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현역은 1994년 9월 분당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AK플라자 분당점 내에 위치하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하역이다. 2013년부터 급행열차가 정차하며, 2023년 8월 AK플라자에서 칼부림 사건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남시의 전철역 - 산성역
산성역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지하철역으로, 1996년 남한산성역으로 개통되어 1998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수도권 전철 중 가장 깊은 역이며, 주변에 교육 및 주거 시설과 남한산성이 있다. - 성남시의 전철역 - 수내역
수내역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전철역으로, 1994년 초림역으로 개통되어 2002년 역명 변경을 거쳤으며, 롯데백화점과 연결되고 주변에 상업 및 교육 시설이 위치한다. - 1994년 개업한 철도역 - 과천역
과천역은 1994년 과천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7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철역으로 과천시 주거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공원역과 정부과천청사역과 인접해 있다. - 1994년 개업한 철도역 - 도원역
도원역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역으로, 1994년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교육, 체육 시설과 편의시설이 위치해 있고, 완행 열차는 모든 승강장에, 급행 및 특급 열차는 일부 승강장에 정차한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서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서현 (페퍼저축은행) |
모국어 표기 | 서현(페퍼저축은행) |
한자 표기 | 書峴驛 |
로마자 표기 | Seohyeon (Pepper Savings Bank) |
부역명 | 페퍼저축은행 |
역 번호 | K228 |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지하 601 (서현동 263) |
![]() | |
![]() |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KORAIL) |
노선 | 수인·분당선 |
역 종류 | 배치간이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형태 | 2면 2선 지하역 |
플랫폼 | 2개 |
선로 | 2개 |
연혁 | |
개업일 | 1994년 9월 1일 |
통계 | |
2019년 승차 인원 | 28,264명 |
2019년 승강 인원 | 57,080명 |
노선 정보 | |
노선 | 수인·분당선 |
영업 거리 | 청량리 기점 28.6 km |
이전 역 | K227 이매 |
이전 역 간 거리 | 1.4 km |
다음 역 | K229 수내 |
다음 역 간 거리 | 1.1 km |
2. 역사
- 1994년 9월 1일 : 분당선 수서 - 오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1]
- 2005년 1월 1일 : 한국철도청이 한국철도공사로 개칭.
- 2006년 7월 : 그룹대표역 지정
- 2010년 : 스크린도어 설치[1]
- 2012년 : 관리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 관리업무를 죽전역으로 이양[1]
- 2012년 9월 18일 :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26.2km로 변경[5]
- 2013년 11월 30일 : 급행 운행 개시와 함께 급행 정차역이 됨.
- 2015년 : 승강장과 대합실 전광판을 LCD로 교체
- 2017년 2월 일시불명: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3. 역 구조
AK플라자 분당점(구 삼성플라자) 안에 역사가 있어, 다른 지하철역과는 달리 역에서 바로 바깥으로 나가는 출구가 없다. 그래서 AK플라자를 꼭 거쳐야 한다. AK플라자는 영업이 끝난 뒤에도 철도 이용객을 위해 지상 2층 버스 정류장까지 백화점을 항상 열어둔다.
판교역처럼 역이 큰길가에 있지 않아, 연결되는 시내버스를 탈 때 조심해야 한다. 서울 방면 직행좌석버스와 광역버스를 타려면 서현로의 이매사거리나 이매촌한신아파트 쪽으로 나가야 하고, 정류장 이름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개찰구는 이매역 쪽과 야탑역 쪽 두 곳에 있다. 승강장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는 이매역 쪽 개찰구 안에 있다. 매표소는 AK플라자 식품 매장 연결 통로 가까이에 있고, 화장실은 1번 출구 가까이에 있다.
출구는 5번까지 있지만, 모두 역 바로 위에 있는 AK플라자 분당점 안에 있다. 게다가 AK플라자 분당점의 출구 번호가 역의 출구 번호와 달라서 이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3.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2. 특징
서현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AK플라자 분당점(구 삼성플라자) 내에 역사가 있어, 다른 지하철역과는 달리 역 내에서 바로 외부로 나가는 출구가 없다. 따라서 반드시 AK플라자를 거쳐야 한다. 이 때문에 AK플라자는 영업 종료 후에도 철도 이용객을 위해 지상 2층 버스 정류장까지 백화점을 상시 개방한다.판교역처럼 대로변에 역이 없어, 연계되는 시내버스를 이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서울 방면 직행좌석버스 및 광역버스를 타려면 서현로의 이매사거리나 이매촌한신아파트 방면으로 나가야 하며, 정류장명을 숙지해야 한다.
개찰구는 이매역 측과 야탑역 측 2곳에 있다. 승강장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는 이매역 측 개찰구 내에 설치되어 있다. 매표소는 AK플라자 식품 매장 연결구 부근에 있으며, 화장실은 1번 출구 부근에 있다.
출구는 5번까지 있으나, 모두 역 바로 위에 있는 AK플라자 분당점 내에 있다. AK플라자 분당점의 출구 번호가 역의 출구 번호와 달라 이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역 출구가 모두 AK플라자 분당점 내에 있어, AK플라자 분당점 폐점 후에도 1층과 2층 버스 정류장 방면 길은 상시 개방되어 있다.
4. 역 주변
AK플라자 분당점(구 삼성플라자) 내에 역사가 있다. 모든 지하철역과는 달리 역 내에서 바로 외부와 통하는 출구가 없기 때문에, 반드시 AK플라자를 거쳐야 한다. 이 때문에 AK플라자는 당일 영업 종료 후에도 철도 이용객들을 위하여 지상 2층 버스 정류장까지 백화점을 상시 개방한다.[3]
판교역처럼 역이 대로변에 있지 않기 때문에, 연계되는 시내버스를 이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서울 방면 직행좌석버스 및 광역버스를 타려면 서현로의 이매사거리나 이매촌한신아파트 방면으로 나가야 하며, 반드시 정류장명을 숙지해야 한다.[4]
5. 사건사고
2023년 8월 3일 AK플라자에서 서현역 칼부림 사건이 발생하여 14명이 부상을 당하고 2명이 사망했다.[6]
6. 이용객 변동
분당선한국어 서현역의 연도별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7]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분당선한국어 | 승차 | 3,942 | 20,091 | 24,011 | 26,534 | 20,423 | 19,912 | 19,701 | 19,780 | 20,978 | 21,261 | ||||
하차 | 7,587 | 18,491 | 22,334 | 26,482 | 21,083 | 21,249 | 21,160 | 21,028 | 22,392 | 22,633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분당선한국어 | 승차 | 22,736 | 23,302 | 24,278 | 25,889 | 26,449 | 26,439 | 26,388 | 27,083 | 27,964 | 28,264 | 19,922 | 20,241 | 22,457 | 23,146 |
하차 | 24,047 | 24,502 | 25,326 | 27,013 | 27,348 | 27,268 | 27,256 | 27,768 | 28,540 | 28,816 | 20,351 | 20,570 | 22,826 | 23,572 |
7. 인접한 역
급행·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