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디야 루슬라노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디야 루슬라노바는 러시아의 가수이다. 1900년에 태어나 어린 시절 부모를 잃고 고아원에서 성장했으며, 지역 합창단에서 노래를 시작하여 재능을 보였다. 가수로 데뷔하여 러시아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인들을 위한 공연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발렌키', '카츄샤' 등의 노래를 불렀다. 그러나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와의 친분으로 인해 남편이 체포된 후 투옥되어 10년간 복역했다. 석방 후 다시 가수로 활동하다가 1973년 사망했으며, 금성의 크레이터 루슬라노바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여자 가수 - 알라 푸가초바
    알라 푸가초바는 1965년 데뷔하여 2억 5천만 장의 레코드를 판매한 러시아의 가수이며, 소련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았고, 1997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러시아 대표로 참가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 소련의 여자 가수 - 할리마 노시로바
    할리마 노시로바는 우즈베키스탄의 오페라 가수이자 배우, 교육자로 나보이 극장 독창자, 콘서트 가수, 타슈켄트 음악원 교육자, 소련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으로 활동하며 우즈베크 민족 오페라 발전에 기여하고 다양한 훈장을 받았다.
  • 러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은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볼셰비키 혁명에 기여하여 소련의 국가 원수를 역임했으며, 스탈린 시대에는 명목상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다 사망 후 국장으로 예우받았다.
  • 러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니콜라이 바투틴
    니콜라이 바투틴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군의 지휘관으로, 주요 전투에서 기동전 능력과 전술적 감각을 보였으나, 공격적인 작전 스타일과 정치적 의혹으로 인해 사후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이다.
  • 1973년 사망 - 여운홍
    여운홍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과도입법의원과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친일 행적 의혹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정치인이다.
  • 1973년 사망 - 린든 B. 존슨
    린든 B. 존슨은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후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위대한 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개혁을 추진하고 시민권법과 투표권법을 통과시켰으나, 베트남 전쟁 개입으로 비판을 받으며 정치적 유산에 영향을 받았다.
리디야 루슬라노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프라스코비야 안드리아노브나 레이키나-고르셰니나
출생일1900년 10월 27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사라토프 현 세르돕스키 군 체르나프카 마을
사망일1973년 9월 21일
사망지소련 모스크바
국적소련
직업가수
장르러시아 민요
악기보컬
활동 기간해당 정보 없음
레이블멜로디야
커리어
기타 경력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공훈 예술가

2. 생애

리디야 루슬라노바는 사라토프 근처 체르나프카 마을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세례명은 ''프라스코비야 안드리아노브나 레이키나-고르셰니나''(Прасковья Андриановна Ле́йкина-Горшенина|프라스코비야 안드리아노브나 레이키나-고르셰니나ru)였다.[2] 16세에 첫 콘서트를 열었고, 러시아 내전 당시 러시아 군인들을 위해 노래하다 1923년 로스토프나도누에서 전문 가수로 데뷔했다.[5] 1929년 체카 관계자와 함께 살았고, 이후 블라디미르 크류코프와 재혼했다.[8]

1930년대에 큰 인기를 얻어,[8] 1933년 음악, 버라이어티, 서커스 기업의 국가 협회 예술가가 된 후 10년 동안 러시아 전역에서 공연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선을 순회하며 애국적인 노래로 군인들의 용기를 북돋았고,[9] 베를린 전투 당시에는 불타는 국회의사당 문 앞에서 공연했다.[10]

소련에서 가장 부유한 여성 중 한 명으로, 1942년 붉은 군대에 카츄샤 포대 2대 건설 자금을 지원했고,[5] 같은 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명예 예술가가 되었다.[1] 그러나 소련 당국은 그녀를 잠재적 위협으로 간주했고, 1948년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와의 연관성 때문에 남편 블라디미르 크류코프 중장이 체포된 후, 2년 뒤 루슬라노바도 체포되었다. 남편의 반역 혐의에 대한 허위 자백을 강요받았으나 거부하여 10년 노동 수용소형을 선고받았다.[5] 굴라크 수감 중에도 스타가 되어 블라디미르스키 센트랄의 감방으로 옮겨졌다.

요시프 스탈린 사후 1953년 8월 4일에 석방되었으나, 수척해지고 머리가 희끗희끗해졌으며 걷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럼에도 거의 즉시 노래를 다시 불렀고, 수감 생활은 수십 년 동안 언론에 언급되지 않았다.[11] 레오니드 우티요소프, 마르크 베르네스, 클라브디야 슐젠코와 함께 첫 번째 전소비에트 소비에트 노래 축제를 주재했으며, 1973년 72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노래를 불렀다.[5] 금성의 크레이터 중 루슬라노바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초기 활동

그녀는 사라토프 근처 체르나프카 마을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Прасковья Андриановна Ле́йкина-Горшенина|프라스코비야 안드리아노브나 레이키나-고르셰니나ru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2] 어머니는 에르자 출신이었다.[3] 다섯 살 때, 러일 전쟁으로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마저 병으로 세상을 떠나 고아가 되었다.[4] 그 결과,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고아원에서 보냈다. 그녀는 지역 교구 어린이 합창단에 가입하여 노래를 시작했고, 곧 독창자가 되었다.[5][3]

삼촌의 소개로 가구 공장에서 일하던 중, 공장 주인의 눈에 띄어 사라토프 음악원에서 공부하도록 추천받았으나 학문적인 공부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6][1]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병원 열차에서 간호병으로 일하며 부상병들을 위해 노래를 불렀고, 이 시기에 비탈리 스테파노프를 만나 1917년 5월에 아들을 낳았으나, 1년 후 헤어졌다.[6] 사라토프의 한 자료에 따르면, 그녀는 나중에 러시아 내전에서 전사한 다른 남자와 재혼하여 그의 성을 따랐다고 알려져 있다.[7]

2. 2. 가수로서의 성공과 시련

루슬라노바는 1923년 로스토프나도누에서 전문 가수로 데뷔했으며,[5] 독특한 목소리와 음색으로 유명했다.[1] 1930년대에 큰 인기를 얻었고,[8] 1933년 음악, 버라이어티, 서커스 기업의 국가 협회 예술가가 되어 이후 10년 동안 러시아 전역에서 공연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선을 끊임없이 순회하며 군인들의 용기를 북돋았다.[9] 대표곡으로는 ''발렌키''와 ''카츄샤''가 있으며,[10] 베를린 전투 당시에는 불타는 국회의사당 문 앞에서 공연하기도 했다.[10]

루슬라노바는 소련에서 가장 부유한 여성 중 한 명으로, 1942년 붉은 군대에 헌납한 카츄샤 포대 2대 건설 자금을 지원했다.[5] 같은 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명예 예술가로 임명되었다.[1]

그러나 거친 매너와 언어로 군인들에게는 호응을 얻었지만, 소련 당국에는 잠재적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1948년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와의 친분으로 남편 블라디미르 크류코프 중장이 체포되었고, 2년 뒤 루슬라노바도 체포되었다.[5] 남편의 반역 혐의에 대한 허위 자백을 강요받았으나 거부하여 10년 노동 수용소형을 선고받았다.[5]

2. 3. 복권과 말년

요시프 스탈린 사후 1953년 8월 4일에 석방되었는데, 수척해지고 머리가 희끗희끗해졌으며 걷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거의 즉시 노래를 다시 불렀다. 그녀의 수감 생활은 수십 년 동안 언론에 언급되지 않았다.[11] 상과 칭호는 그녀에게 주어지지 않았지만, 루슬라노바는 레오니드 우티요소프, 마르크 베르네스, 클라브디야 슐젠코와 함께 첫 번째 전소비에트 소비에트 노래 축제를 주재했다. 그녀는 1973년 72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계속 노래를 불렀다.[5]

3. 대표곡 및 음반

리디야 루슬라노바를 기리는 러시아 우표, 1999년, 2 루블 (Michel 759, Scott 6545)


루슬라노바의 대표곡으로는 발렌키, 카츄샤가 있다.[10]

  • 1996: Поёт Лидия Русланова|포요트 리디야 루슬라노바ru (리디야 루슬라노바가 노래하다)[27]
  • 2000: Царица Русской песни|차리차 루스카이 페스니ru (러시아 노래의 여왕)[28]
  • 2001: Великие исполнители России XX века|벨리키예 이스폴니텔리 라시 XX 베카ru (20세기 러시아의 위대한 연주자)
  • 2002: Русские народные песни|루스키에 나로드니예 페스니ru (러시아 민요)[29]
  • 2007: Имена на все времена|이메나 나 프세 브레메나ru (영원한 이름들)[30]

3. 1. 대표곡

루슬라노바의 대표곡으로는 ''발렌키''와 ''카츄샤''가 있다.[10]

3. 2. 음반 목록


  • 1996: Поёт Лидия Русланова|포요트 리디야 루슬라노바ru (리디야 루슬라노바가 노래하다)[27]
  • 2000: Царица Русской песни|차리차 루스카이 페스니ru (러시아 노래의 여왕)[28]
  • 2001: Великие исполнители России XX века|벨리키예 이스폴니텔리 라시 XX 베카ru (20세기 러시아의 위대한 연주자)
  • 2002: Русские народные песни|루스키에 나로드니예 페스니ru (러시아 민요)[29]
  • 2007: Имена на все времена|이메나 나 프세 브레메나ru (영원한 이름들)[30]


4. 평가 및 유산

루슬라노바는 특유의 목소리와 음색으로 유명했으며, 여성 솔리스트가 축제에서 공연하는 옛 전통을 부활시켰다.[1] 1930년대에 큰 인기를 얻었으며,[8]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애국적인 노래로 군인들의 용기를 북돋았다.[9] 베를린 전투 당시에는 불타는 국회의사당 문 앞에서 공연하기도 했다.[10]

소련 러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여성 중 한 명이었으며, 1942년에는 붉은 군대에 카츄샤 포대 2개 건설 자금을 지원했다.[5] 같은 해에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명예 예술가가 되었다.[1]

레오니드 우티요소프, 마르크 베르네스, 클라브디야 슐젠코와 함께 첫 번째 전소비에트 소비에트 노래 축제를 주재했다.[5] 금성의 크레이터 중 하나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루슬라노바로 명명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uslanova Lidia singer :: people :: Russia-InfoCentre http://www.russia-ic[...] Russia-InfoCentre 2008-10-16
[2] 서적 Songs for Fat People McGill-Queen's Press
[3] 웹사이트 Девушка пела в церковном хоре http://www.molva33.r[...] Молва 2009-02-23
[4] 문서 MacFadyen, pp.201-202
[5] 웹사이트 Katiusha is 70 years old http://www.cubanow.n[...] Cubanow.net 2008-10-16
[6] 문서 MacFadyen, p.202
[7] 문서 MacFadyen, pp.202–3
[8] 문서 MacFadyen, p.203
[9] 문서 MacFadyen, p.204
[10] 웹사이트 Она пела на ступенях Рейхстага http://world.lib.ru/[...] 2009-02-23
[11] 문서 MacFadyen, p.208
[12] 웹사이트 альбом "Поёт Лидия Русланова" http://www.bgshop.ru[...] 2009-02-25
[13] 웹사이트 альбом «Царица русской песни http://www.rstfond.r[...] 2009-02-25
[14] 웹사이트 Поёт Лидия Русланова. Русские народные песни. Записи 1930-40-х годов http://blagoslovenie[...] 2009-02-25
[15] 웹사이트 Имена на все времена. Лидия Русланова (mp3) http://www.ozon.ru/c[...]
[16] 간행물 Лидия Русланова. Душа-певица. Молодая гвардия 2014
[17] 웹사이트 Маргарита Крюкова: Мифы и правда о моей маме Лидии Руслановой https://7days.ru/sta[...] 2022-08-22
[18] 문서 最も一般的な説による。ペンザの郷土史家たちのデータによると、リディヤ・ルスラノヴァの出生地はサラトフ県ペトロフスキー郡ダニロフカ村(現在のペンザ州ロパチンスキー地区)。3つ目の説によると彼女の出生地はサラトフ県ペトロフスキー郡アレクサンドロフカ村(現在のペンザ州マロセルドビンスキー地区)。
[19] 백과사전 РУСЛАНОВА https://bigenc.ru/mu[...]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издательство)
[20] 웹사이트 Русланова потрясла Шаляпина и всю Россию http://www.chelpress[...] «Городской дилижанс» 2000-10-26
[21] 웹사이트 Генералиссимус русской песни http://vecherka.su/k[...] Вечерний Челябинск 2006-10-27
[22] 웹사이트 Лидия Русланова и саратовский певческий стиль http://www.astrasong[...]
[23] 웹인용 Ruslanova Lidia singer :: people :: Russia-InfoCentre http://www.russia-ic[...] Russia-InfoCentre 2008-10-16
[24] 문서 MacFadyen, p.202
[25] 웹인용 Katiusha is 70 years old http://www.cubanow.n[...] Cubanow.net 2008-10-16
[26] 문서 MacFadyen, p.203
[27] 웹인용 альбом "Поёт Лидия Русланова" http://www.bgshop.ru[...] 2009-02-25
[28] 웹인용 альбом «Царица русской песни http://www.rstfond.r[...] 2009-02-25
[29] 웹인용 Поёт Лидия Русланова. Русские народные песни. Записи 1930-40-х годов http://blagoslovenie[...] 2009-02-25
[30] 웹인용 Имена на все времена. Лидия Русланова (mp3) http://www.ozon.ru/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