가 수도인 시다 카르틀리의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한다.

  • 크베모 카르틀리(ქვემო ქართლი), 즉 하 카르틀리는 므트크바리 강 하류 지역과 그 강 남쪽의 영토를 포함한다.[20][11] 현재 조지아의 지방 중 하나인 루스타비를 수도로 하는 크베모 카르틀리에 속해 있다.

  • 제모 카르틀리(ზემო ქართლი), 즉 상 카르틀리는 므트크바리 강 상류 유역과 그 강 남쪽의 땅, 크베모 카르틀리 서쪽을 포함한다.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은 현재 터키에 속해 있다.[11] 현재 조지아의 지방인 아할치헤가 수도인 삼츠헤-자바헤티와 므츠헤타가 수도인 므츠헤타-므티아네티의 일부가 여기에 포함된다.


18세기의 카르틀리(카르두엘리). 1767년 장 클루에 지도의 세부 정보.

4. 1. 시다 카르틀리 (내 카르틀리)

므트크바리 강 북쪽과 남쪽, 그리고 아라그비 강 서쪽의 모든 중앙 카르틀리를 포함하며, 중심지는 므츠헤타와 우플리스치케이다.[20][11] 현재 조지아의 지방 중 고리가 수도인 시다 카르틀리의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한다.[11]

4. 2. 크베모 카르틀리 (하 카르틀리)

중세 시대에 카르틀리는 므트크바리 강을 따라 크게 세 지역으로 나뉘었다.[20][11] 크베모 카르틀리(ქვემო ქართლი)는 하 카르틀리라고도 불리며, 므트크바리 강 하류 지역과 그 강 남쪽의 영토를 포함한다.

이 영토의 대부분은 현재 조지아의 지방 중 하나인 루스타비를 수도로 하는 크베모 카르틀리에 속해 있다.[20][11]

4. 3. 제모 카르틀리 (상 카르틀리)

중세 시대 동안 카르틀리는 전통적으로 므트크바리 강을 따라 세 개의 주요 지역으로 나뉘었다.[20][11]

  • 시다 카르틀리(შიდა ქართლი), 즉 내 카르틀리는 므츠헤타와 우플리스치케를 중심으로 므트크바리 북쪽과 남쪽, 지류인 아라그비 서쪽의 모든 중앙 카르틀리를 포함한다.

  • 크베모 카르틀리(ქვემო ქართლი), 즉 하 카르틀리는 므트크바리 하류 유역과 그 강 남쪽의 땅을 포함한다.


제모 카르틀리(ზემო ქართლი)는 므트크바리 상류 유역과 그 강 남쪽의 땅, 크베모 카르틀리 서쪽을 포함한다.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은 현재 터키에 속해 있다.[11]

이러한 토지의 대부분은 현재 조지아의 지방인 고리가 수도인 시다 카르틀리, 루스타비가 수도인 크베모 카르틀리, 아할치헤가 수도인 삼츠헤-자바헤티, 그리고 므츠헤타가 수도인 므츠헤타-므티아네티에 속해 있다.[11]

5. 현대

참조

[1] 서적 2003
[2] 서적 2003
[3]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Kartvel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5-06-07
[4] 서적 Kartwel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https://books.google[...] BRILL 2015-06-07
[5] 서적 1998
[6] 서적 1998
[7] 간행물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caucasian and Anatolian Populations by the Data of the Greek and Latin Literary Sources https://web.archive.[...] The Thracian World at the Crossroads of Civilisations. Reports and Summaries. The 7th International Congress of Thracology. P. Roman (ed.). Bucharest: the Romanian Institute of Thracology 1996
[8] 서적 2003
[9] 서적 A Turk in the Dukhang? Comparative Perspectives on Elite Dress in Medieval Ladakh and the Caucasus https://www.academia[...] Austrian Academy of Science 2017
[10] 서적 2003
[11] 서적 1963
[12] 간행물 "Kartli", in: ''[[Encyclopæ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1
[13] 서적 2003
[14] 서적 2003
[15] 서적 1998
[16] 서적 1998
[17] 간행물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caucasian and Anatolian Populations by the Data of the Greek and Latin Literary Sources https://web.archive.[...] The Thracian World at the Crossroads of Civilisations. Reports and Summaries. The 7th International Congress of Thracology. P. Roman (ed.). Bucharest: the Romanian Institute of Thracology 1996
[18] 서적 2003
[19] 서적 2003
[20] 서적 19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