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루마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루마게는 가쓰야마마게와 유사하게 묶는 일본의 전통적인 여성 머리 모양이다. 상투의 고리가 두껍고 둥글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며, 상투의 크기로 나이를 구별하기도 한다. 에도 시대 후기 이후 동일본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결혼한 여성을 상징하는 머리 모양으로, 현대에는 가부키나 분라쿠, 시대극, 축제 등에서 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이지 시대의 문화 - 박물관 메이지무라
박물관 메이지무라는 메이지 시대 건축물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일본의 야외 박물관으로, 1965년 아이치현 이누야마시에 개관하여 다양한 시대의 건축물을 통해 메이지 시대를 재현한다. - 메이지 시대의 문화 - 메이로쿠샤
메이로쿠샤는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지식인들이 결성한 계몽 단체로, 서구 사상 소개와 일본 근대화를 위한 논의를 통해 근대적 가치를 확산시키고 지식인 사회 형성에 기여했다. - 머리 모양 - 장발
장발은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고 길게 기른 상태를 지칭하며, 생존에 유리한 기능과 건강 및 생식 잠재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역할, 그리고 권력, 부, 종교적 헌신 등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내포한다. - 머리 모양 - 삭발
삭발은 머리카락을 부분적 또는 완전히 제거하는 행위로, 종교적 의례, 사회적 지위, 형벌, 패션, 미용 등 다양한 목적과 의미를 지닌다. - 에도 시대의 문화 - 니시키에
니시키에는 다색 목판화 기법으로 제작된 일본 우키요에 판화의 한 종류이며, 1765년경 하이카이 시인들의 모임에서 시작되어 기술이 발전했고, 아즈마니시키에라는 이름으로 대중화되었으나 점차 쇠퇴했다. - 에도 시대의 문화 - 요미혼
요미혼은 18세기 중국 백화소설의 영향을 받아 일본에서 등장한 소설 장르로, 고전적인 지식을 가진 지식인 계층에 의해 쓰였으며,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 이야기』, 다키자와 바킨의 『난소 사토미 팔견전』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마루마게 | |
---|---|
마루마게 (丸髷) | |
![]() | |
개요 | |
유형 | 일본 머리 모양 |
정의 | 에도 시대부터 시작된 여성의 대표적인 머리 모양 |
시대적 변화 | 시대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생겨남 |
사회적 의미 | 기혼 여성이 하는 머리 모양 미혼 여성은 다른 머리 모양을 함 |
역사 | |
에도 시대 | 에도 시대 중기 이후에 생겨남 부인의 대표적인 머리 모양이 됨 |
메이지 시대 | 메이지 시대 이후 널리 퍼짐 이전에는 신분이 높은 여성만 할 수 있었음 |
현대 | 현재는 일반 여성은 거의 하지 않음 게이샤, 무용가, 배우 등이 함 |
종류 | |
츠부시마게 (つぶし髷) | 가장 일반적인 마루마게 폭이 좁고 납작한 형태 |
오오부쿠로마게 (太鼓髷) | 폭이 넓고 둥근 형태 젊은 여성에게 인기 |
유이와타마게 (結綿髷) | 츠부시마게의 변형 머리 뒤쪽에 솜을 넣어 묶음 |
사키와케마게 (先割れ髷) | 젊은 여성이 하는 머리 모양 머리 끝을 두 갈래로 나눔 |
카츠야마마게 (勝山髷) | 에도 시대의 고급 유녀들이 하던 머리 모양 화려한 장식이 특징 |
시마다마게 (島田髷) | 결혼한 여성이 하는 머리 모양 머리를 높게 틀어 올림 |
우메가에마게 (梅ヶ枝髷) | 츠부시마게의 변형 머리 모양이 매화 가지와 비슷함 |
마타타비마게 (又旅髷) | 유녀가 하던 머리 모양 머리 뒤쪽에 큰 비녀를 꽂음 |
2. 특징
가쓰야마마게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묶지만, 상투의 고리가 두껍고 넓어져 둥글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며, 상투의 크기로 나이를 구별할 수 있다(어릴수록 상투가 큼).
마루마게는 에도 시대 후기 에도를 중심으로 한 동일본에서 널리 퍼졌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전국적으로 일반 여성들이 묶는 머리 모양이 되었다. 메이지 시대 말기에는 머리 모양에 개인의 취향을 반영하여 "료고쿠형", "오이마쓰형" 등 다양한 "마루마게형"이 판매되기도 했다.
현재 일반적으로는 상투 아래에 천을 넣는 것으로 가쓰야마마게와 구별한다.
에도 시대 후기 이후, 에도를 중심으로 한 동일본 ( 가미가타를 중심으로 한 서일본에서는 "사키코", "료와"로 묶는 지역으로 나뉘었다. 키타가와 모리사다의 『모리사다만고』에 따르면, 현재의 아이치현오카자키시내에 있던 어떤 마을의 서쪽과 동쪽에서 기혼 여성이 "사키코" "료와"로 묶는 지역과 "마루마게"로 묶는 지역으로 나뉘었다고 한다.)에서,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전국적으로 널리 일반에게 묶였던 머리 모양이다. 하지만, 머리 모양에 개인의 취향을 반영하기 위해 메이지 시대 말기에는 "료고쿠형", "오이마쓰형" 등 수많은 "마루마게형"이 판매되었다.
미혼 시대에는 시마다마게를 묶는 데 반해, 결혼하면 '''마루마게'''로 바뀌므로, 오페라 "나비 부인"을 일본의 풍속에 충실하게 연출하는 경우에는 (나가사키의 게이샤였던 히로인이 서두에서 결혼하기 때문에) 도중에 머리 모양을 바꿔야 하며 가발을 두 종류 준비하는 경우가 있다.
3. 역사
3. 1. 결혼과 마루마게
가쓰야마마게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묶지만, 상투의 고리가 두껍고 넓어져 둥글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며, 상투의 크기로 나이를 구별할 수 있다(어릴수록 상투가 큼).
현재 일반적으로는 상투 아래에 천을 넣는 것으로 가쓰야마마게와 구별한다.
에도 시대 후기 이후, 에도를 중심으로 한 동일본(가미가타를 중심으로 한 서일본에서는 "사키코", "료와". 모리사다만고에 따르면, 현재의 아이치현 오카자키시내에 있던 어떤 마을의 서쪽과 동쪽에서 기혼 여성이 "사키코", "료와"로 묶는 지역과 "마루마게"로 묶는 지역으로 나뉘었다고 한다.)에서,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전국적으로 널리 일반에게 묶였던 머리 모양이지만, 머리 모양에 개인의 취향을 반영하기 위해 메이지 시대 말기에는 "료고쿠형", "오이마쓰형" 등 수많은 "마루마게형"이 판매되었다.
미혼 시대에는 시마다마게를 묶는 데 반해, 결혼하면 '''마루마게'''로 바뀌므로, 오페라 "나비 부인"을 일본의 풍속에 충실하게 연출하는 경우에는 (나가사키의 게이샤였던 히로인이 서두에서 결혼하기 때문에) 도중에 머리 모양을 바꿔야 하며 가발을 두 종류 준비하는 경우가 있다.
4. 현대의 마루마게
현대에는 시마다마게, 모모와레 등 처녀의 머리 모양은 결혼식이나 무용 발표회, 축제의 시대 행렬 등에서 볼 기회가 많지만, 마루마게나 사코, 료린 등 기혼 여성의 머리 모양은 가부키나 분라쿠, 시대극 외에는 볼 기회가 적다.
4. 1. 마루마게를 볼 수 있는 축제
현대에는 시마다마게, 모모와레 등 처녀의 머리 모양은 결혼식이나 무용 발표회, 축제의 시대 행렬 등에서 볼 기회가 많지만, 마루마게나 사코, 료린 등 기혼 여성의 머리 모양은 가부키나 분라쿠, 시대극 외에는 볼 기회가 적다. 마루마게를 볼 수 있는 축제는 다음과 같다.월일 | 축제명 | 개최지 |
---|---|---|
2월 1일 | 세 축하 | 기타아키타시 타카노스 신사 |
2월 9일 | 세 축하 | 오다테시 |
2월 11일 | 물 뿌리기 축제 | 이치노세키시 |
2월 11일 | 네리코 축제 | 스모토시 |
4월 17일 | 마루마게 축제 (미혼 여성이 마루마게로 참가) | 히미시 |
5월 3일 | 며느리 보기 축제 | 고난시 |
7월 14일 | 부적 뿌리기 (남성이 여자 옷을 입고, 선창자가 마루마게 가발을 쓴다) | 요코하마시 토츠카구 |
7월 22~24일 | 다지마 기온 축제 | 미나미아이즈마치 |
9월 넷째 월요일 | 빗 축제 | 교토시 야스이 곤피라 궁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