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조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조람은 지중해 동부 지역이 원산지인 허브로,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잎은 요리에 사용되며, 6~8월에 담황색 또는 흰색 꽃이 핀다. '고기의 허브'라는 별명처럼 육류 요리에 주로 사용되며, 수프, 스튜, 소스 등에도 활용된다. 또한, 약용으로도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 항진균, 항미생물 특성을 가진 페놀 카바크롤을 함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레가노속 - 시리아오레가노
    시리아오레가노는 중동 원산의 1미터 높이 식물로, 자타르 혼합물에 사용되는 허브이며 레반트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채집되었으나 현재는 보호 법률로 채취가 제한되어 재배되고, 레바논에서는 말린 잎을 민간 요법으로 사용한다.
  • 키프로스의 식물상 - 치커리
    치커리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식물로, 잎은 샐러드, 뿌리는 커피 대용품, 일부 품종은 사료로 사용되며 전통 의학에도 활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식용된다.
  • 키프로스의 식물상 - 루콜라
    루콜라는 이탈리아 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향미 채소로, 볶은 참깨와 비슷한 풍미와 매운맛이 특징이며, 샐러드, 피자 토핑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 철분 등 영양소가 풍부하며, 한해살이풀로 재배가 용이하다.
  • 튀르키예의 식물상 - 자그로스산맥
    자그로스산맥은 유라시아판과 아라비아판의 충돌로 형성된 습곡 산맥으로, 터키 국경 지대에서 이란 남서부를 거쳐 호르무즈 해협에 이르며, 메소포타미아 평원의 동쪽 경계를 이루고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튀르키예의 식물상 -
    딜은 미나리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 남유럽, 지중해 연안 등이 원산지이며 특유의 향긋한 향으로 유럽과 아시아 요리에서 향신료 및 약초로 활용된다.
마조람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조람
마조람
꽃
학명오리가눔 마요라나
학명_명명L. (1753년)
이명아마라쿠스 마요라나 (L.) Schinz & Thell.
마요라나 두비아 (Boiss.) Briq.
마요라나 프라그란스 Raf.
마요라나 호르텐시스 Moench
마요라나 마요라나 (L.) H.Karst. [잘못됨]
마요라나 멕시카나 M.Martens & Galeotti
마요라나 오발리폴리아 Stokes
마요라나 오바티폴리아 Stokes
마요라나 수프루티코사 Raf.
마요라나 테누이폴리아 Raf.
마요라나 테누이폴리아 Gray
마요라나 운시나타 Stokes
마요라나 불가리스 Gray [비합법적]
오리가눔 콘페르툼 Savi
오리가눔 두비움 Boiss.
오리가눔 마요라나 var. 마요라노이데스 (Willd.) Nyman
오리가눔 마요라나 var. 테누이폴리움 Weston
오리가눔 마요라노이데스 Willd.
오리가눔 오도룸 Salisb.
오리가눔 살비폴리움 Roth
티무스 마요라나 (L.) Kuntze
한국어 이름마조람, 마요라나
영어 이름마조람, 스위트 마조람, 노티드 마조람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
진정쌍떡잎식물
아강국화군
꿀풀목
꿀풀과
하마하카속
기타
용도향신료

2. 역사

마조람은 키프로스, 지중해, 터키, 서아시아, 아라비아 반도, 레반트가 원산지이며 고대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에서는 행복의 상징으로 알려졌다.[4] 중세 시대에 영국 제도에 전파되었을 수도 있다.[5] 마조람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야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5]

마조람이라는 이름(고대 프랑스어: ''majorane''; majoranala-x-medieval)은 라틴어 maiorla (major)에서 직접 파생된 것이 아니다.[6]

마조람은 핼로윈의 기원이 된 켈트교 축제인 사윈과 관련이 있다.[7] 또한 세파르딕 유대인 전통에서 의례적 의학 행위로 사용되었다.[8]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식물이 아프로디테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믿었다.[9][10] 한 신화에 따르면, 키프로스의 왕실 조향사 아마라쿠스가 마조람으로 변했다고 한다.[11] 로마 제국에서 이 허브는 행복의 허브로 알려졌으며 수명을 연장한다고 믿었다. 마조람은 페다니우스 디오스코리데스의 De Materia Medica에 언급되어 있으며, 히포크라테스에 의해 방부제로 사용되었다.[12]

속명인 ''Origanum''은 그리스어의 oros(산)와 ganos(기쁨)의 합성어로 "산의 기쁨"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중해 동부 연안이 원산지로 여겨진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재배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행복을 상징하는 허브로, 결혼하는 젊은 부부가 머리에 이 화관을 쓰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고인의 명복을 빌며, 수의의 향으로 묘지에 심어지기도 했다. 중세 시대에 로마인영국에 전파하면서, 이 사용되기 전까지 이 허브가 맥주의 쓴맛을 내는 데 사용되었다. 이 향을 들이마시면 건강에 좋다고 여겨져, 건조된 허브가 널리 판매되었다[28]

2. 1. 고대와 중세

마조람은 키프로스, 지중해, 터키, 서아시아, 아라비아 반도, 레반트가 원산지이며 고대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에서는 행복의 상징으로 알려졌다.[4] 중세 시대에 영국 제도에 전파되었을 수도 있다.[5] 마조람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야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5]

마조람이라는 이름(고대 프랑스어: ''majorane''; majoranala-x-medieval)은 라틴어 maiorla (major)에서 직접 파생된 것이 아니다.[6]

마조람은 핼로윈의 기원이 된 켈트교 축제인 사윈과 관련이 있다.[7] 또한 세파르딕 유대인 전통에서 의례적 의학 행위로 사용되었다.[8]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식물이 아프로디테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믿었다.[9][10] 한 신화에 따르면, 키프로스의 왕실 조향사 아마라쿠스가 마조람으로 변했다고 한다.[11] 로마 제국에서 이 허브는 행복의 허브로 알려졌으며 수명을 연장한다고 믿었다. 마조람은 페다니우스 디오스코리데스의 De Materia Medica에 언급되어 있으며, 히포크라테스에 의해 방부제로 사용되었다.[12]

속명인 ''Origanum''은 그리스어의 oros(산)와 ganos(기쁨)의 합성어로 "산의 기쁨"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중해 동부 연안이 원산지로 여겨진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재배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행복을 상징하는 허브로, 결혼하는 젊은 부부가 머리에 이 화관을 쓰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고인의 명복을 빌며, 수의의 향으로 묘지에 심어지기도 했다. 중세 시대에 로마인영국에 전파하면서, 이 사용되기 전까지 이 허브가 맥주의 쓴맛을 내는 데 사용되었다. 이 향을 들이마시면 건강에 좋다고 여겨져, 건조된 허브가 널리 판매되었다[28]

2. 2. 근현대

속명인 ''Origanum''은 그리스어의 oros(산)와 ganos(기쁨)의 합성어로 "산의 기쁨"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중해 동부 연안이 원산지로 여겨진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재배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행복을 상징하는 허브로, 결혼하는 젊은 부부가 머리에 이 화관을 쓰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고인의 명복을 빌며, 수의의 향으로 묘지에 심어지기도 했다. 중세 시대에 로마인영국에 전파하면서, 이 사용되기 전까지 이 허브가 맥주의 쓴맛을 내는 데 사용되었다. 이 향을 들이마시면 건강에 좋다고 여겨져, 건조된 허브가 널리 판매되었다[28].

3. 특징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6~8월에 담황색 또는 흰색 꽃이 핀다.[31] 잎은 매끄럽고 단순하며 잎자루가 있고, 난형에서 타원형이다. 길이는 0.5-1.5 cm, 너비는 0.2-0.8 cm이며, 둔한 끝, 완전한 가장자리, 대칭적이지만 가늘어지는 밑부분, 그리고 그물맥을 가지고 있다.[13] 잎의 질감은 수많은 털이 존재하기 때문에 매우 부드럽다.[13] 향기가 매우 강하여 향료로 쓰며, 약재로도 사용한다.[31]

3. 1. 식물학적 특징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6~8월에 담황색 또는 흰색 꽃이 핀다.[31] 잎은 매끄럽고 단순하며 잎자루가 있고, 난형에서 타원형이다. 길이는 0.5-1.5 cm, 너비는 0.2-0.8 cm이며, 둔한 끝, 완전한 가장자리, 대칭적이지만 가늘어지는 밑부분, 그리고 그물맥을 가지고 있다.[13] 잎의 질감은 수많은 털이 존재하기 때문에 매우 부드럽다.[13] 향기가 매우 강하여 향료로 쓰며, 약재로도 사용한다.[31]

3. 2. 재배

마조람은 키프로스 및 터키 원산이다.[33]
마조람(''Origanum majorana'') 에센셜 오일


연약한 여러해살이 식물로 여겨지며(USDA 재배 구역 7–9),[14] 때로는 5구역에서도 강인함을 보일 수 있다. 적절한 조건에서는 번식력이 뛰어나 정원을 덮는 것을 막기 위해 보통 화분에서 재배한다.[15]

향긋한 잎을 얻기 위해 재배하며, 요리 목적으로 녹색 또는 건조된 형태로 사용한다. 식물이 꽃을 피우기 시작할 때 윗부분을 잘라 그늘에서 천천히 말린다. ''프로방스 허브''와 ''자타르''와 같은 허브 조합에 자주 사용된다. 마조람의 꽃이 핀 잎과 윗부분은 증류되어 에센셜 오일을 생산하며, 이 오일은 황색을 띠지만 숙성되면서 갈색으로 어두워진다. 이 오일에는 많은 화학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는 보르네올, 캠퍼, 피넨이다.

4. 종류

오레가노(''오레가넘 불가레'')는 때때로 마조람과 함께 ''O. majorana''로 등재되기도 하며, 야생 마조람이라고도 불린다.[16] 남유럽과 북쪽의 스웨덴까지 건조한 덤불과 울타리에 흔하게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키 30-80cm에 달하는 튼튼한 줄기를 가지며, 짧은 자루에 약간 둥근 잎과 보라색 꽃송이를 맺는다.[16] 마조람보다 더 강한 향을 낸다.[16]

팟 마조람 또는 크레타 오레가노 (''O. 오나이테스'')는 마조람과 유사한 용도로 사용된다.[16]

하디 마조람 또는 프렌치/이탈리아/시칠리아 마조람 (''O. × 메이조리컴'')은 마조람과 오레가노의 교배종으로, 추위에 훨씬 강하지만 약간 덜 달콤하다.[16]

''O. × 하이브리덤''은 화려한 마조람 또는 화려한 오레가노로 알려져 있다.[16]

마조람이라고 불리는 것 외에, 학명: Origanum onites, 별칭 프렌치 마조람과, 와일드 마조람(학명: Origanum vulgare, 별칭 오레가노, 일본명 하나핫카) 등이 잘 알려져 있다.

5. 활용

wikitext

마조람은 '고기의 허브'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주로 고기 요리에 사용되며 소스에까지 널리 쓰인다.[34] 수프, 스튜, 샐러드 드레싱, 소스, 허브차[17]소시지의 양념으로 사용된다.[18] 은은한 단맛과 쌉쌀한 맛은 고기와 궁합이 좋으며, 육류 요리의 소스, 소시지, 파테, 닭이나 돼지 로스트 등 모든 육류 요리의 향을 내는 데 사용된다.

토마토치즈와 잘 어울리며, 이탈리아 요리에서는 대중적인 허브이다. 조리할 때 오랫동안 가열하면 향이 날아가기 때문에, 요리의 마무리에 넣고 가볍게 가열하는 정도로 사용한다. 오레가노와는 근연종으로, 향은 비슷하지만 마조람 쪽이 더 부드럽다고 알려져 있다. 말린 것은 오레가노보다 쓴맛이 있으며, 믹스 스파이스에도 사용된다.

육류 요리 외에도, 피자, 토마토 소스, 버터 소스 등에도 자주 이용되며, 채소, 생선, 갑각류 등에도 사용하는 등 이용 범위가 넓다.[29] 마조람 생잎은 치즈 요리나 샐러드에 어울리고 허브버터 등을 만들 때 잘게 썰어 넣기도 한다.[34]

마조람은 오랫동안 약초로 사용되어 왔다. 마조람 또는 마조람 오일은 암, 감기, 기침, 경련, 우울증, 이뇨제로 사용되었으며,[19][20][21][22] 귀 감염, 위장관 문제, 두통, 마비, 관절염, 가슴 울혈 및 근육통 치료에도 사용되었다.[19][20][21] 최음제, 구강 청결제, 차, 습포, 팅크, 침출액으로도 사용되었다.[19][20]

과거에 사용되었던 모든 치료법이 과학적으로 뒷받침되지는 않지만, 항균, 항진균, 항미생물 특성을 가진 페놀 카바크롤을 함유하고 있어 의학적 용도를 가지고 있다.[20][23] 에탄올 추출물은 섬유육종 세포주에 대해 세포 독성이 있으며,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은 PER.C6 및 HeLa 세포에 대해 항증식 특성을 가지고 있다. 마조람 추출물에서 분리할 수 있는 헤스페레틴 및 하이드로퀴논도 마찬가지이다.[24] 마른 마조람, 마조람 차 또는 마조람에서 추출한 화합물에서 심장 보호, 간 보호, 항궤양 생성, 항콜린에스테라제, 항-다낭성 난소 증후군 (PCOS) 및 항염증 효과도 발견되었다.[24]

정유나 엑기스는 진정, 항불안, 제음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류머티즘 통증, 치통, 소화 불량에도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혈류 촉진·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며, 근육통이나 두통, 불면증에도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불안과 불면 해소, 스트레스 완화에, 허브 티로 자주 마시며, 혈압 강하 및 진정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강장 효과를 기대한 입욕제로도 사용된다.

마조람은 일반적으로 독성이 없지만 임산부나 수유 중인 여성은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24] 그러나 약초를 사용할 때는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25]

줄기와 잎이 허브로 사용되며, 채소로서의 제철은 4월 - 10월로 알려져 있다. 줄기와 잎은 짙은 녹색이며, 잎이 신선한 것이 상품으로 여겨진다. 향신료정유로 사용되고 있다.

5. 1. 요리

마조람은 '고기의 허브'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주로 고기 요리에 사용되며 소스에까지 널리 쓰인다.[34] 수프, 스튜, 샐러드 드레싱, 소스, 허브차[17]소시지의 양념으로 사용된다.[18] 은은한 단맛과 쌉쌀한 맛은 고기와 궁합이 좋으며, 육류 요리의 소스, 소시지, 파테, 닭이나 돼지 로스트 등 모든 육류 요리의 향을 내는 데 사용된다.

토마토치즈와 잘 어울리며, 이탈리아 요리에서는 대중적인 허브이다. 조리할 때 오랫동안 가열하면 향이 날아가기 때문에, 요리의 마무리에 넣고 가볍게 가열하는 정도로 사용한다. 오레가노와는 근연종으로, 향은 비슷하지만 마조람 쪽이 더 부드럽다고 알려져 있다. 말린 것은 오레가노보다 쓴맛이 있으며, 믹스 스파이스에도 사용된다.

육류 요리 외에도, 피자, 토마토 소스, 버터 소스 등에도 자주 이용되며, 채소, 생선, 갑각류 등에도 사용하는 등 이용 범위가 넓다.[29] 마조람 생잎은 치즈 요리나 샐러드에 어울리고 허브버터 등을 만들 때 잘게 썰어 넣기도 한다.[34]

5. 2. 약용

마조람은 오랫동안 약초로 사용되어 왔다. 마조람 또는 마조람 오일은 암, 감기, 기침, 경련, 우울증, 이뇨제로 사용되었으며,[19][20][21][22] 귀 감염, 위장관 문제, 두통, 마비, 관절염, 가슴 울혈 및 근육통 치료에도 사용되었다.[19][20][21] 최음제, 구강 청결제, 차, 습포, 팅크, 침출액으로도 사용되었다.[19][20]

과거에 사용되었던 모든 치료법이 과학적으로 뒷받침되지는 않지만, 항균, 항진균, 항미생물 특성을 가진 페놀 카바크롤을 함유하고 있어 의학적 용도를 가지고 있다.[20][23] 에탄올 추출물은 섬유육종 세포주에 대해 세포 독성이 있으며,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은 PER.C6 및 HeLa 세포에 대해 항증식 특성을 가지고 있다. 마조람 추출물에서 분리할 수 있는 헤스페레틴 및 하이드로퀴논도 마찬가지이다.[24] 마른 마조람, 마조람 차 또는 마조람에서 추출한 화합물에서 심장 보호, 간 보호, 항궤양 생성, 항콜린에스테라제, 항-다낭성 난소 증후군 (PCOS) 및 항염증 효과도 발견되었다.[24]

정유나 엑기스는 진정, 항불안, 제음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류머티즘 통증, 치통, 소화 불량에도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혈류 촉진·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며, 근육통이나 두통, 불면증에도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불안과 불면 해소, 스트레스 완화에, 허브 티로 자주 마시며, 혈압 강하 및 진정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강장 효과를 기대한 입욕제로도 사용된다.

마조람은 일반적으로 독성이 없지만 임산부나 수유 중인 여성은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24] 그러나 약초를 사용할 때는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25]

5. 3. 기타

‘고기의 허브’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주로 고기 요리에 사용되며 소스에까지 널리 쓰인다. 마조람 생잎은 치즈 요리나 샐러드에 어울리고 허브 버터 등을 만들 때 잘게 썰어 넣기도 한다.

6. 문화 속 마조람

광대 라바치는 ''뜻대로 하세요''(4막 5장)에서 헬레나를 묘사하며 그녀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후회를 "그녀는 샐러드의 달콤한 마조람, 아니, 은총의 풀이었다."라고 표현했다.[28] 속명인 ''Origanum''은 그리스어의 oros(산)와 ganos(기쁨)의 합성어로 "산의 기쁨"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28]

지중해 동부 연안이 원산지로 여겨진다.[28]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재배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행복을 상징하는 허브로, 결혼하는 젊은 부부가 머리에 이 화관을 쓰는 풍습이 있었다.[28] 또한, 고인의 명복을 빌며, 수 의의 향으로 묘지에 심어지기도 했다.[28] 중세 시대에 로마인영국에 전파하면서, 이 사용되기 전까지 이 허브가 맥주의 쓴맛을 내는 데 사용되었다.[28] 이 향을 들이마시면 건강에 좋다고 여겨져, 건조된 허브가 널리 판매되었다[28]

참조

[1] GRIN 2008-03-08
[2] 사전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arperCollins 2022
[3] BSBI 2014-10-17
[4] 웹사이트 In the Bins: Marjoram is the happiness herb https://www.santacru[...] 2013-07-02
[5]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Plants Routledge 2005
[6] 사전 marjoram (n.) https://www.etymonli[...] 2023-02-07
[7] book review of ''Kali: The Feminine Force''. Ajit Mookerjee. Rochester, VT, Destiny Books (Inner Traditions International), 1988 Tantric Art and the Primal Scene 1990-09
[8] 서적 Ritual Medical Lore of Sephardic Women: Sweetening the spirits, healing the sick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2
[9] 웹사이트 Herb Folklore https://adamsfarms.c[...] 2017
[10]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Classical Mythology: Summary of Transformations http://mythandreligi[...] University of Patras 2023-01-03
[11] 서적 Adonis: The Myth of the Dying God in the Italian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12] 웹사이트 Assessment report on ''Origanum majorana'' L., herba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016-09-20
[13] 학술지 Microscopic evaluation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of ''Origanum majorana'' Linn leaves 2012
[14] 웹사이트 Learn 2 Grow: Origanum majorana http://www.learn2gro[...] 2011-11-05
[15] 웹사이트 Oregano and Marjoram https://foodprint.or[...] 2022-06-01
[16] 웹사이트 Origanum majoricum Cambess. https://www.gbif.org[...]
[17] 웹사이트 Marjoram, Herb http://www.foodrefer[...] 2017-02-28
[18] 웹사이트 Nueremberg tradition – HoWe Wurstwaren KG Nürnberg https://www.howe-nue[...] 2024-10-17
[19] 학술지 Encyclopedia of Common Natural Ingredients Used in Food, Drugs, and Cosmetics. Albert Y. Leung, Steven Foster 1996-12
[20] 간행물 PDR for herbal medicines Medical Economics 2000
[21] 간행물 The Herb Society of America new encyclopedia of herbs & their uses DK 2001
[22] 서적 Handbook of Medicinal Herbs CRC Press 2002
[23] 간행물 The big book of herbs: a comprehensive illustrated reference to herbs of flavor and fragrance Interweave Press 2000
[24] 학술지 Sweet Marjoram: A Review of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Biological Activities 2017-01
[25] 웹사이트 Herbal medicines: Consult with your doctor before use https://consumermeds[...] 2022-06-01
[26] YList 2023-01-16
[27]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28] 문서 基本ハーブの事典 北野佐久子 東京堂出版 P166
[29] 문서 基本ハーブの事典 北野佐久子 東京堂出版P167
[30] 웹인용 "Origanum majorana L." http://www.theplantl[...] 큐 왕립식물원 2017-10-06
[31] 웹인용 마저럼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10-06
[32] 웹인용 Varota, Varōṭā, Varoṭā, Varoṭa: 6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22-03-29
[33] 웹인용 "Origanum majorana L."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7-10-06
[34] 서적 파스타 랜덤하우스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