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네세 법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네세 법전은 14세기 초에 제작된, 12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초까지 활동한 135명의 민네징어들의 작품을 모은 선집이다. 취리히의 마네세 가문의 후원으로 제작되었으며, 각 시인의 초상화와 작품 텍스트가 함께 수록되어 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왕, 공작, 기사, 평민 등 다양한 계층의 시인들의 작품을 담고 있으며, 민네장 외에도 우화, 교훈시 등 다양한 장르의 시를 포함한다. 현재는 하이델베르크의 팔라티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9세기 초에 최초의 비평판이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 고지독일어 문학 - 보름스의 장미원
《보름스의 장미원》은 부르군트 왕국의 크림힐트가 보름스에 가진 장미 정원을 배경으로, 판본에 따라 지크프리트의 용맹을 시험하거나 에첼 왕의 도전을 다루는 독일 영웅 서사시이다.
마네세 법전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그로세 하이델베르거 리더한트슈리프트 (Große Heidelberger Liederhandschrift, 위대한 하이델베르크 가곡 필사본) |
유형 | 가곡 필사본 |
제작 시기 | 1304년경 |
완성 시기 | 1340년경 |
제작 장소 | 취리히 |
언어 | 중고 독일어 |
기록자 | 미상 |
저자 | 약 140명의 미네쟁어 |
편집자 | 미상 |
삽화가 | 미상 |
후원자 | 마네세 가문 |
헌정 대상 | 미상 |
물리적 특징 | |
재료 | 양피지 |
크기 | 426면 |
형식 | 350 x 250 mm, 2단 |
상태 | 미상 |
글씨체 | 텍스투라 |
내용 | |
내용물 | 미네장 |
삽화 | 137개의 전면 삽화, 롬바르디아 문자 |
추가 사항 | 미상 |
원본 | 미상 |
보관 | |
현재 보관 장소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도서관, Cpg 848 |
이전 보관 장소 | 미상 |
발견 | 미상 |
등록 번호 | 미상 |
기타 정보 |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등재됨 |
참고 문헌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도서관 - Codex Manesse Codex Manesse Admitted to UNESCO World Documentary Heritage (Informationsdienst Wissenschaft – Nachrichten, 2023년 5월 18일) UNESCO-Weltdokumentenerbe Codex Manesse (Deutsche UNESCO-Kommission)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
2. 제작 배경 및 역사
마네세 법전은 취리히의 마네세 가문, 특히 루디거 2세 마네세(1252년 이전 출생, 1304년 이후 사망)의 후원으로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법전은 민네장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카를 라흐만이 도입한 분류법에 따라 다른 주요 초기 민네장 법전인 『작은 하이델베르크 가요 필사본』(A)과 『바인가르트너 가요 필사본』(B)에 이어 ''C''로 지칭된다.
2. 1. 필사본의 유전
마네세 법전의 편찬은 취리히의 마네세 가문의 후원을 받았으며, 아마도 루디거 2세 마네세(1252년 이전 출생, 1304년 이후 사망)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마네세 가문은 14세기 말에 쇠퇴하여 1393년에 그들의 성을 매각했다. 15세기에 법전의 행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1590년대에는 호엔작스 남작 요한 필리프의 소유가 되었다(그의 조상 두 명이 법전에 묘사되어 있는데, 48v와 59v에 있다). 1604년, 멜키오르 골다스트는 이 법전의 교훈적인 텍스트를 발췌하여 출판했다.1657년 이후 이 법전은 프랑스 왕립 도서관에 소장되었고, 이후 국립 도서관으로 넘어갔으며, 1815년 야코프 그림이 이 필사본을 연구했다. 1888년, 오랜 협상 끝에 빌헬름 1세와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주도한 공개 기금 모금에 따라 하이델베르크의 팔라티나 도서관에 판매되었다.
『마네세 법전』의 최초 비평판은 19세기 초에 출판되었다. 이 법전은 민네장 연구자들과 판본에서 종종 간단하게 ''C''로 언급되는데, 이는 카를 라흐만이 도입한 것으로, 그는 두 개의 주요 초기 민네장 법전(각각 『작은 하이델베르크 가요 필사본』과 『바인가르트너 가요 필사본』)에 대해 ''A''와 ''B''를 사용했다.
15세기에 제작된 필사본 사본의 2개 잎으로, 『트로스 단편』으로 불리는 이 단편은 베를린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1945년에 분실되었고, 현재는 크라쿠프의 야гел론 도서관에 있다(Berol. mgq 1146).
3. 내용 및 구성
마네세 법전은 12세기 중반에서 14세기 초까지 활동한 총 135명[7]의 민네징어들의 작품을 모아 놓은 선집이다. 법전의 각 항목은 해당 시인의 초상화로 시작하며, 그 뒤에 시인의 작품 텍스트가 이어지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8]
수록된 시인들은 사회적 지위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데, 가장 높은 지위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를 시작으로 왕(콘라딘, 벤체슬라우스 2세), 공작, 백작, 기사를 거쳐 평민 순서로 나열된다. 이는 당시 사회의 계급 구조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법전에 실린 작품 대부분은 궁정 연애 시인 ''민네장''이지만, 우화나 슈프루흐디히퉁(교훈시)과 같은 다른 장르의 시들도 포함되어 있다. 수록된 시인들의 활동 시기는 매우 폭넓어서, 법전 편찬 시점으로부터 이미 100년 이상 전에 활동했던 인물부터 동시대 인물, 그리고 가장 늦게는 14세기 초에 활동한 인물의 작품까지 담고 있다.
각 시인을 묘사한 초상화는 다양한 특징을 보여준다. 일부 귀족 시인들은 문장이 새겨진 갑옷을 입고 완전 무장한 모습으로 마상 시합이나 전투 장면 속에 그려지기도 한다.[9] 어떤 초상화는 시인의 실제 생애나 이름의 의미를 반영하기도 하며(예: '사람의 말'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디트마르가 노새를 타고 있는 모습), 또 다른 초상화는 시인이 쓴 가사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가 자신의 유명한 시 내용처럼 사색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모습).
3. 1. 수록 시인
마네세 법전은 12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초까지 활동했던 총 135명의[7] 민네징어들의 작품을 모아놓은 선집이다. 각 시인마다 초상화가 실려 있고, 그 뒤에 해당 시인의 작품이 이어진다.[8] 수록된 시인들은 사회적 지위에 따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부터 시작하여 왕(콘라딘, 벤체슬라우스 2세), 공작, 백작, 기사, 평민 순서로 정렬되어 있다. 이는 당시의 계급 사회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수록된 작품 대부분은 민네장이지만, 우화나 슈프루흐디히퉁(교훈시) 같은 다른 장르의 시도 포함되어 있다. 수록된 시인 중에는 법전 편찬 시점보다 100년 이상 전에 활동했던 인물부터 동시대 인물까지 다양하며, 가장 나중에 추가된 작품은 14세기 초의 것이다.
초상화에서는 일부 귀족들이 문장과 갑옷으로 무장하고 마상 시합이나 전투 장면을 연출하는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한다.[9] 어떤 그림은 시인의 생애나 이름(예: '사람의 말'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디트마르가 노새를 타고 있는 모습), 혹은 작품 내용(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가 자신의 유명한 시 내용처럼 사색적인 자세를 취한 모습)을 반영하여 그려졌다.
수록된 시인 목록은 다음과 같다.
원고 페이지 (Folio) | 시인 | 비고 |
---|---|---|
6r | 하인리히 6세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1165–1197) |
7r | 콘라딘 | 왕 (1252–1268) |
8r | 티롤 운트 프리데브란트 Tirol und Fridebrantde | 13세기 전반 추정 서사시 (시인 이름 아님) |
10r | 바츨라프 2세 | 보헤미아 및 폴란드 왕 (1271–1305) |
11v | 헨리크 4세 프로부스 | 브레슬라우 공작 (1258–1290) |
13r | 오토 4세 |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1266–1308) |
14v | 하인리히 폰 마이센 | 마이센 변경백 (1215–1288) |
17r | 안할트 백작 하인리히 1세 | 백작 (c. 1170–1252) |
18r | 브라반트 공작 요한 1세 | 브라반트 공작 (1252/1253–1294) |
20r | 루돌프 폰 노이엔부르크 Rudolf von Neuenburgde 백작 | 루돌프 2세 (1192년 사망) 또는 조카 루돌프 1세 (1258년 사망) |
22v | 토겐부르크의 크라프트 백작 | 아마도 토겐부르크의 크라프트 3세 (1339년 사망) |
24r | 키르히베르크의 콘라트 백작 | 콘라트 2세 (1275–1326년 활동) 또는 사촌 콘라트 3세 (1281–1315년) |
26r | 프리드리히 폰 라이닝겐 Friedrich von Leiningende 백작 | 아마도 프리드리히 2세 (1237년 사망) |
27r | 오토 폰 보텐라우벤 백작 | (1244년 사망) |
29r | 호엔부르크 Grafen von Hohenburgde 변경백 | 디폴트 5세 폰 포흐부르크 (1205–1225 활동) 또는 아들 베르톨트 4세 Berthold von Hohenburgde (1256년 사망) |
30r | 헤르 하인리히 폰 벨데케 | (1184년 이후 사망) |
32v | 헤르 고트프리트 폰 나이펜 | (1279년 사망) |
42r | 알브레히트 폰 하이거로흐 백작 | 호엔베르크 백작 (1298년 사망) |
43v | 베르너 폰 홈베르크 백작 | (1320년 사망) |
46v | 헤르 야콥 폰 바르트 Jakob von Wartde | (1331년 사망) |
48v | 형제 에버하르트 폰 작스 Eberhard von Saxde | (1309년 활동) |
52r | 헤르 발터 폰 클링겐 | (1240–1280년대 활동) |
54r | 헤르 루돌프 폰 로텐부르크 | (1287년 활동) |
59v | 헤르 하인리히 폰 작스 | 아마도 하인리히 2세 (1235–1289) |
61v | 헤르 하인리히 폰 프라우엔베르크 Heinrich von Frauenbergde | (1284–1305년 활동) |
63r | 퀴렌베르크 | (12세기) |
64r | 헤르 디트마르 폰 아이스트 | (1140–1160년대 활동) |
66v | 폰 글리어스 | 아마도 빌헬름 폰 글리어스 (1267–1317년 활동) |
69r | 헤르 베르너 폰 토이펜 | (1220년 활동) |
70v | 헤르 하인리히 폰 슈트레텔링겐 Heinrich von Stretelingende | 하인리히 2세 (1250년대 활동) 또는 아들 하인리히 3세 (1294년 사망) |
71v | 헤르 크리스탄 폰 함레 | 아마도 13세기 튀링겐의 작가, 그 외 미상 |
73r | 헤르 울리히 폰 구텐부르크 | (1170년대 활동) |
75v | 헤르 하인리히 폰 데어 무레 Heinrich von der Murede | (1223–1263년 활동), 도미니코 수도사, 아이히슈테트 및 아우크스부르크 수도원장 |
76v | 헤르 하인리히 폰 모룽겐 | (1210년대 활동) |
82v | 쉔크 폰 림푸르크 | 발터 1세 (1230–1240년대 활동) 또는 아들 발터 2세 또는 콘라트 1세 폰 림푸르크 Konrad I von Limpurgde |
84v | 쉔크 울리히 폰 빈터슈테텐 | (1250–1270년대 활동) |
98r | 헤르 라인마르 데어 알테 | (12세기 후반 활동) |
110r | 헤르 부르카르트 폰 호헨펠스 Burkart von Hohenfelsde | (1220–1230년대 활동) |
113v | 헤르 헤소 폰 라이나흐 | (1234–1275/76) |
115r | 리엔츠 부르크그라프 | (13세기 초 활동) |
116v | 헤르 프리드리히 폰 하우젠 | (1188년 이후 사망) |
119v | 리텐부르크 부르크그라프 | 헨리크 4세 (1174–1184년 활동) 또는 오토 3세 (1154–1185년 활동) |
120v | 헤르 마인로 폰 세벨링겐 | (12세기 중반) |
122r | 헤르 하인리히 폰 루게 Heinrich von Ruggede | (1170년대 활동) |
124r | 헤르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 | (c. 1170–1230) |
146r | 헤르 힐트볼트 폰 슈방가우 Hiltbolt von Schwangaude | (1221–1254년 활동) |
149v | 헤르 볼프람 폰 에셴바흐 | (c. 1170 – c. 1220) |
151r | 징겐베르크 | 성 갈렌 수도원의 궁내관 (아마도 울리히 폰 징겐베르크 Ulrich von Singenbergde, 1220년대 활동) |
158r | 폰 작센도르프 | 미상; 울리히 폰 리히텐슈타인이 오스트리아의 프리드리히 2세를 섬기는 것으로 언급됨 |
160v | 바흐스무트 폰 퀸칭겐 Wachsmut von Künzingende | 미상, 아마도 룩셈부르크 클레망스 출신 |
162v | 헤르 빌헬름 폰 하인첸부르크 | 아마도 윌리엄 3세 (1264–1292년 활동) |
164v | 헤르 로이톨트 폰 제벤 Leuthold von Sevende | (1218년 활동) |
166v | 헤르 발터 폰 메체 | (1276년 이전 사망), 그 외 미상 |
169v | 헤르 루빈 | 미상 (13세기 중반) |
178r | 헤르 베르너 폰 호르하임 | (12세기 후반) |
179v | 폰 요한스도르프 | 알브레히트 (1172–1209년 활동) |
181v | 헤르 엥겔하르트 폰 아델른부르크 | (1200년 또는 1220년대 활동, 아마도 동명의 아버지와 아들) |
182v | 헤르 블리거 폰 슈타이나흐 | 아마도 블리거 2세 (12세기 후반-13세기 초 활동) |
183v | 헤르 바흐스무트 폰 뮐하우젠 | (1267년 활동) |
184v | 헤르 하르트만 폰 아우에 | (c. 1160–1210) |
188r | 헤르 라인마르 폰 브레넨베르크 | (1270년대 활동) |
190v | 요한 폰 링겐베르크 | 아마도 요한 1세 (1291–1350) |
192v | 알브레히트 마르샬 폰 라퍼스빌 | (c. 1280년 활동) |
194r | 헤르 오토 폼 튜르네 | 루체른 출신 (후기 추가, 1300년 이후 활동) |
197v | 헤르 고에슬리 폰 에헨하인 | 스트라스부르 출신; 그 외 미상 |
201r | 데어 폰 빌도니 | 아마도 헤란트 2세, 리히텐슈타인의 울리히의 딸과 결혼 |
202v | 폰 수오네게 | 아마도 콘라트 폰 수오네게 (1220–1230년대 활동) |
204r | 폰 샤르펜베르크 | 라차흐 출신 (13세기 중반) |
205r | 헤르 콘라트, 폰 란덱 쉔크 | 투르가우 출신 (1271–1306) |
213r | "데어 빈스베케" | 수반되는 부자 훈계 시의 저자로 추정; 빈스베케가 역사적 인물인지 허구적 인물인지 불분명함 |
217r | "디 빈스베킨" | 수반되는 모녀 훈계 시의 저자로 추정; 빈스베킨이 역사적 인물인지 허구적 인물인지 불분명함 |
219v | "헝가리 왕국 클링소르" | 젠거크리크 시를 소개하는 허구적 인물 |
226v | 튀링겐의 크리스탄 폰 루핀 | (1290년대 활동) |
228r | 헤르 하인리히 헤츠볼드 폰 바이스제 | (14세기 초) |
229v | 데어 듀링 | 미확인 튀링겐 시인 (13세기 후반) |
231r | 빈리 | 미확인 알레만니아 시인 (c. 1300) |
237r | 헤르 울리히 폰 리히텐슈타인 | (c. 1200–1275) |
247v | 폰 무네기우르 | 이름은 울리히, 그 외 미상 |
248v | 폰 라우테 | 이름은 하르트비히 (c. 1200 활동), 그 외 미상 |
249v | 헤르 콘라트 폰 알트슈테텐 | 아마도 1320–1327년 인증된 장크트갈렌 시장 |
251r | 헤르 브루노 폰 호른베르크 | 아마도 브루노 2세 (1275–1310년 활동) |
252r | 헤르 후크 폰 베르벤바크 | (13세기 중반 활동, 아마도 1292년 이후 사망) |
253v | 데어 퓔러 | 콘라트 "아풀리아의" 폰 호엔부르크, 아마도 1278년 루돌프 1세가 보헤미아의 오토카르 2세에 대항한 원정에 참여 |
255r | 폰 트로스트베르크 | 미니스테리알레의 아르가우 또는 티롤 가문의 미확인 구성원 |
256v | 하르트만 폰 슈타르켄베르크 | 베르덴베르크-사르간스 출신, 하르트만 1세 (1250년대 활동) 또는 아들 하르트만 2세 (1270년대 활동) |
257v | 폰 슈타데게 | 루돌프 2세, 주요 슈타이어마르크 민네징어 중 한 명 (1230–1250년대 활동) |
258v | 헤르 브룬바르트 폰 아우크하임 | (13세기 후반) |
261r | 폰 슈탐하임 | 미확인; c. 1240년대 활동 |
262v | 헤르 괴리 | 바덴 출신 (13세기) |
264r | 데어 탄호이저 | 탄하우젠 출신 (1240–1260년대 활동); 튜턴 기사단의 일원으로 묘사됨 |
271r | 폰 부흐하임 | (13세기 후반) |
273r | 헤르 나이트하르트 | 바이에른 남부 출생 (c. 1200) |
281v | 마이스터 하인리히 테슐러 | 취리히 출신 (13세기 후반), 뤼디거 마네세의 후원 |
285r | 로스트, 자르넨의 교회장 | 1313년에서 1330년 사이 취리히에서 필사본 제작 서기로 추정 |
290r | 데어 하르데거 | 아마도 Henricus de Hardegge, 렙슈타인 출신 (1230–1270년대 활동) |
292v | 슐마이스터 폰 에슬링겐 | (13세기 후반) |
295r | 발터 폰 브라이자흐 | (초상화 없음) |
299r | 폰 비센로 | 아마도 비즐로흐; 미확인 |
300r | 폰 벵겐 | 부르차르트 (1230–1270년대 활동), 토겐부르크 백작의 미니스테리알레 가문 구성원 |
302r | 헤르 페펠 | 미확인 (12세기 중반) |
303r | 데어 탈러 | 아마도 레우톨트 폰 탈, 라인엑 근처 (1250년 활동) |
305r | 데어 투겐드하프테 슈라이버 | ("덕이 있는 서기"; 미확인, 젠거크리크의 등장인물) |
308v | 슈타인마르 | 아마도 베르톨트 슈타인마르 폰 클링나우 (13세기 후반 활동) |
311r | 헤르 알람 폰 그레슈텐 | 미확인, 아마도 오스트리아 남부의 그레슈텐 출신 |
312r | 헤르 라인마르 데어 피들러 | 미확인 (13세기 중반 활동) |
313r | 헤르 하와르트 | 아마도 1258년 아우크스부르크의 캐논 하와르두스 데 홀츠바네 |
314v | 헤르 귄터 폰 뎀 포어슈테 | 미확인 |
316v | 헤르 프리드리히 데어 크네히트 | 미확인, 오스트리아-바이에른 방언 시 (13세기 전반); 초상화는 기마 상태로 여인 납치 및 추격자 격퇴 모습 |
318r | 레겐스부르크 부르크그라프 | 아마도 하인리히 3세 폰 스테베닝 운트 리텐부르크 (1126–1177년 활동) |
319r | 헤르 니우네 | 미확인; 시인이 아니라 노래책 소유자일 가능성 |
320v | 헤르 겔타르 | 미확인; 시는 1230-1250년 사이 작성, 아마도 오스트리아 남부 출신 |
321v | 헤르 디트마르 데어 제처 | 미확인; 초상화는 비기마 상태로 검과 히터 실드를 들고 싸우는 모습 |
323r | 헤르 라인마르 폰 츠베터 | (1230년대 활동) |
339r | 데어 융에 마이스너 | 미확인; 시는 중부 독일 방언 |
342r | 데어 알테 마이스너 | (초상화 없음) |
342v | 폰 오버른부르크 | 미확인; 아마도 13세기 중반, 첼레 근처 오버른부르크 출신 |
344v | 브루더 베르너 | 미확인; (13세기 중반) |
349r | 데어 마르너 | 아마도 marinaere "선원"; 미확인, 마이스터 룸슬란트에 의해 언급됨 |
355r | 쥐스킨트, 데어 유데 폰 트림베르크 | 미확인 (13세기 후반) |
358r | (고립된 익명 시) | |
359r | 폰 부벤부르크 | 훈더싱엔 근처 바움부르크, 아마도 울리히 폰 부벤부르크 (1260년 활동) |
361r | 하인리히 폰 데팅겐 | (1236–1300년 동안 잘 기록됨); 라이헤나우 수도원의 미니스테리알레 가문 출신 |
362r | 루돌프 데어 슈라이버 | 미확인 |
364r | 마이스터 고트프리트 폰 슈트라스부르크 | (c. 1210 사망) |
371r | 마이스터 요하네스 하들라우브 | 취리히 출신 (1300년 활동), 아마도 필사본 편집자 |
381r | 레겐보겐 Regenbogende | ("무지개", 미확인 알레만 시인, 대장장이로 묘사됨) |
383r | 마이스터 콘라트 폰 뷔르츠부르크 | (1287년 사망) |
394r | 쿤츠 폰 로젠하임 | 미확인, 아마도 노래책 소유자 |
395r | 루빈 폰 뤼데거 | 미확인 |
396r | 데어 콜 폰 뉘센 | 미확인, 아마도 체틀 근처 노이엔첸 출신; 시는 1230년대 또는 1240년대 작성 |
397v | 데어 듀르너 | 미확인, 아마도 멩겐, 스바비아 출신 |
399r | 마이스터 하인리히 프라우엔로브 | 하인리히 폰 마이센 (c. 1250년 출생) |
407r | 마이스터 프리드리히 폰 조넨부르크 | 미확인; 시는 13세기 3분기 |
410r | 마이스터 지게헤르 | (1250–1260년대 활동); 아마도 메츠의 Sicherius iuculator와 동일인, 티롤 출신 가능성 |
412r | 데어 빌데 알렉산더 | 13세기 후반의 미확인 알레만 시인 |
413v | 마이스터 룸슬란트 | (13세기 후반 활동), 북부 독일 출신 |
415v | 슈페르포겔 | ("참새"; 이 별명으로 기록된 시는 두 명의 다른 작가, 12세기 중반 및 후반 활동) |
418r | 보페 | 본도르프 출신 (1320년 사망); 1276–1305년 넬렌부르크 백작 관리 |
422r | 데어 리트샤우어 | 미확인 |
423v | 데어 칸슬러 | ("재상", 13세기 후반, 아마도 알레만 출신) |
3. 2. 작품의 종류
마네세 법전은 12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초까지 활동했던 총 135명[7]의 민네징어들의 작품을 모아 놓은 선집이다. 각 시인마다 초상화가 먼저 제시되고, 그 뒤를 이어 해당 시인의 작품 텍스트가 실려 있다.[8] 시인들은 사회적 지위에 따라 대략적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던 하인리히 6세에서 시작하여 왕인 콘라딘과 보헤미아의 벤체슬라우스 2세, 그리고 공작, 백작, 기사를 거쳐 평민까지 순서대로 나열된다.수록된 시의 대부분은 사랑 노래인 ''민네장''이지만, 우화나 슈프루흐디히퉁(교훈시)과 같은 다른 장르의 작품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 법전에 실린 시인 중 가장 오래된 이들은 법전이 편찬될 당시 이미 100년 이상 전에 활동했던 인물들이며, 동시대에 활동했던 시인들도 있고, 가장 늦게 추가된 작품은 14세기 초에 쓰인 것이다.
초상화에서는 일부 귀족들이 문장의 색과 상징이 그려진 갑옷으로 완전 무장한 채 마상 시합에 참가하거나, 칼과 방패를 들고 일대일 전투를 벌이는 모습, 또는 실제 전투 장면 등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이때 얼굴은 투구 등으로 가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어떤 그림은 묘사된 인물의 실제 삶에서 영감을 받아 그려졌지만, 시인의 이름 자체에서 모티프를 가져온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디트마르(Dietmar)라는 시인은 노새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는데, 그의 이름이 '사람의 말(people's horse)'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9] 또 다른 그림들은 시인이 쓴 가사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는 그의 가장 유명한 노래 중 하나에서 묘사된 모습 그대로 사색에 잠긴 자세를 취하고 있는 그림으로 그려졌다.
3. 3. 삽화
마네세 법전은 총 135명[7]의 민네징어들의 작품을 모아 놓은 선집으로, 각 시인마다 초상화 형태의 삽화가 제시되고 그 뒤에 해당 시인의 작품 텍스트가 이어진다.[8] 삽화와 텍스트의 배열은 시인의 사회적 지위를 기준으로 하는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를 시작으로 왕인 콘라딘, 벤체슬라우스 2세, 그리고 공작, 백작, 기사를 거쳐 평민까지 순서대로 나열된다.삽화에 묘사된 모습은 다양하다. 일부 귀족들은 자신의 문장과 색상으로 완전 무장한 채 마상 시합에 참가하거나, 칼과 방패를 들고 단독 전투를 벌이는 모습, 혹은 실제 전투 장면 등으로 그려진다. 어떤 삽화는 묘사된 인물의 실제 생애에서 영감을 얻어 그려졌으며, 다른 삽화는 시인의 이름 자체에서 모티프를 가져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디트마르(Dietmar)라는 이름이 '사람의 말'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를 노새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린 경우가 있다.[9] 또한,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처럼 자신의 유명한 노래 가사에 묘사된 모습 그대로 사색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삽화도 존재한다.
아래는 마네세 법전에 수록된 삽화의 목록이다.
폴리오 | 인물 또는 작품 | 비고 |
---|---|---|
6r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6세 | 1165–1197 |
7r | 콘라딘 | 1252–1268 |
8r | 티롤 운트 프리데브란트 (Tirol und Fridebrant) | 가수의 이름이 아닌 13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서사시 |
10r | 보헤미아 왕 바츨라프 2세 | 보헤미아 및 폴란드 왕, 1271–1305 |
11v | 브레슬라우 공작 헨리크 4세 프로부스 | 1258–1290 |
13r |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오토 4세 | 1266–1308 |
14v | 마이센 변경백 하인리히 폰 마이센 | 1215–1288 |
17r | 안할트 백작 하인리히 1세 | 1170년경–1252 |
18r | 브라반트 공작 요한 1세 | 1252/1253–1294 |
20r | 루돌프 폰 노이엔부르크 백작 (Rudolf von Neuenburg) | 루돌프 2세 (1192년 사망) 또는 그의 조카 루돌프 1세 (1258년 사망) |
22v | 토겐부르크의 크라프트 백작 | 아마도 토겐부르크의 크라프트 3세 (1339년 사망) |
24r | 키르히베르크의 콘라트 백작 | 콘라트 2세 (1275–1326년 활동) 또는 그의 사촌 콘라트 3세 (1281–1315년) |
26r | 프리드리히 폰 라이닝겐 백작 (Friedrich von Leiningen) | 아마도 프리드리히 2세 (1237년 사망) |
27r | 오토 폰 보텐라우벤 백작 | 1244년 사망 |
29r | 호엔부르크 변경백 (Markgraf von Hohenburg) | 1205–1225년 활동한 디폴트 5세 폰 포흐부르크 또는 그의 아들 베르톨트 4세 폰 호엔부르크 (1256년 사망) |
30r | 헤르 하인리히 폰 벨데케 | 1184년 이후 사망 |
32v | 헤르 고트프리트 폰 나이펜 | 1279년 사망 |
42r | 알브레히트 폰 하이거로흐 백작, 호엔베르크 백작 | 1298년 사망 |
43v | 베르너 폰 홈베르크 백작 | 1320년 사망 |
46v | 헤르 야코프 폰 바르트 (Jakob von Wart) | 1331년 사망 |
48v | 형제 에버하르트 폰 작스 (Eberhard von Sax) | 1309년 활동 |
52r | 헤르 발터 폰 클링겐 | 1240–1280년대 활동 |
54r | 헤르 루돌프 폰 로텐부르크 | 1287년 활동 |
59v | 헤르 하인리히 폰 작스 | 아마도 하인리히 2세, 1235–1289 |
61v | 헤르 하인리히 폰 프라우엔베르크 (Heinrich von Frauenberg) | 1284–1305년 활동 |
63r | 퀴렌베르크 | 12세기 |
64r | 헤르 디트마르 폰 아이스트 | 1140–1160년대 활동 |
66v | 폰 글리어스 | 아마도 빌헬름 폰 글리어스, 1267–1317년 활동 |
69r | 헤르 베르너 폰 토이펜 | 1220년 활동 |
70v | 헤르 하인리히 폰 슈트레텔링겐 (Heinrich von Stretlingen) | 하인리히 2세 (1250년대 활동) 또는 그의 아들 하인리히 3세 (1294년 사망) |
71v | 헤르 크리스탄 폰 함레 | 아마도 13세기 튀링겐의 작가, 그 외에는 알려지지 않음 |
73r | 헤르 울리히 폰 구텐부르크 | 1170년대 활동 |
75v | 헤르 하인리히 폰 데어 무레 (Heinrich von der Mure) | 1223–1263년 활동, 도미니코 수도사, 아이히슈테트 및 아우크스부르크의 수도원장 |
76v | 헤르 하인리히 폰 모룽겐 | 1210년대 활동 |
82v | 쉔크 폰 림푸르크 | 발터 1세 (1230–1240년대 활동) 또는 그의 아들 중 한 명, 발터 2세 또는 콘라트 1세 폰 림푸르크 (Konrad I von Limpurg) |
84v | 쉔크 울리히 폰 빈터슈테텐 | 1250–1270년대 활동 |
98r | 헤르 라인마르 데어 알테 | 12세기 후반 활동 |
110r | 헤르 부르카르트 폰 호엔펠스 (Burkart von Hohenfels) | 1220–1230년대 활동 |
113v | 헤르 헤소 폰 라이나흐 (Hesso von Reinach) | 1234–1275/76 |
115r | 부르크그라프 폰 리엔츠 | 13세기 초 활동 |
116v | 헤르 프리드리히 폰 하우젠 | 1188년 이후 사망 |
119v | 부르크그라프 폰 리텐부르크 | 헨리크 4세 (1174–1184년 활동) 또는 오토 3세 (1154–1185년 활동) |
120v | 헤르 마인로 폰 세벨링겐 | 12세기 중반 |
122r | 헤르 하인리히 폰 루게 (Heinrich von Rugge) | 1170년대 활동 |
124r | 헤르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 | 1170년경–1230년경 |
146r | 헤르 힐트볼트 폰 슈방가우 (Hiltbolt von Schwangau) | 1221–1254년 활동 |
149v | 헤르 볼프람 폰 에셴바흐 | 1170년경–1220년경 |
151r | 징겐베르크, 성 갈렌의 궁내관 | 아마도 울리히 폰 징겐베르크 (Ulrich von Singenberg), 1220년대 활동 |
158r | 폰 작센도르프 | 미상; 아마도 울리히 폰 리히텐슈타인에 의해 오스트리아의 프리드리히 2세를 섬기는 것으로 언급됨 |
160v | 바흐스무트 폰 퀸칭겐 (Wachsmut von Künzingen) | 미상, 아마도 룩셈부르크 클레망스 출신 |
162v | 헤르 빌헬름 폰 하인첸부르크 (Wilhelm von Heinzenburg) | 아마도 윌리엄 3세, 1264–1292년 활동 |
164v | 헤르 로이톨트 폰 제펜 (Leuthold von Seven) | 1218년 활동 |
166v | 헤르 발터 폰 메체 | 1276년 이전 사망, 그 외에는 알려지지 않음 |
169v | 헤르 루빈 | 미상, 13세기 중반 |
178r | 헤르 베르너 폰 호르하임 | 12세기 후반 |
179v | 폰 요한스도르프 | 알브레히트, 1172–1209년 활동 |
181v | 헤르 엥겔하르트 폰 아델른부르크 | 1200년 또는 1220년대 활동, 아마도 동명의 아버지와 아들 |
182v | 헤르 블리거 폰 슈타이나흐 | 아마도 블리거 2세, 12세기 후반-13세기 초 활동 |
183v | 헤르 바흐스무트 폰 뮐하우젠 | 1267년 활동 |
184v | 헤르 하르트만 폰 아우에 | 1160년경–1210년경 |
188r | 헤르 라인마르 폰 브레넨베르크 | 1270년대 활동 |
190v | 요한 폰 링겐베르크 | 아마도 요한 1세, 1291–1350 |
192v | 알브레히트 마르샬 폰 라퍼스빌 | 1280년경 활동 |
194r | 헤르 오토 폼 튜르네 | 루체른 출신, 후기 추가, 1300년 이후 활동 |
197v | 헤르 고에슬리 폰 에헨하인 | 스트라스부르 출신; 그 외에는 알려지지 않음 |
201r | 데어 폰 빌도니 | 아마도 헤란트 2세, 리히텐슈타인의 울리히의 딸과 결혼 |
202v | 폰 수오네게 | 아마도 콘라트 폰 수오네게, 1220–1230년대 활동 |
204r | 폰 샤르펜베르크 | 라차흐 출신, 13세기 중반 |
205r | 헤르 콘라트, 폰 란덱 쉔크 | 투르가우 출신, 1271–1306 |
213r | "데어 빈스베케" | 수반되는 부자 훈계 시의 저자로 추정; 빈스베케가 역사적 인물인지 허구적 인물인지 불분명함 |
217r | "디 빈스베킨" | 수반되는 모녀 훈계 시의 저자로 추정; 빈스베킨이 역사적 인물인지 허구적 인물인지 불분명함 |
219v | "헝가리 왕국 클링소르" | 젠거크리크 시를 소개하는 허구적 인물 |
226v | 튀링겐의 크리스탄 폰 루핀 | 1290년대 활동 |
228r | 헤르 하인리히 헤츠볼드 폰 바이스제 | 14세기 초 |
229v | 데어 듀링 | 미확인 튀링겐 시인, 13세기 후반 |
231r | 빈리 | 미확인 알레만니아 시인, 1300년경 |
237r | 헤르 울리히 폰 리히텐슈타인 | 1200년경–1275 |
247v | 폰 무네기우르 | 이름은 울리히, 그 외에는 알려지지 않음 |
248v | 폰 라우테 | 이름은 하르트비히, 1200년경 활동, 그 외에는 알려지지 않음 |
249v | 헤르 콘라트 폰 알트슈테텐 | 아마도 1320–1327년 인증된 장크트갈렌 시장 |
251r | 헤르 브루노 폰 호른베르크 | 아마도 브루노 2세, 1275–1310년 활동 |
252r | 헤르 후크 폰 베르벤바크 | 13세기 중반 활동, 아마도 1292년 이후 사망 |
253v | 데어 퓔러 | 콘라트 "아풀리아의" 폰 호엔부르크, 아마도 1278년 루돌프 1세가 보헤미아의 오토카르 2세에 대항한 원정에 참여 |
255r | 폰 트로스트베르크 | 미니스테리알레의 아르가우 또는 티롤 가문의 미확인 구성원 |
256v | 하르트만 폰 슈타르켄베르크 | 베르덴베르크-사르간스 출신, 하르트만 1세 (1250년대 활동) 또는 그의 아들 하르트만 2세 (1270년대 활동) |
257v | 폰 슈타데게 | 루돌프 2세, 주요 슈타이어마르크 민네징어 중 한 명, 1230–1250년대 활동 |
258v | 헤르 브룬바르트 폰 아우크하임 | 13세기 후반 |
261r | 폰 슈탐하임 | 미확인; 1240년대경 활동 |
262v | 헤르 괴리 | 바덴 출신, 13세기 |
264r | 데어 탄호이저 | 탄하우젠 출신, 1240–1260년대 활동; 튜턴 기사단의 일원으로 묘사됨 |
271r | 폰 부흐하임 | 13세기 후반 |
273r | 헤르 나이트하르트 | 바이에른 남부, 1200년경 출생 |
281v | 마이스터 하인리히 테슐러 | 취리히 출신, 13세기 후반, 뤼디거 마네세의 후원 |
285r | 로스트, 자르넨의 교회장 | 1313년에서 1330년 사이에 취리히에서 필사본 제작에 서기로 참여한 것으로 추정 |
290r | 데어 하르데거 | 아마도 Henricus de Hardegge, 렙슈타인 출신, 1230–1270년대 활동 |
292v | 슐마이스터 폰 에슬링겐 | 13세기 후반 |
295r | 발터 폰 브라이자흐 | 초상화 없음 |
299r | 폰 비센로 | 아마도 비즐로흐; 미확인 |
300r | 폰 벵겐 | 부르차르트, 1230–1270년대 활동, 토겐부르크 백작의 미니스테리알레 가문의 구성원 |
302r | 헤르 페펠 | 미확인, 12세기 중반 |
303r | 데어 탈러 | 아마도 레우톨트 폰 탈, 라인엑 근처, 1250년 활동 |
305r | 데어 투겐드하프테 슈라이버 ("덕이 있는 서기") | 미확인, 젠거크리크의 등장인물로 등장 |
308v | 슈타인마르 | 아마도 베르톨트 슈타인마르 폰 클링나우, 13세기 후반 활동 |
311r | 헤르 알람 폰 그레슈텐 | 미확인, 아마도 오스트리아 남부의 그레슈텐 출신 |
312r | 헤르 라인마르 데어 피들러 | 미확인, 13세기 중반 활동 |
313r | 헤르 하와르트 | 아마도 1258년 아우크스부르크의 캐논 하와르두스 데 홀츠바네 |
314v | 헤르 귄터 폰 뎀 포어슈테 | 미확인 |
316v | 헤르 프리드리히 데어 크네히트 | 미확인, 그의 시는 오스트리아-바이에른 방언으로 13세기 전반; 초상화는 프리드리히가 기사로서 말을 탄 채로 추격자를 물리치며 여인을 납치하는 모습 |
318r | 레겐스부르크 부르크그라프 | 아마도 하인리히 3세 폰 스테베닝 운트 리텐부르크, 1126–1177년 활동 |
319r | 헤르 니우네 | 미확인; 아마도 시인이 아니라 이 부분의 자료로 사용된 노래책의 소유자 |
320v | 헤르 겔타르 | 미확인; 시는 1230년과 1250년 사이에 작성되었으며, 아마도 오스트리아 남부 출신 |
321v | 헤르 디트마르 데어 제처 | 미확인; 초상화는 검과 히터 실드를 든 채로 말을 타지 않고 싸우는 모습 |
323r | 헤르 라인마르 폰 츠베터 | 1230년대 활동 |
339r | 데어 융에 마이스너 | 미확인; 시는 중부 독일 방언으로 작성 |
342r | 데어 알테 마이스너 | 초상화 없음 |
342v | 폰 오버른부르크 | 미확인; 아마도 13세기 중반, 첼레 근처 오버른부르크 출신 |
344v | 브루더 베르너 | 미확인; 13세기 중반 |
349r | 데어 마르너 | 아마도 marinaere "선원"; 미확인, 아래의 마이스터 룸슬란트에 의해 언급됨 |
355r | 쥐스킨트, 데어 유데 폰 트림베르크 | 미확인, 13세기 후반 |
358r | (고립된 익명 시) | |
359r | 폰 부벤부르크 | 훈더싱엔 근처 바움부르크, 아마도 울리히 폰 부벤부르크, 1260년 활동 |
361r | 하인리히 폰 데팅겐 | 1236–1300년 동안 잘 기록됨; 라이헤나우 수도원의 미니스테리알레 가문 출신 |
362r | 루돌프 데어 슈라이버 | 미확인 |
364r | 마이스터 고트프리트 폰 슈트라스부르크 | 1210년경 사망 |
371r | 마이스터 요하네스 하들라우브 | 취리히 출신, 1300년 활동, 아마도 필사본의 편집자 |
381r | 레겐보겐 (Regenbogen, "무지개") | 미확인 알레만 시인, 대장장이로 묘사됨 |
383r | 마이스터 콘라트 폰 뷔르츠부르크 | 1287년 사망 |
394r | 쿤츠 폰 로젠하임 | 미확인, 아마도 시인이 아니라 자료로 사용된 노래책의 소유자 |
395r | 루빈 폰 뤼데거 | 미확인 |
396r | 데어 콜 폰 뉘센 | 미확인, 아마도 체틀 근처 노이엔첸 출신; 시는 1230년대 또는 1240년대에 작성됨 |
397v | 데어 듀르너 | 미확인, 아마도 멩겐, 스바비아 출신 |
399r | 마이스터 하인리히 프라우엔로브 | 하인리히 폰 마이센, 1250년경 출생 |
407r | 마이스터 프리드리히 폰 조넨부르크 | 미확인; 시는 13세기 3분기 |
410r | 마이스터 지게헤르 | 1250–1260년대 활동; 아마도 메츠에서 활동한 Sicherius iuculator와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있으며, 티롤 출신일 가능성이 있음 |
412r | 데어 빌데 알렉산더 | 13세기 후반의 미확인 알레만 시인 |
413v | 마이스터 룸슬란트 | 13세기 후반 활동, 북부 독일 출신 |
415v | 슈페르포겔 ("참새") | 이 별명으로 기록된 시는 두 명의 다른 작가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12세기 중반과 후반에 활동 |
418r | 보페 | 본도르프 출신, 1320년 사망; 1276–1305년 넬렌부르크 백작의 관리로 봉사 |
422r | 데어 리트샤우어 | 미확인 |
423v | 데어 칸슬러 ("재상") | 13세기 후반, 아마도 알레만 출신 |
4. 현대적 의의
(내용 없음)
4. 1. 문학적 의의
마네세 법전의 편찬자가 민네징어 요하네스 하들라우브일 수 있다는 가설은 고트프리트 켈러의 시적 소설 《하들라우브》(1878년 《취리히 소설》에 수록)의 주제가 되기도 하였다.참조
[1]
문서
Great Heidelberg Song Manuscript
Heidelberg, University of Heidelberg Library
[2]
문서
[3]
간행물
Speculum
1984-01
[4]
웹사이트
Codex Manesse
https://www.ub.uni-h[...]
Heidelberg University
2023-03-11
[5]
웹사이트
Codex Manesse Admitted to UNESCO World Documentary Heritage
https://idw-online.d[...]
2023-05-18
[6]
웹사이트
UNESCO-Weltdokumentenerbe Codex Manesse
https://www.unesco.d[...]
2023-05-18
[7]
문서
[8]
웹사이트
Between Recto and Verso: The Use of Blanks and a Theory of Authorship in the Codex Manesse
https://www.academia[...]
2017-12-03
[9]
서적
Große Werke der Literatur XV
http://worldcat.org/[...]
NARR FRANCKE ATTEMPTO VER
2020
[10]
문서
Des Minnesangs Frühling
Stuttgart
1977
[11]
웹사이트
Handschriftenbeschreibung 11787
https://handschrifte[...]
2023-10-29
[12]
서적
Codex Manesse : Die große Heidelberger Liederhandschrift
Insel Verlag
"[1975]-1981"
[13]
문서
[14]
문서
[15]
서적
Gotik
Chr.Belser
1970
[16]
논문
Codex Manesse素描
1974
[17]
서적
Codex Manesse : Die große Heidelberger Liederhandschrift
Insel Verlag
"[1975]-1981"
[18]
문서
「橋」としてのハイネ
[19]
문서
[20]
확인날짜
2024-11-18
[21]
웹사이트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s://www.unesco.o[...]
UNESCO
2023-05-27
[22]
문서
Great Heidelberg Song Manuscript
Heidelberg, University of Heidelberg Library
[23]
문서
[24]
간행물
Speculum
1984-01
[25]
웹인용
Codex Manesse
https://www.ub.uni-h[...]
Heidelberg University
2023-03-11
[26]
웹인용
Codex Manesse Admitted to UNESCO World Documentary Heritage
https://idw-online.d[...]
2023-05-18
[27]
웹인용
UNESCO-Weltdokumentenerbe Codex Manesse
https://www.unesco.d[...]
2023-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