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라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라쿠는 일본의 전통 인형극으로, 16세기부터 존재했으며, 현대적인 형태는 1680년대에 다케모토 기다유와 지카마츠 몬자에몬의 협력으로 시작되었다. 다유, 샤미센, 인형 조종사의 삼위일체로 이루어지며, 인형은 세 명의 인형 조종사가 조작한다. 분라쿠는 시대물과 세와모노를 포함한 다양한 작품을 상연하며, 주요 작품으로는 가나데혼 주신구라 등이 있다. 분라쿠 이외에도 다양한 지역에서 인형 조루리가 전승되고 있으며, 한국의 전통 인형극과 비교 연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라쿠 - 국립 분라쿠 극장
오사카에 위치한 국립 분라쿠 극장은 분라쿠 공연을 위해 1984년 개장했으며, 뛰어난 대중교통 접근성을 자랑하고 구로카와 기쇼가 설계하여 공공 건축상 최우수상을 수상한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극장이다. - 분라쿠 - 마스세키
마스세키는 일본 전통 극장이나 스모 경기장에서 나무로 구획된 공간에 방석을 깔고 앉는 좌석 형태를 의미하며, 극장에서는 에도 시대부터, 스모 경기장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후 주요 좌석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좁은 공간과 높은 가격으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일본의 중요무형문화재 - 인간국보
인간국보는 일본에서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 문화유산을 고도로 숙련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정부 지원을 받으며 2021년 2월 기준 111명이 생존해 있다. - 일본의 중요무형문화재 - 노가쿠
노가쿠는 산가쿠에서 유래하여 간아미와 제아미에 의해 무로마치 시대에 발전한 일본의 전통 종합예술로, 노, 식삼번, 쿄겐을 포함하며 능무대, 하야시, 우타이, 가면 등을 활용한 독자적인 특징을 지니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일본의 문화에 관한 - 일본 요리
일본 요리란 일본에서 유래된 모든 요리를 포괄하는 넓은 의미와 정진요리나 전통 음식과 같은 좁은 의미를 모두 가지며, 현재는 전통 일본 요리를 와쇼쿠라 칭하고 밥과 국, 반찬으로 구성된 식사를 중심으로 제철 재료의 맛과 계절감을 중시하는 특징을 가진다. - 일본의 문화에 관한 - 노가쿠
노가쿠는 산가쿠에서 유래하여 간아미와 제아미에 의해 무로마치 시대에 발전한 일본의 전통 종합예술로, 노, 식삼번, 쿄겐을 포함하며 능무대, 하야시, 우타이, 가면 등을 활용한 독자적인 특징을 지니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분라쿠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인형극 |
기원 | 일본 |
어원 | 우에무라 분라쿠켄의 극단 이름에서 유래 |
다른 이름 | 인형 조루리 (人形浄瑠璃, 닌교 조루리) 아와지 인형 조루리 |
발생 시기 | 에도 시대 전기 |
관련 문화재 정보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2008년) |
역사 | |
기원 | 에도 시대 초기의 인형극과 조루리의 결합 |
발전 | 오사카를 중심으로 발전 |
주요 인물 | 우에무라 분라쿠켄 (植村文楽軒) 다케모토 기데이유 (竹本義太夫) 지카마쓰 몬자에몬 (近松門左衛門) |
특징 | |
인형 조작 | 세 명의 인형사 (人形遣い, Ningyōtsukai)가 하나의 인형을 조작 |
음악 | 샤미센 연주 조루리 창자 (太夫, Tayū)의 이야기 |
대본 | 조루리의 대본을 바탕으로 함 |
주요 공연 | 시대물 (時代物, Jidaimono) 인정물 (世話物, Sewamono) |
구성 요소 | |
인형 | 닌교 |
인형술사 | 닌교쓰카이 |
음악가 | 샤미센 연주자 조루리 창자 |
무대 | 다양한 장치와 배경 |
공연 | |
주요 공연장 | 국립극장(도쿄) 국립분라쿠극장(오사카) |
공연 시간 | 일반적으로 긴 시간 동안 진행됨 |
관람 | 사전에 줄거리 학습이 도움됨 해설 제공 |
참고 | |
관련 용어 | 조루리 샤미센 닌교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가부키 노 인형극 |
2. 역사
일본에서 인형극의 기원은 여러 설이 있지만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나라 시대부터 인형을 이용한 예능이 있었고, 11세기 중엽에는 '괴뢰자(傀儡子)'라 불리는 집단이 인형을 다루었다. 13세기에는 이들이 직능별로 분산, 정주하였고, 14세기에는 '꼭두각시'라는 말이 집단민을 지칭하는 의미를 잃게 되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손꼭두각시'라 불리는 독립적인 인형 조종자들이 나타나 원악(猿樂) 등을 공연했다. 16세기 중엽에는 '에비스 돌리기(惠比須回)' 극단이 각지를 순회하며 공연을 펼쳤고, 17세기 초에는 조루리와 결합한 '닌교조루리'가 시작되었다.
다케모토 기다유(竹本義太夫)와 지카마쓰 몬자에몬(近松門左衛門)과 같은 뛰어난 인물들 덕분에 닌교조루리는 크게 발전하여 가부키를 능가하는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간세이 시대(1789~1800년)에는 가부키에 밀려 쇠퇴하기도 했지만, 우에무라 분라쿠켄이 오사카에 극장을 세우면서 다시 부흥기를 맞이했다. 이 극장은 이후 '분라쿠자'로 불리며 닌교조루리의 대표적인 극장이 되었다.
1909년 쇼치쿠가 분라쿠자 경영을 시작했고, 이후 분라쿠는 쇼치쿠의 주요 공연물이 되었다. 분라쿠좌는 여러 차례 화재와 이전을 겪었지만, 1948년 쇼치쿠와의 갈등으로 분열되기도 했다. 1963년 쇼치쿠가 분라쿠 사업에서 철수하고, 분라쿠 협회가 발족하면서 분라쿠계는 재통합되었다. 1984년 국립 분라쿠 극장이 개관하면서 분라쿠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2003년에는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고, 2014년부터는 일본 재단의 '닛폰 분라쿠' 프로젝트를 통해 전국적인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2. 1. 기원과 초기 발전
일본에서 인형극은 종교적, 주술적인 신인형(神人形)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이민족에 의해 전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아직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 나라 시대에도 이미 인형을 다루는 예능이 존재했으며, 11세기 중엽에는 꼭두각시 인형이 표박집단의 직능 중 하나가 되었다. 이들을 '괴뢰자(傀儡子)'라 불렀고, 인형을 다루는 사람을 '꼭두각시 돌리기'라고 했다.13세기에 꼭두각시 집단은 직능별로 분산, 정주했고, 14세기에는 '꼭두각시'가 집단민을 지칭하는 말이 아니게 되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손꼭두각시'가 나타나 원악(猿樂)이나 고와카(幸苦)의 구세마이(曲舞)를 공연했다. 16세기 중엽에는 사이구쥬신사(西宮戎神社)와 유대가 생겨 '에비스 돌리기(惠比須回)' 극단이 결성되어 각지를 순회했고, 불사(佛寺)와 결합한 '불상돌리기'도 나타났다.
17세기 초, 분로쿠(文祿)·게이초(慶長) 시대에는 '에비스 돌리기' 인형이 조루리와 결합하여 '닌교조루리'가 시작되었다. 변사인 다유(太夫)로는 다케모토 기다유(竹本義太夫), 작가로는 지카마쓰 몬자에몬(近松門左衛門)과 기노 가이온 등 뛰어난 인물들이 나타나 발전했다. 한때 가부키를 능가하는 인기를 얻었으며, 가부키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오늘날에도 야구라시타(櫓下; 최고의 다이후에게 붙는 호칭)는 이치가와 단주로[35]보다 일본전통예술에서 더 높은 지위를 가진다고 한다. 많은 가부키 작품이 닌교조루리의 번안작이다.
간세이 시대(1789년 ~ 1800년)에 닌교조루리는 가부키에 밀려 쇠퇴했지만, 아와지섬 출신의 우에무라 분라쿠켄(植村文楽軒)이 오사카시 주오구에 극장을 만들면서 부흥시켰다. 이 극장은 1872년 분라쿠켄의 후손 시대에 오사카 시 마쓰시마로 옮겨져 분라쿠자(文楽座)로 명명되었다. 메이지 말기까지 분라쿠자는 유일한 닌교조루리 전문 극장으로 남았고, 이로 인해 분라쿠가 닌교조루리의 대표로 인식되었다.


분라쿠의 역사는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현대적 형태는 168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684년 극작가 지카마쓰 몬자에몬(1653–1724)이 오사카에 타케모토 인형극장을 설립한 다케모토 기다유(1651–1714)와 협력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원래 분라쿠라는 용어는 1805년 오사카에 설립된 특정 극장을 지칭했다. 이 극장은 18세기 초 아와지섬 출신의 인형극 배우 植村文楽軒|우에무라 분라쿠켄일본어 (1751–1810)의 인형극단 이름을 따서 분라쿠자(文楽座)로 명명되었으며, 그의 노력으로 쇠퇴해가던 전통 인형극이 되살아났다.
2. 2. 에도 시대의 번성
인형극은 에도 시대 초기에 샤미센 음악, 조루리와 결합하여 탄생했다고 여겨진다. 태유에서는 다케모토 기다유가 오사카에 다케모토좌를 열었고, 작가로는 지카마쓰 몬자에몬과 키노 카이온과 같은 뛰어난 인물들이 나타나 번성했다. 한때는 가부키를 능가하는 인기를 누렸으며, 가부키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에도 야구라시타 (최고위 태유)는 예능에서 지위가 높다고 여겨진다. 많은 가부키 작품이 인형 조루리를 번안한 것이며, 조루리를 생략 없이 수록한 책을 마루모토라고 칭하는 데서 유래하여 마루모노(마루모토)라고 불린다.그 후, 후쿠치 키가이(히라가 겐나이)에 의해 에도 조루리가 발생했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 (간세이 연간)에, 아와지 카리야 출신의 초대 우에무라 분라쿠켄은 가부키의 인기에 밀려 쇠퇴해 가던 인형 조루리의 계통을 이어받아, 타카츠하시 (오사카시주오구)에 극장을 만들고 부활시켰다. 이 극장은 1872년, 3대 우에무라 분라쿠켄 (분라쿠 오) 때 마츠시마 (오사카시 니시구)로 이전하여, "분라쿠좌"로 불렸다. 다이쇼 시대에는 분라쿠좌가 유일한 인형 조루리 전문 극장이 되었기 때문에, 인형 조루리의 대표적인 존재가 되었다.
2. 3. 분라쿠의 성립과 발전
나라 시대에도 이미 인형을 다루는 예능이 존재했으며, 11세기 중엽에는 꼭두각시 인형은 도산민(逃散民)에 의해 형성된 표박집단(漂迫集團)의 직능 중 하나가 되었다. 그 집단을 괴뢰자(傀儡子)라고 불렀으며, 인형을 다루는 사람을 '꼭두각시 돌리기'라고 일컬었다. 집단 외에 독립된 인형 조종자도 있었는데, 이들을 '손꼭두각시'라고 불렀다.13세기가 되자 꼭두각시 집단은 직능별로 분산 정주했으며, 14세기에 '꼭두각시'는 이미 집단민을 지칭하는 말이 아니게 되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손꼭두각시'가 배출되어 원악(猿樂)이나 고와카(幸苦)의 구세마이(曲舞)를 상연했다. 16세기 중엽부터는 사이구쥬신사(西宮戎神社)와 유대 관계가 생겨 직능 조직을 만들고, '에비스 돌리기(惠比須回)'라 칭하는 극단이 결성되어 각지를 순회하였고, 불사(佛寺)와 결합한 '불상돌리기'도 발생하였다. 이 밖에 조그만 상자무대를 가슴에 걸고 인형을 조종하는 순회예능(巡廻藝能)도 생겼다. 17세기 초엽, 분로쿠(文祿)·게이초(慶長) 시대에는 '에비스 돌리기'의 인형이 당시 유행한 '조루리'와 손잡고 '닌교조루리'가 시작되었다.
변사인 다유(太夫)로는 다케모토 기다유(竹本義太夫), 작가로는 지카마쓰 몬자에몬(近松門左衛門)과 기노 가이온 등 걸출한 인물들에 의해 발전되기 시작했다. 한때는 가부키를 뛰어넘는 인기를 얻었으며, 가부키에도 여러 가지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에도 야구라시타(櫓下; 최고의 다이후에게 붙는 호칭)는 이치가와 단주로[35]보다 일본 전통 예술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는 지위가 높다고 한다. 많은 가부키가 닌교조루리의 번안작이다. 그 후 히라가 겐나이에 의해 에도조루리가 발생하였다. 간세이 시대(1789년 ~ 1800년) 닌교조루리는 가부키에 밀려 쇠퇴했는데, 아와지사마 출신의 제1대 우에무라 분라쿠켄이 지금의 오사카시 주오구에 극장을 만들면서 부흥시킨다. 이 극장은 1872년 제3대 우에무라 분라쿠켄의 시대에 오사카 시 마쓰시마에 옮겨져 분라쿠자로 명명되었다. 메이지 말기까지 이 분라쿠자가 유일한 닌교조루리 전문극장으로 남았기 때문에 분라쿠가 닌교조루리의 대표적인 존재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분라쿠의 역사는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현대적 형태의 기원은 1680년대 무렵이다. 극작가 지카마쓰 몬자에몬(1653–1724)이 1684년 오사카에 타케모토 인형극장을 설립한 창자 다케모토 기다유(1651–1714)와 협력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원래 분라쿠라는 용어는 1805년 오사카에 설립된 특정 극장을 지칭했으며, 이 극장은 18세기 초 아와지섬 출신의 인형극 배우 우에무라 분라쿠켄|植村文楽軒|일본어의 인형극 단체 이름을 따서 분라쿠자|일본어라고 명명되었으며, 그의 노력으로 쇠퇴해가던 전통 인형극이 되살아났다.
2. 4. 근현대
인형극은 에도 시대 초기에 샤미센 음악, 조루리와 결합하여 탄생했다고 여겨진다. 태유에서는 다케모토좌를 오사카에 연 다케모토 기다유, 작가로는 지카마쓰 몬자에몬과 키노 카이온과 같은 뛰어난 재능으로 번성했다. 한때는 가부키를 능가하는 인기를 누리며, 가부키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에도 야구라시타 (최고위 태유)는 예능에서 지위가 높다고 여겨진다. 많은 가부키가 인형 조루리의 번안이며, 조루리를 생략 없이 수록한 책을 마루모토라고 칭하는 데서 유래하여 마루모노(마루모토)라고 불린다.
그 후, 후쿠치 키가이(히라가 겐나이)에 의해 에도 조루리가 발생했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 (간세이 연간)에, 아와지 카리야 출신의 초대 우에무라 분라쿠켄은 가부키의 인기에 밀려 쇠퇴해 가던 인형 조루리의 계통을 이어받아, 타카츠하시 (오사카시주오구)에 극장을 만들고 부활시켰다. 이 극장은 1872년, 3대 우에무라 분라쿠켄 (분라쿠 오) 때 마츠시마 (오사카시 니시구)로 이전하여, "분라쿠좌"를 칭한다. 다이쇼 시대에는 분라쿠좌가 유일한 인형 조루리 전문 극장이 되었기 때문에, 인형 조루리의 대표적인 존재가 되었다.
1909년에는 분라쿠좌는 쇼치쿠의 경영이 되었고, 쇼치쿠가 분라쿠의 흥행을 하게 되었다. 분라쿠좌는 후에 고료 신사 경내 (오사카시 주오구)로 이전했다. 소실 후 1929년에는 요츠바시 (오사카시 니시구)에 신축 이전했지만, 1945년의 오사카 대공습으로 다시 소실되었다. 다음 해 1946년에 부활했지만, 1956년, 도톤보리벤텐좌 터 (오사카시 주오구)로 신축 이전했다.
1948년, 쇼치쿠와의 대우 개선 문제로, 분라쿠계는 회사파의 "분라쿠인회"와 조합 측의 "분라쿠 산와회"로 분열되었다. 이러한 내분도 있어서, 전후에는 흥행 성적이 부진했다. 1963년, 쇼치쿠는 분라쿠에서 철수하고, 분라쿠좌도 아사히좌로 개칭했다. 새롭게 오사카부·오사카시를 주체로 문부성 (현· 문부과학성)·NHK의 후원을 받은 재단법인 분라쿠 협회가 발족하여, 분라쿠계는 재통일되어, 재출발하게 되었다.
1984년에는 국립 분라쿠 극장이 완성되어, 쇼치쿠의 철수 후에도 분라쿠를 흥행하여 오사카의 분라쿠의 정석 역할을 담당했던 도톤보리 아사히좌 (구 분라쿠좌)는 긴 역사의 막을 내렸다.
2003년, "인형 조루리 분라쿠"가 "인류의 구전 및 무형 유산의 걸작"으로 선언되었다 ( 무형 문화유산 참조).
2012년, 유료 입장자 수가 3년 만에 10만 명을 넘어섰다.[25]
2014년, 일본 재단이 인형 조루리 "분라쿠"의 보급을 목표로 "닛폰 분라쿠" 프로젝트를 시작, 도쿄 올림픽이 개최되는 2020년까지 연 2회의 전국 공연을 실시할 것을 발표했다.[26]
2015년, 2014년도의 입장자 수가 증가했다. 1994년도 이후, 20년 만의 높은 수준으로, 1984년의 극장 개장 이후 3번째로 많다. 평균 입장자 수는, 과거 최고가 되었다.[27] 3월에는 "닛폰 분라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롯폰기 힐스의 아레나에 노송나무 무대를 조립하여 공연을 실시했다.[28]
3. 공연 양식
분라쿠는 남성 배우들이 공연하며, 다유(太夫), 샤미센(三味線), 인형 조종사(人形遣い)의 연기가 어우러진 삼위일체의 공연 예술이다. 이를 산교(三業)라고 부른다. 객석 우측에 돌출된 연주 공간인 '유카'(床)에서 다유와 샤미센 연주자가 조루리(浄瑠璃)를 연주한다. 유카에는 '본'(盆)이라는 회전 장치가 있어 연주자 교체가 용이하다. 인형 조종사를 '데스리'(手摺)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인형 조종사의 허리 아래를 가리는 판을 데스리라고 부르는 데서 유래했다.
3. 1. 다유(太夫)
다유는 변사로서, 1인이 기본으로 혼자서 일인다역을 맡는 것은 물론 풍경 묘사까지 다양한 역을 수행한다. 긴 작품에서는 중간에 교체되기도 한다.[19] 조루리에는 여러 형식이 있으나, 분라쿠에서는 기다유부시(義太夫節)를 사용한다.
창자/가수(타유|tayū일본어)와 샤미센|샤미센일본어 연주자는 일본 전통 인형극의 필수적인 음악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공연에서는 한 막에 한 명의 샤미센일본어 연주자와 한 명의 창자만이 음악을 연주한다. 이 두 음악가의 조화는 공연에 대한 그들의 기여의 질을 결정한다.[4]
타유일본어의 역할은 인형의 감정과 개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타유일본어는 각 등장인물의 목소리를 연기할 뿐만 아니라 극의 해설자 역할도 한다.
무대 옆에 위치한 타유일본어는 각 등장인물의 얼굴 표정을 몸짓으로 보여주면서 그들의 목소리를 연기한다. 여러 등장인물을 동시에 연기할 때, 타유일본어는 감정과 목소리를 과장하여 등장인물 간의 구분을 돕는다. 이는 또한 관객에게 감정적인 부분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조루리의 어가(語り)는 배역에서 할당된 담당 장면의 이야기를 해당 다유가 혼자 모두 이야기하는 것이 기본 형태로, 정경 묘사에서 시작하여 많은 등장인물을 말하는데, 긴 작품 등에서는 도중에 다른 다유와 교대하여 맡는다. "걸어 넘기기"의 경우에는 여러 명의 다유가 늘어선다.
또한, 다유명(예명)은 1953년에 인회(치나미카이), 다음 해에 미츠와회(미츠와카이)가 "다이후"로 표기를 변경했지만, 2016년에 원래 표기인 "다유"로 되돌렸다.[20][21]
3. 2. 샤미센(三味線)
샤미센 연주자는 정좌 자세로 앉되, 무릎을 약간 벌려 엉덩이를 땅에 완전히 댄 자세에서 연주한다. 분라쿠에서는 가장 크고 낮은 음역을 가진 후토-자오 샤미센이 사용된다.[4] 굵은 지판의 샤미센을 사용하며, 울림이 묵직하여 "후토"(太)라고도 한다.창자/가수(타유일본어)와 샤미센 연주자는 일본 전통 인형극의 필수적인 음악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공연에서는 한 막에 한 명의 샤미센 연주자와 한 명의 창자만이 음악을 연주한다. 이 두 음악가의 조화는 공연에 대한 그들의 기여의 질을 결정한다.[4]
3. 3. 인형 조종(人形遣い)

옛날에는 인형을 한 명이 조종했지만, 1734년 3인 조종술이 고안된 후에는 3명이 조종하는 것이 기본이 되었다. 이를 산닌즈카이(三人遣い일본어)라고 하며, 오모즈카이, 히다리즈카이, 아시즈카이로 구성된다. 오모즈카이(主遣い일본어)는 인형의 얼굴 표정과 오른손을, 히다리즈카이(左遣い일본어)는 왼팔을 조종하면서 인형의 버팀목을 지지하고, 아시즈카이(足遣い일본어)는 다리 부분을 담당한다. 히다리즈카이와 아시즈카이는 오모즈카이의 움직임을 보고 인형을 조종한다.
기본적으로 검은 복장에 얼굴을 검은 천으로 가리고 있지만, 오모즈카이는 중요한 때에 얼굴을 내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이를 데즈카이(出使い)라고 한다. 히다리즈카이와 아시즈카이는 항상 얼굴을 가린다. 중요하지 않은 역할은 한 명이 조종하기도 하며 이것을 히토리즈카이(一人遣い)라고 부른다.[1]
인형 조종은 우선 다리부터 익히고 그 다음 왼쪽, 마지막으로 머리와 오른쪽을 단계적으로 익히게 된다. 각각의 인형사 세 명이 조화를 맞춰 조종하기 위해서는 오랜 숙련이 필요한데, '발 십년, 왼쪽 십년'(足十年、左十年일본어)이라고 할 정도로 엄격한 수련을 하게 된다.[2]
주요 인형극 배우인 오모즈카이(omozukai일본어)는 오른손으로 인형의 오른손을 제어하고, 왼손으로 인형의 머리를 제어한다. 좌측 인형극 배우는 극단의 전통에 따라 히다리즈카이(hidarizukai일본어) 또는 사시즈카이(sashizukai일본어)라고 불리며, 인형의 팔꿈치에서 뒤로 뻗어 있는 조작 막대를 사용하여 자신의 오른손으로 인형의 왼손을 조작한다. 세 번째 인형극 배우인 아시즈카이(ashizukai일본어)는 발과 다리를 조작한다.[3]
가장 작은 조연을 제외한 모든 캐릭터는 세 명의 인형극 배우가 필요하며, 이들은 관객에게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검은색 가운을 입고 공연한다. 대부분의 전통에서 모든 인형극 배우는 머리 위에 검은색 두건을 쓰지만, 국립 분라쿠 극장을 포함한 일부는 주요 인형극 배우는 두건을 쓰지 않는 데즈카이(dezukai일본어)라고 알려진 공연 스타일을 사용한다. 인형극 배우의 두건 모양 또한 인형극 배우가 속한 학파에 따라 다르다.[4]
4. 분라쿠 인형
분라쿠 인형은 머리, 몸통, 손, 발, 그리고 의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형의 머리와 손은 전문 조각가가 만들고, 몸통과 의상은 인형극 배우들이 제작하기도 한다.
- 손과 발: 손과 발은 양 어깨에서 끈으로 연결되어 늘어져 있다. 여자 인형은 옷자락 때문에 발이 없는 것이 원칙이다. 손은 움직임에 따라 약 30종류가 있으며, 왼손에는 철사가 붙어 있다. 발은 십여 종류가 있다.
인형의 머리는 역할에 따라 눈, 입, 눈썹 등이 움직이도록 정교하게 만들어지며, 특히 초자연적인 극에서는 얼굴이 순식간에 악마의 모습으로 변하기도 한다. 주요 인형극 배우는 인형 몸통 뒤쪽 구멍을 통해 왼손을 넣어 머리의 움직임을 조작한다.
17세기 후반에는 인형에 다리가 부착되었고, 1733년에는 손가락 끝을 움직일 수 있게 되었다. 1741년에는 눈썹, 1861년에는 눈을 움직이고 혀를 내밀며 머리카락을 세우거나 배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졌다.[23][24]
오사카 전통 인형은 약간 작은 편이고, 아와지 전통 인형은 야외 공연 때문에 큰 편이다.
4. 1. 머리(かしら)
인형은 머리, 몸통, 손, 발, 의상으로 구성된다.남녀, 나이, 성격 등 역할에 따라 약 70종의 머리(かしら)가 있다. 나무 조각에 채색을 한 것으로, 목밑에는 인목(咽木) 등이 있으며 몸통에는 머리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실이 붙어 있다. 인형의 장치는 종류에 따라 눈, 입, 눈썹이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데, 대체로 여자 인형의 머리는 움직임이 적고, 형태도 작다. 무대에서 사용할 때는, 머리에 각각의 역할에 따른 가발을 씌우고, 채색도 그때그때 달리 칠한다.
대략 80종류의 인형 머리가 광범위하게 분류되어 있으며, 일본예술문화진흥회(ja)의 디지털 도서관에는 129종류의 인형 머리가 등재되어 있다.[7][8]
이러한 머리 중 일부는 특수한 장치가 되어있어 끈을 당기면 인형의 표정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끈을 당기면 머리의 한 종류인 gabu|가부일본어는 아름다운 여성의 입을 귀까지 순식간에 찢어 송곳니가 자라게 하고, 눈은 큰 금색으로 변하며 금색 뿔이 자라게 할 수 있다. Tamamo-no-Mae|다마모노마에일본어의 머리는 끈을 당기면 아름다운 여성의 얼굴을 여우|kitsune일본어 가면으로 즉시 덮을 수 있다.[7][9] 머리의 한 종류인 nashiwari|나시와리일본어는 끈을 당겨 머리를 두 개로 쪼개 칼에 잘린 머리를 나타내는 빨간색 부분을 드러낼 수 있다.[7]
머리카락을 손질하는 것은 그 자체로 하나의 예술이다. 머리카락은 캐릭터를 구별하며 특정 성격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머리카락은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만들어지지만, 부피를 만들기 위해 야크 꼬리를 추가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머리카락은 구리판에 고정된다. 인형 머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헤어스타일 마무리는 기름이 아닌 물과 밀랍으로 한다.[11]
분라쿠 인형에는 남녀 외에도 연령, 신분, 성격에 따라 '가시라'(머리)가 다르며, 각각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남성의 가시라 |
---|
여성의 가시라 |
---|
소재는 기소히노키를 사용하며, 눈썹(아오치)・눈(히키메・요리메) 등 움직이는 것에는 장치를, 또 내부에 끄덕임 실을 붙이는 등, 표정을 풍부하게 하는 궁리가 베풀어져 있다. 가시라를 움직이기 위한 조작색에는 고래 수염이 사용된다.
4. 2. 몸통
견판(肩板)과 요륜(腰輪)과 이를 연결하는 앞뒤 두 장의 헝겊으로 되어 있으며, 견판에는 그 양쪽에 수세미 껍질을 붙여서 불룩하게 만들고, 중앙의 구멍에는 머리에 연결된 몸통나무를 통하게 되어 있다.[1] 인형의 골격 구조는 단순하다. 조각된 나무 가시라일본어(かしら, 머리)는 머리 손잡이, 즉 도구시일본어(どぐし)에 연결되어 인형 어깨의 구멍으로 삽입된다. 긴 천이 어깨 보드의 앞면과 뒷면에 걸쳐지고, 그 다음 천이 부착된다. 조각된 대나무는 인형의 엉덩이를 만들기 위해 부착되며, 팔과 다리는 로프로 몸체에 묶인다. 인형에는 몸통이 없는데, 이는 몸통이 있으면 인형 조종자의 개별 사지 움직임 범위를 막을 뿐이기 때문이다. 이쇼일본어(衣装, 의상) 또는 인형의 의상은 예술가가 보이고 싶지 않은 천, 나무 또는 대나무 부분을 덮기 위해 꿰매어진다. 마지막으로, 수석 인형 조종사가 도구시일본어(どぐし, 머리 손잡이) 머리 막대를 꽉 잡을 수 있도록 의상 뒤쪽에 틈이 만들어진다.[1]4. 3. 손과 발
인형은 머리, 몸통, 손, 발, 의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 남녀, 노소, 성격 등 역할에 따라 약 70종이 있다. 나무 조각에 도료로 채색하고, 목밑에는 인목 등이 있으며 몸통에는 머리 움직임을 조작하는 실이 붙어 있다. 인형 장치는 종류에 따라 눈, 입, 눈썹이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데, 대체로 여자 인형은 움직임이 적고 형태도 작다. 무대에서 사용할 때는 머리에 역할에 따른 가발을 씌우고, 채색도 다시 한다.
- 몸통: 견판과 요륜,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두 장의 헝겊으로 되어 있다. 견판 양쪽에는 수세미 껍질을 붙여 불룩하게 만들고, 중앙 구멍에는 머리에 연결된 몸통나무를 통하게 되어 있다.
- 손·발: 양 어깨로부터 끈으로 늘어뜨린다. 원칙적으로 여자 인형은 옷자락을 내리고 있기 때문에 발을 달지 않는다. 손은 움직임에 따라 약 30종이 있으며, 왼손에는 철사가 붙어 있다. 발 종류도 십여 종이나 된다.
전통 인형의 머리와 손은 전문가가 조각하며, 몸과 의상은 종종 인형극 배우가 제작한다. 머리는 매우 정교할 수 있는데, 초자연적인 극에서는 얼굴이 순식간에 악마의 얼굴로 변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덜 복잡한 머리에는 눈이 위아래, 좌우로 움직이거나 감기고, 코, 입, 눈썹이 움직일 수 있다.
머리 부분의 모든 움직임을 제어하는 장치는 인형 목에서 아래로 뻗어 있으며, 주요 인형극 배우가 몸통 뒤쪽 구멍을 통해 인형 가슴에 왼손을 넣어 조작한다.
분라쿠 인형에는 남녀 외에도 연령, 신분, 성격에 따라 '가시라'(머리)가 다르며, 각각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성별 | 종류 | 설명 |
---|---|---|
남성 | 켄비시 | 남성적이고 애수를 띤 강인함이 드러나는 입역 |
다라스케 | 혐오스럽고 비굴한 표정의 단적역 | |
요칸페이 | 삼매역의 적역 | |
마타헤이 | 정직한 마을 사람 | |
키이치 | 자애로운 마음을 가진 노무사 | |
겐다 | 20대 전후의 이케멘 역 | |
와카오토코 | 10대의 연애 상대역 | |
공명 | 40대에서 50대 무렵의 무장으로, 총명하고 섬세한 표정 | |
여성 | 무스메 | 14, 5세의 미혼 여성, 풋풋한 표정 |
후케오야마 | 20대에서 40대의 폭넓은 여성 | |
게이세이 | 최고위 유녀로서의 기품과 요염함, 심지가 굳은 여성, 가장 화려함 | |
오후쿠 | 삼매역 |
소재는 기소히노키를 사용하며, 눈썹(아오치)·눈(히키메·요리메) 등 움직이는 것에는 장치를, 또 내부에 끄덕임 실을 붙이는 등, 표정을 풍부하게 하는 궁리가 베풀어져 있다. 가시라를 움직이기 위한 조작색에는 고래 수염이 사용된다.
4. 4. 의상
인형은 머리, 몸통, 손, 발, 의상으로 구성된다.의상은 가부키와는 달리 역할에 따라 거의 정해져 있는데, 인형을 조종하는 사람이 몸통나무를 쥐기 위해 손을 넣을 수 있도록 등에는 잘린 데가 있다.
의상은 의상 장인이 디자인하며, 다양한 색상과 무늬의 옷들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허리띠와 옷깃, 속 기모노(주반) , 기모노, 하오리 또는 겉옷(우치카케)이 포함된다. 의상의 부드러움을 유지하기 위해 면으로 안감을 댄다.[12]
인형의 의상이 낡거나 더러워지면 인형극 배우가 의상을 교체한다. 인형극 배우가 인형의 옷을 입히거나 다시 입히는 과정을 고시라에|일본어라고 한다.
5. 무대
분라쿠 닌교조루리의 무대는 다른 연극과는 달리, 발의 움직임을 감추기 위해 무대 앞면에 '선저(船底)'라고 불리는, 마룻바닥보다 한층 낮은 활처럼 휘어져 들어간 부분이 있다. 선저 양쪽에는 '난간'이라 불리는 판자가 세워진다. 난간 뒤쪽은 '본수(本手)'라고 불리며, 더 뒤쪽은 이중(二重)에 해당된다.
인형의 발 높이는 항상 일정하게 받쳐지며, 객석에서 보면 난간 위끝에 서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무대 앞끝에도 '3의 손'이 놓여진다. 선저 좌우에는 각각 인형이 출입하는 양막(揚幕)이 있고, 아래쪽 양막 위는 악기실(樂器室)이다. 무대 위쪽에는 객석을 향해 '다유'가 이야기를 하는 높은 자리가 있고, 이 자리는 회전 무대처럼 되어 있어 '다유'와 '샤미센' 연주자가 교대한다.
5. 1. 선저(船底)와 난간
분라쿠 닌교조루리의 무대는 다른 연극과는 달리, 발의 움직임을 감추기 위해 무대 앞면에 '선저(船底)'라고 불리는, 마룻바닥보다 한층 낮은 활처럼 휘어져 들어간 부분이 만들어져 있다. 이 선저의 깊이는 약 36cm, 폭은 약 180cm이며, 이것은 보통의 평무대(平舞臺)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이 양쪽에는 '난간'이라 불리는 판자가 세워진다. 난간의 높이는 앞(관객석에 가까운 쪽)이 약 48cm, 뒤가 약 85cm이며, 앞쪽을 '2의 손', 뒤쪽을 '1의 손' 또는 '본수(本手)'라 한다. 본수에서 더 뒤쪽인 무대가 이른바 이중(二重)에 해당된다.인형의 발 높이는 항상 약 84.8cm로 받쳐지며, 객석에서 보면 꼭 난간 위끝에 서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무대 앞끝에도 약 24cm 길이의 '3의 손'이 놓여진다. 선저 좌우(위쪽·아래쪽)에는 각각 인형이 출입하는 양막(揚幕)이 있고, 아래쪽 양막 위가 악기실(樂器室)로 되어 있다. 무대 위쪽에는 객석을 향해 '다유'가 이야기를 하는 높은 자리가 있다. '다유'의 자리는 회전 무대처럼 되어 있어서, '다유'와 '샤미센'이 교대한다.
5. 2. 다유 자리와 악기실
분라쿠 닌교조루리의 무대는 다른 연극과는 달리, 발의 놀림을 감추기 위하여 무대 앞면에 '선저(船底)'라고 불리는, 마룻바닥보다 한층 낮은 활처럼 휘어져 들어간 부분이 만들어져 있다. 이 선저의 깊이는 약 36cm, 폭은 약 180cm로서, 이것이 보통의 평무대(平舞臺)에 해당되는 부분이며, 다시 이 양쪽엔 '난간'이라 불리는 판자가 세워진다. 난간의 높이는 앞(관객석에 가까운 쪽)이 약 48cm, 뒤가 약 85cm이며, 앞쪽을 '2의 손', 뒤쪽을 '1의 손' 또는 '본수(本手)'라 한다. 본수에서 더 뒤쪽인 무대가 이른바 이중(二重)에 해당된다.인형의 발 높이는 항상 약 84.8cm로 받쳐지며, 객석에서 보면 꼭 난간 위끝에 서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무대 앞끝에도 약 24cm 길이의 '3의 손'이 놓여진다. 선저 좌우(위쪽·아래쪽)에는 각각 인형이 출입하는 양막(揚幕)이 있고, 아래쪽 양막 위가 악기실(樂器室)로 되어 있다. 무대 위쪽에는 객석을 향해 '다유'가 이야기를 하는 높은 자리가 있다. '다유' 자리는 회전 무대처럼 되어 있어서, '다유'와 '샤미센' 연주자가 교대한다.
5. 3. 유카(床)
유카(床|유카일본어)는 기다유부시가 공연되는 보조 무대이다. 객석 앞 오른쪽 구역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 무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곳에서 창자(chater)와 샤미센 연주자가 등장하며, 공연이 끝나면 회전하여 무대 뒤로 들어가고 다음 공연자를 무대에 올린다.[15]분라쿠는 남성에 의해 연기된다. 태유·샤미센·인형(삼업(三業))으로 이루어진 삼위일체의 기예이다. 객석의 우수 측에 튀어나온 "유카"라는 전용 연주대 위에서 태유와 샤미센이 조루리를 연주하기 때문에 연주자 자체를 "유카"라고 부르기도 한다.
유카에는 "본"이라는 회전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조루리 연주의 기본 형태인 "태유 1명 + 샤미센 1명"이 탈 수 있는 구조로, 2명이 달려들어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무대의 긴장감 유지에 영향을 주지 않고 등장 또는 연주자 교대가 가능하다.
5. 4. 테스리(手摺)와 후나조코(船底)
분라쿠 닌교조루리의 무대는 다른 연극과는 달리, 발의 놀림을 감추기 위하여 무대 앞면에 '후나조코(船底)'라고 불리는, 마룻바닥보다 한층 낮은 활처럼 휘어져 들어간 부분이 만들어져 있다. 이 후나조코의 깊이는 약 36cm, 폭은 약 180cm로서, 이것이 보통의 평무대(平舞臺)에 해당되는 부분이며, 다시 이 양쪽엔 '테스리(手摺)'라 불리는 판자가 세워진다. 테스리의 높이는 앞(관객석에 가까운 쪽)이 약 48cm, 뒤가 약 85cm이며, 앞쪽을 '2의 손', 뒤쪽을 '1의 손' 또는 '본수(本手)'라 한다. 본수에서 더 뒤쪽인 무대가 이른바 이중(二重)에 해당된다.즉 인형의 발의 높이는 항상 약 84.8cm의 높이로 받쳐지며, 객석에서 보면 꼭 테스리의 위끝에 서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다시금 무대의 앞끝에도 약 24cm 길이의 '3의 손'이 놓여진다. 후나조코의 좌우(위쪽·아래쪽)에는 각각 인형이 출입하는 양막(揚幕)이 있고, 아래쪽 양막 위가 악기실(樂器室)로 되어 있다. 무대의 위쪽에는, 객석으로 향해서 '다유'가 이야기를 하는 높은 자리가 있다. '다유'의 자리는 회전 무대처럼 되어 있어서, '다유'와 '샤미센'이 교대를 하게 된다.
무대 앞쪽과 뒤쪽 사이에는 세 개의 무대 위치가 있는데, 이를 "테스리"(tesuri|테스리일본어)라고 부른다. 두 번째 칸막이 뒤쪽 영역은 종종 후나조코(funazoko)라고 불리며, 인형극 연출자들이 인형의 생동감 넘치는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서 있는 곳이다.
분라쿠는 남성에 의해 연기된다. 태유·샤미센·인형(이하, 삼업(三業)이라고 한다)으로 이루어진 삼위일체의 기예이다. 객석의 우수 측에 튀어나온 "유카"라고 불리는 전용 연주대 위에서 태유와 샤미센이 조루리를 연주한다. 그 때문에 연주자 그 자체를 "유카"라고 부르기도 한다 ( "태유와 샤미센"을 나타내는 표현으로서 ). 마찬가지로 인형 조종사를 "테스리"라고 표현하여 부르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인형 조종사의 허리 아래가 가려지는 판을 테스리라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
유카에는 "본"이라는 회전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조루리 연주의 기본 형태인 "태유 1명 + 샤미센 1명"이 탈 수 있는 구조로, 2명이 달려들어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무대의 긴장감 유지에 영향을 주지 않고 등장 또는 연주자 교대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5. 5. 고마쿠(小幕)와 미스우치(簾内)
이 무대는 관객의 시점에서 바라보며, 오른쪽을 가미테|kamite일본어 (무대 왼쪽), 왼쪽을 시모테|shimote일본어 (무대 오른쪽)라고 부른다. 인형들은 작은 검은색 막을 통해 무대에 나타나고 퇴장한다. 이 작은 막 위에는 시야를 가리는 스크린이 있는데, 관객이 내부를 볼 수 없도록 대나무로 만든 특별한 발이 설치되어 있다.5. 6. 조시키마쿠(定式幕)
조시키마쿠(定式幕|jōshiki-maku일본어)는 산테스리(三軒手摺|san-n-tesuri일본어)라고 불리는 턱에서 낮게 드리워진 큰 커튼이다. 이 커튼은 관객석과 주요 무대 사이를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인형 조종사들은 조시키마쿠 뒤에 서서 커튼 위로 인형을 들고 관객들로부터 숨겨졌다. 그러나 이후 분라쿠(文楽|분라쿠일본어) 형식에서 확립된 데즈카이(出遣い|dezukai일본어) 관행은 배우들이 인형과 함께 움직이는 모습을 무대에서 볼 수 있게 하여 커튼의 사용을 무효화했다.[16]6. 주요 작품
분라쿠의 주요 작품은 크게 "시대물"[29][30]과 "세와모노"[31]로 나뉜다. 시대물은 에도 시대 이전의 사건을, 세와모노는 에도 시대 동시대의 사건을 다룬다. 대부분 에도 시대에 창작, 초연되었으나 메이지 시대 이후 작품도 있다. 쇼와 시대에는 오니시 토시오의 번역으로 햄릿, 나비 부인 같은 "아카게모노"도 상연되었다[32]。
자세한 내용은 각각 시대물, 세와모노 하위 섹션을 참고.
6. 1. 시대물(時代物)
에도 시대부터 과거의 사건을 다룬 것을 "시대물"[29][30]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작품은 에도 시대에 창작, 초연되었지만, 메이지 시대 이후에 창작, 초연된 작품도 있다. 쇼와 시대 이후에는 오니시 토시오의 번역, 각본화로 햄릿, 나비 부인 등의 "아카게모노"도 상연되었다[32]。다음은 주요 시대물 목록이다.
작품명 | 비고 |
---|---|
아시야 도만 오우치카가미 (芦屋道満大内鑑) | 갈의 잎 |
이가고에 도츄 스고로쿠 (鍵屋の辻の決闘) | 이가고에 |
이치노타니 후타바 군키 (一谷嫩軍記) | 이치노타니 |
이모세야마 온나 테이킨 (妹背山婦女庭訓) | 이모세야마 |
에혼 타이코키 (絵本太功記) | 타이코키 |
오슈 아다치가하라 (奥州安達原) | 아다치가하라 |
오미 겐지 센진야카타 (近江源氏先陣館) | 오미 겐지 |
카가미야마 코쿄노 니시키에 (加賀見山旧錦絵) | 카가미야마 |
가나데혼 주신구라 (仮名手本忠臣蔵) | 주신구라 |
가마쿠라 산다이키 (鎌倉三代記) | 카마산 |
키이치 호겐 산랴쿠노 마키 (鬼一法眼三略巻) | 키이치 호겐 |
기온 사이레이 신코키 (祇園祭礼信仰記) | 신앙기, 긴카쿠지 |
케이세이 한곤코 (傾城反魂香) | 잇테츠 |
겐페이 누노비키노 타키 (源平布引滝) | 누노비키, 누노비키노 타키 |
코이니요보 소메와케 타즈나 (恋女房染分手綱) | 오모노이코와카레, 코이니요보 |
콕세이야 캇센 (国性爺合戦) | 콕세이야 |
고쇼자쿠라 호리카와 요우치 (御所桜堀川夜討) | 고쇼자쿠라, 벤케이상시 |
쇼우쓰시 아사오바나시 (生写朝顔話) | 아사오니키 |
신 우스유키 모노가타리 (新薄雪物語) | 신우스유키 |
스가와라 덴쥬 테나라이 카가미 (菅原伝授手習鑑) | 스가와라 |
셋슈 갓포우가츠지 (攝州合邦辻) | 갓포 |
단노우라 카부토 군키 (壇浦兜軍記) | 아코야 코토세메 |
하나노 우에노 호마레노 이시부미 (花上野誉碑) | 시토데라 |
히라가나 세이스이키 (ひらかな盛衰記) | 세이스이키, 사카사하제, 겐타칸토 |
헤이케 뇨고노시마 (平家女護島) | 슌칸 |
혼초 니쥬시코 (本朝廿四孝) | 니쥬시코 |
무스메 카게키요 야시마 닛키 (嬢景清八島日記) | 무스메 카게키요 |
메이보쿠 센다이하기 (伽羅先代萩) | 센다이하기 |
요시츠네 센본자쿠라 (義経千本桜) | 센본자쿠라 |
로벤 스기노 유라이 (良弁杉由来) |
6. 2. 세와모노(世話物)
에도 시대부터 과거의 사건을 다룬 "시대물"[29][30]과 동시대의 일을 주제로 한 "세와모노"[31]가 있다. 대부분의 작품은 에도 시대에 창작, 초연되었지만, 메이지 시대 이후에 창작, 초연된 작품도 있다.- 가쓰라가와 연리지책 (가쓰라가와 렌리의 시가라미) (가쓰라가와)
- 고타이헤이키 시라이시 이야기 (고타이헤이키 시라이시바나시) (시라이시 이야기, 고타이헤이키)
- 신주 텐노 아미지마 (신주 텐노 아미지마) (텐노 아미지마)
- 신주 요이 고신 (신주 요이 고신) (오치요 한베에)
- 신판 우타자이몬 (신판 우타자이몬) (오소메 구마츠)
- 소네자키 신주 (소네자키 신주) (오하츠 도쿠베에)
- 요즘 강가의 다테히키 (치카고로 카와라노 타테히키) (오슌 덴베에, 호리카와)
- 쓰보사카 관음 영험기 (쓰보사카 칸논 레이겐키) (쓰보사카)
- 여름 축제 나니와 거울 (나쓰마쓰리 나니와가미) (여름 축제)
- 염용 여무의 (하데스가타 온나 마이 기누) (술집)
- 쌍 나비 곡와 일기 (후타쓰 쵸쵸 쿠루와 닛키) (쌍 나비)
- 호리카와 파도의 북 (호리카와 나미노 츠즈미) (파도의 북)
- 명도의 비각 (메이도노 히캬쿠) (우메가와 츄베에)
7. 분라쿠 이외의 인형 조루리
지역 | 명칭 | 보존 단체 | 상연 작품 | 비고 |
---|---|---|---|---|
이시카와현 하쿠산시 | 오구치의 데쿠마와시[33] | 히가시후타구치 분야 인형 조루리 보존회, 후카세 데쿠마와시 보존회 | (정기 공연) 매년 2월 둘째 주 토, 일요일 | |
가나가와현 아쓰기시, 오다와라시 | 사가미 인형극[34] | 사가미 인형극 연합회(하야시자(아쓰기), 나가야자(아쓰기), 시모나카자(오다와라), 마에토리자(히라쓰카시), 아시가라자(미나미아시가라시) | ||
니가타현사도시 | 사도의 인형극(분야 인형, 설경 인형, 노로마 인형) | 사도 인형극 보존회(사도 분야 인형 진흥회, 니이보무라 인형 보존회) | "겐지 에보시오리" 등 | 분야절은 옛 조루리 중 하나 |
기후현모토스시 | 마쿠와 인형 조루리 | 마쿠와 분라쿠 보존회 | "렌뇨 쇼닌 일대기" 등 | 상연 회장 "마쿠와의 인형 무대"는 중요 유형 민속 문화재 |
미에현시마시아고초 아노 | 아노의 인형극 | 아노 인형극 보존회 | "다테 무스메 코이노 히카고" 등 | 아노 분라쿠 |
효고현미나미아와지시 | 아와지 인형 조루리 | 재단법인 아와지 인형 협회(이사장: 미나미아와지 시장) | "케이세이 아와노 나루토" 등 | "아와지 인형 조루리관" 상설 공연, 아와지 섬 내 학교 클럽 활동 활발 |
도쿠시마현 | 아와 인형 조루리 | 재단법인 아와 인형 조루리 진흥회 | "케이세이 아와노 나루토" 등 | 아와 주로베 저택에서 아와 주로베좌 정기 공연, 현 내 학교 클럽 활동 활발, 인형사 덴구큐 제작 도구 및 제품 등 중요 유형 민속 문화재 |
미야자키현미야코노조시 | 야마노구치의 분야 인형 | 야마노구치 후모토 분야절 인형 조루리 보존회 | 분야절은 옛 조루리 중 하나 | |
가고시마현사쓰마센다이시도고초 오노부치 | 도고 분야절 인형 조루리 | 도고 분야절 인형 조루리 보존회 | 17세기 후반 가미가타 유행 분야절 계통, 옛 조루리 모습 전승 | |
나가노현이다시 | 이마다 인형 | 국 선택 무형 민속 문화재, 이다시 류에 오미야 하치만구 가을 축제 등 상연 | ||
나가노현 이다시 가미고 | 구로다 인형 | 시모구로다 스와 신사 상연, "손"이라 불리는 오래된 형식 전승 | ||
기후현나카쓰가와시 | 에나 분라쿠 | 현 지정 무형 문화재 | ||
기후현미즈나미시 | 한바라 인형 조루리 | 현 지정 무형 문화재 | ||
시가현나가하마시 토미타마치 | 토미타 인형 | 현 선택 무형 민속 문화재, 1835년 아와 극단이 인형 양도, 해외 공연 | ||
오토메 분라쿠 | 여성 인형 조종, 1인 조종(쇼와 초기 3인 조종), 쇼난좌(히라쓰카시) 외 요시다 코우카, 키리타케 마유사 등 활약 | |||
나오시마 여자 분라쿠 | 종전 후 섬 여성 부흥 | |||
구마모토현가미마시키군야마토정 | 세이와 분라쿠 | 현 지정 중요 무형 문화재, 미치노에키 세이와 분라쿠무라 내 세이와 분라쿠관(규슈 유일 인형 조루리 전용 극장) |
참조
[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Bunraku 1
http://www2.ntj.jac.[...]
Japan Arts Council
2011-09-06
[2]
웹사이트
Bunraku Bay performs with 300-year-old troupe
http://www.themaneat[...]
2015-03-09
[3]
웹사이트
Asian Collection at the Center for Puppetry Arts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The Chanter and the Shamisen Player
http://www2.ntj.jac.[...]
Japan Arts Council
2009-12-31
[5]
웹사이트
The Puppet's Head
http://www2.ntj.jac.[...]
Japan Arts Council
2010-01-21
[6]
웹사이트
Making the Puppet's Head
http://www2.ntj.jac.[...]
Japan Arts Council
2010-02-16
[7]
웹사이트
https://www2.ntj.jac[...]
Japan Arts Council
2023-05-12
[8]
웹사이트
https://www2.ntj.jac[...]
Japan Arts Council
2023-05-12
[9]
웹사이트
Bunraku Dolls: Types of Heads
https://www2.ntj.jac[...]
Japan Arts Council
2023-05-12
[10]
서적
能楽大事典
Chikuma Shobō
[11]
웹사이트
The Puppet's Wig
http://www2.ntj.jac.[...]
Japan Arts Council
2010-01-22
[12]
웹사이트
The Puppet's Costumes
http://www2.ntj.jac.[...]
Japan Arts Council
2009-12-03
[13]
서적
The Voice and Hands of Bunraku
Mobil Seikyu Kabushiki Kaisha
[14]
서적
The Japanese Theatre: From Shamanistic Ritual to Contemporary Plur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서적
Traditional Japanese Theater
Columbia University Press
[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Japanese Traditional Theatre
The Scarecrow Press
[17]
문서
文楽の場合は浄瑠璃の一派である[[義太夫節]]。[[#文楽以外の人形浄瑠璃|文楽以外]]では[[古浄瑠璃]]によって演じられる人形浄瑠璃も存在する。
[18]
문서
大阪の人形浄瑠璃、あるいは淡路や[[阿波国|阿波]]の人形浄瑠璃の影響を受けている場合など、[[文楽#文楽以外の人形浄瑠璃|文楽座の直接の系譜以外]]にも「文楽」を称する人形浄瑠璃がある。これらの名称は、謂わば東京の「銀座」にあやかり、地域の商店街が「○○銀座」と名乗るのと同じような命名である。
[19]
문서
浄瑠璃には通常の会話に近い形で演じられる箇所とはっきりしたメロディーのある箇所がふくまれるが、全体を演じることを「語る」と表現する。
[20]
뉴스
『太夫』表記のお知らせ
https://bunraku.or.j[...]
2016-03-14
[21]
뉴스
文楽の芸名「太夫」に戻します 「大夫」から60年ぶり
https://www.nikkei.c[...]
2016-03-14
[22]
문서
歌舞伎の舞台で義太夫節を語る、いわゆる[[竹本]]の太夫の場合は、文楽で「大夫」と表記していた期間も「太夫」と表記していた。
[23]
문서
暁 晴翁「雲錦随筆」吉川弘文館(日本随筆大成 巻2)、1927年,107頁
[24]
웹사이트
「操り浄瑠璃史」より、2012.7.28閲覧
http://homepage2.nif[...]
[25]
뉴스
国立文楽劇場 橋下効果?3年ぶり入場者10万人超え
http://www.sponichi.[...]
2013-01-29
[26]
뉴스
「にっぽん文楽」プロジェクト立ち上げ/普及目指し五輪まで年2回公演
http://blog.canpan.i[...]
2014-09-04
[27]
뉴스
文楽劇場入場者数、20年ぶり高水準 14年度、11万7000人
https://www.nikkei.c[...]
2015-01-27
[28]
뉴스
六本木ヒルズに檜舞台が出現! 大盛況「にっぽん文楽」初公演
http://www.nippon-fo[...]
2015-05-08
[29]
문서
「時代物」の内、[[奈良時代]]及び[[平安時代]]を舞台にしたものを特に「王朝物」、『[[太平記]]』の世界を描いたものを特に「太平記物」という。江戸期においては武家の事件をそのまま上演する事は検閲の対象となって上演が禁止され関係者が処罰される恐れがあったことから、太平記の世界に仮託されて創作された作品も多い。
[30]
문서
振り仮名は「文化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文楽資料(番付)」に基づいた。独立行政法人・[[日本芸術文化振興会]]サイト2012年8月16日閲覧
[31]
문서
同上
[32]
문서
訃報欄 大西利夫氏(演劇評論家、劇作家)『朝日新聞』1977年(昭和52年)4月19日朝刊、13版、23面
[33]
웹사이트
https://www.city.iid[...]
[34]
웹사이트
http://www.82bunka.o[...]
[35]
문서
유명한 가부키 가문의 무대명(Stage na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