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태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태영은 일제강점기 머슴의 아들로 태어나 가난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1957년 건국대학교에 진학하여 학업을 이어갔으며, 덴마크와 이스라엘 유학을 통해 농촌 발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1972년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새마을 운동 담당자로 위촉되어 근면, 자조, 협동을 기본 정신으로 하는 새마을 운동을 기획하고 주도했다. 이후 건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농촌 청소년 육성을 위한 농촌청소년미래재단을 설립하여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류태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36년 5월 14일 (88세)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임실군 복흥리 |
거주지 |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구성읍 |
학력 | 히브리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박사 |
종교 | 기독교 |
2. 어린 시절
류태영은 1936년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임실군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나 어려운 환경 속에서 성장했다. 1953년 고향에서 가정교사로 가르쳤던 부유한 가정의 지원으로 18세에 중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에서 구두닦이, 신문배달 등 여러 일을 하며 야간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57년 건국대학교에 진학했다.[3]
2. 1. 가난과 역경
1936년 5월 14일, 머슴의 아들로 당시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복홍리 가리진바우 마을에서 태어났다. 궁핍한 환경과 절대적인 빈곤 상태에 놓여있었던 대한민국의 시골 마을에서 자란 그는, 매일같이 굶주림과 고된 노동을 겪으면도 대한민국 농촌 부흥운동의 미래에 대한 꿈을 가지게 된다.[3]
2. 2. 학업에 대한 열정
1953년에 고향 전라북도 임실군에서 가정교사로 가르쳤던 부유한 가정의 지원으로 18살이라는 늦은 나이에 중학교를 졸업했다. 그 후 서울로 올라가 구두닦이, 신문배달 등 온갖 일을 하면서 야간 고등학교를 마치고 1957년 건국대학교에 진학하였다.[3]3. 해외 유학
류태영은 대한민국의 가난 극복을 위해 선진 복지국가 유학을 결심했다. 유달영 박사의 책을 읽고 덴마크 유학을 결심, 덴마크 국왕 프레데릭 9세에게 편지를 보내 덴마크 정부의 지원을 받아 유학길에 올랐다. 덴마크에서 2년간 복지국가와 국민운동에 관해 배웠지만, 이미 복지국가로 완성된 상태여서 실제 농촌 발전 경험을 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부흥 운동이 진행 중인 이스라엘 유학을 결심, 이스라엘 대통령 잘만 샤자르에게 편지를 보내 이스라엘 정부의 지원을 약속받고 이스라엘로 유학을 갔다.[4]
3. 1. 덴마크 유학 (1968-1970)
유달영 박사의 저서 「새 역사를 위하여」에서 덴마크가 가난한 농촌에서 세계적인 복지국가로 발전한 과정을 읽고 덴마크 유학을 결심했다. 당시 대한민국은 덴마크와 외교 관계가 없었으나, 류태영은 덴마크 국왕 프레데릭 9세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유학 허가를 요청했다. 대사관이 없어 왕궁 주소를 몰랐지만, 우편 배달부는 알 것이라는 믿음으로 편지를 보냈고, 한 달 만에 덴마크 왕궁과 외무성으로부터 답장을 받았다. "원하는 기간, 장소, 분야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정부가 책임지겠다"는 초청 편지를 받고, 1968년 7월, 33세의 나이에 덴마크 정부 지원으로 유학을 떠났다.3개월 만에 덴마크어를 습득하고, 2년간 복지 국가와 국민 운동에 대해 연구했다. 그러나 당시 덴마크는 이미 복지 국가가 완성된 상태여서 농촌 유토피아 발전 과정을 직접 경험할 기회는 적었다. 그는 "건축으로 치면 완성된 건물과 설계도만 보는 것 같다"며, 부흥 운동이 진행 중인 이스라엘로 유학을 결심하게 된다.[4]
3. 2. 이스라엘 유학 (1970-1978)
덴마크어를 3개월 만에 터득하여 복지국가와 국민운동에 관해 2년간 배웠지만, 그 당시 덴마크는 복지국가로 이미 완성된 상태여서 실제로 농촌 유토피아의 발전을 경험해 볼 기회는 많지 않았다. 그는 "건축으로 말하자면 완성된 건물과 설계도만 보는 것 같다"라며 실제 부흥 운동이 진행 중인 이스라엘 유학을 결심하게 된다.[4] 이번에도 당시 이스라엘 대통령이었던 잘만 샤자르에게 편지를 보낸 후 항공권, 생활비, 의료비, 학비 모든 지원을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약속받고 중동 이스라엘로 유학을 가게 된다.[4]4. 새마을 운동 창시 및 주도
1971년 이스라엘에서 귀국한 류태영은 건국대학교 유석창 박사의 특채로 건국대 축산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한국방송공사(KBS)에서 농촌전문가로 아침 농가방송을 진행하던 중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 홍성철 정무수석의 연락을 받았다. 그는 청와대에서 농촌 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조언을 요청받고, 농촌 경험 및 선진국 발전 모델을 소개하며 대한민국 농촌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였다. 박정희 대통령은 류태영에게 청와대로 나올 것을 제안했지만, 그는 학생들을 가르쳐야 한다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그러나 청와대와 문교부의 요청으로 건국대학교 재단이사장과 총장이 류태영을 설득했고, 결국 그는 다음 날 아침 청와대로 출근하게 되었다.[5]
4. 1. 새마을 운동 기획
1972년 3월 15일, 박정희 대통령은 류태영 박사를 농촌 혁신 운동인 새마을 운동 담당자로 위촉했다. 류태영은 덴마크와 이스라엘에서의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새마을 운동의 전략과 실행 방안을 대통령에게 제안했고, 박정희 대통령은 그를 전적으로 신뢰하며 그의 기획을 실행하도록 지원했다. 류태영이 제시한 새마을운동의 기본 정신인 "근면, 자조, 협동"은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로 새마을운동 본부 연수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5]4. 2. 새마을 운동의 성과와 한계
류태영은 1972년 3월 15일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농촌 혁신 운동인 새마을 운동 담당자로 위촉되어 새마을운동 초창기의 핵심적인 일을 하였다.[5] 그는 덴마크와 이스라엘에서 연구하고 배운 경험을 바탕으로 전략적인 아이디어와 실행 방안을 대통령에게 제안하였으며, 박정희는 새마을 운동에 관해 그를 전적으로 신뢰하고 그의 기획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5] 류태영이 제시한 새마을운동의 기본 정신 세 가지 요소인 "근면, 자조, 협동"이란 표어는 새마을운동 본부 연수원 박물관에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로 보관되어 있다.[5]5. 새마을 운동 이후
유신정권 때 유신 국회의원으로 내정되었지만, 류태영은 정치가가 되기보다는 공부를 더 하기로 하고 이를 거절하였다. 그는 이스라엘 정부에 국비 장학생으로 대학원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하여, 이스라엘 외무부의 장학금을 받으면서 1973년 7월부터 예루살렘 히브리대학에서 농촌사회학을 전공하였다. 석사는 2년, 박사는 5년이 걸리는 과정이지만, 4년 만에 석박사 학위를 우수한 성적으로 취득하고 유대인이 아닌 사상 첫 동양인 교수로서 이스라엘 국립 벤구리온 대학에서 히브리어로 한국문화사를 가르쳤다. 1978년, 류태영은 조국의 농촌 발전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이스라엘에서의 모든 지위와 명예를 포기하고 귀국하였다.[6]
5. 1. 학자로서의 활동
귀국 후 건국대학교 전임교원으로 임용되어 학교 부설 새마을 연구소장을 겸임하였다. 1993년 2월부터 1994년 8월까지 건국대학교 부총장직을 역임하였고 2001년까지 정교수로 재직하였다.[7][6]5. 2. 농촌 청소년 육성
1993년 2월부터 1994년 8월까지 건국대학교 부총장직을 역임하였고, 2001년까지 정교수로 재직하였다. 은퇴 후 가난한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국가와 사회의 지도자로 성장시키기 위한 농촌청소년미래재단을 2002년에 설립하였다. 재단 설립에는 출판 수입과 강연료로 모은 개인 자산 4.3억원 및 후원회 모금이 사용되었다.[7]6. 학력 및 경력
연도 | 내용 |
---|---|
1964년 | 건국대학교 법률학 전공 졸업 |
1965년 | 한국성서대학교 기독교교육학 학사 |
1969년 | 덴마크 노르딕농과대 수료 |
1978년 | 히브리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및 박사 |
대통령비서실 초대 새마을담당 | |
이스라엘 네게브 벤구리온 대학교 교수 | |
건국대학교 교수, 농과대학 학장, 부총장 | |
대산농촌문화재단 이사장 | |
도산아카데미연구원 원장 | |
한국이스라엘친선협회 회장 | |
한국농촌사회학회 회장, 아시아농촌사회학회 회장 |
7. 상훈
수여일 | 훈격 | 내용 | 수여자 |
---|---|---|---|
1972년 5월 8일 | 공로휘장 | 교육 및 육성 유공 | 재향군인회 |
1980년 12월 18일 | 산업훈장 동탑상 | 대통령 | |
1985년 10월 25일 | 새마을훈장 노력장 | 대통령 | |
1988년 12월 12일 | 공로표창 | 해외홍보 | 이광표 문화공보부 장관 |
1994년 12월 17일 | 표창장 | 문화교류 유공 |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수상 |
1995년 6월 20일 | 표창장 | 사회봉사 및 한미친선 교류 유공 | Richard J.Riordan 미국 LA시장 |
1995년 6월 20일 | 표창장 | 사회봉사 유공 | Barbara Boxer 미국 상원의원 |
1995년 6월 26일 | 표창장 | 사회봉사 유공 | Richard G.Polanco 미국 상원의원 |
2001년 8월 23일 | 표창장 | 2세 교육 유공 | 이한동 국무총리 |
8. 주요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
1964 | 복음과 구국과 종교교육의 전개 |
1972 | 외국의 새마을운동 (공저) |
1979 | Cooperative Farming in Israel영어 |
1981 | 이스라엘 민족정신의 뿌리 |
1984 | 잘사는 작은나라 (공저) |
1986 | 이스라엘 국민정신과 교육 |
1986 | The Patterns of Development from Above &Below영어 |
1987 | Jewish Immigration and Agricultural Settlements in Israel영어 |
1991 | 이스라엘 그 시련과 도전 |
1995 | 천재는 없다 |
1996 | 이스라엘 농촌사회구조와 한국농촌사회 |
1999 | 이스라엘 민족의 지혜 (편저) |
2000 | 언제까지나 나는 꿈꾸는 청년이고 싶다 |
2001 | 천재를 만드는 유태인의 가정교육법 |
2002 | 지혜의 샘, 탈무드에서 배우는 자녀교육법 |
2006 | 이스라엘 바로알기 |
2007 | 꿈과 믿음이 미래를 결정한다 |
2007 | 나는 긍정을 선택한다 |
2010 | 기도 인생 |
참조
[1]
뉴스
'청와대에서 모셔간 머슴의 아들' 류태영 박사
http://news.naver.co[...]
노컷뉴스
2007-07-30
[2]
Youtube
국민성공시대 성공학 특강 "꿈을 계획하라" 류태영 박사의 성공법칙 1
https://www.youtube.[...]
EBS
2008-01-03
[3]
서적
'언제까지나 나는 꿈꾸는 청년이고 싶다' 류태영 박사 자전적 에세이
(주)제네시스21
2005-07-27
[4]
Youtube
국민성공시대 성공학 특강 "긍정을 선택하라" 류태영 박사의 성공법칙 3
https://www.youtube.[...]
EBS
2008-02-12
[5]
Youtube
국민성공시대 성공학 특강 "책임 의식을 가져라" 류태영 박사의 성공법칙 2
https://www.youtube.[...]
EBS
2008-02-11
[6]
뉴스
'인생은 70부터, 또 다른 도전에 설레는 가슴' 류태영 박사
http://photo.nocutne[...]
노컷뉴스
2007-07-26
[7]
웹사이트
재단법인 청소년미래재단 홈 페이지
http://www.youthf.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