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렝고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렝고 전투는 1800년 6월 14일,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군과 미하일 폰 멜라스가 지휘하는 오스트리아군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의 일환으로, 오스트리아군이 북이탈리아를 장악한 상황에서 나폴레옹은 알프스를 넘어 기습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전투 초반 프랑스군은 수적으로 열세였으나, 장 란과 조아생 뮈라의 지원, 루이 샤를 앙투안 드제의 도착과 반격으로 전세를 뒤집고 승리했다. 이 승리로 나폴레옹은 제1 집정관으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고, 프랑스 내 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의 붕괴를 이끌었다. 또한, 이 전투는 닭고기 마렝고, 푸치니의 오페라 '토스카', 나폴레옹의 애마 '마렝고' 등 다양한 문화적 파생물을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0년 오스트리아 - 제노바 포위전
제노바 포위전은 1800년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프랑스군이 오스트리아군에 의해 제노바에서 포위되었으나, 프랑스군은 열세한 병력으로 저항하다가 결국 제노바를 잃었지만, 마렝고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마렝고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전투 개요 | |
전투명 | 마렝고 전투 |
다른 이름 | 바타유 드 마렝고 (프랑스어) |
전쟁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
일부 | 프랑스 혁명 전쟁의 이탈리아 전역 |
시기 | 1800년 6월 14일 |
장소 | 피에몬테 지방 알레산드리아 남동쪽 12km 지점, 마렝고 |
좌표 | 44°53′8″N 8°40′39″E |
결과 | 프랑스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프랑스 공화국 |
교전국 2 |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 |
지휘관 및 지도자 | |
프랑스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루이 드제 루이 베르티에 장 란 클로드 빅토르 프랑수아 켈레르만 조아생 뮈라 |
오스트리아 | 미하엘 폰 멜라스 페터 카를 오트 안톤 자흐 콘라트 카임 카를 하디크 안톤 폰 엘스니츠 |
병력 규모 | |
프랑스 | 원래 22,000명, 대포 15문, 최종 28,000명 |
오스트리아 | 30,000명, 대포 100문 |
피해 규모 | |
프랑스 | 사망 1,100명, 부상 3,600명, 포로 900명 |
오스트리아 | 사망 또는 부상 6,000명 포로 8,000명 대포 40문 깃발 15개 |
2. 배경
1798년 오스트리아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고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하여, 1800년까지 북이탈리아의 대부분을 탈환했다.[47] 1799년 제1통령에 취임하여 프랑스의 독재권을 확립한 나폴레옹은 반격을 위해 제네바에 군대를 집결시켰다.[47] 1800년 5월, 나폴레옹은 37,000명의 병사를 이끌고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를 넘어 북이탈리아로 진출했다.
1800년 6월 14일, 오스트리아군 주력은 알레산드리아에서 마렝고로 진격했다. 오스트리아군은 보르미다 강을 건너 좁은 교두보를 통해 이동해야 했다. 오스트리아군 선봉대는 프랑스군 정찰 거점을 점령하고, 우익을 형성했다. 오스트리아군 중앙은 마렝고로 진격하여 프랑스군과 격돌했다. 오스트리아군 좌익은 카스텔 케리올로로 향했으나, 프랑스군 우익을 포위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18] 초반 프랑스군은 수적으로 열세였고, 마렝고 마을을 빼앗기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19] 나폴레옹은 장 란과 조아생 뮈라에게 클로드 빅토르의 부대를 지원하도록 명령했다. 장 샤를 모니에르의 사단과 근위대가 프랑스군 우익 방어에 투입되었다.[20]
그 무렵, 오스트리아군은 앙드레 마세나가 지휘하는 프랑스군 부대를 제노바에서 포위 공격하고 있었다.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군의 배후로 진출하여 밀라노와 파비아를 점령했지만,[9] 제노바의 프랑스군 부대는 한계에 달해 6월 4일에 항복했다. 그 후, 오스트리아군 주력은 토리노에 집결했다.
나폴레옹의 기동으로 오스트리아군은 퇴로가 차단되는 형세가 되었지만, 사령관 멜라스는 동진을 결의하고 알레산드리아까지 전진했다. 이에 대해 프랑스군은 오스트리아군 주력이 토리노에 머물고 있다고 오인하여 병력을 분산한 채 서진했다. 이렇게 양군은 6월 14일, 알레산드리아 근교의 마렝고에서 조우했다.
3. 전투 경과
오스트리아군은 동쪽으로 진출할 계획을 세웠지만, 현지 이중 간첩을 이용하여 보나파르트를 속여 북쪽으로 진군하여 포 강을 건너 밀라노로 향할 것이라고 생각하게 만들려고 시도했다. 이 스파이는 보나파르트에게 평원의 북쪽인 살레를 거쳐 진군하라고 조언하여 오스트리아군의 좌익과 교전하게 하려고 했다. 그동안 주력 부대는 중심부의 마렝고 마을을 지나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프랑스군의 좌익을 공격하려 했다. 6월 13일, 오트는 몬테벨로에서 도착하여 군사 회의를 열었다. 오스트리아군의 고위 장군들은 이 계획에 강력하게 찬성했다.[11]
보나파르트는 오트가 알레산드리아에서 빠져나갈 방법이 없다는 것을 알았지만, 멜라스의 위치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했다. 간첩과의 만남 이후, 오스트리아 장군이 탈출을 시도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에 보나파르트는 군대를 넓게 분산시켰다.[3]
당시 프랑스군은 2만 2천 명과 15문의 대포를 보유하고 있었고, 오스트리아군은 3만 명과 100문의 대포를 보유하여 수적으로 불리했다. 그러나 드제가 6,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도착하면서 전력 차이를 좁힐 수 있었다.[3]
1799년의 군사 작전으로 이탈리아 주둔 오스트리아군은 지쳐있었고, 사상자와 질병으로 인해 일부 연대는 300명으로 줄었다. 군대의 가장 큰 구성 요소는 피에몬테와 인접한 포 계곡에 있었다. 연대가 증원을 받는 본 기지로부터의 먼 거리는 병력 수송이 비참한 상황을 견뎌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으며, 약 15%만이 야전군에 도달했다. 1800년 3월의 군대는 1799년 작전의 종료 시점보다 거의 크지 않았다.[12] 장비와 제복은 개선되었지만, 1800년까지 야전군에는 거의 보급되지 않았다. 장비 표준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지만, 많은 부대에서 다양한 머스킷과 사브르 패턴을 사용했다.[13] 멜라스는 알레산드리아 앞의 보르미다 강을 마주보는 자신의 군대를 세 개의 군단으로 분할했다.[14]
1799년 이탈리아 주둔 프랑스군은 3만 6천 명은 1795년 말과 유사한 절망적인 상태였다. 모든 종류의 보급품이 부족했고, 규율은 무너지고 있었으며, 탈영이 증가했다. 보나파르트는 프랑스에서 예비군을 창설하면서, 병사들에게 정기적인 식량과 괜찮은 제복을 제공하기 위해 보급 시스템을 개편하는 것을 첫 번째 조치로 삼았다. 보나파르트의 예비군의 핵심은 주로 바타비아 공화국 출신인 3만 명의 병력이었다.[15] 새로운 군사 교리는 선형 화력보다 공세, 기동성 및 총검을 강조했다.[16] 오스트리아군 전방, 마렝고 남쪽에는 빅토르 군단이 배치되었고, 왼쪽에서는 프랑수아 에티엔 드 켈레르만의 기병대가 지원했으며, 북동쪽으로는 라네스 군단과 두 개의 기병 여단이 지원했다. 카스텔 체리올로 동쪽에는 장-샤를 몽니에의 사단이 자리를 잡았고, 예비를 형성하는 근위대가 지원했다. 빅토르가 오스트리아 공격의 주된 공격 대상이 될 것이었다.[17]
3. 1. 오스트리아군의 공세 강화
오스트리아군은 알레산드리아에서 동쪽으로 보르미다 강을 건너 공격을 시작했다. 오전 9시경, 클로드 빅토르 페랭이 지휘하는 프랑스군 부대가 마렝고 마을에서 오스트리아군과 교전했다. 멜라스는 이 전투에서 승리했다고 확신하여 빈에 승전보를 보냈다.[21] 보나파르트는 오스트리아군의 공격이 본격적인 것임을 인지하고, 장 란과 조아생 뮈라의 부대를 급파하여 빅토르를 지원했다. 그러나 프랑스군은 수적으로 열세였고, 오후 2시경 마렝고가 함락되면서 3km 이상 후퇴해야 했다.[21]
멜라스는 승리를 확신하고 참모장 안톤 폰 자흐에게 지휘권을 넘겼다.[21] 오스트리아군은 프랑스군을 추격하기 위해 대규모 부대를 편성하여 마렝고 남동쪽의 스피네타 주변에 집결시켰다.[21]
3. 2. 프랑스군의 반격
오후 3시가 막 지났을 무렵, 드제가 장 부데 휘하의 병력(보병 5,000명과 8문의 포)을 이끌고 도착했다. 나폴레옹은 드제에게 상황을 묻자, 드제는 "이 전투는 완전히 패했습니다. 그러나 시간은 아직 오후 2시, 이제는 저희가 이길 차례입니다."라고 답했다.[27]
프랑스군은 재빨리 병력을 재배치하여 산 길리아노 앞에 배치했다. 오귀스트 마르몽은 남은 프랑스군 포를 총동원해 오스트리아군에게 포격을 가했다. 부데 사단은 오스트리아군 선봉 여단을 격파했다. 위기에 몰린 나폴레옹은 드제를 다시 파견하고 기병대에게 돌격을 명령했다. 마르몽의 포병대는 오스트리아군에게 근거리에서 포도탄을 쏘았고, 오스트리아군의 화약 운송차가 폭발했다. 이 혼란 속에서 켈레르만의 중기병대(약 400명)가 오스트리아군 좌익을 공격하여 붕괴시켰다. 이 공격으로 자흐와 많은 병사들이 포로로 잡혔다.[21]
전투의 결정적인 순간, 드제는 총에 맞아 전사했다.[21] 조아생 뮈라와 켈레르만은 즉시 오스트리아 기병대를 공격하여 궤주시켰다. 오스트리아 기병대는 후방으로 도망쳤고, 이로 인해 오스트리아군 후방은 큰 혼란에 빠졌다. 오스트리아군은 알레산드리아로 패주했다. 프랑스군은 전장을 탈환하고 전략적 주도권을 확보했지만, 드제의 시신은 전사자들 가운데서 발견되었다.[33]
오스트리아군은 12시간의 전투에서 15개의 군기, 40문의 포, 약 8,000명의 포로를 잃었고, 6,500명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32] 프랑스군은 4,700명의 사상자와 900명의 실종 또는 포로가 발생했지만, 전장을 유지하고 전략적 주도권을 잡았다.[4]
4. 전투의 영향
알레산드리아 협정을 통해 오스트리아군은 티치노강 서쪽의 북부 이탈리아에서 철수하였고, 이탈리아에서 군사 작전을 중지하였다.[31] 이 승리로 나폴레옹은 프랑스 제1통령으로서의 지위가 더욱 확고해졌다.[31] 그러나 오스트리아는 프랑스와의 전쟁을 계속하였고, 결국 1800년 11월 3일 호엔린덴 전투에서 장 빅토르 마리 모로 휘하의 프랑스군에게 패배한 후에야 종전하게 된다.
마렝고 전투는 보나파르트의 1800년 이탈리아 전역을 성공으로 이끈 결정적인 승리였다. 보나파르트는 1800년 5월 중순, 알프스를 넘어 북부 이탈리아에서 멜라스의 통신선을 위협했고, 6월 2일 밀라노를 점령한 후 파비아, 피아첸차, 스트라델라를 점령하여 포강 남쪽의 주요 오스트리아 보급로를 차단했다.[10] 6월 9일 장 란은 몬테벨로 전투에서 페터 오트를 격파하여 보나파르트의 자신감을 더욱 키웠다.[9]
나폴레옹은 파리로 급히 떠나야 했고, 다음날 아침 베르티에를 오스트리아 본부로 보냈다.[31] 전투 후 24시간 이내에 멜라스는 협상(알레산드리아 협약)에 들어갔고, 오스트리아군은 티치노강 서쪽의 북서부 이탈리아에서 철수하고 이탈리아에서의 군사 작전을 중단하게 되었다.
마렝고 전투의 승리로 제1 집정관으로서의 입지가 강화되었다.[31] 나폴레옹은 자신에게 적대적이었던 장군들을 능가하고, 조국과 공화국의 구원자 역할을 하려 했다. 그는 통령정부를 왕정 복고의 과도기로 여겼던 루이 18세의 제안을 거절하고, 마침내 자신의 비전에 따라 프랑스를 개혁할 수 있게 되었다.[34]
멜라스는 6월 15일 항복하여 북이탈리아는 다시 프랑스의 수중에 들어갔다. 12월 3일 장 빅토르 마리 모로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호엔린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면서 오스트리아는 뤼네빌 조약에 응했고,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다.
나폴레옹에게 이 전투의 승리는 매우 중요했다. 프랑스 내각에서는 나폴레옹의 패배를 예상하고 그의 후임을 논의하는 권력 투쟁이 벌어졌으나, 마렝고 전투의 승리로 나폴레옹은 실각 위기를 넘기고 황제의 자리에 오를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5. 전투 이후
보나파르트는 파리로 급히 떠나야 했기에, 다음날 아침 베르티에를 오스트리아 본부로 보냈다.[31] 전투 후 24시간 이내에 멜라스는 협상(알레산드리아 협약)에 들어갔고, 오스트리아군은 티치노 서쪽의 북서부 이탈리아에서 철수하고 이탈리아에서의 군사 작전을 중단했다.
1800년 6월 15일, 메라스는 항복하여 북이탈리아는 다시 프랑스 수중에 들어갔다. 같은 해 12월 3일, 장 빅토르 마리 모로가 이끄는 프랑스의 라인강 방면군이 호엔린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면서 오스트리아는 전의를 상실하고 뤼네빌 조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다.
마렝고 전투의 승리는 나폴레옹에게 매우 중요했다. 프랑스 내에서는 나폴레옹의 패배를 예상한 오보가 퍼져 푸셰, 탈레랑, 그리고 나폴레옹의 형제들이 후임을 논하며 권력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 만약 이 전투에서 패배했다면 나폴레옹은 실각하고 황제가 되기 어려웠을 것이다.
5. 1. 정치적 영향
파리로 급히 떠나야 했던 보나파르트는 다음날 아침 베르티에를 오스트리아 본부로 보냈다.[31] 전투 후 24시간 이내에 멜라스는 협상(알레산드리아 협약)에 들어갔고, 오스트리아군은 티치노 서쪽의 북서부 이탈리아에서 철수하고 이탈리아에서의 군사 작전을 중단했다.보나파르트는 마렝고 전투와 그 이전 작전의 성공적인 결과로 제1 집정관으로서의 입지가 강화되었다.[31] 이 승리로 나폴레옹에게 적대적이었던 장군들은 그의 운이 다하지 않았음을 알게 되었다. 그는 셰레르, 주베르, 샹피오네, 심지어 모로를 능가했다. 실제로 전쟁을 종식시킨 것은 호엔린덴 전투에서의 모로의 승리였지만, 보나파르트는 이를 최소화하고 조국과 공화국의 구원자 역할을 하려 했다. 그는 통령정부를 왕정 복고의 과도기로 여겼던 루이 18세의 제안을 거절했다. 마렝고에서의 승리로 나폴레옹은 자신의 비전에 따라 프랑스를 개혁할 수 있었다.[34]
6월 15일 메라스는 항복하여 북이탈리아는 다시 프랑스 수중에 들어갔다. 12월 3일 장 빅토르 마리 모로가 이끄는 프랑스의 라인강 방면군이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한 호엔린덴 전투로 오스트리아는 전의를 상실하고 뤼네빌 조약에 응했다. 이로 인해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었다.
나폴레옹에게 이 전투의 승리는 매우 중요했다. 나폴레옹의 패배라는 오보에 프랑스 내각은 푸셰, 탈레랑, 나폴레옹의 형제들이 후임을 요구하며 권력 투쟁을 벌였다. 만약 이 전투에서 패배했다면 나폴레옹은 실각하고 황제가 되기 어려웠을 것이다.
6. 일화
마렝고 전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일화들이 전해진다.
- 나폴레옹의 요리사가 전투 후 현지 재료로 만든 닭 요리가 '치킨 마렝고'로 알려지게 되었다.[43][44]
- 푸치니의 오페라 《토스카》는 마렝고 전투 당시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처음에는 나폴레옹이 패배했다는 오보가 전해졌으나, 이후 승리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1]
- 나폴레옹이 전투에서 탔던 백마 '마렝고'의 이름은 이 전투에서 유래되었다.[40]
6. 1. 닭고기 마렝고
마렝고 전투 이후, 나폴레옹의 요리사가 현지 재료를 이용해 만든 닭 요리가 '치킨 마렝고'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3][44] 이 요리는 양파, 버섯 등을 와인과 토마토 소스에 삶아 만든다.지역 전승에 따르면, 마렝고 전투의 밤, 전장의 혼란 속에서 식량이 제때 도착하지 않자 요리사가 남은 재료로 닭고기 토마토 조림에 새우와 달걀을 곁들인 요리를 나폴레옹에게 제공했다. 이것이 프랑스 요리의 "닭고기 마렝고풍"의 기원이며, 이후 나폴레옹은 징크스의 의미로 종종 이 "닭고기 마렝고풍"을 먹었다고 한다. 하지만 당시 토마토를 구할 수 있었는지 의심스러워, 이 이야기는 속설에 불과하다고 여겨진다. 나폴레옹의 승리를 기념하여 레스토랑 요리사가 창작한 것이라는 설명이 더 유력하다.
6. 2. 오페라 '토스카'
푸치니의 오페라 《토스카》는 마렝고 전투 당시의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오페라 1막에서는 보나파르트가 마렝고 전투에서 패배했다는 오보가 전해지지만, 2막에서는 보나파르트가 승리했다는 정확한 소식이 전해진다.[1] 오페라에서 테 데움(토스카가 잔칫날 저녁 부르는 노래)은 마렝고에서 나폴레옹이 '패배'했음을 기념하는 것이었다.[1] 이는 전투 초반 프랑스군이 불리했던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며, 이후 나폴레옹이 전투에서 최종적으로 승리했다는 것이 명백해지자 2막에서는 나폴레옹의 승리로 내용이 수정된다.[1]6. 3. 나폴레옹의 애마 '마렝고'
나폴레옹은 마렝고라는 말을 전투 내내 탔으며, 이 말은 아우스터리츠 전투,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 바그람 전투, 워털루 전투에서도 황제를 태웠다.[40] 나폴레옹의 초상화에 그려진 백마 애마 "마렝고"의 이름은 이 전투에서 유래되었다.참조
[1]
서적
Austria in the Age of the French Revolution: 1789–1815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1990-12-01
[2]
서적
How Fighting Ends: A History of Surrend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7-26
[3]
문서
Benoît, p. 117
[4]
문서
Benoît, p. 122
[5]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New York
1966
[6]
서적
The Campaigns of Napoleon
New York
1966
[7]
서적
Napoleon
[8]
문서
Hollins, ''Encyclopedia'', pp. 605–606
[9]
문서
Hollins, ''Encyclopedia'', p. 606
[10]
문서
Shosenberg, p. 63
[11]
문서
Pigeard, p. 521
[12]
문서
Hollins, ''The Battle of Marengo 1800'', p. 16
[13]
문서
Hollins, ''The Battle of Marengo 1800'', p. 15
[14]
문서
Benoît, pp. 117–118
[15]
문서
Hollins, ''The Battle of Marengo 1800'', p. 17
[16]
문서
Hollins, ''The Battle of Marengo 1800'', p. 18
[17]
문서
Benoît, p. 118
[18]
문서
Arnold, p. 146
[19]
문서
Arnold, p. 149
[20]
문서
Benoît, p. 119
[21]
문서
Hollins, ''Encyclopedia'', p. 607
[22]
문서
Arnold, p. 151
[23]
문서
Arnold, p. 158
[24]
문서
Arnold, p. 162
[25]
문서
Arnold, p. 160
[26]
문서
Arnold, p. 173
[27]
문서
Chandler, p. 269
[28]
문서
Arnold, pp. 177–180
[29]
문서
Hollins, ''Encyclopedia'', pp. 607–608
[30]
문서
Arnold, pp. 180–181
[31]
문서
Hollins, ''Encyclopedia'', p. 608
[32]
문서
Fremont-Barnes, Gregory. ''The French Revolutionary Wars'', Routledge: New Edition, 2001, {{ISBN|978-1-57958-365-1}}, p. 56, gives 6,000 casualties and 8,000 prisoners, 40 guns. Similarly, Chandler and Asprey.
[33]
문서
Benoît, p. 137
[34]
문서
Benoît, pp. 124–125
[35]
문서
Benoît, p. 123
[36]
문서
Benoît, p. 124
[37]
문서
Benoît, pp. 123–124
[38]
문서
Benoît, p. 138
[39]
웹사이트
Les départements de l'Empire Français en 1809
http://www.1789-1815[...]
2010-09-13
[40]
웹사이트
MARENGO, the Myth of Napoleon's Horse
https://web.archive.[...]
2010-09-13
[41]
웹사이트
Alabama Counties: Marengo County
https://web.archive.[...]
2010-09-13
[42]
웹사이트
Marengo Museum: opening weekend
http://www.napoleon.[...]
2010-09-13
[43]
서적
Napoleon's Chicken Marengo: Creating the Myth of the Emperor's Favourite Dish
Frontline Books
[44]
서적
The Invention of the Restaurant: Paris and Modern Gastronomic Cultur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5]
간행물
金澤誠「マレンゴの戦い」『日本大百科全書 22 ませ―もぬ』小学館、1988年12月1日 初版第三刷発行、ISBN 4-09-526022-X、190頁。
[46]
간행물
松嶌明男『図説ナポレオン 政治と戦争 フランスの独裁者が描いた軌跡〈ふくろうの本〉』河出書房新社、2016年1月30日初版発行、ISBN 978-4-309-76236-4、126~128頁。
[47]
문서
Marengo, Military History Vol. 17 Issue II, pg 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