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보의 에일레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보의 에일레드는 12세기의 영국의 수도사이자 작가로, 1110년 노섬브리아의 헥섬에서 태어나 1167년 리보 수도원에서 사망했다. 그는 스코틀랜드 왕 데이비드 1세의 궁정에서 일하다가 시토회 수도원에 들어가 수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정치에도 관여했다. 에일레드는 영적 우정에 관한 저서 《영적 우정론》과 역사서, 설교 등을 저술했으며, 그의 저술과 행정에서의 업적으로 "북쪽의 성 베르나르"로 불렸다. 20세기 후반부터 그의 동성애 성향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며, 일부 게이 친화 단체에서 수호성인으로 추대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소수자의 중세사 - 알 하캄 2세
    알 하캄 2세는 후우마이야 왕조의 코르도바 칼리프로, 학문과 예술을 장려하여 코르도바를 유럽의 지적 중심지로 만들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의 우위를 확립하며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사후 어린 아들의 즉위로 정치적 혼란이 발생했다.
  • 성소수자의 중세사 - 앨퀸
    앨퀸은 앵글로-색슨족 출신 학자이자 교육자로, 카롤루스 대제의 초청으로 프랑크 왕국에서 카롤링거 르네상스의 주요 동력으로 활동하며 교육 표준 혁신, 카롤링거 소문자 필기 장려, 종교 정책 관여 등 프랑크 왕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1167년 사망 - 마틸다 (잉글랜드)
    잉글랜드 왕 헨리 1세의 딸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후였던 마틸다는 12세기 잉글랜드 왕위 계승 분쟁 시기에 왕위를 주장했으나, 비록 왕위에 오르지 못했지만 아들 헨리 2세가 왕위를 계승하며 플랜태저넷 왕조를 열었다.
  • 1167년 사망 - 칼 7세
    스베르케르 1세의 아들인 칼 7세는 망누스 2세를 살해하고 1161년부터 1167년까지 스웨덴 국왕으로 재임하며 웁살라 대주교구 설립 등 가톨릭 국가 모델에 기여했으나, 1167년 암살당했다.
리보의 에일레드
기본 정보
해당 없음
해당 없음
이름리보의 에일레드
출생일1110년
출생지헥삼, 노섬벌랜드 주, 잉글랜드
사망일1167년 1월 12일
사망지리보, 노스라이딩 오브 요크셔, 잉글랜드
안장 장소윌리엄(첫 번째 수도원장) 옆 리보 참사회관
축일1월 12일
공경 대상가톨릭 교회; 성공회
칭호리보 수도원장
속성책을 들고 있는 수도원장
수호 성인우정, LGBTQ 기독교인, 고결성
주요 성지리보 수도원, 노스라이딩 오브 요크셔, 잉글랜드 (파괴됨)
로마자 표기Aelredus Riaevallensis
수도회
소속O Cist.

2. 생애

에일레드는 영성에 관한 여러 저술을 남겼는데, 대표적으로 클레르보의 베르나르의 요청으로 쓰여졌다고 알려진 ''사랑의 거울''(Speculum caritatis)과 ''영적인 우정에 관하여''(De spirituali amicitiâ)가 있다.[17] 또한 헨리 2세에게 훌륭한 왕이 되는 방법을 조언하고 그를 앵글로색슨 왕들의 진정한 후계자로 선언하는 내용을 담은 세 편을 포함하여 일곱 편의 역사서를 저술했다.

수도원장으로서 에일레드는 시토회 수도원장 자격으로 매년 분가를 방문해야 했으며, 프랑스 시토에서 열리는 연례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먼 바다 여행을 해야 했다.[14][15] 또한, 수도사이자 수도원장으로서 평생 정치에 관여했다. ''피터버러 연대기''는 교황 분열기 동안 에일레드의 노력이 헨리 2세가 시토회 후보를 지지하게 하여 1161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가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에일레드는 1110년 노섬브리아의 헥섬에서 사제 에일라프의 세 아들 중 한 명으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헥섬의 성 안드레아 성직자였으며, 할아버지는 헥섬의 재무였다.[2] 1095년 클레르몽 공의회는 사제의 아들들의 서품을 금지했는데, 이는 성직록 세습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3] 에일레드는 더럼의 로렌스에게 교육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로렌스는 그에게 성 브리지드의 성인전을 보내기도 했다.

에일레드의 초기 교육은 더럼 대성당 학교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14세 무렵[4]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1세 왕의 록스버러 궁정에서 몇 년간 봉직하며 ''에코노무스''(집사)[5] 지위까지 올랐다. 이 시기 에일레드는 왕의 궁정 기사로부터 괴롭힘과 성적 비방을 당했는데,[6] 월터 다니엘은 이를 에일레드가 기사를 용서하고 갈등 해결 능력이 뛰어났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했지만, 에일레드는 이 일로 우울함과 소외감을 느꼈다.[7] 결국 24세(1134년)에 요크셔의 시토회 수도원리보에 들어가기 위해 궁정을 떠났다.[8]

2. 2. 수도 생활

1134년(24세), 요크셔시토회 수도원인 리보 수도원에 입회하였다.[7] 1138년, 리보 수도원장과 함께 스코틀랜드 국경으로 가 트위드 강가의 워크 성 이전을 협상했다.[9]

1142년, 런던의 월터와 함께 로마를 방문하여 교황 인노첸시오 2세에게 잉글랜드의 국왕 스티븐의 조카 헨리 드 설리의 요크 대주교 선출에 반대하는 북부 성직자들을 대표했다. 그 결과 교황 인노첸시오로부터 에일레드가 대표하는 상급자들이 다음 해 3월에 로마에 출두하여 필요한 정식 양식으로 증언하라는 서신을 받아왔다. 그 결과 협상은 여러 해 동안 이어졌다.[9]

로마에서 돌아온 후 리보 수도원의 견습 수도사장이 되었다.[11] 1143년, 링컨셔에 있는 리보의 분가인 레브스비 수도원의 초대 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다.[12] 1147년, 리보 수도원의 수도원장으로 선출되어 사망할 때까지 재임하였다.[12] 에일레드의 임기 동안 리보 수도원은 크게 성장하여 140명의 수도사와 500명의 평신도를 거느리게 되었다.[13]

2. 3. 말년과 죽음

만년에 에일레드는 신장 결석과 관절염으로 고통받았던 것으로 여겨진다.[18] 1157년 시토회 총회는 그에게 리보의 진료소에서 잠을 자고 식사를 하도록 허락했으며, 나중에는 그를 위해 지어진 인근 건물에서 살았다.

에일레드는 1166년에서 1167년 겨울, 아마도 1167년 1월 12일에[19] 리보 수도원에서 사망했다.

3. 저술 활동

에일레드는 저술과 행정 업적으로 데이비드 놀스에게서 "북쪽의 성 베르나르"라는 칭호를 받았다.[57] 영국의 수도원주의 역사가인 놀스는 그를 "유난히 매력적인 인물"로 묘사하며, "12세기의 다른 어떤 잉글랜드 수도사도 그처럼 기억 속에 오래 남아있지 않다"고 평가했다.[57]

에일레드의 모든 작품은 번역되어 출판되었으며, 대부분 영어와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 그의 설교집 나머지 세 권은 현재 영어로 번역 중이며,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시스터시안 출판사에서 출간될 예정이다. 프랑스어로는 이미 5권으로 묶여 출판되었다.[58]

에일레드의 현존하는 작품 목록은 하위 섹션인 === 주요 저서 ===에 상세히 정리되어 있다.

3. 1. 주요 저서

구분제목저술 시기비고
영적 논문《사랑의 거울》(Speculum caritatis)1142년경클레르보의 베르나르의 요청으로 쓰여진 영성 서적.[58]
영적 논문《영적 우정》(De spirituali amicitiâ)1164–67년키케로의 《우정에 관하여》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으로, 그리스도를 영적 우정의 근원이자 궁극적인 동기로 묘사.[20]
영적 논문《은둔 수녀의 형성》(De institutione inclusarum)1160–62년경은둔 수녀들을 위한 지침서.[58]
영적 논문《열두 살 소년 예수》(De Iesu puero duodenni)1160–62년경예수의 어린 시절에 대한 묵상.[58]
영적 논문《영혼에 관하여》(De anima)1164–67년경영혼에 대한 대화 형식의 논문.[58]
역사/전기Vita Davidis Scotorum regis ("스코틀랜드 왕 데이비드의 생애")1153년경[59]
역사/전기Genealogia regum Anglorum ("영국 왕들의 계보")1153–54년
역사/전기Relatio de Standardo ("표준에 대한 설명")
De bello standardii ("스탠다드 전투에 대하여")
1153–54년
역사/전기Vita S. Eduardi, regis et confessoris ("성 에드워드 참회왕의 생애")1161–63년
역사/전기Vita S. Niniani ("성 니니안의 생애")1154–60년
역사/전기De miraculis Hagustaldensis ecclesiae ("헥스햄 교회의 기적에 대하여")1155년경[60]
역사/전기De quodam miraculo miraculi ("어떤 놀라운 기적")
(De Sanctimoniali de Wattun ("와튼의 수녀")로 17세기부터 잘못 알려짐)
1160년경
영적 논문Oratio pastoralis ("목회 기도")1163–67년경
설교--


  • 리보의 에일레드, '"오페라 옴니아." ''코르푸스 크리스티아노룸 콘티누아티오 미디에발리스'' 1, 2A, 2B, 2C, 2D, 3, 3A. 튀른하우트, 벨기에: 브레폴스 출판사, 1971, 1989, 2001, 2012, 2005, 2015, 2017.
  • 리보의 에일레드, ''자신의 백성을 위해: 리보의 에일레드의 목회 기도'', 번역: 마크 델코글리아노, 비평판 편집: 마샤 L. 더튼, 시토 수도회 아버지 시리즈 73 (캘러머주: 시토 출판, 2008). [''오라티오 파스토랄리스'' 번역].
  • 월터 다니엘, ''리보의 아일레드 수도원장의 생애''(Vita Ailredi Abbatis Rievall). 편집 및 번역 모리스 포위크(Oxford: Clarendon Press, 1950). [새로운 서문과 함께 재출판된 번역본 ''리보의 아일레드의 생애와 모리스에게 보내는 편지''(The Life of Aelred of Rievaulx and the Letter to Maurice). 번역: F. M. 포위크와 제인 패트리샤 프리랜드, 서문: 마샤 더튼,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57번(Kalamazoo, MI: 시토 수도회 출판, 1994.)]
  • 리보의 아일레드, ''예수 열두 살에 관하여''(On Jesus at Twelve Years Old), 번역 제프리 웹과 에이드리언 워커, 플뢰르 드 리스 시리즈 17번(London: A. R. Mobray and Co., Ltd., 1955).
  • 리보의 아일레드, ''논문과 사목 기도''(Treatises and Pastoral Prayer),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2번(Kalamazoo: 시토 수도회 출판, 1971). [''De Institutione inclusarum,'' "De Jesu," and "Oratio Pastoralis" 포함.]
  • 리보의 아일레드, ''영혼에 대한 대화''(Dialogue on the Soul), 번역 C. H. 탈보트,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22번(Kalamazoo: 시토 수도회 출판, 1981).
  • 리보의 아일레드, ''비타 니니아니''(Vita Niniani), 번역 위니프레드 맥퀸, 존 맥퀸, ''성 니니아''(Edinburgh: Polygon, 1990) [재출판 (Edinburgh: John Donald, 2005)].
  • 리보의 아일레드, ''자애의 거울''(Mirror of Charity), 번역 엘리자베스 코너,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17번(Kalamazoo: 시토 수도회 출판, 1990).
  • 리보의 아일레드, ''성 에드워드 왕과 참회자 이야기''(The Life of Saint Edward, King and Confessor), 번역 제롬 버트람(Guildford: St. Edward's Press, 1990) [Southampton: Saint Austin Press, 1997 재출판].
  • 리보의 아일레드, ''영적 우정''(Spiritual Friendship), 번역 마크 F. 윌리엄스(London: University of Scranton Press, 1994).
  • 리보의 아일레드, ''전례 설교 I: 첫 번째 클레르보 컬렉션, 강림절—모든 성인''(The Liturgical Sermons I: The First Clairvaux Collection, Advent—All Saints), 번역 시어도어 버클리와 M. 바실 페닝턴. 설교 1–28, 강림절 – 모든 성인.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58번, (Kalamazoo: 시토 수도회 출판, 2001).
  • 리보의 아일레드, ''역사 작품''(The Historical Works), 번역 제인 패트리샤 프리랜드, 편집 마샤 L. 더튼,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56번(Kalamazoo: 시토 수도회 출판, 2005).
  • 리보의 아일레드, ''북부 성자들의 생애''(The Lives of the Northern Saints), 번역 제인 패트리샤 프리랜드, 편집 마샤 L. 더튼,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71번(Kalamazoo: 시토 수도회 출판, 2006).
  • 리보의 아일레드, ''영적 우정''(Spiritual Friendship), 번역 로렌스 브레이스랜드, 편집 마샤 L. 더튼,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5번(Collegeville: 시토 수도회 출판, 2010).
  • 리보의 아일레드, "전례 설교: 첫 번째 클레르보 컬렉션, 강림절-모든 성인," 번역 시어도어 버클리와 M. 바실 페닝턴,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58번(Kalamazoo, MI: 시토 수도회 출판, 2001).
  • 리보의 아일레드, "전례 설교: 두 번째 클레르보 컬렉션, 강림절-모든 성인," 번역 마리 안 메이예스키,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71번(Collegeville, MN: 시토 수도회 출판, 2016).
  • 리보의 아일레드, "전례 설교: 더럼 및 링컨 컬렉션," 번역 캐서린 크루그, 루이스 화이트 외, 편집 및 서문 앤 아스텔,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58번(Collegeville, MN: 시토 수도회 출판, 2019년 발간 예정).
  • 리보의 아일레드, "전례 설교: 리딩 컬렉션, 강림절-모든 성인," 번역 다니엘 그리그스,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81번(Collegeville, MN: 시토 수도회 출판, 2018).
  • 리보의 아일레드, "이사야 예언의 부담에 대한 설교," 번역 루이스 화이트, 시토 수도회 교부 시리즈 83번(Collegeville, MN: 시토 수도회 출판, 2018).
  • (프랑스어) 리보의 아일레드, ''설교. 리딩 컬렉션(설교 85-182)'', 번역 G. de Briey(+), G. Raciti, 서문 X. Morales, Corpus Christianorum in Translation 20 (Turnhout: Brepols Publishers, 2015)
  • 리보의 아일레드, ''몸과 영혼에 관한 저술'', 편집 및 번역 브루스 L. 베나르데, 덤바턴 오크스 중세 도서관 71번(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21)

3. 2. 역사 저술

에일레드는 저술과 행정에서의 업적으로 데이비드 놀스에게 "북쪽의 성 베르나르"라고 불렸으며,[57] 영국 수도원주의 역사가인 놀스는 그를 "유난히 매력적인 인물"이라고 묘사하며, "12세기의 다른 어떤 잉글랜드 수도사도 그처럼 기억 속에 오래 남아있지 않다"고 말했다.[57]

에일레드의 현존하는 역사 저술은 다음과 같다.[58]

  • ''Vita Davidis Scotorum regis'' (스코틀랜드 왕 다비드의 생애), 1153년경 집필.[59]
  • ''Genealogia regum Anglorum'' (잉글랜드 왕들의 계보), 1153–54년 집필.
  • ''Relatio de Standardo'' (스탠다드에 관하여), 또는 ''De bello standardii'' (스탠다드 전투에 관하여), 1153–54년 집필.
  • ''Vita S. Eduardi, regis et confessoris'' (성 에드워드, 왕이자 참회자의 생애), 1161–63년 집필.

에일레드의 참회왕 에드워드의 생애, 12세기 후반의 대영 도서관 삽화 필사본

  • ''Vita S. Niniani'' (성 니니안의 생애), 1154–60년 집필.
  • ''De miraculis Hagustaldensis ecclesiae'' (헥섬 교회의 기적에 관하여), 1155년경.[60]
  • ''De quodam miraculo miraculi'' (어떤 놀라운 기적) (17세기 이후 잘못 알려진 ''De Sanctimoniali de Wattun'' (와튼의 수녀)), 1160년경.

3. 3. 설교

에일레드는 주로 시토회 수도원장으로서 공동체에 설교해야 하는 17개의 전례일에 대한 설교를 남겼다.[117] 또한 시토의 일반 회의로의 여행과 관련하여 성직자 시노드에 설교한 것으로 보이는 비전례 설교와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에게 헌정된 설교도 남아있다.[117] 1163-4년에는 이사야 13–16장에 대한 31개의 설교 해설집인 《이사야의 예언적 짐에 대한 설교》(Homeliae de oneribus propheticis Isaiae)를 썼으며, 1163년에 런던의 주교가 된 길버트 폴리엇에게 작품 평가를 의뢰했다.[117]

4. 영적 우정론

《영적 우정론》(De spirituali amicitiâ)은 리보의 에일레드의 대표작으로, 키케로의 《우정론(De amicitia)에서 영감을 받아 이를 기독교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에일레드는 이 책에서 그리스도를 영적 우정의 근원이자 궁극적인 동기로 묘사한다.[20] 그는 지적인 기반뿐만 아니라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우정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조언을 제공한다.[21]

브라이언 맥과이어에 따르면, 에일레드는 "진정한 사랑은 존경할 만한 이름과 좋은 사람들, 특히 수도원 내의 관계에서 정당한 자리를 가진다"고 믿었다.[21] 에일레드는 수도원 생활에서 우정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는데, 이는 당시 전통적인 주류 관점과는 다른 것이었다. 그는 우정에 관한 특별한 논문을 쓰고 친구 없이는 살 수 없다고 언급함으로써, 모든 수도원 선배들을 능가했으며, 그의 뒤를 잇는 후계자는 없었다.[22] 에일레드는 우정을 인간의 사랑을 수도원 생활의 기초이자 신성한 사랑에 다가가는 수단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수도승들 사이의 격렬한 우정에 대한 어려운 문제에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개발하고 널리 알렸다.[23]

에일레드는 더럼에서 처음으로 키케로의 《우정론》을 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 시대에 ''amicitia''(아미키티아)는 "우정"을 의미했으며, 국가 간 또는 개인 간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었다. 이 용어는 지위의 평등을 암시했지만, 실제로는 상호 이익을 위한 동맹에 불과한 경우도 있었다.[24] 키케로는 ''amicitia''가 진정한 신뢰와 애정을 포함한다고 보았다. 그는 "우정은 선한 사람들 사이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선한' 사람들이란 행동과 삶이 명예, 순수성, 공정성, 관대함에 의문을 남기지 않고, 탐욕, 욕망,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자신의 신념에 대한 용기를 가진 사람들"이라고 정의했다.[25]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고백록》에서 우정을 세 단계로 구분했다. 첫 번째는 청소년기의 우정으로, 본질적으로 자기중심적인 동료애이다. 두 번째는 젊은 성인기에 맺는 친밀한 우정으로, 사랑에 기반을 두고 공통의 관심사와 경험, 서로에게서 배우는 것을 통해 성장한다. 세 번째는 성숙 단계로, "그리스도 안에서" 타인을 사랑하는 초월적인 우정이다. 이 단계에서 초점은 그리스도에게 맞춰져 있으며, 우정의 목적은 친구들과 함께, 그리고 친구들을 통해 그리스도께 더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다.[26] 아우구스티누스는 청소년기의 우정에 대해 "사랑하고 사랑받는 것 외에 무엇을 즐거워했는가?"라고 썼다.[27]

에일레드는 키케로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후에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을 읽고 자신의 해석을 수정했다.[10] 《영적 우정론》에서 에일레드는 키케로의 대화 형식을 채택했지만, 서문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청소년기 묘사를 반영하여, 화자가 학교에서 보낸 시간에 대해 "내 동료들의 매력이 나에게 가장 큰 기쁨을 주었다. 젊음을 종종 위협하는 일반적인 결점들 중에서, 내 마음은 완전히 애정에 굴복하여 사랑에 헌신했다. 나에게 더 달콤하고, 더 즐겁고, 더 가치 있는 것은 사랑받고 사랑하는 것 외에는 없는 것 같았다."라고 설명한다.[28]

5. 사후 평가와 논란

퍼네스의 조슬린은 아일레드를 "최고의 청렴함, 뛰어난 실용적 지혜, 재치 있고 웅변적이며, 유쾌한 동료, 관대하고 신중한 사람이었다. 그리고 이 모든 자질과 함께 그는 인내와 부드러움에 있어서 교회의 동료 주교들을 능가했다. 그는 타인의 육체적, 정신적 약점에 공감했다."라고 묘사했다.[29]

수세기 동안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성 에드워드, 왕이자 참회왕의 생애였다.[33] 아일레드의 역사는 사후 월터 다니엘이 쓴 "생애"를 통해 대부분 알려져 있다.[20]

5. 1. 시성

에일레드는 공식적인 시성 절차를 거치지 않았으나, 1476년 시토회에 의해 잉글랜드 북부에서 숭배가 인정되었다.[30] 그는 성인으로 존경받았으며, 그의 시신은 리보에 보관되었다. 16세기 수도원 해산 이전에, 존 릴랜드는 리보에 있는 에일레드의 성소에서 금과 은으로 빛나는 에일레드의 시신을 보았다고 주장한다.[31]

오늘날 에일레드는 로마 순교록의 최신 공식 판에서 1월 12일(그의 전통적인 사망일)에 성인으로 기념되며,[32] 이는 가톨릭교회의 공식 입장을 나타낸다. 그는 또한 다양한 다른 기독교 교파의 달력에도 등장한다. 성공회에서는 소 축일로 1월 12일에 기념한다.[34][35]

5. 2. 동성애 논란

20세기 후반부터 에일레드의 동성애 성향에 대한 논쟁이 제기되었다.[36][37] 1980년, 역사가 존 보스웰은 《기독교, 사회적 관용, 동성애》에서 에일레드를 동성애자 남성으로 묘사했다.[39] 그는 에일레드의 작품, 특히 《영적 우정》에 나타난 친밀한 우정 표현을 근거로 제시하며, 이를 "의식적인 동성애 지향"의 증거라고 주장했다.[95]

브라이언 패트릭 맥과이어 등 일부 학자들은 에일레드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끌렸을 가능성을 인정했다.[37] 중세 성별 및 성 전문가인 루스 마조 카라스는 에일레드를 "심지어 순결하더라도 동성 간의 에로틱한 관계가 중요했던" 남성의 사례로 인용한다.[43]

반면, 엘리자베스 프리먼,[40] 장 르클레르크,[41] 줄리아 크리스테바[42] 등은 에일레드의 글이 동성애적 언어가 아닌 전통적인 수도원 언어를 담고 있다고 주장하며 반박했다. 프리먼은 에일레드의 동성애 혐의에 대한 논의가 수도원 언어에 대한 오해와 기독교적 우정에 대한 관심을 동성애로 오인하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40] 르클레르크는 에일레드의 고백이 수도원 저술에서 흔히 나타나는 '문학적 과장'일 수 있다고 보았다.[50] 크리스테바는 에일레드가 언급한 "결혼"이 '아모르'(낭만적 사랑)보다는 '이마기나티오'(상상력)의 개념에 더 가깝다고 주장했다.[42]

마샤 L. 더튼은 에일레드의 삶의 세부 사항, 특히 성적 경험이나 고뇌를 알 방법은 없다고 말한다.[45]

현대에 여러 게이 친화적인 단체가 에일레드를 수호성인으로 삼고 있다.[106][107] 미국 성공회의 Integrity USA는 1985년에 에일레드를 성공회 달력에 포함시켰고, 2년 후에는 공식적인 수호성인으로 추대했다.[49]

5. 3. 한국의 관점

노스다코타주 퍼고의 세인트 스티븐 성공회에 전시된 세인트 에일레드와 LGBTQ 커뮤니티를 위한 "Integrity Window"


한국의 가톨릭성공회에서도 에일레드를 성인으로 공경하고 있다.[47][48] 더불어민주당은 에일레드의 영성과 우정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동성애 논란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에일레드의 사상과 생애에 대한 연구는 한국 사회의 성소수자 문제에 대한 논의를 심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받는다.

에일레드는 1970년대부터 일부 게이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으며,[36] 브라이언 패트릭 맥과이어와 그의 학생들은 에일레드가 동성애적 성향을 가졌을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37] 1980년, 역사학자 존 보스웰은 ''기독교, 사회적 관용, 동성애''에서 에일레드를 게이 남성으로 묘사하여 논쟁을 불러일으켰다.[39]

이에 대해 엘리자베스 프리먼,[40] 장 르클레르크,[41] 줄리아 크리스테바[42] 등은 에일레드의 글이 동성애적 언어가 아닌 전통적인 수도원 언어를 담고 있다고 반박했다.

루스 마조 카라스는 에일레드를 "심지어 순결하더라도 동성 간의 에로틱한 관계가 중요했던" 남성의 사례로 인용한다.[43] 브라이언 맥과이어 역시 에일레드를 "여성보다 다른 남성에게 육체적, 정신적으로 더 끌렸던 남자"로 받아들인다.[37]

마샤 L. 더튼은 에일레드의 성적 경험에 대해 알 방법이 없다고 말한다.[45]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라이언 맥과이어는 에일레드가 젊은 시절 다른 남성에게 마음을 빼앗겼을 가능성을 인정한다.[46]

현대에는 여러 게이 친화적인 단체가 에일레드를 수호성인으로 삼고 있다.[47][48]

6. 기타

에일레드는 일부 동성애자 친화 단체에서 수호성인으로 추대되었다. 미국의 성공회 단체인 Integrity USA와 필리핀의 성 에일레드 기사단 등이 그 예이다. 그의 이름을 딴 시설로는 미국 조지아주 비숍에 있는 성 알레드 가톨릭 교회( 성 베드로 의자 개인 관구의 일부), 요크에 있는 초등학교[52], 1990년에 폐쇄된 스코틀랜드 렌프루셔 글렌번에 있는 중등학교[53], 2011년에 폐쇄된 머지사이드 뉴턴리윌로스에 있는 중등학교[54], 2019년부터 독일 니더작센주 예버에 있는 은둔처(2012–2019년에는 쇼르텐스에도 있었음)[55] 등이 있다.

6. 1. 수호성인

일부 동성애자 친화 단체에서 에일레드를 수호성인으로 추대하였다. 미국의 성공회 단체인 Integrity USA와 필리핀의 성 에일레드 기사단 등이 그 예이다.

6. 2. 명칭 사용


  • 미국 조지아주 비숍에 있는 [http://staelred.org/ 성 알레드 가톨릭 교회]는 성 베드로 의자 개인 관구의 일부로, 에일레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요크에 있는 초등학교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2]
  • 스코틀랜드 렌프루셔 글렌번에 있는 그의 이름을 딴 중등학교가 1990년에 폐쇄되었다.[53]
  • 머지사이드 뉴턴리윌로스에 있는 그의 이름을 딴 중등학교가 2011년에 폐쇄되었다.[54]
  • 2019년부터 독일 니더작센주 예버에 그의 이름을 딴 은둔처가 있다(2012–2019년에는 쇼르텐스에도 있었음).[55]

참조

[1] 간행물 St. Ælred.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7-09-20
[2] 문서 Bell, "Ailred of Rievaulx (1110–1167)"
[3] 서적 Aspects of Church Reform in Wales, c.1093 -c.1223 https://books.google[...] Anglo-Norman Studies XXX, (C. P. Lewis, ed.), Boydell & Brewer Ltd 2008
[4] 문서 Aelred of Rievaulx: A Study SPCK 1969
[5] 문서 Vita A
[6] 서적 Brother and Lover 1994
[7] 간행물 The Lives of the Saints John Grant 1914
[8] 서적 Brother and Lover 1994
[9] 서적 Spiritual Friendship Cistercian Publications 2010
[10] 웹사이트 Aelred of Rievaulx (1110-1167, Friend and Counselor http://www.cslewisin[...] 2007-02
[11] 서적 Aelred of Rievaulx: A Study SPCK 1969
[12] 웹사이트 Saint Aelred of Rievaulx https://www.britanni[...]
[13] 문서 Vita Ailredi Abbatis Rievall' London 1959
[14] 서적 Aelred of Rievaulx: A Study SPCK 1969
[15] 문서 To the Synod at Troyes
[16] 서적 Spiritual Friendship Cistercian Publications 2010
[17] 서적 Spiritual Friendship Cistercian Publications 2010
[18] 문서 Vita Aelredi
[19] 문서 Vita A
[20] 웹사이트 Saint Aelred of Rievaulx https://www.britanni[...] 2020-01-08
[21] 서적 Brother and Lover 1994
[22] 서적 Brother and Lover 1994
[23] 서적 Christianity, Social Tolerance, and Homosexuality 1980
[24] 웹사이트 Amicitia https://oxfordre.com[...] 2015-12
[25] 웹사이트 Treatise on Friendship and Old Age http://faculty.sgc.e[...] 1903
[26] 웹사이트 St Augustine and friendship http://osa.org.au/en[...]
[27] 웹사이트 The Confessions of Saint Augustine https://www.sacred-t[...]
[28] 웹사이트 Spiritual Friendship https://www.cisterci[...] Cistercian Publications 2010
[29] 서적 Brother and Lover
[30] 웹사이트 Ailred https://archive.org/[...] 1905
[31] 서적 Aelred of Rievaulx: A Study SPCK 1969
[32]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Typis Vaticanis 2004
[33] 서적 The Liturgical Sermons The Reading-Cluny Collection, 1 of 2 Sermons 85-133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22-11-16
[34]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35] 웹사이트 Aelred of Rievaulx, Abbot and Theologian, 1167 https://www.episcopa[...] 2022-07-19
[36] 서적 Brother and Lover 1994
[37] 서적 Brother and Lover 1994
[38] 서적 Brother and Lover 1994
[39] 서적
[40] 서적 Cambridge Companion to Cistercianism 2013
[41] 서적 Love of Learning and Desire for God
[42] 서적 Companion to Aelred of Rievaulx
[43] 서적 Sexuality in Medieval Europe: Doing Unto Others 2005
[44] 서적
[45] 서적 A Companion to Aelred of Rievaulx 2017
[46] 서적 Brother and Lover 1994
[47] 웹사이트 Saint Aelred -the Patron Saint of Integrity http://www.sacredpau[...] Sacredpauses.com 1988-01-14
[48] 웹사이트 The Order of St Aelred (O.S.Ae) http://www.geocities[...] Webcitation.org
[49] 웹사이트 A St. Aelred Catechism https://walkingwithi[...] 2011-01-12
[50] 서적 Love of Learning and Desire for God
[51] 서적 Brother and Lover 1994
[52] 웹사이트 Schools directory - St. Aelred's Roman Catholic Primary School https://www.york.gov[...]
[53] 웹사이트 Region opts for closure of two high schools https://www.heraldsc[...] 1989-02-02
[54] 웹사이트 St Aelred's Catholic Technology College https://www.get-info[...]
[55] 웹사이트 kirchensite.de - online mit dem Bistum Münster: Ausgestiegen: Von der Bühne in die Klause http://kirchensite.d[...] 2013-07-20
[56] 웹사이트 Einsiedelei - St. Benedikt https://www.st-bened[...]
[57]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Saints Penguin Books 1995
[58] 문서
[59] 문서
[60] 문서
[61] 서적 Spiritual Friendship Collegeville, MI 2010
[62] 백과사전 St. Ælred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63] 웹사이트 Ailred of Rievaulx (1110–1167) "[[Aelred of Rievaul[...]
[64] 논문 Aspects of Church Reform in Wales, c.1093 -c.1223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2008
[65] 서적 Aelred of Rievaulx: A Study SPCK 1969
[66] 기타
[67] 서적 "The Lives of the Saints" John Grant 1914
[68] 서적 Spiritual Friendship Cistercian Publications 2010
[69] 웹사이트 "Aelred of Rievaulx (1110-1167, Friend and Counselor" http://www.cslewisin[...] 2007-02
[70] 서적 Spiritual Friendship Cistercian Publications 2010
[71] 서적 Aelred of Rievaulx: A Study SPCK
[72] 웹사이트 Saint Aelred of Rievaulx https://www.britanni[...]
[73] 서적 Walteri Danielis Vita Ailredi Abbatis Rievall London
[74] 서적 Aelred of Rievaulx: A Study SPCK
[75] 문서 To the Synod at Troyes
[76] 서적 Spiritual Friendship Cistercian Publications
[77] 서적 Spiritual Friendship Cistercian Publications
[78] 문서 Vita Aelredi
[79] 문서 Vita A
[80] 웹사이트 Saint Aelred of Rievaulx https://www.britanni[...] 2020-01-08
[81] 웹사이트 Funeral Oration on the Great S. Basil http://www.newadvent[...]
[82] 웹사이트 Amicitia https://oxfordre.com[...] 2015-12
[83] 웹사이트 Treatise on Friendship and Old Age http://faculty.sgc.e[...]
[84] 웹사이트 St Augustine and friendship http://osa.org.au/en[...]
[85] 웹사이트 The Confessions of Saint Augustine https://www.sacred-t[...]
[86] 웹사이트 Aelred of Rievaulx (1110-1167, Friend and Counselor http://www.cslewisin[...] 2007-02
[87] 서적 Spiritual Friendship https://www.cisterci[...] Cistercian Publications
[88] 웹사이트 Ailred of Rievaulx (1110–1167)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8-05
[89] 서적 Aelred of Rievaulx: A Study SPCK
[90]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Typis Vaticanis
[91] 웹사이트 Saint Aelred of Rievaulx https://www.britanni[...] 2020-01-08
[92]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93] 웹사이트 Aelred of Rievaulx, Abbot and Theologian, 1167 https://www.episcopa[...] 2022-07-19
[94] 문서 Boswell 1980
[95] 문서 Dictionary of the Middle Ages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96] 서적 Friendship and Community: The Monastic Experience, 350-1250
[97] 서적 Friendship and Community: The Monastic Experience, 350-1250
[98] 서적 In Defence of History
[99] 서적 A Companion to Aelred of Rievaulx
[100] 서적 Cambridge Companion to Cistercianism
[101] 서적 Love of Learning and Desire for God
[102] 서적 Love of Learning and Desire for God
[103] 서적 Companion to Aelred of Rievaulx
[104] 문서 De Institutione Inclusarum 3.31
[105] 웹사이트 Aelred of Rievaulx (1110-1167, Friend and Counselor http://www.cslewisin[...] 2007-02
[106] 웹사이트 Saint Aelred -the Patron Saint of Integrity http://www.sacredpau[...] Sacredpauses.com 1988-01-14
[107] 웹사이트 The Order of St Aelred (O.S.Ae) http://www.geocities[...] Webcitation.org
[108] 웹사이트 Schools directory - St. Aelred's Roman Catholic Primary School https://www.york.gov[...]
[109] 웹사이트 Region opts for closure of two high schools https://www.heraldsc[...] 1989-02-02
[110] 웹사이트 St Aelred's Catholic Technology College https://www.get-info[...]
[111] 웹사이트 kirchensite.de - online mit dem Bistum Münster: Ausgestiegen: Von der Bühne in die Klause http://kirchensite.d[...] 2013-07-20
[112] 웹사이트 Einsiedelei - St. Benedikt https://www.st-bened[...]
[113]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Saints Penguin Books 1995
[114] 문서
[115] 문서
[116] 문서
[117] 문서
[118] 간행물 St. Ælred. Robert Appleton Company 1907
[11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