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마이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마이사우루스(Limaysaurus)는 백악기 전기에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된 용각류 공룡의 한 속이다. 1995년 처음 레바키사우루스 속에 분류되었다가 2004년 별도의 속으로 명명되었다. 중형 크기의 용각류로, 15미터 길이에 7톤 정도로 추정되며, 목과 꼬리가 짧고 등쪽 신경돌기가 높이 솟아 있는 특징을 갖는다. 레바키사우루스과에 속하며,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의 공룡들과 계통학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고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2. 발견

호르헤 칼보와 레오나르도 살가도는 1995년에 리마이사우루스 테소네이(*Limaysaurus tessonei*)를 처음 기술하면서, 아프리카 종인 레바키사우루스 테소네이(*Rebbachisaurus tessonei*)로 분류했다.[1] 2004년 살가도, 알베르토 가리도, 세르지오 코카, 후안 코카는 별도의 속으로 분리할 것을 제안했고, 리마이사우루스(*Limaysaurus*)라는 속명이 부여되었다. 속명은 화석 발견 지역 근처의 리마이 강(Río Limay)에서 유래되었으며, 종명 테소네이(*tessonei*)는 최초이자 가장 완벽한 모식표본을 발견한 리에토 테소네(Lieto Tessone)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1]

모식 표본 MUCPv-205는 두개골 뒷부분을 포함한 부분 골격으로, 1988년 리에토 프란시스코 테소네가 발견했다. 이후 호세 보나파르테가 두 번째 골격인 MUCPv-206을 수집했다. 이 두 표본은 초기 세노마늄절에 해당하는 칸델레로스 지층 상부에서 발견되었다. 추가 표본 MUCPv-153은 인근 후인쿨 지층 기저부(후기 세노마늄절)에서 발견되었다.[1]

리마이사우루스(*Limaysaurus*)는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피쿤 레우푸 부서의 빌라 엘 초콘에서 남서쪽으로 15k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다.[1] 발견된 퇴적물은 로한 쿠라 지층의 리마이 강 소그룹에 속하며, 압트절-알비절에 해당한다.[7]

3. 특징

리마이사우루스는 중형 용각류로, 그레고리 S. 폴은 2010년에 이 공룡의 길이를 15m, 무게를 7톤으로 추정했다.[4] 등쪽 신경돌기가 매우 높고, 목 및 등뼈의 신경돌기는 'V'자형이 아닌 'I'자형으로 단순하고 곧은 형태였다.[5] 이빨은 디플로도쿠스와 달리 굽어 있었다.[4] 위석이 발견되어 식물의 소화를 도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공룡은 넓고 얕은 석호가 있는 평원으로 특징지어지는 서식지를 ''안데사우루스'' 및 ''기가노토사우루스''와 공유했다. 기후는 온화하고 습했다.

3. 1. 형태

리마이사우루스는 레바키사우루스라이오소사우루스와 함께 레바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공룡으로 이들과 비슷한 점이 많지만, 크기가 작고 목과 꼬리가 짧아 육식공룡의 쉬운 사냥감이었다.

세 개의 알려진 표본의 골격 재구성


''리마이사우루스''는 중형 크기의 용각류였다. 그레고리 S. 폴은 2010년에 이 공룡의 길이를 15m, 무게를 7톤으로 추정했다.[4] 등쪽의 신경 가시는 매우 높았다. 목 및 등뼈의 신경 가시는 '''V'''자형이 아니었으며,[5] '''I'''자처럼 단순하고 곧은 형태를 하고 있었다. 이빨은 연필 모양이었던 ''디플로도쿠스''와 달리 굽어 있었다.[4]

3. 2. 생태

리마이사우루스는 초식공룡으로 크기가 작고 목과 꼬리도 다른 친척들에 비해 짧아 낮게 자라는 나무의 열매를 먹고 살았으며, 육식공룡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군집생활을 하였다. 이러한 군집생활을 통해서 육식공룡들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했을 것이다.

''리마이사우루스''는 중형 크기의 용각류였다. 그레고리 S. 폴은 2010년에 이 공룡의 길이를 15m, 무게를 7톤으로 추정했다.[4] 이 용각류의 또 다른 특징은 모로코에서 발견된 ''레바키사우루스''와의 계통 관계였다. 이 발견은 1억 년 전에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육교가 있었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6] 이 공룡은 넓고 얕은 석호가 있는 평원으로 특징지어지는 서식지를 ''안데사우루스'' 및 ''기가노토사우루스''와 공유했다. 기후는 온화하고 습했다. ''리마이사우루스''의 화석 잔해에서는 위석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위가 음식을 갈도록 돕는 데 사용되었다.

4. 분류

2004년 이 종을 설명한 저자들은 ''리마이사우루스''를 과 레바키사우루스과(Rebbachisauridae)에 속하게 했다. 레바키사우루스과는 디플로도키모르파 내의 기저 분지군이며, 그들의 유해는 유럽, 남아메리카, 아프리카에서 백악기 시대의 암석에서 발견되었다.[1] 마크로나리아 사우로포드의 분지학적 분석(Salgado et al., 2004)은 ''리마이사우루스'', 아프리카 속인 ''레바키사우루스''(Rebbachisaurus)와 ''니제르사우루스''(Nigersaurus), 그리고 남아메리카 속인 ''라요소사우루스''(Rayososaurus)와 ''카르타르테사우라''(Cathartesaura)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1]

5. 고생물지리학적 의의

리마이사우루스는 본래 레바키사우루스, 라이오소사우루스와 같은 종류로 취급됐지만, 공룡 연구가 발전하면서 다른 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 발전은 새로운 공룡에 대한 지식을 넓혀주었다. 리마이사우루스는 크기는 작지만 공룡 연구와 학술적 가치에 있어 중요한 과제를 남긴 의미 있는 공룡이다.

동시대 공룡과 함께 복원된 ''리마이사우루스'' (앞쪽 왼쪽)


2004년 이 종을 설명한 학자들은 리마이사우루스를 레바키사우루스과(Rebbachisauridae)로 분류했다. 레바키사우루스과는 디플로도키모르파 내에서 기저 분지군에 속하며, 이들의 화석은 유럽, 남아메리카, 아프리카의 백악기 시대 암석에서 발견되었다. 마크로나리아 용각류의 분지학적 분석(Salgado et al., 2004)에 따르면, 리마이사우루스는 아프리카의 레바키사우루스(Rebbachisaurus)와 니제르사우루스(Nigersaurus), 남아메리카의 라요소사우루스(Rayososaurus)와 카르타르테사우라(Cathartesaura)와 가까운 관계를 보인다.

참조

[1] 논문 "Rebbachisaurus tessonei sp. nov. A new sauropod from the Albian-Cenomanian of Argentina; new evidence on the origin of the Diplodocidae." https://web.archive.[...] Gaia 1995
[2] 웹사이트 Genus List for Holtz (2007) Dinosaurs: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s://www.geol.umd[...] 2012
[3] 서적 The Age of Dinosaurs in South America Indiana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Time of the Giants Infobase Publishing
[6] 간행물 A land bridge connection between South America and Africa during Albian-Cenomanian times based on sauropod dinosaur evidences 39° Congresso Brasileiro de Geología , Anais (7): 392-393 1996
[7] 간행물 "Lower Cretaceous rebbachisaurid sauropods from Cerro Aguada Del León, Neuquén Province, northwestern Patagonia, Argentin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