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맘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맘보는 1940년대 중반 쿠바에서 시작된 춤과 음악 스타일이다. 오레스테스 로페스의 차랑가 곡 '맘보'에서 유래되었으며, 댄서들이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싱코페이션 리듬을 특징으로 한다. 1950년대 쿠바 혁명 이후 미국으로 전파되었으며, 페레스 프라도의 음악이 맘보를 세계적으로 알리는 데 기여했다. 미국에서는 맘보 댄스가 표준화되었고, 뉴욕을 중심으로 살사 "on 2" 스타일로 발전했다. 맘보는 유럽과 일본 등지에서도 인기를 얻었으며, 일본에서는 독자적인 문화와 유행을 만들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바의 음악 - 룸바
    룸바는 쿠바에서 유래한 아프리카계 문화 기반의 음악이자 춤으로, 사교 댄스와 국제 볼룸 댄스의 한 종류이며 쿠바 전통 룸바와 사교 댄스 룸바로 나뉘고, 쿠바의 룸바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쿠바의 음악 - 볼레로
    볼레로는 18세기 후반 스페인에서 유래하여 무도회에서 인기를 얻은 춤곡으로, 쇼팽, 슈만, 베르디 등 여러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특히 라벨의 《볼레로》는 발레 음악으로 콘서트용으로도 널리 연주된다.
  • 라틴 음악 - 라틴 재즈
    라틴 재즈는 쿠바, 브라질 등 라틴 아메리카 리듬과 미국 재즈의 즉흥성이 결합된 음악으로, 1940년대 아프로-쿠반 재즈를 시작으로 룸바, 맘보, 살사 등 다양한 리듬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독자적인 음악적 정체성을 구축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재평가되고 있다.
  • 라틴 음악 - 누에바 칸시온
    누에바 칸시온은 라틴 아메리카 민속 음악의 영향을 받아 사회 정의를 옹호하며 사회·정치적 주제를 다루는 음악 운동으로, 칠레와 스페인에서 시작되어 라틴 아메리카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좌익 정치와 관련되어 군사정권 시대 탄압을 받았지만 민주화 이후 다시 활기를 띠었다.
  • 댄스스포츠 - 땐뽀걸즈 (드라마)
    2018년 KBS 2TV에서 방영된 드라마 땐뽀걸즈는 거제시의 조선업 쇠퇴를 배경으로 특성화 고교생들이 댄스스포츠를 통해 꿈을 향해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 댄스스포츠 - 룸바
    룸바는 쿠바에서 유래한 아프리카계 문화 기반의 음악이자 춤으로, 사교 댄스와 국제 볼룸 댄스의 한 종류이며 쿠바 전통 룸바와 사교 댄스 룸바로 나뉘고, 쿠바의 룸바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맘보
맘보
페레스 프라도
"맘보의 왕" 페레스 프라도
출현 시기1940년대
기원쿠바
파생 무용살사
특징재즈와 쿠바 음악의 결합
역사 및 특징
기원1940년대 쿠바에서 발생했으며, 아프로-쿠바 음악과 재즈의 융합에서 비롯됨.
리듬강렬하고 활기찬 리듬이 특징이며, 싱코페이션과 폴리리듬을 사용.
음악적 요소트럼펫
색소폰
피아노
쿠바 타악기
영향살사와 같은 다른 라틴 댄스 장르에 큰 영향을 미침.
무용
스텝빠르고 활기찬 스텝과 몸의 움직임이 특징.
특징적인 동작발을 빠르게 움직이는 풋워크
몸을 흔드는 동작
팔을 사용하는 스타일리시한 표현
종류다양한 스타일이 존재하며, 솔로, 커플, 그룹 댄스 형태로 즐길 수 있음.
주요 인물 및 곡
주요 인물페레스 프라도 ("맘보의 왕"으로 알려짐)
주요 곡"Mambo No. 5" (페레스 프라도), 그 외 다양한 맘보 음악들이 존재함.

2. 역사

2. 1. 기원

1940년대 중반, 악단 지휘자들은 맘보라고 알려진 새로운 형태의 음악을 위한 춤을 고안했다. 이 춤의 이름은 1938년 오레스테스 로페스가 작곡한 차랑가 곡인 ''맘보''에서 유래했으며, 이 곡은 나중에 단손 맘보로 알려진 새로운 형태의 단손을 대중화했다. 이 스타일은 단손보다 덜 경직되고 싱코페이션이 적용된 형태로, 댄서들이 맘보 섹션으로 알려진 마지막 부분에서 더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했다.

페레스 프라도는 아바나에서 멕시코로 음악을 옮겼고, 그곳에서 그의 음악과 춤이 받아들여졌다. 초기 맘보 춤은 자유로움과 복잡한 발걸음으로 특징지어졌다. 이 스타일은 룸베라스 영화에서 두드러졌다. 당시 유명한 댄서로는 니농 세비야, 마리아 안토니에타 폰스, 통고레레, 메체 바르바, 레소르테스 등이 있다.

2. 2. 미국으로의 전파

1950년대 쿠바 혁명 당시 카차오 로페스가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맘보가 쿠바 국외로 전해졌다. 페레스 프라도 악단은 재즈풍의 브라스 섹션 편곡을 더하여 댄스를 위한 맘보를 세계적으로 알렸다. 맘보는 빅 밴드 형태를 취하며, 호른 섹션을 리듬 악기로 사용한다. 대중음악계에서는 페리 코모냇 킹 콜의 "아빠는 맘보를 좋아해(Papa Loves Mambo)" 등이 발표되었다.

2. 3. 아메리카니제이션 (미국화)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쿠바, 멕시코, 뉴욕에서 유행했던 페레즈 프라도(Pérez Prado)가 주도한 맘보 댄스는 현재 뉴요커들이 "맘보"라고 부르며 살사 "on 2"라고도 알려진 현대 댄스와는 완전히 다르다. 원래 맘보 댄스에는 브레이킹 스텝이나 기본 스텝이 전혀 없었다. 쿠바 댄서들은 맘보를 "음악을 느끼는 것"이라고 묘사했다.[1] 그러나 미국의 전문 댄스 강사들은 이러한 춤 접근 방식을 "극단적"이고 "규율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댄스를 표준화했다.[1]

1940년대에 푸에르토리코 댄서 페드로 아귈라르(Pedro Aguilar)는 "쿠반 피트"로 알려졌으며, 그의 아내는 당시 최고의 맘보 댄서로 더 팔라디움에서 정기적으로 춤을 췄다. 라이프티토 푸엔테(Tito Puente)는 "쿠반 피트"를 "역대 최고의 맘보 댄서"로 칭했다. 페드로 아귈라르는 그의 맘보 댄스 스타일 때문에 el cuchilloes("칼")라는 별명도 얻었다.[2]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에 브롱스 출신의 조지 바스코네스(George Vascones)는 "팔라디움 시대"에 시작된 맘보 댄스 전통을 이어갔다. 1980년대에는 에디 토레스(Eddie Torres) 등이 뒤를 이었으며, 이들은 2세대 뉴욕 푸에르토리코인이었다. 이 스타일은 맘보 음악에 맞춰 춤을 추지만, 더 자주 살사 두라(올드 스쿨 살사)에 맞춰 춤을 춘다. 기본 스텝의 브레이크, 즉 방향 전환이 2박자에 발생하기 때문에 "on 2 맘보"라고 불린다. 에디 토레스는 자신의 버전을 "거리" 스타일이라고 설명한다. RazzM'Tazz 버전은 1950년대 팔라디움 볼룸에서 유래된 팔라디움 맘보에 더 가깝고, 팔라디움 맘보는 타이밍을 공유하는 쿠바 손에서 파생되었다. 두 스타일 모두 재즈와 탭 스텝을 기반으로 한 프리스타일 스텝과 함께 아메리칸 맘보에서 파생되었다.[3]

3. 각국의 수용

3. 1. 미국

1940년대와 1950년대에 쿠바, 멕시코, 뉴욕에서 유행했던 페레즈 프라도(Pérez Prado)가 주도한 맘보 댄스는 현재 뉴요커들이 "맘보"라고 부르며 살사 "on 2"라고도 알려진 현대 댄스와는 완전히 다르다. 원래 맘보 댄스에는 브레이킹 스텝이나 기본 스텝이 전혀 없었다. 쿠바 댄서들은 맘보를 "음악을 느끼는 것"이라고 묘사했다.[1] 미국의 전문 댄스 강사들은 이러한 춤 접근 방식을 "극단적"이고 "규율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댄스를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고 여겼다.[1]

1940년대에 푸에르토리코 댄서 페드로 아귈라르(Pedro Aguilar)는 "쿠반 피트"로 알려졌으며, 그의 아내는 당시 최고의 맘보 댄서로 유명해져 뉴욕 더 팔라디움에서 정기적으로 춤을 췄다. "쿠반 피트"는 잡지 ''라이프''와 티토 푸엔테(Tito Puente)에 의해 "역대 최고의 맘보 댄서"로 불렸다. 페드로 아귈라르는 그의 맘보 댄스 스타일 때문에 el cuchilloes("칼")라는 별명도 얻었다.[2]

뉴욕의 현대 맘보 댄스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에 브롱스 출신의 라틴 심볼릭스라는 댄스 그룹의 회장인 조지 바스코네스(George Vascones)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1980년대에는 에디 토레스(Eddie Torres) 등이 뒤를 이었으며, 이들 중 다수는 2세대 뉴욕 푸에르토리코인이었다. 이 스타일은 때때로 맘보 음악에 맞춰 춤을 추지만, 더 자주 살사 두라(올드 스쿨 살사)에 맞춰 춤을 춘다. 기본 스텝의 브레이크, 즉 방향 전환이 2박자에 발생하기 때문에 "on 2 맘보"라고 불린다.[3] 에디 토레스 스쿨과 Razz M'Tazz 스쿨은 동일한 기본 특징을 공유하지만 서로 다른 기본 스텝을 가지고 있다. 두 스타일 모두 재즈와 탭 스텝을 기반으로 한 프리스타일 스텝과 함께 아메리칸 맘보에서 파생되었다.[3]

맘보가 쿠바 국외로 전해진 것은 1950년대 쿠바 혁명 당시 카차오 로페스가 미국으로 망명한 것이 시초이다. 여기에 페레스 프라도 악단이 재즈풍의 브라스 섹션 편곡을 더하여 댄스를 위한 맘보로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빅 밴드 형태를 취하며, 호른 섹션을 리듬 악기로 사용한다. 대중음악계에서는 페리 코모나 냇 킹 콜의 "아빠는 맘보를 좋아해(Papa Loves Mambo)" 등이 발표되었다.

3. 2. 유럽

이탈리아 배우 소피아 로렌이 "맘보 바칸"을 발표했다.

3. 3. 일본

일본에서 맘보의 첫 공연은 1940년대 후반 점령 기간 중 진주 미군을 위한 위문 공연을 했던 사비에르 쿠가트 악단이 처음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미군 기지 내에서는 라틴 음악이 인기를 끌었고, 캠프를 돌던 하나 하지메와 크레이지 캣츠는 처음에는 '''큐반 캣츠'''라고 자칭했다. 이 시점에서 "이국적이고 에로틱하다"라는 라틴 음악에 대한 미국과 비슷한 통속적인 해석도 정착되었다.

정식 공연으로서의 맘보는 1950년,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나카야마 요시오의 공연이 첫 번째 예이다. 1952년에는 "맘보 No.5"의 국내판 음반이 발매되었고, 팝 음악 소개 라디오 프로그램 S반 아워의 테마곡으로 플라토의 "엘 맘보"가 선정되었다.

1953년 가을, 사비에르 쿠가트 악단의 일본 공연으로 맘보 인기가 다시 불붙어, 도쿄 큐반 보이즈를 필두로 맘보 오케스트라가 잇따라 탄생했다. 1954년에는 뉴욕 스타일의 보다 재즈에 가까운 곡풍이 유행했다. 1955년, 페레스 프라도의 출연 영화 『해저의 황금』의 개봉으로 "세레소 로사"가 대히트하여, 일본의 맘보 인기는 절정에 달했다. 1956년 9월, 세레소 로사의 일본 공연이 실현되었다.

1955년 6월에는 유키무라 이즈미가 맘보 이탈리아노/Mambo Italiano (song)영어를 커버했고,[5] 민영 라디오에서 시청자 참여형 프로그램의 노래 자랑 프로그램이 대유행하면서, '''맘보 무스메'''라 불리는 젊은 여성들이 맘보를 부르는 경우가 늘어났다.[6][7] 1956년에는 배우좌에 의해 맘보 무스메가 등장하는 신극 "두 사람만의 무도회"가 열렸다.[9] 세 명의 딸이 주연을 맡은 뮤지컬 영화 "가위 바위 보 아가씨"는 주제가로 오리지널 맘보 『가위 바위 보 아가씨』를 채택했으며, 세 명의 딸은 세레소 로사의 료고쿠 국기관 공연에서 앞 순서를 맡기도 했다.

맘보 악곡 마케팅의 특징은 댄스홀을 강사가 순회하며 댄스 강습회를 열었다는 점이다. 이후에도 해외 댄스 장르의 악곡이 수입되었을 때 이와 유사한 선전 방법이 사용되었다. '''맘보족'''이라고 불린 이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문화에 대해 오카모토 타로는 "춤은 근대와 원시를 믹스한 매력이 있다"라고 절찬하며 적극적으로 옹호했다.

1957년에 칼립소가 유행하면서 맘보 인기는 점차 쇠퇴해 갔다. 프라도는 로커빌리와 융합시킨 "로캄보"를 발명했지만, 일본에는 침투하지 못했고, 대신 일본에서는 도돈파 (별명 필리핀 맘보) 붐이 일어났다.[10] 1960년 전후에 등장한 롯폰기족도 도돈파를 추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11][12]

1955년 전후부터 맘보 바지 (움직임이 빠른 춤에 대응할 수 있는 날씬한 바지[13])를 시작으로 하는 맘보 스타일이 유행했지만,[14][15] 1960년대에는 맘보 바지가 쇠퇴하고, 대신 벨 바텀 (나팔바지)이 유행했다.[16][17]

4. 대표적인 아티스트


  • 페레스 프라도
  • 자비에 쿠가트
  • 티토 푸엔테
  • 티토 로드리게스
  • 도노사마 킹스

5. 맘보의 특징

6. 대표곡

7. 참조

참조

[1] 논문 Going Primitive to the Movements and Sounds of Mambo 2006-12-01
[2] 웹사이트 Pedro 'Cuban Pete' Aguilar https://www.theguard[...] 2009-05-25
[3] 논문 Mambo on 2: The birth of a new form of dance in New York City http://www.redalyc.o[...] 2004
[4] 웹사이트 Pérez Prado http://www.allmusic.[...]
[5] 문서 Mambo Italiano ビクター 1955-06
[6] 간행물 "방송시평 마이크는 차가웠는가 ーー마스기 시즈에 씨의 「목소리」를 둘러싸고" https://dl.ndl.go.jp[...] 日本放送文化協会 1955-08
[7] 간행물 "맘보 아가씨와 아르바이트 집단" https://dl.ndl.go.jp[...] 日本放送文化協会 1955-09
[8] 간행물 '정계왕래 50(12)' 정계왕래사 1984-12
[9] 간행물 '메지로학원여자단기대학 연구기요 (27)' https://dl.ndl.go.jp[...] 메지로학원여자단기대학 1990-12
[10] 간행물 "매혹적인 스텝『돗돈파』" https://dl.ndl.go.jp[...] 婦人生活社 1961-05
[11] 문서 "「거리족」을 재검증한다-「롯폰기족」「미유키족」「하라주쿠족」" https://meiji.repo.n[...] 明治大学文芸研究会 2015-04-03
[12] 웹사이트 ごごナマ 2018/11/06(火)15:08 의 방송 내용 ページ1 - TV에서た蔵 https://web.archive.[...] WireAction
[13] 서적 현대 세상 풍속사 연표:1945-2008 河出書房新社
[14] 문서 쇼와의 옆모습 : 그 때 이 때・추억의 40년 https://dl.ndl.go.jp[...] 安田信託銀行 1964
[15] 웹사이트 만보 바지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16] 서적 原宿物語 https://dl.ndl.go.jp[...] 草思社 1986-07
[17] 문서 미치노쿠時言 第1집 https://dl.ndl.go.jp[...] 陸奥新報社 1964
[18] 간행물 "BLUE CORNER *와펜의 멋" https://dl.ndl.go.jp[...] 帝人社 1962-11
[19] 웹사이트 후텐족 등장 https://www2.nhk.or.[...] NHK 196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