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니툴린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니툴린섬은 면적이 2,766km²로 세계에서 가장 큰 담수호 섬이며, 캐나다에서 31번째로 큰 섬이다. 휴런호, 조지아 만, 노스 채널에 둘러싸여 있으며, 108개의 담수호와 여러 강이 있다. 이 섬은 문화적으로 노던 온타리오에 속하며, 지질학적으로는 서던 온타리오에 속한다. 1952년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아니시나베 원주민에게 신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1862년 매니툴린 섬 조약 이후 비원주민의 정착이 시작되었고, 현재 인구는 13,255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타리오주의 섬 - 사우전드 제도
    사우전드 제도는 온타리오호 동쪽 끝과 세인트로렌스강이 만나는 캐나다와 미국 국경의 섬들로, 독특한 지형과 역사적 건축물, 레크리에이션 활동,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관광 명소이다.
  • 오대호의 섬 - 사우전드 제도
    사우전드 제도는 온타리오호 동쪽 끝과 세인트로렌스강이 만나는 캐나다와 미국 국경의 섬들로, 독특한 지형과 역사적 건축물, 레크리에이션 활동,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관광 명소이다.
  • 캐나다의 호중도 - 사우전드 제도
    사우전드 제도는 온타리오호 동쪽 끝과 세인트로렌스강이 만나는 캐나다와 미국 국경의 섬들로, 독특한 지형과 역사적 건축물, 레크리에이션 활동,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관광 명소이다.
매니툴린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매니툴린섬 위성 사진
매니툴린섬 위성 사진
온타리오주 내 매니툴린섬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매니툴린 아일랜드
오지브웨어 명칭마니도오알링 (Manidoowaaling)
위치휴런호
좌표45°46′N 82°12′W
면적2,766 km²
최고 지점컵 앤 소서 (The Cup and Saucer)
해발고도352 m
행정 구역
국가캐나다
온타리오주
지구매니툴린 지구
가장 큰 도시리틀 커런트
인구 정보
인구 (2016년)13,255 명
인구 밀도4.56 명/km²
추가 정보
원주민 이름ᒪᓂᑝᐙᓕᓐᒃ (Manidoowaaling)

2. 지리 및 지질

매니툴린섬은 문화적, 정치적으로는 노던 온타리오에 속하지만, 물리적으로는 서던 온타리오의 일부이다. 이 섬은 "낮은 기복과 퇴적암 기반이 특징인 내륙 평원의 동쪽 연장"으로, 브루스 반도와 나이아가라 단층애의 연장선에 해당하며 주로 백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질암 형성은 남쪽으로 나이아가라 폭포를 거쳐 뉴욕까지 이어진다. 섬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컵 앤 소서 트레일"은 단층애를 따라 조성되어 있다.[7]

2. 1. 지형

이 섬의 면적은 2766km2로, 세계에서 가장 큰 담수호 섬이며, 세계에서 174번째로 큰 섬이자 캐나다에서 31번째로 큰 섬이다.

이 섬은 남쪽과 서쪽의 휴런호, 동쪽의 조지아 만, 북쪽의 노스 채널을 분리한다.

매니툴린섬에는 108개의 담수호가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자체 섬을 가지고 있다. 그 섬들 안에는 다시 자체 연못을 가진 "섬 안의 섬"이 여러 개 있다. 매니투호는 면적이 104km2로, 세계에서 담수호 섬 안에 있는 가장 큰 호수이며,[7] 민데모야호의 트레저 아일랜드는 호수 안의 섬 안의 호수에서 가장 큰 섬이다.[7] 이름 없는 호수의 보트에는 모터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이 섬에는 카가웡강, 매니투강, 마이클스 만의 블루 제이 크릭, 민데모야강 등 네 개의 주요 강이 있으며, 이들은 연어송어의 산란 장소를 제공한다.

매니툴린 스트림 개선 협회는 2000년에 설립되어 2007년에 법인화되었다. 이 조직은 매니툴린 섬의 시내, 강, 개울을 복원하여 수질과 어업 자원을 개선한다. 매니툴린 스트림 개선 협회는 매니투강과 블루 제이 크릭에 대한 개선 전략을 수행해 왔으며, 매니투강에서 17개, 블루 제이 크릭에서 3개의 주요 지역을 복원했고, 배스 호수 크릭과 노턴 크릭에 대한 작업을 완료했다. 이 조직은 2010년에 민데모야강에 대한 작업을 시작할 계획이었다.

문화적, 정치적으로 노던 온타리오의 일부로 간주되지만, 이 섬은 물리적으로 서던 온타리오의 일부이며, "낮은 기복과 퇴적암 기반이 특징인 내륙 평원의 동쪽 연장"이다. 이 섬은 브루스 반도와 나이아가라 단층애의 연장선이므로 주로 백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질암 형성은 남쪽으로 나이아가라 폭포로 이어져 뉴욕까지 이어진다. 단층애를 오르는 "컵 앤 소서 트레일"은 섬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를 제공한다.

2. 2. 지질

이 섬의 면적은 2766km2로, 세계에서 가장 큰 담수호 섬이며, 세계에서 174번째로 큰 섬이자 캐나다에서 31번째로 큰 섬이다.

이 섬은 남쪽과 서쪽에 있는 휴런호의 더 넓은 부분과 동쪽에 있는 조지아 만, 북쪽에 있는 노스 채널을 분리한다.

매니툴린섬 자체에는 108개의 담수호가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자체 섬을 가지고 있다. 그 섬들 안에는 다시 자체 연못을 가진 "섬 안의 섬"이 여러 개 있다. 매니투호는 면적이 104km2로, 세계에서 담수호 섬 안에 있는 가장 큰 호수이며,[7] 민데모야호의 트레저 아일랜드는 호수 안에 있는 섬 안에 있는 호수에서 가장 큰 섬이다.[7] 이름 없는 호수의 보트에는 모터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이 섬에는 카가웡강, 매니투강, 마이클스 만의 블루 제이 크릭 및 민데모야강 이렇게 네 개의 주요 강이 있으며, 연어송어의 산란 장소를 제공한다.

문화적, 정치적으로 노던 온타리오의 일부로 간주되지만, 이 섬은 물리적으로 서던 온타리오의 일부이며, "낮은 기복과 퇴적암 기반이 특징인 내륙 평원의 동쪽 연장"이다. 이 섬은 브루스 반도와 나이아가라 단층애의 연장선이므로 주로 백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질암 형성은 남쪽으로 나이아가라 폭포로 이어져 뉴욕까지 이어진다. 단층애를 오르는 "컵 앤 소서 트레일"은 섬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를 제공한다.

2. 3. 기후

휴런호의 영향으로 습윤 대륙성 기후(''Dfb'')를 보인다. 덥고 따뜻한 여름과 춥고 서늘한 겨울을 겪는다. 일본 홋카이도(반보레알 기후)와 비슷한 기후를 보이지만, 스위스 루가노와 같은 위도에 위치해 있으며, 루가노는 온대 기후를 보인다. 이 섬은 계절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8]

3. 문화

매니툴린섬에는 노스이스턴 매니툴린 앤드 더 아일랜즈와 고어 베이 두 개의 법인 도시가 있고, 어시지낙, 빌링스, 버피 앤 밀스, 센트럴 매니툴린, 도슨 타운십, 고든/배리 아일랜드, 로빈슨 타운십, 테컴마 8개의 타운십과 미치기엥, 시구이앤다, 세셰그와닝, 언데크 옴니 카닝, 위크웸콩, 지바하시잉 6개의 애니시나베 보호구역이 있다.[1]

여름 동안에는 보트 타기와 아름다운 주변 환경에서의 활동을 위해 방문하는 관광객들로 인해 섬의 인구 (12,600명의 영구 거주자)가 25% 이상 증가한다.[1] 섬은 여러 개의 작은 인접 섬들과 함께 온타리오의 매니툴린 지구 인구 조사 구역을 구성한다.[1]

매니툴린 섬의 토양은 비교적 알칼리성이어서 블루베리와 같은 일반적인 온타리오 북부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지만, 섬의 상징인 호손 열매의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1] 이 열매는 매우 독특하여 섬에서 태어난 사람들을 "호이터"라고 부른다.[1]

매니툴린 섬의 미시사가 해협 등대


컵 앤 소서 하이킹 트레일에서 바라본 풍경


시골 풍경


고어 베이

3. 1. 호이터 축제

매년 8월 장기 주말에 섬에서는 호이터 축제가 열린다.[1] 이 축제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며, 퍼레이드, 불꽃 놀이, 공예 전시회, 말 끌기 등 시골에서 열리는 여러 경연 대회를 포함한다.[1]

3. 2. 교통

매니툴린섬은 일 년 내내 단차선 리틀 커런트 스윙 브리지를 통해 차량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이 다리는 리틀 커런트의 노스 채널을 가로지른다. 5월 말부터 10월 초까지는 매일 여객 차량 페리인 Chi-Cheemaun|치치마운oj(오지브웨어로 "큰 카누"를 의미)이 브루스 반도 끝자락의 토버모리와 사우스 베이마우스 사이를 운행한다. 겨울에는 얼음 때문에 페리 운행이 중단된다. 섬에는 고어 베이-매니툴린 공항과 1988년에 개항한 매니툴린 이스트 지방 공항 두 개의 공항이 있으며, 두 공항 모두 소형 항공기의 섬 접근과 국경 통과 심사를 허용한다.[1]

치치마운 여객/차량 페리

4. 역사

매니툴린섬은 ''아니시나아베모윈'' (오지브웨어)으로 "영혼의 섬"을 뜻하며, 원주민 아니시나베 사람들에게 신성한 곳으로 여겨졌다. 이들은 "세 개의 불의 민족"을 이루는 오지브웨, 오다와, 포타와토미 부족으로 구성되었다.

노스 채널은 프랑스 식민지 시절 모피 상인들이 슈피리어호로 가는 경로였으며, 1648년 프랑스 예수회 조셉 퐁세 신부가 위크웸콩 근처에 선교소를 세우면서 유럽인들이 처음 정착했다. 예수회는 이 섬을 ''"Isle de Ste-Marie"''라고 불렀다. 그러나 이로쿼이족이 비버 전쟁을 일으켜 1650년까지 아니시나베 사람들을 몰아냈고, 이후 섬은 거의 150년 동안 비어 있었다.

1812년 전쟁 이후 원주민들이 돌아오기 시작했고, 1836년 영국에 섬을 양도하면서 원주민 피난처로 지정되었다. 1838년 장-밥티스트 프루 신부가 로마 가톨릭 선교소를 다시 세웠고, 1845년 예수회가 인수했다.

1862년, 정부는 매니툴린 섬 조약을 통해 비원주민 정착을 허용했다. 그러나 위크위미콩 추장은 조약을 거부하여 해당 부족의 보호구역은 개발되지 않았고, 여전히 양도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 1975년 위크위미콩 미양도 인디언 보호구역은 섬 동쪽 끝에 대한 주권을 재확인했다.[13] 온타리오 주는 매니툴린 조약의 역사적 역할을 기념하는 기념비를 아시지낙 박물관 부지에 세웠다.[14]

4. 1. 고대 시대

1952년, 고고학자 토마스 E. 리는 매니툴린섬에서 선사 시대 유적인 셰기안다를 발견했다. 발굴 과정에서 그는 최소 기원전 10,000년, 어쩌면 30,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인디언과 고대 시대 유물을 발견했다.[2] 그는 이후 몇 년 동안 캐나다 국립 박물관의 팀을 이끌고 추가 연구를 수행했다.[10] 발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매우 높아 1953년 온타리오가 고고학 유적을 보호하는 법안을 통과하는 데 기여했다.[11]

1990년대 초, 한 팀이 식물학 및 기타 과학 분야의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다시 발굴을 수행했다. 그들은 유적의 연대가 최소 9,500년이 되었으며, 온타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유적 중 하나라고 결론을 내렸다.[12]

매니툴린은 ''아니시나아베모윈'' (오지브웨어)으로 "영혼의 섬"을 의미한다. 이 섬은 원주민 아니시나베 사람들에게 신성한 곳으로 여겨지며, 그들은 "세 개의 불의 민족"으로 정체성을 확립했다. 이 느슨한 연합은 오지브웨, 오다와, 포타와토미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2. 원주민 역사

right]]

1952년, 고고학자 토마스 E. 리는 매니툴린섬에서 선사 시대 유적인 셰기안다를 발견했다. 발굴 과정에서 그는 최소 기원전 10,000년, 어쩌면 30,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물인 고대 인디언과 고대 시대 유물을 발견했다.[2] 그는 이후 몇 년 동안 캐나다 국립 박물관의 팀을 이끌고 추가 연구를 수행했다.[10] 이 발견은 대중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켜 1953년 온타리오가 고고학 유적을 보호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기여했다.[11]

1990년대 초, 한 팀이 식물학 및 기타 과학 분야의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셰기안다 유적을 다시 발굴했다. 그들은 유적의 연대가 최소 9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온타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유적 중 하나라고 결론지었다.[12]

매니툴린은 ''아니시나아베모윈'' (오지브웨어)으로 "영혼의 섬"을 의미한다. 이 섬은 원주민 아니시나베 사람들에게 신성한 곳으로 여겨졌으며, 그들은 "세 개의 불의 민족"(Council of Three Fires)으로 정체성을 확립했다. 이 느슨한 연합은 오지브웨, 오다와, 포타와토미 부족으로 구성되었다.

노스 채널은 프랑스 식민지 보야저와 쿠뢰 드 부아가 슈피리어호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한 경로의 일부였다. 섬에 정착한 최초의 알려진 유럽인은 1648년 위크웸콩 근처에 선교소를 세운 프랑스 예수회의 조셉 퐁세 신부였다. 예수회는 이 섬을 ''"Isle de Ste-Marie"''라고 불렀다.

이로쿼이족의 다섯 부족은 프랑스와의 모피 무역을 통제하기 위해 섬과 그 주변 지역을 습격하기 시작했다. 비버 전쟁의 일환으로 이로쿼이족은 1650년까지 아니시나베 사람들을 섬에서 몰아냈다. 아니시나베 구전 전통에 따르면, 사람들은 질병으로부터 섬을 정화하기 위해 떠날 때 정착지를 불태웠다. 섬은 거의 150년 동안 대부분 비어 있었다.

원주민( 오다와, 오지브웨, 포타와토미)은 1812년 전쟁 이후 섬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그들은 1836년 섬을 영국 크라운에 양도했고, 정부는 그 땅을 원주민의 피난처로 지정했다. 1838년 장-밥티스트 프루 신부가 로마 가톨릭 선교소를 다시 세웠다. 예수회는 1845년에 그 선교소를 인수했다.

1862년, 정부는 매니툴린 섬 조약을 통해 비원주민의 정착을 위해 섬을 개방했다. ''위크위미콩'' 추장은 이 조약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부족의 보호구역은 개발을 위해 제공되지 않았다. 그 보호구역은 여전히 양도되지 않았다. 1975년 8월 7일, 위크위미콩 미양도 인디언 보호구역은 매니툴린 섬 동쪽 끝의 섬에 대한 주권을 재확인하며 "위크위미콩 밴드는 그 보호구역 땅과 주변 수역에 대한 관할권을 갖는다"고 선언했다.[13]

온타리오 주는 매니툴린 조약이 온타리오 역사에서 한 역할을 기념하기 위해 아시지낙 박물관 부지에 온타리오 역사 기념비를 세웠다.[14]

4. 3. 유럽인과의 접촉

노스 해협은 프랑스 식민지 시절 모피 상인과 쿠뢰르 드 부아들이 슈피리어호로 가기 위해 이용하던 경로였다. 섬에 처음으로 정착한 것으로 알려진 유럽인은 1648년 위크웸콩 근처에 선교소를 세운 프랑스 예수회 소속 조셉 퐁세 신부였다. 예수회는 이 섬을 ''"Isle de Ste-Marie"''라고 불렀다.[2]

이로쿼이 연맹의 다섯 부족은 프랑스와의 모피 무역을 장악하기 위해 섬과 주변 지역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비버 전쟁의 일환으로, 이로쿼이족은 1650년까지 아니시나베 족을 섬에서 몰아냈다. 아니시나베 구전 전통에 따르면, 사람들은 질병으로부터 섬을 정화하기 위해 떠나면서 정착지를 불태웠다고 한다. 이후 섬은 거의 150년 동안 대부분 비어 있었다.

원주민 (오다와, 오지브웨, 포타와토미)들은 1812년 전쟁 이후 섬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1836년, 이들은 섬을 영국 왕실에 양도했고, 정부는 이 땅을 원주민 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다. 1838년 장-밥티스트 프루 신부가 로마 가톨릭 선교소를 다시 세웠다. 예수회는 1845년에 이 선교소를 인수했다.

1862년, 정부는 매니툴린 섬 조약을 통해 비원주민의 정착을 위해 섬을 개방했다. 위크위미콩 추장은 이 조약을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부족 보호구역은 개발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 보호구역은 여전히 양도되지 않은 상태이다. 1975년 8월 7일, 위크위미콩 미양도 인디언 보호구역은 매니툴린 섬 동쪽 끝 섬들에 대한 주권을 재확인하며 "위크위미콩 밴드는 그 보호구역 땅과 주변 수역에 대한 관할권을 갖는다"고 선언했다.[13]

온타리오 주는 매니툴린 조약이 온타리오 역사에서 한 역할을 기리기 위해 아시지낙 박물관 부지에 온타리오 역사 기념비를 세웠다.[14]

4. 4. 19세기 이후

1952년, 고고학자 토마스 E. 리는 매니툴린섬에서 선사 시대 유적인 셰기안다를 발견했다. 발굴 과정에서 그는 최소 기원전 10,000년, 어쩌면 30,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물인 고대 인디언과 고대 시대 유물을 발견했다.[2] 그는 이후 몇 년 동안 캐나다 국립 박물관의 팀을 이끌고 추가 연구를 수행했다.[10] 이 발견은 대중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켜 1953년 온타리오 주 정부가 고고학 유적을 보호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기여했다.[11]

1990년대 초, 한 팀이 식물학 및 기타 과학 분야의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셰기안다 유적을 다시 발굴했다. 그들은 유적의 연대가 최소 9500년이 되었으며, 온타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유적 중 하나라고 결론 내렸다.[12]

매니툴린은 ''아니시나아베모윈'' (오지브웨어)으로 "영혼의 섬"을 의미한다. 이 섬은 원주민 아니시나베 사람들에게 신성한 곳으로 여겨지며, 그들은 "세 개의 불의 민족"(Council of Three Fires)으로 정체성을 확립했다. 이 느슨한 연합은 오지브웨, 오다와, 포타와토미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스 채널은 프랑스 식민지 보야저와 쿠뢰 드 부아가 슈피리어호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한 경로의 일부였다. 섬에 정착한 최초의 알려진 유럽인은 1648년 위크웸콩 근처에 선교소를 세운 프랑스 예수회의 조셉 퐁세 신부였다. 예수회는 이 섬을 ''"Isle de Ste-Marie"''라고 불렀다.

이로쿼이족의 다섯 부족은 프랑스와의 모피 무역을 통제하기 위해 섬과 그 주변 지역을 습격하기 시작했다. 비버 전쟁의 일환으로 이로쿼이족은 1650년까지 아니시나베 사람들을 섬에서 몰아냈다. 아니시나베 구전 전통에 따르면, 사람들은 질병으로부터 섬을 정화하기 위해 떠날 때 정착지를 불태웠다. 이후 섬은 거의 150년 동안 대부분 비어 있었다.

원주민( 오다와, 오지브웨, 포타와토미)은 영국과 미국의 1812년 전쟁 이후 섬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그들은 1836년 섬을 영국 크라운에 양도했고, 정부는 그 땅을 원주민의 피난처로 지정했다. 1838년 장-밥티스트 프루 신부가 로마 가톨릭 선교소를 다시 세웠다. 예수회1845년에 그 선교소를 인수했다.

1862년, 정부는 매니툴린 섬 조약을 통해 비원주민의 정착을 위해 섬을 개방했다. ''위크위미콩'' 추장은 이 조약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부족의 보호구역은 개발을 위해 제공되지 않았다. 그 보호구역은 여전히 양도되지 않았다. 1975년 8월 7일, 위크위미콩 미양도 인디언 보호구역은 매니툴린 섬 동쪽 끝의 섬에 대한 주권을 재확인하며 "위크위미콩 밴드는 그 보호구역 땅과 주변 수역에 대한 관할권을 갖는다"고 선언했다.[13]

온타리오 주는 매니툴린 조약이 온타리오 역사에서 한 역할을 기념하기 위해 아시지낙 박물관 부지에 온타리오 역사 기념비를 세웠다.[14]

5. 인구

1871년부터 1941년까지 매니툴린섬의 인구 변화[16][9]
연도인구
1871년2,231명
1881년8,460명
1891년10,794명
1901년11,828명
1911년11,324명
1921년10,468명
1931년10,734명
1941년10,841명



2016년 기준 매니툴린섬의 인구는 13,255명이었다.[1]

5. 1. 민족 구성

2016년 기준, 매니툴린섬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

  • 59% 백인 (유럽계 캐나다인)[1]
  • 40.6% 원주민 (퍼스트 네이션)[1]
  • 0.4% 흑인 (아프리카계 캐나다인)[1]


2016년 매니툴린 섬에서 가장 흔한 모국어는 영어 (80.8%), 오지브웨어 (11.2%), 프랑스어 (2.8%), 독일어 (0.8%), 오다와어 (0.8%)였다.[1]

5. 2. 종교

매니툴린섬의 종교는 다음과 같다.[1]

5. 3. 언어

2016년 매니툴린 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국어는 영어 (80.8%), 오지브웨어 (11.2%), 프랑스어 (2.8%), 독일어 (0.8%), 오다와어 (0.8%)였다.[1]

6. 주요 인물


  • 칼 빔(Carl Beam): 캐나다 원주민 출신 예술가이다.
  • 케빈 클로스(Kevin Closs): 매니투와닝에서 성장한 독립 록 음악가이다.
  • 에델 로저스 멀바니(Ethel Rogers Mulvany): 캐나다 사회 복지사이자 교사이다.
  • 대프니 오드지그(Daphne Odjig): 위크웸콩 미양도 보호구역에서 태어나고 자란 예술가이다.
  • 이사벨 패터슨(Isabel Paterson): 매니툴린 섬에서 태어난 캐나다계 미국인 작가이다.
  • 오텀 펠티어(Autumn Peltier): 세계적인 원주민 권리 및 물 보호 운동가이자 물의 수호자로, 2022년 국제 어린이 평화상 최종 후보였다.
  • 크리스탈 쇼완다(Crystal Shawanda): 위크웸콩 출신 컨트리 음악가이다.
  • 럭키 톰슨(Lucky Thompson): 미국 재즈 색소폰 연주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 Manitoulin, District [Census division], Ontario and Ontario [Province] http://www12.statcan[...] 2017-02-08
[2] 논문 The First Sheguiandah Expedition, Manitoulin Island, Ontario https://www.jstor.or[...] American Antiquity 1954
[3] 서적 Papers of the Ninth Algonquian Conference Carleton University 1978
[4] 서적 The Island of the Anishnaabeg: Thunderers and Water Monsters in the Traditional Ojibwe Life-World University of Idaho Press
[5] 서적 A Nishnaabemwin Reference Gramm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6] 웹사이트 Sheshegwaning First Nation http://www.sheshegwa[...]
[7] 웹사이트 The Island and Lake Combination http://www.elbruz.or[...] 2010-03-01
[8] 웹사이트 Northeastern Manitoulin and the Islands topographic map, elevation, relief https://en-sg.topogr[...] 2022-02-05
[9] 간행물 Eighth Census of Canada 1941 Edmond Cloutier, Printer to the King's Most Excellent Majesty
[10] 문서 The Sheguiandah Site: Archaeological, Geological and Paleobotanical Studies at a Paleoindian Site on Manitoulin Island, Ontario Canadian Museum of Civilization 2002
[11] 논문 The Second Sheguiandah Expedition, Manitoulin Island, Ontario https://www.jstor.or[...] American Antiquity 1955
[12] 문서 The Sheguiandah Site Canadian Museum of Civilization 2002
[13] 웹사이트 Wikwemikong History http://www.manitouli[...] Manitoulin Island 1975-08-07
[14] 웹사이트 Manitoulin Treaties Historical Plaque http://www.ontariopl[...] 2013-11-26
[15] 웹사이트 The Island and Lake Combination http://www.elbruz.or[...] 2010-03-01
[16] 간행물 Eighth Census of Canada 1941 Edmond Cloutier, Printer to the King's Most Excellent Majes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