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그베다 위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그베다 위키는 2007년 엔젤하이로 커뮤니티 내에서 시작된 위키로, 여러 차례 위키 엔진 변경 및 운영자 교체를 거쳐 리그베다 위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누구나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는 열린 위키를 표방하며, 서브컬처 관련 정보를 중심으로 다양한 내용을 다루었다. 그러나 2015년 영리화 시도와 저작권 관련 논란으로 인해 대규모 사용자 이탈이 발생했고,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나무위키가 설립되었다. 리그베다 위키는 주관적인 서술과 정보의 신뢰성 문제, 문서 이동 기능 부재 등으로 비판을 받았으며, 사회적 사건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엔하계 위키 - 나무위키
    나무위키는 서브컬처 콘텐츠를 다루던 '엔젤하이로우 위키'에서 시작되어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논란 이후 포크된, 유머러스한 어조와 자유로운 편집 정책을 특징으로 하는 대한민국 내 인기 위키 사이트이지만, 여러 문제점과 해외 운영사 위치로 인해 논란이 있다.
  • 엔하계 위키 - 리브레 위키
    리브레 위키는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에 대한 반발로 탄생한 대안 위키로, 사용자들을 위한 위키를 지향하며 위키백과와 리그베다 위키의 중간적인 성격을 가진다.
  • 한국어 웹사이트 - 다음
    다음은 1995년 설립되어 검색, 커뮤니티, 뉴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014년 카카오와 합병 후 현재는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이다.
  • 한국어 웹사이트 - 네이버
    네이버는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 및 포털 사이트로,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뉴스, 메일, 블로그,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 위키 공동체 - 오픈스트리트맵
    오픈스트리트맵(OSM)은 전 세계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세계 지도로,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ODbL)에 따라 배포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 위키 공동체 - 한국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는 2002년 10월 16일에 시작된 한국어 온라인 백과사전으로, 65만 개가 넘는 문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남북한 관련 문서에서는 북한어 표기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미지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중립성 논쟁이 있지만, 여러 포털 사이트와 연동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리그베다 위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리그베다 위키
다른 이름엔젤하이로 위키
엔하위키
언어한국어
종류위키
회원 가입선택적
현재 상태폐쇄, 접속 불가
URL
공식 웹사이트리그베다 위키
상세 정보
사용 위키PHP
라이선스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선스
개설일2007년 3월 1일
운영자함장
소유자청동
리그베다위키 주식회사
형태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
설립일2012년
산업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온라인 정보 제공업

2. 역사

2007년 초, '엔젤하이로'라는 커뮤니티 웹사이트에서 시작된 리그베다 위키는 여러 차례 위키 엔진과 운영 주체의 변경을 겪었다. 2012년 3월 9일 엔젤하이로에서 분리 독립한 이후 '리그베다 위키'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으나, '엔하위키'라는 명칭도 한동안 혼용되었다.

2013년 8월 2일에는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웹사이트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모바일 기기에서도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2014년 12월 당시 웹사이트 첫 페이지에서는 위키, 웹 게시판, 안드로이드 앱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고 안내했으며, 위키 엔진은 모니위키를 기반으로 한 muniwiki를 사용하고, CC-BY-NC-SA 2.0 대한민국 라이선스를 따른다고 명시했다. 2015년 6월에는 위키 섹션만 첫 페이지에 남았다.

2015년 4월 8일, 리그베다 위키 영리화 사태가 발생하여 위키 운영에 큰 혼란이 발생했다. 사이트 공격과 여러 문제가 겹치면서 2015년 4월 25일부터 5월 17일까지 사이트가 폐쇄되기도 했다. 사이트가 다시 열린 후에는 소유자와 등록된 사용자만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사건의 여파로 대부분의 사용자가 리그베다 위키를 떠나 나무위키로 이동하였다.

2. 1. 초기 (2007년 ~ 2012년)

2007년 초, '엔젤하이로'(Angelhalo)라는 커뮤니티 웹사이트 내에 제로보드 기반 위키로 시작했다. 2007년 3월 1일, 오위키로 변경되었고, 2008년 12월 12일 모니위키로 변경되었다.

2012년 3월 9일, 엔젤하이로 운영자 '함장'이 사용자 '청동'에게 엔하위키를 양도하면서 엔하위키와 엔젤하이로는 완전히 분리되었다. 동시에 서버를 이전하고, 도메인이 '리그베다 위키'(Rigveda Wiki)로 변경됨에 따라 공식 이름도 변경되었으나, 엔하위키라는 명칭도 통용되었다. 하지만 엔젤하이로가 다른 엔하위키를 만들고, 2013년 5월 게시판도 완전히 분리되면서, '엔하위키'란 명칭은 리그베다 위키에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단, 엔하위키 미러는 이름을 바꾸지 않아, 엔하위키라는 명칭이 혼용되고 있다.

2. 2. 리그베다 위키로의 변화 (2012년 ~ 2015년)

2012년 3월 9일, 엔젤하이로 운영자 '함장'이 사용자 '청동'에게 엔하위키를 양도하면서 엔젤하이로와 완전히 분리되었다. 분리와 동시에 서버를 이전하면서 도메인이 '리그베다 위키'로 바뀌었고, 공식 명칭도 '리그베다 위키'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엔하위키'라는 명칭도 통용되었다.[3]

그러나 엔젤하이로가 또 다른 엔하위키를 만들고, 2013년 5월에는 게시판도 완전히 분리되면서, 리그베다 위키에서는 더 이상 '엔하위키'란 명칭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다만, 엔하위키 미러는 이름을 바꾸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엔하위키'라는 명칭이 혼용되고 있다.

2. 3. 운영 중단 및 나무위키 설립 (2015년)

2015년 4월 8일, 리그베다 위키 영리화 사태로 인해 리그베다 위키의 정상적인 열람과 편집이 불가능해졌고, 서버 공격까지 겹쳐 2015년 4월 25일 서버가 다운되면서 운영이 중단되었다.[3]

2015년 4월 17일, 리그베다 위키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나무위키가 설립되었다. 이후 거의 모든 사용자가 리그베다 위키를 떠나 나무위키로 이동했는데, 이는 위키 역사상 가장 큰 포크 중 하나로 꼽힌다.

3. 특징

리그베다 위키는 누구나 편집할 수 있는 열린 위키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위키백과에 비해 자유로운 편집이 가능하다. 편집자 개인의 주관적인 서술도 허용되며,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방송, 철도 등 서브컬처 관련 항목의 비중이 높다. 언론에 공지된 인물을 제외하고는 명예훼손이나 분란의 소지가 있는 인물에 대한 문서는 관리자 권한으로 삭제 및 수정, 작성 금지될 수 있다.[12]

3. 1. 개방성과 자유로운 편집

누구나 편집할 수 있는 열린 위키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리그베다 위키는 공신력 있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백과사전을 지향하고 있지도 않다. 위키백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글 작성이 가능하며 편집자 개인의 주관적 서술이 가능해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방송, 철도 등 하위 문화 관련 항목의 비중이 높다.[11] 문서의 내용에 관한 문의 및 토론은 토론용 단일 게시판인 '리그베다 위키 게시판'을 이용한다.[11]

등록된 사용자 및 비등록 사용자(IP 주소로 기록) 모두 기여할 수 있으며, 정책은 위키백과보다 더 관대하며 개인적인 의견도 허용한다.[4] 그 결과,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대중 문화 주제에 대한 많은 문서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문서와 관련된 주제에 대해 논의하고 질문하며 답변하는 게시판을 운영한다.[5]

리그베다 위키는 취소선 또는 삭제선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텍스트 중간에 있는 줄로, '속삭임'을 의미하거나, 어떤 사람이 말하고 싶지만 가시성을 높이고 싶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6]

또한, 언론에 공지된 인물을 제외하고는 기타 특정 인물의 명예훼손과 분란을 일으키려는 위험 인물에 대해선 상대방이 관리자에게 이메일로 요청할 경우 관리자 권한으로 문서 삭제 및 수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문서 작성의 금지(작성금지)를 설정할 수 있다.[12]

3. 2. 서브컬처 중심 콘텐츠

위키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위키백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글 작성이 가능하며 편집자 개인의 주관적 서술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방송, 철도 등 서브컬처 관련 항목의 비중이 높다.[11] 문서 내용에 관한 문의 및 토론은 토론용 단일 게시판인 '리그베다 위키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진다.[11]

3. 3. 취소선 기능

리그베다 위키는 취소선 또는 삭제선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텍스트 중간에 있는 줄로, '속삭임'을 의미하거나, 어떤 사람이 말하고 싶지만 가시성을 높이고 싶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6]

4. 비판

한국어 위키백과와는 다르게 중립적 관점을 지향하지 않고 주관적인 요소가 매우 강하다는 지적이 있다. 전문성과 근거가 없는 추측, 개인적인 주장, 뜬소문 등을 분쟁이 될 만한 내용이 아닌 이상 어느 정도 선에서 허용하고 있어 부정확한 내용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사실 확인이 매우 어렵다.[13]

엔하위키는 '자기소개'에서 스스로를 오타쿠 관련 정보와 하찮고 쓸데없는 것으로 가득 찬 공간이라고 정의하여 '쓸데없는 곳'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하위 문화 정보는 그나마 신뢰할 만하지만, 유용한 정보는 출처 표기가 강제되지 않아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다른 곳과의 검증이 필요하다. 출처 표기도 디시인사이드루리웹 등 개인적인 주관이 강한 커뮤니티 사이트가 대부분이다.[14]

리그베다 위키는 한동안 위키 문서 제목을 변경하는 문서 이동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아, 문서 제목을 바꾸려면 기존 문서 내용을 복사하여 새 제목으로 옮겨야 했다. 이 때문에 특정인이 해당 문서를 전부 기여한 것처럼 보여 CCL 저작자 표시를 침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4. 1. 주관성과 정보의 신뢰성 문제

한국어 위키백과와는 다르게 중립적 관점을 지향하지 않고 주관적인 요소가 매우 강하다는 지적이 있다. 전문성과 근거가 없는 추측, 개인적인 주장, 뜬소문 등 주관적인 요소들을 분쟁이 될 만한 내용이 아닌 이상 어느 정도 선에서 허용하고 있어 부정확한 내용들도 포함되기 때문에 사실 확인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정확하지 않은 사실들이 너무 많이 올라와 모든 사실을 다 믿으면 안 된다는 의견이 나올 정도다.[13] 신문고성 글이나 문서에 대해선 공식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있지만, 실제로는 신문고성 글이나 문서가 자주 올라온다.

하위 문화와 관련된 정보들만 그나마 신뢰할 만할 뿐, 유용할 듯한 정보는 출처 표기가 강제되지 않아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다른 곳과의 검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출처 표기도 디시인사이드루리웹 등 개인적인 주관이 강한 커뮤니티 사이트 등이 대부분이다. 리그베다 위키에 시간을 과다하게 보내는 사람들을 백수를 뜻하는 NEET를 합쳐 위키니트라고 부르기도 하며, 순수한 하위 문화적 요소들로 이루어져 아무런 목적도 가지고 있지 않을 뿐더러 출처도 없고 부정확하거나 글쓴이의 주관이 강하게 들어간 경우가 많아 비판을 받고 있다.[14]

4. 2. '쓸데없는 곳'이라는 비판

한국어 위키백과와는 다르게 리그베다 위키는 주관적인 요소가 매우 강하다는 지적이 있다. 전문성과 근거가 없는 추측, 개인적인 주장, 뜬소문 등 주관적인 요소들을 분쟁이 될 만한 내용이 아닌 한 어느 정도 선에서 허용하고 있어 부정확한 내용들도 포함되기 때문에 사실 확인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정확하지 않은 사실들이 너무 많이 올라와 모든 사실을 다 믿으면 안 된다는 의견이 나올 정도다.[13] 신문고성의 글이나 문서에 대해선 공식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있지만, 실제로는 신문고성 글이나 문서가 자주 올라온다.

엔하위키는 '자기소개'에서 스스로를 오타쿠 관련 정보와 하찮고 쓸데없는 것으로 가득 찬 공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 것처럼 '쓸데없는 곳'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그것은 하위 문화와 관련된 정보들만 그나마 신뢰할 만할 뿐, 유용할 듯한 정보는 출처 표기가 강제되지 않아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다른 곳과의 검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출처 표기도 디시인사이드루리웹 등 개인적인 주관이 강한 커뮤니티 사이트 등이 대부분이다. 엔하위키에 시간을 과다하게 보내는 사람들을 엔하위키에 백수를 뜻하는 NEET를 합쳐 위키니트라고 부르기도 하며, 순수한 하위 문화적 요소들로 이루어져 아무런 목적도 가지고 있지 않을 뿐더러 출처도 없고 부정확하거나 글쓴이의 주관이 강하게 들어간 경우가 많아 비판을 받고 있다.[14]

4. 3. 문서 이동 기능 부재

리그베다 위키에서는 한동안 위키 문서의 제목을 변경할 수 있는 문서 이동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문서 제목을 바꾸려면 기존 문서 내용을 복사하여 새 제목으로 옮겨야 했다. 이 때문에 해당 문서를 특정인이 전부 기여한 것처럼 보여 CCL 저작자 표시를 침해하는 등 문제가 많았다.[13]

5. 사유화 논란

2015년, 리그베다 위키는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사유화 논란은 리그베다 위키의 존립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었다. 이 논란은 저작권 침해 문제, 영리화 논란, 엔하위키 미러와의 소송 등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5. 1. 저작권 침해 논란

2015년 3월 8일, 리그베다 위키 사용자 'Egoiswerk'가 영어 위키백과네버랜드 문서를 무단으로 도용하고 번역하여 리그베다 위키에 게재한 사실이 밝혀졌다.[15] 이와 더불어 다른 위키백과 문서들도 리그베다 위키에 거의 동일하게 복제되었고, 위키미디어 공용의 사진 다수가 저작권 표기 없이 복사되어 사용된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리그베다 위키가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의 저작물을 도용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한국어 위키백과 사용자들은 해당 항목의 즉각적인 수정을 요구했다.[16]

리그베다 위키 운영진은 우선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가져온 사진에 저작권자와 관련 라이선스 표기를 추가했다. 그리고 2015년 4월 4일, 경기도 성남시 서현역 인근에서 오프라인 간담회를 열어 리그베다 위키 및 한국어 위키백과 사용자들의 의견을 들었다.[17] 이 모임에는 리그베다 위키 외부 담당자 '사채꾼'이 관리자 '청동'을 대신하여 참석했다.

5. 2. 영리화 논란

2015년 4월 8일, 리그베다 위키의 외부 담당자였던 '사채꾼'이 트위터에서의 불미스러운 사건과 함께 리그베다 위키의 영리 운영 실태를 폭로했다.[18] 그는 리그베다 위키가 엔하위키 미러에 20여 가지 이유로 소송 중이며, 수익 또한 엔하위키 미러보다 훨씬 적다고 주장했다.[18] 그러나 이 과정에서 리그베다 위키가 엔하위키 미러보다 더 많은 광고를 통해 이익을 얻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일부 사용자들은 관리자 청동에게 사업자등록번호와 약관 공개를 요구했다. 이에 청동은 2012년에 '리그베다위키'라는 이름으로 사업자등록을 했다고 밝혔다.

또한, 리그베다 위키의 약관이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사이트 복제를 통해 발견된 약관 조항에 따르면, 리그베다 위키의 모든 저작물은 누구나 작성할 수 있지만, 그 저작물은 리그베다 위키의 소유이며, 작성과 동시에 위키에 귀속되어 사용자들이 함부로 이용할 수 없다는 독소조항이 알려지면서 큰 비난을 받았다. 일부 사용자들은 기여 취소, 기여 삭제, 탈퇴 등으로 리그베다 위키에 대한 기여를 중단했고, 미래창조과학부와 공정거래위원회에 해당 사건이 접수되었다. 청동은 4월 15일에 법무법인과 협의한 자문서를 공개한다고 했으나, 늦게 공개된 자문서 역시 부실하고, 법무법인의 공증이 누락되었으며, 약관 조항도 크게 달라지지 않아 비판을 받았다.[19]

2015년 4월 20일, '공감 버전업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알리는 글에서 약관 개정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으나, 저작권이나 상업화에 대한 언급은 없어 논란이 되었다.[20]

5. 3. 엔하위키 미러 소송

2015년 5월 28일, 법원은 엔하위키 미러가 리그베다 위키의 이전 명칭인 "엔하위키"를 그대로 사용하고, 독자적인 내용 없이 리그베다 위키의 콘텐츠를 그대로 복사하여 게시한 것을 부정경쟁행위로 판단했다.[21] 그러나 법원은 리그베다 위키 콘텐츠의 저작권은 콘텐츠를 작성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게 있으며, 리그베다 위키 약관의 저작권 양도 조항은 사용자에게 대가를 지급하지 않았으므로 무효라고 판결했다.[21]

2015년 6월 7일, 리그베다 위키 측은 [http://new.wikibbs.net/notice/13415 해명문]을 게시했다.

6. 사회적 기억 보존

리그베다 위키는 사회적 기억을 보존하는 역할도 한다. 일례로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는 일부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잊을 수 없는 사건으로 여겨졌다. 리그베다 위키는 사람들이 이 사건에 대한 생각을 기록하는 웹사이트 중 하나였으며, 사건 발생 후 일주일 동안 위키 관련 문서에 34,000단어가 추가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Origin of Rigveda Wiki_6-1 http://rigvedawiki.n[...]
[2] 웹사이트 Angelhalo wiki http://rigvedawiki.n[...]
[3] 웹사이트 Rigveda Wiki_Including History_6-1 http://rigvedawiki.n[...]
[4] 웹사이트 리그베다 위키 기본 방침_Main Policy of Rigveda Wiki https://web.archive.[...] 2014-05-19
[5] 뉴스 SNS 유언비어 확산 통로? 순기능도 여전하다 http://www.mt.co.kr/[...] 2014-04-21
[6] 웹사이트 Rigveda Wiki Strikethrough / 취소선 http://rigvedawiki.n[...]
[7] 뉴스 엔하위키와 가장 완전한 의미의 하위문화 http://www.mediaus.c[...] 2013-06-28
[8] 웹사이트 <세월호참사> '잊지말자' 민간차원 기록 보존 박차 http://news.naver.co[...]
[9] 뉴스 SNSはデマ拡散経路?新機能も相変わらず(モニトゥデイニュース 2014-04-21) http://www.mt.co.kr/[...]
[10] 문서 リグヴェーダウィキ 基本方針 http://www.rigvedawi[...]
[11] 웹인용 SNS 유언비어 확산 통로? 순기능도 여전하다 머니투데이뉴스 2014-04-21 http://www.mt.co.kr/[...] 2014-05-17
[12] 문서 리그베다 위키 기본방침 http://www.rigvedawi[...]
[13] 뉴스 엔젤 하이로 위키 "소녀시대= 본격 아이돌 최종병기"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2-01-16
[14] 뉴스 엔하위키와 가장 완전한 의미의 하위문화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13-06-28
[15] 문서 위키 게시판 - [네버랜드] 항목 초안 https://archive.toda[...] 2015-03-08
[16] 문서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5년 제11주#네버랜드
[17] 문서 위키 게시판 - 오프라인에서 의견을 듣는 자리를 엽니다. https://archive.toda[...] 2015-03-22
[18] 문서 위키 게시판 - 오프라인 피드백 모임 및 리그베다 위키의 "속살"을 공개합니다. https://archive.toda[...] 2015-04-08
[19] 문서 위키 게시판 - 공개하기로 한 자문서 내용 및 리그베다 위키의 공개입장 https://archive.toda[...] 2015-04-15
[20] 문서 위키 게시판 - 〈공감버전업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 대한 안내말씀을 드립니다 https://archive.toda[...] 2015-04-21
[21] 웹인용 법원 “무단 사이트 미러링은 위법”…임의 데이터 수집에 경종 http://www.ddaily.co[...] 2015-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