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신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신어는 동슬라브어에 속하는 언어로, 루신인들이 사용하며, '루테니아어' 또는 '루테네어'라고도 불린다. 루신어의 분류는 역사적, 언어적, 정치적으로 논쟁의 대상이었으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의 방언 또는 독립된 동슬라브어로 간주되는 등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지리적으로는 카르파티아 루신어와 판노니아 루신어로 나뉘며, 카르파티아 루신어는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 폴란드, 헝가리, 루마니아 등지에서 사용되고, 판노니아 루신어는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에서 사용된다. 루신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슬로바키아, 폴란드, 우크라이나에서 각각 표준어가 존재한다. 문법적으로는 명사 어미 변화, 동사 활용 등 슬라브어의 특징을 공유하며, 소수 민족 언어로서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에 따라 여러 국가에서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언어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슬로바키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동슬라브어군 - 루테니아어
    루테니아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의 조상 언어로, 학자들은 '루테니아어'라는 외부 명칭을 포함한 다양한 명칭으로 이 언어와 변종을 지칭하며,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행정 언어로 발전했다.
  • 동슬라브어군 - 수르지크어
    수르지크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의 혼합어로, 러시아의 지배로 인한 언어적 동화 과정에서 발생하여 우크라이나의 언어 및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복잡한 쟁점을 내포한다.
  • 헝가리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헝가리의 언어 -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약 200만 명이 사용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는 달리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9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공용어로 사용되고 2004년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루신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루신어
고유 이름русиньскый язык; руски язик
로마자 표기rusîn'skyj jazyk; ruski jazik
민족루신인
사용 지역자카르파탸주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 동부
폴란드 남부
헝가리
루마니아 북부
보이보디나 자치주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동부
사용 국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사용자 수70,190명 (2001–2013년)
약 60만 명 (추정)
약 7만 명 (통계)
슬로바키아38,679명 (2021년)
세르비아15,626명 (2002년)
폴란드10,000명 (2011년)
우크라이나6,725명 (2001년)
크로아티아2,337명 (2001년)
헝가리1,113명 (2001년)
체코777명 (2012년)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발트슬라브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
조상 언어원시 인도유럽어
원시 발트슬라브어
원시 슬라브어
고대 동슬라브어
루테니아어
방언렘코어
프레쇼프
서브카르파티아
판노니아 루신어
문자키릴 문자 (루신어 알파벳)
라틴 문자 (슬로바키아)
공용어 국가세르비아 (보이보디나)
ISO 639-3rue
글롯로그rusy1239
글롯로그 참조루신어
링구아53-AAA-ec (동슬라브어군: 53-AAA-e) (세부: 53-AAA-eca to 53-AAA-ecc)
옥스포드 영어 사전Rusyn
언어 상태
유네스코취약
기타 정보
언어 사용루신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정치적, 문화적 측면에서 언어 사용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2. 명칭

영어에서 "루신어(Rusyn)"라는 용어는 ISO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17] 이 언어를 가리키는 데 "루테니아어(Ruthenian)" 또는 "루테네어(Ruthene)"와 같은 외래어에서 유래한 다른 이름들도 때때로 사용된다.[18] 이 명칭들은 더 일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역 형용사를 추가하여) 카르파티아 루테니아어/루테네어 또는 카르파토-루테니아어/루테네어와 같은 특정 명칭이 형성된다.

루신 공동체 내에서는 이 언어를 руснацькый язык|rusnac'kyj jazyk|루스나크어(Rusnak language)rue라고도 부르거나, 간단히 "우리 방식으로" 말하는 것(по-нашому|po-nashomu|카르파티아 루신어ru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3. 분류

루신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폴란드어, 슬로바키아어서슬라브어군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동슬라브어에는 없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루신어의 분류는 역사적, 언어학적, 정치적으로 논쟁의 대상이었다.[17] 19세기에 헝가리 왕국 북동부(카르파티아) 지역과 인접한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지역에서 사용되던 동슬라브어족 방언의 분류와 관련하여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여러 질문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질문들에서 세 가지 주요 이론이 등장했다.


  • 일부 언어학자들은 카르파티아 지역의 동슬라브어 방언을 러시아어의 특정 변종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다른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방언들을 독립적인 우크라이나어의 서부 변종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세 번째 그룹은 이러한 방언들이 독립적인 동슬라브어로 인정될 만큼 충분히 특징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언어학적 논쟁에도 불구하고 카르파티아 지역을 지배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사용한 공식 용어는 변함없이 유지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국가 당국에게 제국의 국경 내에 있는 모든 동슬라브어권은 '루테니아어'(ruthenische Sprache|루테니셰 슈프라헤de, Rutén nyelv|루텐 녤브hu)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1918년까지 사용되었던 고풍스럽고 외래어적인 용어였다.[17]

4. 지리적 분포

루신어는 크게 카르파티아 루신어와 판노니아 루신어 두 가지로 나뉜다.

카르파티아 루신어는 카르파티아 산맥 일대, 즉 우크라이나의 자카르파티아주, 슬로바키아 북동부, 폴란드 남동부, 헝가리 북동부, 루마니아 북부(마라무레슈주)에서 사용된다.

판노니아 루신어는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지역과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지역에 거주하는 판노니아 루신인들이 사용한다.

4. 1. 카르파티아 루신어

카르파티아 루신어는 우크라이나의 자카르파티아주, 슬로바키아 북동부, 폴란드 남동부, 헝가리 북동부, 루마니아 북부(마라무레슈주)에서 사용된다. 폴란드에서 사용되는 루신어 방언은 일반적으로 ''렘코어''(лемківскій язык|lemkivskij jazykrue)로 알려져 있다.[19]

루신어의 주요 방언들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측면에서 서로 다르며, 각 방언은 고유한 특징과 지역적인 하위 방언을 포함한다. 루신어 방언 연속체에는 렘코 방언과 보이코 방언이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후츠울 방언에서 끝나거나, 또는 우크라이나어 방언으로 더 잘 볼 수 있는 언어적 변종을 나타낸다. 동슬라브어 중 가장 서쪽에 위치하여, 폴란드어슬로바키아어와 오랜 기간 접촉하며 동슬라브어에는 없는 여러 서슬라브어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19]

4. 1. 1. 문어

현재 공식적으로 체계화된 카르파티아 루신어 문어는 세 가지가 있다.[20][21][22] 거의 2세기에 걸친 활동가와 학자들의 노력으로, 루신어 문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논의되었다. 언어학자 스테판 M. 푸그는 "거의 매 세대마다 어떤 종류의 문법이 쓰였지만, 주로 정치적 이유(물론 실질적인 실용성도) 때문에 널리 받아들여지지 못했습니다."라고 언급한다.[20]

초기 문법 중에는 드미트리 비슬로츠키의 『카르파토루스키 부크바르』, 반야 훈얀키의 문법(1931), 메토디 트로카노프스키의 『부크바르: 페르샤 크니제츠카 들랴 나로드닉 슈콜』(1935),[21][22] 이반 하라이다의 문법(1941)이 있다. 하라이다의 문법은 1939년부터 1944년까지 약 1,500~3,000편의 루신어 출판물이 인쇄되고, 1941년부터 표준으로 받아들여졌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슬로바키아에서는 프레쇼프 문어가 1995년 바실 야부르, 안나 플리슈코바, 크베토슬라바 코포로바에 의해 처음 출판되면서 지속적인 규범화 과정을 거치고 있다.[23] 프레쇼프 루신어는 프레쇼프 지역 내 오사드네, 호스토비체, 파리후조브체 등 여러 마을에서 사용되는 루신어 방언들을 기반으로 한다.

폴란드에서는 미로슬라바 호미악과 헨리크 폰탄스키가 2000년에 표준 렘코-루신어 문법 및 사전인 《렘코어 문법》을 출판했으며, 2004년에 두 번째 판을 발행했다.[24]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티아 지방에서는 M. 알마시와 이고르 케르차의 『Materyns'kyj jazyk: pysemnycja rusyns'koho jazyka』가 사실상의 문어 표준으로 여겨지지만, 비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다. 1999년에 초판이 출판되었고, 2004년에 두 번째 판이 출판되었으며, 2007년에는 5만 8천 단어 분량의 루신어-러시아어 사전이 출판되었다.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사용되는 루신어는 1990년대 이후 지역별로 표준어가 순차적으로 제정되었다. 주요한 것은 슬로바키아의 프레쇼우 변종과 폴란드의 Лемки|렘코어uk 변종이다. 우크라이나에서 사용되는 자카르파티아 변종도 존재하지만, 공식적으로 표준어로 성문화되지는 않았다.

4. 2. 판노니아 루신어

판노니아 루신인들이 세르비아보이보디나 지역과 인근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지역에서 사용하는 판노니아 루신어는, 카르파티아 루신어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25] 1923년 G. 코스텔니크에 의해 처음 표준화되었으며,[25] 1980년대 이후 세르비아의 줄리안 라마치, 헬레나 메제시, 미하일로 페이사, 헝가리의 미하이 카프랄리에 의해 현대 표준어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판노니아 루신어는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이주한 루신인들이 사용하며, 문어로서의 역사는 카르파티아 루신어보다 길다.

5. 역사

루신어의 기원은 18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18세기에 들어서면서 더 체계적인 방식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1758년에 쓰여진 니아고보 포스틸라(Njagovskie poučenija)는 현대 루신어, 특히 카르파티아 루신어의 중요한 음운론적 및 형태론적 특징을 지닌 초기 텍스트 중 하나이며,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27]

18세기 요제프 데카밀리스 주교의 지휘 아래 루신어 독자를 위한 최초의 책들인 교리문답(1698)과 초보 언어 교재(1699)가 출판되었다. 1767년 마리아 테레지아의 우르바륨이 루신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로 합스부르크 제국 전역에 걸쳐 출판되었다.[26] 안드리이 바친스키이 주교 재임 기간에는 요안 쿠트카의 교재와 교리문답의 여러 판본이 루신어 방언으로 출판되었다.

19세기에는 루신어 문어 확립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미하일로 루츠카이(Myxajlo Lučkaj)의 『Grammatica Slavo-Ruthena』(1830)는 "뚜렷한 루신 풍"을 가지고 있었다. 1847년, 알렉산드르 두흐노비치(Alexander Dukhnovych)는 거의 일반 루신어 방언으로 쓰인 최초의 교재인 『Knyzhytsia chytalnaia dlia nachynaiushchykh』(초보자를 위한 독본)을 출판했다. 1850년에는 "최초의 카르파토루신 문화 단체"인 프레쇼 문학회(Prešov Literary Society)가 설립되어 두흐노비치의 희곡과 문학선집 등을 출판했다.

20세기 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 이후, 헝가리 공화국은 루신족 지역 자치를 인정하고 부다페스트 대학교에 루신어 학과를 설립했다. 1919년 자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지역은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되었고, 이후 20년 동안 언어 논쟁이 계속되었다. 1939년 이 지역은 카르파토-우크라이나라는 이름으로 독립을 선포했지만, 곧 헝가리에 점령 및 합병되었다. 이후 소련에 점령되어 우크라이나 SSR에 통합되었으며, 우크라이나어 표준이 시행되었다. 소련 우크라이나와 폴란드에서는 루신족이 독립적인 민족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그들의 언어는 우크라이나어의 방언으로 간주되었다. 반면, 유고슬라비아는 루신 소수 민족과 그들의 언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5. 1. 현대적 발전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동유럽 전역에 소수민족 권리에 대한 현대적 기준이 점차 적용되어 여러 국가의 루신어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유고슬라비아의 후계국인 세르비아크로아티아는 루신어를 공식 소수민족 언어로 계속 인정했다.[28]

1992년 모스크바의 전 슬라브 및 발칸 연구소(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슬라브 연구소)의 학자들은 루신어를 별개의 언어로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언어 연구 전문가를 양성했다.[29] 이 연구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

1995년부터 루신어는 슬로바키아에서 소수민족 언어로 인정받았으며, 주민의 20% 이상이 루신어를 사용하는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공용어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30]

우크라이나 정부는 루신인의 자기 인식과 관계없이 루신인을 별개의 민족으로 인정하지 않고, 루신어를 우크라이나어 방언으로 공식적으로 간주한다. 2012년 우크라이나는 루신어를 여러 소수 민족 및 지역 언어 중 하나로 인정하는 새로운 법률을 채택했지만, 이 법률은 2014년에 폐지되었다.

루신어는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에 따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011년), 크로아티아(1997년), 헝가리(1998년), 루마니아(2008년), 폴란드(렘코어로서, 2009년), 세르비아(2006년), 슬로바키아(2002년)에서 공식적으로 보호되는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카르파티아 루신어에 'rue'라는 ISO 639-3 코드를 할당했다.[31]

6. 음운론

루신어는 동슬라브어군의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서슬라브어군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폴란드어슬로바키아어와의 오랜 접촉으로 인해 동슬라브어에는 없는 여러 서슬라브어 특징을 획득했다.[25]

루신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루신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전설중설후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6. 1. 자음

루신어는 다양한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경음과 연음의 대립이 특징적이다.



연음 자음 결합음 []은 북부 및 서부 방언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동부 방언에서는 표준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을 포함하여 []로 인식된다.

남부 루신어에서는 주변의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와 마찬가지로 자음의 구개화/비구개화 대립이 약화되어 있다.

6. 2. 모음

루신어는 6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1]

전설중설후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 //와 //는 중설에 가까운 소리가 되어 // , //가 될 수 있다.[1]

7. 문자

루신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루신어 알파벳은 표준화된 방언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각 알파벳은 우크라이나어 알파벳과 비교하여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루신어 알파벳의 문자[35]
대문자소문자이름로마자 표기발음
ALABGN유럽식IDSISO
Ааaaaaaa
Бббыbbbbb
Вввыvvvvv
Гггыhhhhǧ
Ґґґыggggg
Дддыddddd
Ееeeeeee
Єєєi͡ejeje/'ejeê
Ёёёëjojo/'ojoô
Жжжыz͡hžžžž
Зззыzzzzz
Ііiiiiiì
Їїїïjiji/'iïï
Иииi/yyîii
Ыыыŷyyy/ŷy
Йййыĭjjjj
Кккыkkkkk
Лллыlllll
Мммыmmmmm
Ннныnnnnn
Ооoooooo
Пппыppppp
Рррыrrrrr
Сссыsssss
Тттыttttt
Уууuuuuu
Фффыfffff
Хххыk͡hchchchh
Цццыt͡scccc
Чччыchčččč
Шшшыs͡hšššš
Щщщыshchščščščŝ
Юююі͡ujuju/'ujuû
Яяяi͡ajaja/'ajaâ
Ьь연음 기호 (ірь)'
Ъъ경음 기호 (ір)"



슬로바키아의 프레쇼프 루신 알파벳은 36개의 문자를 가지고 있으며,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의 모든 문자와 ё, ы, ъ가 포함된다. 폴란드의 렘코 루신 알파벳은 34개의 문자를 가지며, ї를 제외한 모든 우크라이나 문자와 ы, ъ가 포함된다. 판노니아 루신 알파벳은 32개의 문자를 가지며, і를 제외한 모든 우크라이나 문자로 구성된다.

루신어 알파벳은 모두 ь를 я 뒤에 배치하는데, 이는 1990년까지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이 그러했던 방식과 같다. 대부분의 키릴 문자 알파벳은 (만약 존재한다면) э와 ю, 그리고 я 앞에 ь를 배치한다.

렘코어와 프레쇼브 루신어 알파벳은 ъ를 맨 끝에 배치하는 반면, 대부분의 키릴 문자 알파벳은 щ 뒤에 배치한다. 또한 ы를 й 앞에 배치하지만, 대부분의 키릴 문자 알파벳은 ш, щ (만약 존재한다면), 그리고 ъ (만약 존재한다면) 뒤에 배치한다.

프레쇼브 루신어 알파벳에서는 і와 ї가 и 앞에 오며, 마찬가지로 렘코어 루신어 알파벳(ї를 사용하지 않음)에서도 і가 и 앞에 온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에서는 и가 і와 ї 앞에 오며, 판노니아 루신어 알파벳(і를 사용하지 않음)은 이러한 선례를 따라 и를 ї 앞에 배치한다.

8. 문법

루신어의 어미 변화는 문법적인 , , 에 따라 달라진다. 영어처럼 문법적 수는 단수와 복수 두 가지만 나타낸다. 다른 슬라브어와 마찬가지로 루신어는 여성, 남성, 중성의 세 가지 문법적 성을 가진다. 또한 주격, 목적격, 소유격, 여격, 처소격, 도구격, 호격의 7가지 격 체계를 사용한다.[1]

남성 명사는 생성/비생성 유형으로 더 세분화된다. 생성의 경우 목적격 형태가 소유격 형태를 따른다.[1]

8. 1. 명사 어미 변화

루신어의 어미 변화는 문법적 , , 에 따라 달라진다. 문법적 수는 단수와 복수 두 가지가 있다. 루신어는 여성, 남성, 중성의 세 가지 문법적 성을 가진다. 또한 주격, 목적격, 소유격, 여격, 처소격, 도구격, 호격의 7가지 격 체계를 사용한다.[1]

남성 명사는 생성/비생성 유형으로 더 세분화된다. 생성의 경우 목적격 형태가 소유격 형태를 따른다.[1]

루신어의 격은 다른 슬라브어와 유사하며, 일반적인 용법은 다음과 같다.[1]

루신어의 격
완전 명칭 (루신어)일반적인 용법
номінатів주격주어
акузатів목적격직접 목적어
ґенітів소유격소유 또는 소속
датів여격간접 목적어
локал처소격위치 ("in", "on"과 같은 전치사와 함께 사용)
інштрументал도구격"~을 가지고" 또는 "~에 의하여"
вокатів호격다른 사람을 부를 때 사용



명사는 각 격을 나타내기 위해 어미가 변화하며, 어미 변화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 '''유형 I''': 주격 단수형이 '''-а'''/'''-я'''로 끝나는 여성 명사
  • '''유형 II''':
  • 주격 단수형이 자음으로 끝나는 남성 명사
  • 주격 단수형이 자음 또는 '''-o'''로 끝나는 중성 및 남성 명사
  • 주격 단수형이 '''-e''' 또는 '''-а'''/'''-я'''로 끝나는 중성 명사
  • '''유형 III''':
  • 주격 단수형이 ''쌍을 이루는 자음'' ('''-cons.+ь'''), '쌍을 이루지 않는 경구개 치경 자음' ('''-ш''', '''-ч''', '''-щ''', '''-ж''', 또는 '''-дж'''), 또는 '''-ов'''로 끝나는 여성 명사
  • 여성 명사 мати|maty|어머니rue
  • '''유형 IV''': 주격 단수형이 '''-а'''/'''-я'''로 끝나는 중성 명사


주격 단수에서 -а/-я로 끝나는 여성 명사(유형 I)의 어미 변화는 다음과 같다.[2]

주격 단수에서 -а/-я로 끝나는 여성 명사[2]
colspan="2" rowspan="2"|전형적인 여성 명사일반적인/이중 성
경음연음경음연음
단수주격школаземлястаростасудця
목적격школуземлюстаростусудцю
소유격школыземлїстаростысудцї
여격школїземлїстаростовисудцёви
처소격школїземлистаростовисудцёви
도구격школовземлёвстаростов/старостомсудцём
호격школоземлёстаростосудцё
복수주격школыземлїстаростове/старостысудцёве/судцї
목적격школыземлїстаростівсудцїв
소유격школземльстарост/старостівсудцїв
여격школамземлямстаростам/старостімсудцям/судцїм
처소격школамземляхстаростах/старостохсудцях
도구격школамиземлямистаростамисудцями
한국어학교장로판사



유형 III(자음으로 끝나는 여성 명사와 'мати')의 어미 변화는 다음과 같다.[3]

자음으로 끝나는 여성 명사와 'мати'[3]
colspan="2" rowspan="1" |쌍을 이루는 자음구개-치경 자음-овмати
단수주격тїньнічмышцерковмати/матїрь
목적격тїньнічмышцерковматїрь
소유격тїниночімышыцерквиматери
여격тїниночімышіцерквиматери
처소격тїниночімышіцерквиматери
조격тїнёвночовмышовцерковлёвматїрёв
복수주격тїниночімышыцерквиматери
목적격тїниночімышыцерквиматери
소유격тїнейночеймышейцерквейматерей
여격тїнямночаммышамцерквамматерям
처소격тїняхночахмышахцерквахматерях
조격тїняминочамимышамицерквамиматерями
한국어그림자교회어머니



유형 IV ('''-a'''와 '''-я'''로 끝나는 중성 명사)의 어미 변화는 다음과 같다.[4]

'''-a'''와 '''-я'''로 끝나는 중성 명사[4]
colspan="2" rowspan="1"|colspan="5" rowspan="1"|
단수주격гусягачавымя/вымня
목적격гусягачавымя/вымня
소유격гусятигачативымяти/вымняти
여격гусятигачативымяти/вымняти
처소격гусятигачативымяти/вымняти
도구격гусятёмгачатёмвымятём/вымнятём
복수주격гусятагачатавымята/вымнята
목적격гусятагачатавымята/вымнята
소유격гусятагачатавымята/вымнята
여격гусятамгачатамвымятам/вымнятам
처소격гусятахгачатахвымятах/вымнятах
도구격гусятамигачатамивымятами/вымнятами
영어gosling (거위 새끼)colt, foal (망아지)udder (젖통)


8. 2. 동사 활용

루신어 동사는 인칭, 수, 시제, 법에 따라 활용된다. 동사는 활용될 때 나타나는 "어간 표지"를 기준으로 두 가지 주요 활용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원형 동사 형태는 종종 모호하기 때문에 원형을 제1유형 또는 제2유형으로 식별할 수 있는 일반적인 시스템은 없다. 그러나 일부 원형 접미사는 적어도 제1유형에 고유하다. ('''‑ути''', '''‑овати''', '''‑нути''' 등).[1]

제1형은 여러 하위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모음 + 'j' 어간 표지이다. ('''‑uj‑''', '''‑ij‑''', '''‑yj‑''' 등). 원형 및 일부 활용에서는 자음 '''‑j‑'''가 다른 자음 뒤에 올 경우 생략된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бісїдув‑aj‑ty → бісїдув‑a‑ty''이다.[2]

불규칙 동사 활용[3]
원형ї́сти (먹다)дати́ (주다)бы́ти (있다)пові́сти (말하다)
단수1인칭 (나)їм (먹는다)дам (준다)єм (있다)пові́м (말한다)
2인칭 (너)їш (먹는다)даш (준다)єсь (있다)пові́ш (말한다)
3인칭 (그/그녀/것)їсть (먹는다)дасть (준다)є (있다)пові́сть (말한다)
복수1인칭 (우리)їме́ (먹는다)даме́ (준다)сьме (있다)повіме́ (말한다)
2인칭 (너희들)їсте́ (먹는다)дате́, дасте́ (준다)сьте (있다)повісте́ (말한다)
3인칭 (그들)їдя́ть (먹는다)даду́ть (준다)суть (있다)повідя́ть (말한다)


9. 샘플 텍스트

루신어의 여러 방언 비교 / 기본적인 단어와 표현
폴란드 렘코 루신어
슬로바키아 프레쇼우 루신어
세르비아 판노니아 루신어
우크라이나 표준 우크라이나어


10. 미디어

루신어로 발행되는 신문, 잡지, 라디오 방송은 다음과 같다.

제목비고
아메리칸스키 루스키 비에스트니크 (Amerikansky Russky Viestnik)폐간
베시다 (Besida)렘코 언어 저널
카르파츠카 루스 (Karpatska Rus)
Lem.fm폴란드 고르리체 [40]
렘코미국 필라델피아 (폐간)
나로드니 노빈키 (Narodnȳ novynkȳ)
포드카르파츠카 루스 (Podkarpatská Rus)
루스케 슬로보 (Ruske slovo)세르비아 루스키 크르스투르[41]
루스나치 우 슈베체 (Rusnatsi u Shvetse)[42]
루신스카 베시다 (Rusynska besida)


참조

[1]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the Charter in Hungary https://web.archive.[...] Public Foundation for European Comparative Minority Research 2014-06-16
[2] 웹사이트 I Raport dla Sekretarza Rady Europy z realizacji przez Rzeczpospolitą Polską postanowień ''Europejskiej karty języków regionalnych lub mniejszościowych'' https://web.archive.[...] 2019-04-28
[3] 웹사이트 Number of population by mother tongue in the Slovak Republic at 1. 1. 2021 https://www.scitanie[...] Statistical Office of the Slovak Republic 2022-01-21
[4] 웹사이트 Final results of the census 2002 https://web.archive.[...] 2002-12-24
[5] 웹사이트 Home https://web.archive.[...] Central Statistical Office of Poland 2012-03-22
[6] 웹사이트 About number and composition population of UKRAINE by data All-Ukrainian population census 2001 data https://web.archive.[...] 2010-12-16
[7] 웹사이트 Republic of Croatia –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http://www.dzs.hr/de[...] Crostat 2010-09-05
[8] 웹사이트 1.28 Population by mother tongue, nationality and sex, 1900–2001 http://www.nepszamla[...] Hungarian Central Statistical Office 2012-02-28
[9] 웹사이트 Obyvatelstvo podle věku, mateřského jazyka a pohlaví http://vdb.czso.cz/s[...] 2012-11-02
[10] 서적 A Cultural History of Color in the Medieval Age Bloomsbury Publishing Plc 2022
[11] 간행물 Rusyn
[12] 웹사이트 The Statue of the Autonomous Province of Vojvodina, Serbia http://www.skupstina[...] Skupstinavojvodine.gov.rs 2012-08-07
[13] 웹사이트 Rusyn https://www.oed.com/[...]
[14] 논문 https://web.archive.[...] 2018-05-23
[15] 서적 Slavic Languages Oxford 1992
[16] 서적 Ukrainian Routledge 1993
[17] 웹사이트 ISO 639-3: 639 Identifier Documentation: Rusyn (rue) https://iso639-3.sil[...] 2021-06-22
[18] 웹사이트 Home :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eb.archive.[...] 2021-02-20
[19] 웹사이트 Gavin Baptie (2011): Issues in Rusyn language standardisation, p. 8-9. http://theses.gla.ac[...] 2018-05-22
[20] 서적
[21] 서적
[22] 학술지 The Rusyn Movement among the Galician Lemkos http://www.lemko.org[...]
[23] 학술지 The Rusyn question in Ukraine: sorting out fact from fiction https://web.archive.[...] 2009-12-03
[24] 논문 https://web.archive.[...] 2018-05-23
[25] 웹사이트 SO 639-3 Registration Authority Request for New Language Code Element in ISO 639-3 https://iso639-3.sil[...] 2020-11-17
[26] 학술지 The Urbarium of Maria Theresa in the languages of the South Slavic peoples of the Hungarian Kingdom
[27] 학술지 Myxajlo Lučkaj — A Dissident Forerunner of Literary Rusyn? http://www.jstor.org[...] 2022-01-11
[28] 웹사이트 Statute of the Autonomous Province of Vojvodina http://www.skupstina[...] Skupstinavojvodine.gov.rs 2012-08-07
[29] 뉴스 Україна в лещатах російських спецслужб http://www.radiosvob[...] Radiosvoboda.org 2011-12-25
[30] 웹사이트 Zákon 184/1999 Z. z. o používaní jazykov národnostných menšín https://web.archive.[...] Zbierka zákonov 2010-05-18
[31] 웹사이트 ISO 639-3: 639 Identifier Documentation: Rusyn (rue) https://iso639-3.sil[...] 2021-06-22
[32] 웹사이트 Rusyn / Carpatho-Rusyn (ALA-LC Romanization Tables) https://www.loc.gov/[...] 2010-10-10
[33] 웹사이트 Romanization of Rusyn: BGN/PCGN 2016 System https://geonames.nga[...] 2017-10
[34] 웹사이트 IDS G: Transliterationstabellen 4. Transliteration der slavischen kyrillischen Alphabete https://web.archive.[...] 2001
[35] 논문 Issues In Rusyn Language Standardisation http://theses.gla.ac[...]
[36] 웹사이트 Carpatho-Rusyn Phonetics ep3 – О/Ō Карпаторусинська фонетика №3 https://www.youtube.[...] 2020-07-31
[37] 웹사이트 Carpatho-Rusyn phonetics. Ep#2 – і, ї, ӯ Карпаторусинська фонетика. Другый епізод https://www.youtube.[...] 2020-07-31
[38] 웹사이트 ruegrammatica https://www.rueporta[...] 2020-07-31
[39] 웹사이트 Carpatho Rusyn Language Can Ukrainian speakers understand? #1 feat. @myhal-k https://www.youtube.[...] 2020-03-16
[40] 웹사이트 Хыжа lem.fm – Радийо Руской Бурсы http://lem.fm/ 2018-06-03
[41] 웹사이트 Руске слово https://www.ruskeslo[...] 2021-02-20
[42] 웹사이트 Rusnaci u svece http://rdsa.tripod.c[...] tripod.lycos.com 2017-03-07
[43]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7-04-27
[44] 간행물 각국의 통계청 자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