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르타드 라마르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베르타드 라마르케는 아르헨티나 출신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1908년 로사리오에서 태어나, 7세에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17세에 음반을 발표하며 활동을 시작했다. 아르헨티나와 멕시코를 오가며 영화, 음악, 텔레노벨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탱고 가수로 명성을 얻었다. 에바 페론과의 불화설이 있었으나, 멕시코로 이주하여 성공적인 경력을 이어갔다. 2000년 멕시코시티에서 폐렴으로 사망했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영화 ''¡Tango!''와 텔레노벨라 ''라 우수르파도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루과이계 아르헨티나인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아르헨티나의 소설가, 시인, 수필가인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는 소설, 시, 에세이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으며, 신화, 수학, 신학 요소를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 세계와 환상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풍으로 마술적 사실주의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르헨티나의 여자 배우 - 에바 페론
아르헨티나의 배우이자 후안 페론 대통령의 부인인 에바 페론은 "에비타"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대중적 인기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저소득층을 위한 사회 사업과 여성의 정치적 권리 신장에 기여했으며, 그녀의 삶은 뮤지컬과 영화로 제작되어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고 평가가 엇갈리는 논쟁적인 인물이다. - 아르헨티나의 여자 배우 - 모나 마리스
모나 마리스는 192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활동한 배우로, 프랑스에서 태어나 유럽과 미국에서 영화 배우로 활동했으며, 주로 악역을 맡아 199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사망했다. - 멕시코의 여자 배우 - 로라 해링
로라 해링은 1985년 미스 USA 출신의 멕시코-미국 배우로, 《멀홀랜드 드라이브》를 포함한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동하며 연기 경력을 쌓았다. - 멕시코의 여자 배우 - 나일레아 노르빈드
멕시코 배우 나일레아 노르빈드는 1983년 《치스피타》로 데뷔하여 텔레노벨라와 영화에서 활약했으며, 아리엘상 여우조연상 후보에 두 번 올랐고, 텔레비전, 영화 외에도 상담가, 도미나트릭스, 작가, 프로듀서, 감독으로도 활동한다.
리베르타드 라마르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리베르타드 라마르케 보우사 |
출생일 | 1908년 11월 24일 |
출생지 | 아르헨티나 산타페주 로사리오 |
사망일 | 2000년 12월 12일 |
사망지 | 멕시코 멕시코시티 |
국적 | 아르헨티나 멕시코 |
직업 | 배우 가수 |
활동 기간 | 1925년–2000년 |
배우자 | 에밀리오 로메로 (1926년 결혼, 1935년 별거) 알프레도 말레르바 (1945년 결혼, 1994년 사별) |
자녀 | 1명 |
수상 | 골든 아리엘 상 (2000년) |
음악가 정보 | |
장르 | 탱고 |
악기 | 보컬 |
2. 생애
리베르타드 라마르케는 1908년 아르헨티나 산타페 주 로사리오에서 프랑스인 혈통의 우루과이인 아버지 가우덴시오 라마르케(1874-1947)[8]와 스페인인 어머니 호세파 부자(1863-1932)[2]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이름 '리베르타드'(Libertad, 자유)는 그녀가 태어날 당시 아나키스트였던 아버지가 투옥 중이었고 그의 석방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지어졌다.[8]
어린 시절부터 아역 배우로 활동했으며, 17세에 가수로 데뷔하여 음반을 녹음했다. 이후 영화 배우와 탱고 가수로 활동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프란시스코 카나로 악단과 함께 녹음한 「가우초의 탄식」(Sentimiento Gaucho)과 「마드레셀바」(Madreselva) 등이 유명하다.
영화 촬영 현장에서 신인 배우였던 에바 두아르테와 갈등을 겪었는데, 훗날 후안 페론과 결혼하여 에바 페론이 된 그녀가 라마르케의 아르헨티나 활동에 제약을 가했다는 주장이 있다.[25] 이 사건 이후 라마르케는 멕시코로 이주하여 활동을 이어갔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 일화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도 존재한다.
멕시코에서도 배우와 가수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으며, 스페인어권 전역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에바 페론 사후인 1960년대에는 아르헨티나 무대에 복귀하기도 했으나, 주로 멕시코와 미국 플로리다 등지에서 생활했다. 2000년 멕시코 시티에서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아르헨티나에서의 초기 활동 (1908년 ~ 1946년)
리베르타드 라마르케는 1908년 아르헨티나 산타페 주 로사리오에서 태어났다. 당시 로사리오는 파라나강 유역의 신흥 공업 도시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었다. 그녀의 아버지는 프랑스인 혈통의 우루과이인 가우덴시오 라마르케(1874-1947)[8]였고, 어머니는 스페인인 출신의 미망인 호세파 부자(1863-1932)[2]였다. 그녀의 이름 '리베르타드'(Libertad, 자유)는 그녀가 태어날 당시 아나키스트였던 아버지가 투옥 중이었고 그의 석방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지어졌다.[8]라마르케는 7세에 연극 경연 대회에서 1등을 차지하며[3] 일찍부터 재능을 보였고, 인근 도시를 순회하는 거리 공연단에 참여하기도 했다.[4] 1923년에는 연극 ''Madre Tierra''를 통해 첫 전문 배우 역할을 맡았다.[3]
그녀의 지역적 성공에 힘입어 가족은 그녀의 경력을 위해 부에노스아이레스로 이주하기로 결정했다. 가족은 지역 언론인이 국립 극장 소유주 파스쿠알 카르카발로에게 써준 소개장에 기대를 걸었다. 1926년, 리베르타드는 국립 극장 합창단원으로 고용되어 1년 계약을 맺으며 성공적인 첫발을 내디뎠다. 그녀의 정식 데뷔작은 호세 A. 살디아스가 쓴 연극 ''La muchacha de Montmartre'' (몽마르뜨의 소녀)였는데, 올린다 보잔, 안토니아 볼페와 함께 트리오로 노래했으며 라파엘 이리아르테가 기타 반주를 맡았다. 몇 달 후 라디오 프리토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고, 빅터 레코드와 계약하여 1926년 9월 26일 첫 앨범 ''Gaucho Sol''과 싱글 ''Chilenito''를 발매했다.[4] 17세에 이미 가수로 음반을 녹음한 것이다.
1929년에는 알베르토 바카레자의 인기 연극 ''El conventillo de la Paloma'' (비둘기의 판자집)에 출연하여 이민자 판자집에 사는 소녀 도세 페소 역을 맡았다. 이 연극은 큰 성공을 거두어 2년간 1,000회 공연되었으나, 라마르케는 음악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하차했다. 이후 세 명의 기타리스트와 함께 아르헨티나 여러 주와 이웃 나라 파라과이를 순회 공연했다.[4] 1930년,[5] 투어를 마친 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콜론 극장에서 열린 경연 대회에 참가하여 탱고 "La cumparsita"와 "Tocaneando"를 불러 1등을 차지했고,[6] "탱고의 여왕"이라는 칭호를 얻었다.[4] 같은 시기, 칠레 가수 촐리 무르와 함께 오스카 스트라우스의 오페레타 ''Tres valses'' (세 개의 왈츠)를 각색한 공연에도 참여했다.[4]

1930년대 중반, 라마르케는 반도네온 연주자 엑토르 마리아 아르톨라, 바이올리니스트 안토니오 로디오, 그리고 훗날 그녀의 두 번째 남편이 되는 피아니스트 알프레도 말레르바와 함께 트리오로 활동했다. 그녀는 ''En esta tarde gris'' (이 회색 오후에), ''Sombras, nada más'' (그림자, 그 이상은 없어), ''Tristezas de la calle Corrientes'' (코리엔테스 거리의 슬픔), ''Caserón de tejas'' (타일 저택), ''Canción desesperada'' (절망의 노래), ''Sin palabras'' (말없이)와 같이 애절하고 낭만적인 곡들을 특히 잘 소화했다. 그녀의 대표곡 중 상당수는 작곡가 엔리케 산토스 디세폴로의 작품이었는데, 그의 곡들이 라마르케의 스타일에 잘 맞았기 때문이다.[5] 라마르케의 탱고 녹음 중에서는 프란시스코 카나로 악단과 함께한 「가우초의 탄식」(Sentimiento Gaucho)이나 「마드레셀바」(Madreselva)가 유명하다.

영화계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1929년 이탈리아 감독 마리오 파르파뇰리의 ''Adiós, Argentina''를 촬영하여 이듬해 개봉했으며,[8] 1932년에는 아르헨티나 최초의 유성 영화 ''¡Tango!''에 출연하여 아르헨티나 영화 사운드트랙에 목소리를 남긴 최초의 가수가 되었다.[8] 라마르케는 중간 C(C4)에서 하이 A(A5)까지의 음역을 가진 가벼운 소프라노였다. ''¡Tango!''가 1933년에 개봉된 이후, 그녀는 수많은 영화에 주연으로 출연하며 큰 인기를 누렸다. 주요 출연작은 다음과 같다.[4][6][7]
개봉 연도 | 제목 |
---|---|
1935 | El alma del bandoneon |
1936 | Ayúdame a vivir |
1937 | Besos brujos |
1937 | La ley que olvidaron |
1938 | Madreselva |
1939 | Puerta cerrada |
1939 | Caminito de la gloria |
1940 | La casa del recuerdo |
1940 | Cita en la frontera |
1941 | Una vez en la vida |
1942 | Yo conocí a esa mujer |
1942 | En el viejo Buenos Aires |
1942 | Eclipse de sol |
1944 | El fin de la noche |
1945 | La cabalgata del circo |
1945년 영화 ''La cabalgata del circo'' 촬영 중, 당시 신인 배우였던 에바 두아르테(훗날 에바 페론)가 촬영에 늦자 라마르케가 그녀를 심하게 질책했다는 일화가 있다. 이후 에바 두아르테는 후안 페론과 결혼하여 에바 페론이 되었고, 아르헨티나의 퍼스트레이디로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라마르케가 아르헨티나 연예계에서 활동하기 어려워져 결국 멕시코로 이주하게 되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25] 그러나 이 이야기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이 사건은 그녀의 아르헨티나 활동 시기를 마감하고 멕시코 망명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2. 2. 멕시코 이주와 전성기 (1946년 ~ 1970년대)
영화 촬영 당시, 지각한 신인 여배우 에바 두아르테를 강하게 꾸짖었던 일이 있었다. 이 신인 여배우는 훗날 후안 페론과 결혼하여 에바 페론이 되었는데, 그녀가 리베르타 라마르케를 아르헨티나 연예계에서 추방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설이 있다.[25] 이 일로 인해 라마르케는 멕시코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다고 전해지지만, 이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반론도 존재한다.이후 라마르케는 멕시코로 건너가 배우로서 큰 성공을 거두며 명성을 이어갔다. 탱고 가수로서도 스페인어권 전역에서 꾸준히 활동했다. 에바 페론 사후인 1960년대에는 아르헨티나 무대에 복귀하기도 했다. 말년에는 미국 플로리다에서 오래 거주하다 2000년 멕시코 시티에서 사망했다.
2. 3. 후반 활동과 사망 (1980년대 ~ 2000년)
에바 페론 사후인 1960년대에 아르헨티나 무대에 복귀했지만, 이후에도 멕시코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스페인어권에서 꾸준히 명성을 유지했다. 1996년에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의 코럴 게이블스에 정착했다. 그러나 전문적인 활동을 위해 멕시코시티와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자주 오갔다. 그녀의 딸, 손자, 증손자들은 아르헨티나에 거주했다.1998년, 라마르케는 멕시코와 여러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큰 성공을 거둔 텔레노벨라 ''라 우수르파도라''에 출연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그녀의 마지막 TV 출연작은 텔레노벨라 ''까리타 데 앙헬''이었으며, 이 작품에서 원장 수녀 역할을 맡았다.
2000년 12월 초, 라마르케는 건강이 악화되어 호흡 곤란 증세를 보인 후 멕시코시티의 산타 엘레나 병원으로 긴급 이송되었다. 결국 2000년 12월 12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폐렴으로 인해 9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8] 그녀의 외동딸 미르타 리베르타드 라마르케 로메로 델루카는 2014년 10월 19일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에바 페론과의 관계
리베르타드 라마르케가 아르헨티나의 퍼스트레이디였던 에바 페론과의 불화로 인해 블랙리스트에 올라 아르헨티나를 떠나 멕시코로 이주했다는 이야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8][3][6][25]
하지만 마리사 나바로와 니콜라스 프레이저와 같은 전문가들은 이러한 주장이 사실일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그들은 라마르케가 멕시코로 이주한 주된 이유를 당시 아르헨티나 영화보다 더 활성화되어 있던 멕시코 영화계의 상황과 멕시코 관객들의 높은 인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또한 라마르케가 에바 페론의 생전과 사후에도 아르헨티나와 멕시코를 자유롭게 오갔다는 점을 들어 블랙리스트 설을 뒷받침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9]
라마르케 본인 역시 생전에 이 전설의 일부 내용을 부인했다. 특히 영화 ''라 카발가타 델 시르코'' 촬영장에서 에바의 뺨을 때렸다는 소문에 대해서는 1986년 자서전을 통해 단호하게 부인하며, 단지 당시 신인 배우였던 에바가 영화 제작 과정에서 보여준 규율 없는 태도에 분개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10] 라마르케에 따르면, 에바는 촬영을 진지하게 임하지 않고 잦은 지각과 개인적인 이유로 촬영을 지연시켰으며, 제작자나 감독에게 불만을 제기해도 당시 후안 페론의 연인이었던 에바에게 특혜를 주었기 때문에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고 한다.[11]
1946년경 에바와 후안 페론이 대통령궁에 입성하면서,[12] 에비타가 라디오 방송국과 영화 스튜디오에 라마르케의 음악 재생이나 그녀의 고용을 금지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고,[6] 실제로 아르헨티나 내에서 라마르케의 영화, 음악 활동 및 홍보가 어려워진 것으로 보였다.[3] 이러한 상황 속에서 라마르케는 1946년 멕시코로 이주하여 활동 무대를 옮겼다.[6]
에바 페론이 사망한 후인 1960년대에 라마르케는 아르헨티나 무대에 복귀하기도 했다.
4. 주요 작품 목록
리베르타드 라마르케는 배우 및 가수로서 활동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하거나 후보에 올랐다. 주요 수상 및 후보 내역은 다음과 같다.
- 1940년: 외국 여우주연상 수상 (《닫힌 문》, Puerta cerrada), 자그레브[13]
- 1951년: 아리엘상 여우주연상 후보 (《또 다른 봄》, Otra primavera)[24]
- 1953년: 아리엘상 여우주연상 후보 (《미친 여자》, La loca)[24]
- 1955년: 아리엘상 여우주연상 후보 (《내가 떠날 때》, Cuando me vaya)[24]
- 1980년: 평론가상 수상 (마리아 펠릭스와 공동 수상)[18]
- 1985년: 코넥스상 플래티넘상 수상 (최고의 탱고 가수 부문, 아르헨티나)[18]
- 2000년: 아리엘상 평생 공로상 수상[24]
4. 1. 영화 (아르헨티나)
- ''¡Tango!'' (1933)
- ''라 카발가타 델 시르코'' (1945)
- ''그랑 카지노 [탐피코]'' (1947)
- ''뮤지컬 로맨스'' (1947)
- ''아름다운 추억'' (1961)


라마르케가 아르헨티나를 떠난 배경에는 당시 퍼스트레이디였던 에바 페론과의 불화가 있었다는 설이 널리 퍼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라마르케는 에바 페론에 의해 블랙리스트에 올라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고 한다.[8][3][6]
그러나 마리사 나바로와 니콜라스 프레이저는 그들의 저서 ''에비타: 에바 페론의 진짜 삶''에서 이러한 주장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들은 라마르케가 멕시코로 이주한 것은 당시 아르헨티나보다 영화 산업 환경이 좋았던 멕시코에서 더 많은 기회를 찾았기 때문이며, 실제로 라마르케는 에바 페론의 생전과 사후에도 아르헨티나와 멕시코를 자유롭게 오갔다는 점을 근거로 든다. 이는 블랙리스트 설과는 배치되는 정황이다.[9]
라마르케 본인은 생전에 이 전설의 일부 내용을 부인했다. 특히 영화 ''라 카발가타 델 시르코'' (1945) 촬영장에서 에바의 뺨을 때렸다는 소문에 대해서는 1986년 자서전을 통해 강하게 부정했다. 대신, 당시 에바가 촬영에 임하는 태도가 매우 불성실했다고 설명했다.[10] 라마르케에 따르면, 에바는 촬영을 진지하게 여기지 않아 상습적으로 지각하거나 개인적인 이유로 촬영을 지연시켰다. 라마르케가 제작자나 감독에게 불만을 표해도, 당시 후안 페론의 연인이었던 에바에게 특혜를 주었기 때문에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고 한다.[11]
1946년경 후안 페론과 에바 페론이 권력을 잡게 되자,[12] 에바가 라디오 방송국과 영화 스튜디오에 라마르케의 음악을 틀거나 그녀를 고용하는 것을 금지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6] 실제로 이 시기 이후 라마르케의 영화, 음악 등 아르헨티나 내에서의 활동은 사실상 중단되었다.[3]
4. 2. 영화 (멕시코)

아르헨티나의 퍼스트레이디였던 에바 페론과의 불화로 인해 블랙리스트에 올라 아르헨티나를 떠나 멕시코로 이주했다는 설이 널리 퍼져 있다.[8][3][6] 그러나 마리사 나바로와 니콜라스 프레이저 같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주장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들은 라마르케가 멕시코로 이주한 주된 이유가 당시 아르헨티나 영화보다 더 활성화되어 있던 멕시코 영화계의 매력 때문이었으며, 실제로 멕시코 관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또한 라마르케가 에바 페론 생전과 사후에도 아르헨티나와 멕시코를 자유롭게 오갔다는 점을 들어 블랙리스트 설을 반박한다.[9]
라마르케 본인도 생전에 에바 페론과의 관계에 대한 소문, 특히 영화 ''라 카발가타 델 시르코'' 촬영장에서 에바의 뺨을 때렸다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1986년 자서전에서 그녀는 당시 후안 페론의 연인이었던 에바가 촬영장에서 보인 비전문적인 태도, 잦은 지각과 개인적인 이유로 촬영을 지연시키는 행동에 불만을 가졌을 뿐이라고 해명했다.[10][11]
1946년경 에바와 후안 페론이 권력을 잡은 후,[12] 에비타가 라디오 방송국과 영화 스튜디오에 라마르케의 활동을 금지시켰다는 소문이 돌면서 아르헨티나에서의 활동이 어려워진 것은 사실로 보인다.[6][3] 이러한 상황 속에서 라마르케는 1946년 멕시코로 이주하여 새로운 활동 무대를 찾았다.[6]
멕시코에서 그녀는 전설적인 스페인 영화감독 루이스 부뉴엘이 연출하고 호르헤 네그레테와 공동 주연한 영화 ''그란 카지노''(1947)로 데뷔했다. 이 영화는 흥행에 성공하지 못했지만,[15] 이후 라마르케는 ''소레다드'' (1947), ''라 다마 델 벨로'' (1948), ''우엘라스 데 운 파사도'' (1950), ''무헤레스 신 라그리마스'' (1951), ''눈카 에스 타르데 파라 아르마르'' (1952), ''안시에다드'' (1952), ''로스트로스 올비다도스'' (1952) 등 다수의 멕시코 영화에 출연하며 입지를 다졌다.[16]
특히 ''오트라 프리마베라'' (1949년 촬영), ''라 로카'' (1951), ''Cuando me vaya'' (1953)는 그녀의 대표작으로 꼽히며, 이 세 작품으로 각각 1951년, 1953년, 1955년 아리엘 상 최우수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르는 등 연기력을 인정받았다.[24]
이후에도 ''보다스 데 오로'' (1955), ''아모르 데 솜브라'' (1959), ''요 페카도르'' (1959), 쿠바 가수 에우세비아 코스메와 함께한 ''로사스 블랑카스 파라 미 헤르마나 네그라'' (1969) 등 꾸준히 멕시코 영화에 출연했다.[12][17]
영화 활동 외에도 1980년 멕시코 텔레노벨라 ''소레다드''를 시작으로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출연했다. 91세의 나이에는 ''카리타 데 안헬''에서 수녀원장 역을 맡았으며, 그녀의 마지막 연기 활동은 1998년 방영된 텔레노벨라 ''라 우수르파도라''의 피에다드 할머니 역이었다.
다음은 라마르케가 멕시코에서 출연한 주요 영화 목록이다.
연도 | 제목 | 원제 | 배역 |
---|---|---|---|
1946 | 그란 카지노 | Gran Casino | 메르세데스(Mercedes) |
1947 | 솔레다드 | Soledad | 솔레다드 소마냐노(Soledad Somellano) |
1948 | 베일의 여인 | La dama del velo | 안드레아 델 몬테(Andrea del Monte) |
1949 | 또 다른 봄 | Otra primavera | 아멜리아(Amelia) |
1950 | 라 마르케사 델 바리오 | La marquesa del barrio | 크리스티나 파야레스/라 마르케사(Cristina Payares/La Marquesa) |
1950 | 과거의 흔적 | Huellas del pasado | 이사벨(Isabel) |
1951 | 테 시고 에스페란도 | Te sigo esperando | 엘레나 몬테네그로(Elena Montenegro) |
1951 | 라 로카 | La loca | 엘레나 프림 비우다 데 비야세뇨르(Elena Prim viuda de Villaseñor) |
1951 | 눈물 없는 여자 | Mujeres sin lágrimas | 콘수엘로(Consuelo) |
1952 | 안시에다드 | Ansiedad | 마리아 데 라라(María de Lara) |
1952 | 눈카 에스 타르데 파라 아마르 | Nunca es tarde para amar | 말리사 모랄레스(Malisa Morales) |
1952 | 아쿠에르다테 데 비비르 | Acuérdate de vivir | 욜란다(Yolanda) |
1952 | 잊혀진 얼굴들 | Rostros olvidados | 로사리오 벨라스케스(Rosario Velazquez) |
1953 | 만약 당신이 나에게 돌아온다면 | Si volvieras a mí | 알레한드라(Alejandra) |
1953 | 내가 떠날 때 | Cuando me vaya | 마리아 그레버(María Grever) |
1953 | 라 인파메 | La Infame | 크리스티나 페란(Cristina Ferrán) |
1953 | 불안 | Reportaje | 가수(Cameo) |
1954 | 라 무헤르 X | La mujer X | 레베카(Rebeca) |
1955 | 보다스 데 오로 | Bodas de oro | 카르멘 로메로(Carmen Romero) |
1955 | 무지카 데 시엠프레 | Música de siempre | (본인) |
1955 | 이스토리아 데 운 아모르 | Historia de un amor | 엘레나 라모스(Elena Ramos) |
1955 | 에스쿠엘라 데 무지카 | Escuela de música | 라우라 갈반(Laura Galván) |
1956 | 밤발리나스 | Bambalinas | (본인) |
1957 | 미스 파드레스 세 디보르시안 | Mis padres se divorcian | 디아나 발데스(Diana Váldes) |
1957 | 약간의 술 | Cuatro copas | 에우헤니아 파벨(Eugenia Pavel) |
1957 | 어린 시절이 없는 여자 | La mujer que no tuvo infancia | 로사우라(Rosaura) |
1958 | 사브라스 케 테 키에로 | Sabrás que te quiero | 아멜리아 레이/모니카/가브리엘라(Amelia Rey/Mónica/Gabriela) |
1959 | 그림자 속의 사랑 | Amor en la sombra | 클라우디아(Claudia) |
1959 | 요, 페카도르 | Yo, pecador | 도냐 비르히니아(Doña Virginia) |
1960 | 엘 페카도 데 우나 마드레 | El pecado de una madre | 아나 마리아(Ana María) |
1960 | 라 시궤냐 디호 시 | La cigüeña dijo sí | 필라르(Pilar) |
1962 | 엘 시엘로 이 라 티에라 | El cielo y la tierra | 소르 루체로/수녀 마리아 데 라 루스(Sor Lucero/Sister María de la Luz) |
1963 | 칸시온 델 알마 | Canción del alma | 마리아 마라곤(María Maragón) |
1964 | 로스 이호스 케 요 소녜 | Los hijos que yo soñé | 마리아나(Mariana) |
1964 | 칸타 미 코라손 | Canta mi corazón | 루이사 라마스(Luisa Lamas) |
1966 | 아룰로 데 디오스 | Arrullo de Dios | 루스(Luz) |
1968 | 엘 이호 프로디고 | El hijo pródigo | 알레그리아 로만(Alegría Román) |
1969 | 로사스 블랑카스 파라 미 헤르마나 네그라 | Rosas blancas para mi hermana negra | 라우라(Laura) |
1971 | 오이 헤 소냐도 콘 디오스 | Hoy he soñado con Dios | 리나 알론소(Lina Alonso) |
1973 | 라 로카 데 로스 밀라그로스 | La loca de los milagros | 아우로라 다르반(Aurora Durban) |
1973 | 네그로 에스 운 벨요 콜로르 | Negro es un bello color | 에우헤니아(Eugenia) |
4. 3. 영화 (스페인)
- 그랑 카지노 (1947)
- 아름다운 추억 (Bello recuerdo|벨로 레쿠에르도es, 1961) - 루시 역
4. 4. 텔레노벨라

라마르케는 1970년대부터 텔레노벨라 분야에서도 활동을 시작했다. 그녀는 1970년 베네수엘라 텔레노벨라 에스메랄다 (Esmeralda)에 출연하며 텔레노벨라 분야에 처음 진출했다. 이어 1975년 베네수엘라 작품 ''마마'' (Mamá)에 출연했다.[18]
1980년 멕시코로 건너가 텔레노벨라 솔레다드 (Soledad)에 출연했고, 1983년에는 ''아마다'' (Amada)에 출연했다. 1998년에는 멕시코 텔레노벨라 라 우수르파도라 (La Usurpadora)에서 피에다드 브라초 할머니 역을 맡았다. 2000년에는 91세의 나이로 까리따 데 앙헬 (Carita de Ángel)에서 수녀원장 역을 맡으며 연기 활동을 지속했다.
=== 주요 텔레노벨라 출연작 ===
연도 | 제목 | 역할 | 국가 |
---|---|---|---|
1970 | 에스메랄다 (Esmeralda) | 시스터 피에다드 | 베네수엘라 |
1975 | 마마 (Mamá) | 솔레다드 | 베네수엘라 |
1980 | 솔레다드 (Soledad) | 솔레다드 곤잘레스 / 크리스티나 팔레르모 | 멕시코 |
1983 | 아마다 (Amada) | 아마다 | 멕시코 |
1998 | 라 우수르파도라 (La Usurpadora) | 도냐 피에다드 브라초 미망인 | 멕시코 |
2000 | 까리따 데 앙헬 (Carita de Ángel) | 수녀원장 피에다드 데 라 루스 | 멕시코 |
참조
[1]
웹사이트
Libertad Lamarque, actriz y cantante argentina
https://www.aarp.org[...]
2024-12-14
[2]
웹사이트
Libertad Lamarque
http://www.terapiata[...]
[3]
뉴스
Viva Libertad: Entertainment: Magazine honors Latina star for 70 years in film and music. She became a living legend in Mexican cinema.
https://www.latimes.[...]
2015-05-18
[4]
뉴스
Libertad Lamarque
http://www.agenciael[...]
Agencia el Vigia
2015-05-18
[5]
뉴스
Murio en Mexico Libertad Lamarque, "La Novia de America"
http://www.pagina12.[...]
2015-05-18
[6]
뉴스
Libertad Lamarque
https://www.telegrap[...]
2015-05-18
[7]
뉴스
Libertad Lamarque, recordando a la novia de América
http://www.aarp.org/[...]
AARP
2015-05-19
[8]
뉴스
Libertad Lamarque, Mexican Star, Dies at 92
https://www.nytimes.[...]
2015-05-18
[9]
서적
Evita: The Real Life of Eva Perón
https://books.google[...]
W.W. Norton
2015-05-18
[10]
서적
Evita
https://books.google[...]
Planeta
2015-05-18
[11]
뉴스
Libertad Lamarque y Eva Perón: dos muñecas bravas
http://www.agenciael[...]
Agencia el Vigia
2015-05-18
[12]
뉴스
Homenaje continental a Libertad Lamarque
http://www.cronica.c[...]
La Crónica
2015-05-18
[13]
뉴스
La verdadera novia de América
http://www.lajiribil[...]
La Jiribilla
2015-05-18
[14]
웹사이트
Libertad Lamarque
https://www.nytimes.[...]
2015
[15]
서적
Buñuel and Mexico: The Crisis of National Cinema
http://documenta_pdf[...]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뉴스
Muere famosa actriz argentina Libertad Lamarque
http://www.emol.com/[...]
Emol – El Mercurio
2015-05-18
[17]
뉴스
Con vida negra y pureza propia
http://www.cubaencue[...]
Cuba Encuentro
2015-05-18
[18]
뉴스
Libertad, la "Novia de América"
http://www.lacapital[...]
2015-05-19
[19]
웹사이트
Jesús Quiñones Ledesma
http://jesusquinones[...]
2015-05-18
[20]
뉴스
El final de un sueño
http://edant.clarin.[...]
2015-05-18
[21]
간행물
Remembering Mexico's 'Mr. Theatre,' Manolo Fabregas
https://playbill.com[...]
2015-05-18
[22]
뉴스
Adiós a la estrella de América
http://www.lanacion.[...]
2015-05-19
[23]
뉴스
Homenaje a Libertad Lamarque
http://www.terra.com[...]
Terra
2015-05-19
[24]
웹사이트
Ariel – Ganadores y nominados – Libertad Lamarque
http://www.academiam[...]
2015-05-18
[25]
웹사이트
Libertad Lamarque, Mexican Star, Dies at 92
https://www.nytimes.[...]
www.nytimes.com
2019-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