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는 벨기에에서 열리는 가장 오래된 원데이 사이클 대회로, 1892년에 처음 개최되었다. 이 경주는 리에주에서 바스토뉴를 왕복하는 약 250~260km의 코스로 진행되며, 가파른 오르막길이 많아 '아르덴 클래식'으로 불린다. 에디 메르크스는 5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알레한드로 발베르데 또한 4번 우승했다. 2017년부터는 여성부 경기도 개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사이클 대회 - 더 호르덜
더 호르덜은 브뤼셀 기반의 자전거 행사 및 순환 경로를 의미하며, 호르덜루트 순환도로는 이를 기반으로 브뤼셀을 둘러싼 약 100km의 자전거 도로이다.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 |
---|---|
기본 정보 | |
이름 |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
로마자 표기 | Liege-Bastonje-Liejeu |
프랑스어 표기 | Liège–Bastogne–Liège |
별칭 | 라 두와이엔느 (La Doyenne, "가장 오래되고 존경받는 여성") |
분야 | 도로 |
종목 | 원데이 클래식 |
대회 정보 | |
시기 | 4월 말 |
지역 | 왈로니아, 아르덴, 벨기에 |
주최 | 아모리 스포르 오가니자시옹(ASO) |
디렉터 | 크리스티앙 프뤼돔 |
역사 | |
첫 대회 | 1892년 |
개최 횟수 | 110회 (2024년 기준) |
최다 우승자 | (5회 우승)}} |
관련 대회 | |
여자 대회 |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팜므 |
U23 대회 | U23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
UCI 정보 | |
대회 등급 | UCI 월드 투어 |
2. 역사
레옹 우아는 1892년 스파에서 바스토뉴를 왕복하는 250km 코스에서 열린 첫 대회에서 우승했다. 당시 자전거는 부유층의 전유물이었기 때문에 이 경기는 "신사들의 행사"로 여겨졌다.[9] 우아는 10시간 48분 만에 경주에서 우승했으며, 2위는 22분, 3위는 44분 늦게 들어왔다.[10]
1893년 우아는 다시 우승했고, 1894년에는 프로 선수들을 위한 첫 경기가 열려 이 대회에서도 우승하며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이후 14년 동안 경주는 열리지 않았다.
1908년,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는 프로 경기로 다시 시작되었고, 프랑스인 앙드레 트루셀리에가 우승했다. 1909년에는 외젠 샤를리에가 자전거 교체로 실격 처리되어 빅토르 파스트르가 우승자가 되었다.[10]
제1차 세계 대전으로 경기가 중단되었지만 1919년에 재개되었다.[10] 이 경주는 주로 벨기에인들이 우승했지만, 벨기에 북부 플란데런 지역에서 자전거 열풍이 불면서 이 지역 출신 선수들이 더 많이 참가하여 경주를 지배하기 시작했다. 플란데런 출신 알퐁스 셰퍼스는 전간기에 세 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대 후반, 이탈리아의 미켈레 바르톨리와 파올로 베티니는 각각 두 번의 우승을 거두며 라 도옌(La Doyenne)에서 이탈리아의 승리 전통을 이어갔다. 1997년 바르톨리와 로랑 자라베르는 결승선에서 40km 떨어진 라 레두트에서 결정적인 브레이크어웨이를 시도했다. 두 선수는 함께 협력했고, 바르톨리는 결승선 마지막 1km의 가파른 경사에서 프랑스 선수를 따돌렸다. 아르덴 대회 전문가인 자라베르는 2년 연속 2위를 차지했지만, ''도옌''에서 우승하는 데는 실패했다. 1999년 바르톨리는 세 번째 연속 우승을 노렸지만, 젊은 벨기에 선수 프랑크 반덴브루케가 레이스를 통제하고 승리하면서 그의 노력은 좌절되었다.[17]
2. 1. 초기 (1892-1913)
레옹 우아는 1892년 스파에서 바스토뉴를 왕복하는 250km 코스에서 열린 첫 대회에서 우승했다. 당시에는 자전거가 부유층의 전유물이었기 때문에 이 경기는 "신사들의 행사"로 여겨졌다.[9] 우아는 10시간 48분 만에 경주에서 우승했으며, 2위는 22분, 3위는 44분 늦게 들어왔다.[10]우아는 1893년에도 우승했으며, 1894년에는 프로 선수들을 위한 첫 경기가 열렸다. 우아는 이 대회에서도 우승하여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이후 14년 동안 경주는 열리지 않았다.
1908년,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는 프로 경기로 다시 시작되었고, 프랑스인 앙드레 트루셀리에가 우승했다. 1909년에는 외젠 샤를리에가 자전거 교체로 실격 처리되어 빅토르 파스트르가 우승자가 되었다.[10]
2. 2. 1차, 2차 세계 대전 기간 (1914-1945)
제1차 세계 대전으로 경기가 중단되었지만 1919년에 재개되었다.[10] 이 경주는 주로 벨기에인들이 우승했지만, 벨기에 북부 플란데런 지역에서 자전거 열풍이 불면서 이 지역 출신 선수들이 더 많이 참가하여 경주를 지배하기 시작했다. 플란데런 출신 알퐁스 셰퍼스는 전간기에 세 번의 우승을 차지했다.2. 3. 전후 ~ 1980년대
1990년대 후반, 이탈리아의 미켈레 바르톨리와 파올로 베티니는 각각 두 번의 우승을 거두며 라 도옌(La Doyenne)에서 이탈리아의 승리 전통을 이어갔다. 1997년 바르톨리와 로랑 자라베르는 결승선에서 40km 떨어진 라 레두트에서 결정적인 브레이크어웨이를 시도했다. 두 선수는 함께 협력했고, 바르톨리는 결승선 마지막 1km의 가파른 경사에서 프랑스 선수를 따돌렸다. 아르덴 대회 전문가인 자라베르는 2년 연속 2위를 차지했지만, ''도옌''에서 우승하는 데는 실패했다. 1999년 바르톨리는 세 번째 연속 우승을 노렸지만, 젊은 벨기에 선수 프랑크 반덴브루케가 레이스를 통제하고 그의 승리로 다른 선수들을 놀라게 하면서 그의 노력은 좌절되었다.[17]3. 코스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는 벨기에 동부 왈롱 지방의 리에주와 룩셈부르크를 가로지르는 코스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그리고 다시 북쪽으로 이어진다. 총 거리는 약 250~260km이다. 경주는 리에주 중심부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95km 떨어진 바스토뉴까지 이어진 후, 다시 리에주까지 163km의 구불구불한 코스를 거쳐 돌아온다.
코스 후반부에는 스토큐, 오트-르베, 라 레두트, 코트 드 라 로슈-오-포콘 등 수많은 언덕이 있다. 1991년까지 경주는 리에주의 도심에서 끝났으나, 1992년부터 결승선이 도시 북서쪽 산업 교외 지역인 앙으로 옮겨졌다. 가파른 생니콜라 언덕은 앙의 결승점까지 오르는 마지막 언덕으로 포함되었다.[25] 경로는 매년 약간씩 변경되지만, 라 레두트 언덕, 로슈 오 콩 언덕은 전통적으로 중요한 지점으로 남아있다.
아유바일에 있는 라 레두트 언덕은 평균 경사도 8.9%, 최대 20%가 넘는 경사를 가진 2km의 언덕으로, 이 대회의 상징적인 언덕이다. 2019년, 결승선은 다시 리에주 시내 중심부로 변경되었고, 생니콜라 언덕은 코스에서 제외되었다.[26][27]
3. 1. 주요 오르막 (2019년 기준)
4. 경기 특징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는 긴 거리와 가파른 오르막이 계속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힘든 원데이 레이스 중 하나로 꼽힌다. 매년 약 12개의 오르막이 나오는데, 그 길이, 경사, 난이도가 다양해서 선수들에게 공격 기회를 제공한다.
4회 우승자 모레노 아르젠틴은 리에주에서 우승하는 선수들은 지구력이 뛰어난 '폰디스티'(fondisti)라고 불리는 선수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라 레두트 오르막은 뮈르 드 위와 같이 펠로톤 선두에서 빠른 속도로 공략해야 하며, 220km 또는 230km를 달린 후에 14~15% 정도의 경사도가 나타나기 때문에 얼마나 힘든지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많은 선수들이 가장 어려운 부분에서 공격해야 한다고 오해하지만, 실제로는 이 구간 후에 나오는 약간 평탄한 구간에서 다른 선수들을 지치게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28]
리에주는 강인함과 동시에 영리하고 계산적인 면모가 필요하며, 마지막 100km 전에 브레이크 어웨이가 성공하여 레이스의 결과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드물다. 이러한 점에서 사이클 선수의 능력을 종합적으로 시험하는 레이스라고 할 수 있다.[28]
4월의 날씨는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경주는 혹독한 기상 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919년, 1957년, 1980년, 그리고 2016년에는 심한 눈이 내렸다. 특히 1980년에는 시작부터 눈이 내리고 기온이 영하에 가까워 해설자들이 "'Neige-Bastogne-Neige'" (눈-바스토뉴-눈)라고 부를 정도였다. 베르나르 이노는 80km를 남겨두고 공격하여 10분 가까이 앞서 결승선을 통과했으며, 완주한 선수는 174명의 출발 선수 중 21명뿐이었다. 이노는 오른손 두 손가락의 정상적인 움직임이 돌아오기까지 3주가 걸렸다.
5. 역대 우승자
연도 | 국가 | 라이더 | 팀 |
---|---|---|---|
1892 | 레옹 우아 | – | |
1893 | 레옹 우아 | – | |
1894 | 레옹 우아 | – | |
1895–1907 | 경주 없음 | ||
1908 | 앙드레 트루셀리에 | – | |
1909 | 빅토르 파스트레 | – | |
1910 | 경주 없음 | ||
1911 | 조제프 판 달레 | – | |
1912 | 오메르 베르쇼레 | – | |
1913 | 모리스 모리츠 | – | |
1914–1918 | 경주 없음 | ||
1919 | 레옹 드보 | – | |
1920 | 레옹 시외르 | 라 스포르티브 | |
1921 | 루이 모티아 | 라 스포르티브 | |
1922 | 루이 모티아 | ||
1923 | 르네 베르망델 | ||
1924 | 르네 베르망델 | ||
1925 | 조르주 롱스 | – | |
1926 | 디외도네 스메츠 | – | |
1927 | 모리스 라스 | – | |
1928 | 에르네스트 모타르 | – | |
1929 | 알퐁스 스헤페르스 | – | |
1930 | 헤르만 부제 | Duerkopp | |
1931 | 알퐁스 스헤페르스 | ||
1932 | 마르셀 위유 | – | |
1933 | 프랑수아 가르디에 | Cycles De Pas | |
1934 | 테오 헤르켄라트 | ||
1935 | 알퐁스 스헤페르스 | Dilecta | |
1936 | 알베르 베카르트 | ||
1937 | 엘루아 묄렌베르흐 | ||
1938 | 알퐁스 델루 | ||
1939 | 알베르 리체르벨트 | Dilecta–De Dion | |
1940–1942 | 경주 없음 | ||
1943 | 리샤르 드푸르테르 | ||
1944 | 경주 없음 | ||
1945 | 장 엥엘스 | ||
1946 | 프로스페르 데프레돔 | Dilecta–Wolber–Garin | |
1947 | 리샤르 드푸르테르 | Garin–Wolber | |
1948 | 모리스 몰린 | ||
1949 | 카미유 당기욤 | ||
1950 | 프로스페르 데프레돔 | Girardengo | |
1951 | 페르디난트 퀴블러 | ||
1952 | 페르디난트 퀴블러 | ||
1953 | 알루아 더 헤르토흐 | ||
1954 | 마르셀 에른처 | Terrot–Hutchinson | |
1955 | 스탄 오커르스 | Elvé–Peugeot | |
1956 | 프레트 더 브라위너 | ||
1957 | 프란스 스하우벤 | Elvé–Peugeot | |
헤르만 더 레이크 | |||
1958 | 프레트 더 브라위너 | ||
1959 | 프레트 더 브라위너 | ||
1960 | 알베르튀스 헬데르만스 | ||
1961 | 릭 판 로이 | ||
1962 | 예프 플랑카르트 | ||
1963 | 프란스 멜컨베이크 | ||
1964 | 빌리 블록란트 | ||
1965 | 카르미네 프레치오시 | ||
1966 | 자크 앙케틸 | ||
1967 | 발터 고데프로트 | ||
1968 | 발레러 판 스베벌트 | ||
1969 | 에디 메르크스 | ||
1970 | 로허 더 플라밍크 | ||
1971 | 에디 메르크스 | ||
1972 | 에디 메르크스 | ||
1973 | 에디 메르크스 | ||
1974 | 조르주 팽턴스 | ||
1975 | 에디 메르크스 | ||
1976 | 조제프 브뤼예르 | ||
1977 | 베르나르 이노 | ||
1978 | 조제프 브뤼예르 | ||
1979 | 디트리히 튀라우 | ||
1980 | 베르나르 이노 | ||
1981 | 요제프 푹스 | ||
1982 | 실바노 콘티니 | ||
1983 | 스테번 록스 | ||
1984 | 숀 켈리 | ||
1985 | 모레노 아르젠틴 | ||
1986 | 모레노 아르젠틴 | ||
1987 | 모레노 아르젠틴 | ||
1988 | 아드리 판 데르 풀 | ||
1989 | 숀 켈리 | ||
1990 | 에릭 판 랑커르 | ||
1991 | 모레노 아르젠틴 | ||
1992 | 디르크 더 볼프 | ||
1993 | 롤프 쇠렌센 | ||
1994 | 예브게니 베르진 | ||
1995 | 마우로 자네티 | ||
1996 | 파스칼 리샤르 | ||
1997 | 미켈레 바르톨리 | ||
1998 | 미켈레 바르톨리 | ||
1999 | 프랑크 반덴브루케 | ||
2000 | 파올로 베티니 | ||
2001 | 오스카르 카멘친트 | ||
2002 | 파올로 베티니 | ||
2003 | 타일러 해밀턴 | ||
2004 | 다비데 레벨린 | ||
2005 | 알렉산드르 비노쿠로프 | ||
2006 | 알레한드로 발베르데 | ||
2007 | 다닐로 디 루카 | ||
2008 | 알레한드로 발베르데 | ||
2009 | 앤디 슐렉 | ||
2010 | 알렉산드르 비노쿠로프 | ||
2011 | 필리프 질베르 | ||
2012 | 막심 이글린스키 | ||
2013 | 다니엘 마틴 | ||
2014 | 사이먼 게런스 | ||
2015 | 알레한드로 발베르데 | ||
2016 | 바웃 풀스 | ||
2017 | 알레한드로 발베르데 | ||
2018 | 밥 융겔스 | ||
2019 | 야코브 푸글상 | ||
2020 | 프리모슈 로글리치 | ||
2021 | 타데이 포가차르 | ||
2022 | 렘코 에베네풀 | ||
2023 | 렘코 에베네풀 | ||
2024 | 타데이 포가차르 |
-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는 '''다회 우승자''' 정보와 '''국가별 우승 횟수''' 정보는 이 섹션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 1957년 우승자는 공동 우승으로, 표의 한 행에 두 명의 선수와 팀을 모두 표시하고, 이후 행은 rowspan=2로 병합한다.
- 국가 표기는 , 등 약자를 사용한다.
5. 1. 다회 우승자
우승 횟수 | 선수 | 연도 |
---|---|---|
5 | 1969, 1971, 1972, 1973, 1975 | |
4 | 1985, 1986, 1987, 1991 | |
2006, 2008, 2015, 2017 | ||
3 | 1892, 1893, 1894 | |
1929, 1931, 1935 | ||
1956, 1958, 1959 | ||
2 | 1921, 1922 | |
1923, 1924 | ||
1943, 1947 | ||
1946, 1950 | ||
1951, 1952 | ||
1976, 1978 | ||
1977, 1980 | ||
1984, 1989 | ||
1997, 1998 | ||
2000, 2002 | ||
2005, 2010 | ||
2022, 2023 | ||
2021, 2024 |
5. 2. 국가별 우승 횟수
6. 아르덴 클래식
라 플레슈 발론과 함께 아르덴 클래식으로 불린다. 두 경주 모두 모리 스포츠 기구(ASO)에서 주최한다.
라 플레쉬 발론("발롱의 화살")은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보다 역사가 짧지만, 오랫동안 두 아르덴 클래식 중 더 권위 있는 행사로 여겨졌으며, 이는 경주의 명성과 중요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한때, 라 플레쉬 발론과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는 "르 위켄드 아르데네"로 알려진 연이은 날에 열렸으며,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는 토요일에, 라 플레쉬 발론은 일요일에 개최되었다.
같은 해에 두 경주를 모두 우승한 선수는 단 7명뿐이다. 다음은 두 경주를 모두 우승한 선수 명단이다.
선수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알레한드로 발베르데 (스페인) | 3 | 2006년, 2015년, 2017년 |
페르디난트 퀴블러 (스위스) | 2 | 1951년, 1952년 |
스탄 오커스 (벨기에) | 1 | 1955년 |
에디 메르크스 (벨기에) | 1 | 1972년 |
필리프 질베르 (벨기에) | 1 | 2011년 |
모레노 아르젠틴 (이탈리아) | 1 | 1991년 |
다비데 레벨린 (이탈리아) | 1 | 2004년 |
2011년 벨기에의 필리프 질베르는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에서 우승하여 10일 만에 클래식 경기에서 독특한 연승을 기록했다. 질베르는 이전에 브라반체 파일, 암스텔 골드 레이스와 라 플레쉬 발론에서 우승하여 4월의 언덕이 많은 클래식 경기에서 역사적인 "쿼드러플"을 달성했다. 질베르는 룩셈부르크 형제 프랭크와 앤디 슐렉을 세 명의 스프린트에서 이겼다.[30]
7.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Femmes
UCI 여자 월드 투어에 속한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여성 경기가 2017년에 신설되어, 플레쉬 왈론 여성부와 여자 아미스텔 골드 레이스에 이어 개최되었다.[31] 첫 대회는 2017년 4월 23일에 열렸으며, 네덜란드의 올림픽 챔피언 안나 반 데르 브레겐이 우승을 차지했다.[32]
이 경주는 135.5km로, 남자 경주의 약 절반 거리에 해당한다. 리에주가 아닌 바스토뉴에서 출발하여 리에주를 거쳐 북쪽으로 향하며, 남자 경주와 동일하게 안스에서 끝난다. 코스에는 코트 드 라 베퀘, 라 로트 코트, 코트 드 라 로슈 오 팔콘, 생 니콜라 코트 등 4개의 등반 구간이 포함되어 있으며, 마지막 등반 구간인 생 니콜라의 정상은 결승선에서 5.5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33]
참조
[1]
웹사이트
Tour de France 2015
http://www.letour.fr[...]
2011-02-26
[2]
간행물
Cycling Weekly
UK
1993-03-13
[3]
간행물
Cycling Weekly
UK
1992-03-07
[4]
문서
[5]
뉴스
Spring Classics: How to win cycling's hardest one-day races
https://www.bbc.co.u[...]
BBC Sport
2015-03-27
[6]
웹사이트
Alejandro Valverde takes Liege-Bastogne-Liege
http://velonews.comp[...]
2016-10-03
[7]
뉴스
UCI announce 2017 Women's WorldTour calendar
http://www.cyclingne[...]
2016-10-17
[8]
뉴스
UCI unveils 2017 Women's WorldTour
http://velonews.comp[...]
2016-10-17
[9]
간행물
Cycling Weekly
UK
2002-04-13
[10]
웹사이트
Liège–Bastogne–Liège
http://bikeraceinfo.[...]
Bike Race Info
2012-04-22
[11]
간행물
Procycling
UK
2000-05
[12]
서적
Le Klassiekers
Lannoo
2007
[13]
웹사이트
1971 Liège-Bastogne-Liège
http://www.bikeracei[...]
[14]
웹사이트
Liège–Bastogne–Liège's cold memories
http://autobus.cycli[...]
2008-04-24
[15]
웹사이트
Liège favorite du Tour 2004
http://archives.leso[...]
2012-02-27
[16]
서적
Le Tour de France : un modèle médiatique
Presses universitaires du Septentrion
2003
[17]
웹사이트
presents the Luik-Bastenaken-Luik 1999
http://autobus.cycli[...]
[18]
웹사이트
Vino the Vainqueur
http://autobus.cycli[...]
2011-08-23
[19]
웹사이트
sporza video: 2005: Aleksander Vinokoerov
http://sporza.be/cm/[...]
2015-05-26
[20]
뉴스
Schleck takes impressive Liege win
http://news.bbc.co.u[...]
BBC Sport
2009-04-26
[21]
뉴스
Liège-Bastogne-Liège 2010: Alexander Vinokourov back on summit with Belgian win
https://www.telegrap[...]
2010-04-26
[22]
웹사이트
Archives – L'illustré
http://www.illustre.[...]
[23]
웹사이트
Vinokourov and Kolobnev charged with bribery
http://velonews.comp[...]
[24]
웹사이트
Valverde wins Liège–Bastogne–Liège
http://www.cyclingne[...]
Immediate Media Company
2017-04-23
[25]
웹사이트
Liège–Bastogne–Liège change de visage, délaisse Stockeu et aborde de nouvelles côtes
http://archives.leso[...]
1990-02-24
[26]
웹사이트
2019 Liege-Bastogne-Liege features city centre finale and return of Stockeu
http://www.cyclingne[...]
Immediate Media Company
2019-03-08
[27]
웹사이트
Official Race Website
https://www.liege-ba[...]
ASO
2024-04-28
[28]
간행물
Procycling
UK
2001-03
[29]
웹사이트
The Race – Liège > Liège – Liège Bastogne Liège 2019
https://www.liege-ba[...]
letour.com
2009-04-27
[30]
웹사이트
Gilbert nets historic quadruple in Liège–Bastogne–Liège
http://www.cyclingne[...]
2011-04-24
[31]
웹사이트
Women's teams gear up for historic first Ardennes triple New Amstel Gold and Liège–Bastogne–Liège races bring fresh spark to the Classics
http://www.cyclingne[...]
2018-04-14
[32]
웹사이트
Van der Breggen wins the first ever Liege-Bastogne-Liege Femmes
http://www.cyclingne[...]
Immediate Media Company
2017-04-23
[33]
웹사이트
A.S.O. a dévoilé aujourd'hui les parcours de La Flèche Wallonne et de Liège–Bastogne–Liège version féminine, Van Der Breggen se rapproche de Marianne Vos.
http://www.velo101.c[...]
2018-04-14
[34]
웹사이트
リエージュ~バストーニュ~リエージュ2019
https://www.cyclesp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