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머큐리-P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머큐리-P는 러시아 연방 우주국이 수성 탐사를 위해 계획한 탐사선이다. 2016년부터 2019년경 발사 계획이 있었으나 포보스-그룬트 실패로 무산되었고, 2031년 소유스-2 로켓으로 발사될 예정이다. 머큐리-P는 MTM, MPO, MMO로 구성되며, 이온 엔진을 사용해 지구와 금성을 스윙바이하여 수성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럽 우주국(ESA)과 협력하여 개발되며, IKI에서 기기 재사용 및 개량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성 탐사선 - 베피콜롬보
    베피콜롬보는 유럽 우주국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수성 탐사 임무로, 3개의 모듈을 활용하여 7년의 비행 끝에 수성 궤도에 진입하여 수성의 기원과 진화 등을 연구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을 검증할 예정이다.
  • 수성 탐사선 - 매리너 10호
    매리너 10호는 1973년 발사된 미국의 무인 우주 탐사선으로, 금성의 중력 보조를 활용해 수성을 탐사하며 최초로 중력 보조를 이용한 행성 탐사 임무를 수행했고, 금성의 구름 패턴 관측과 수성의 표면 및 자기장 특성을 밝혀냈다.
  • 제안된 우주 탐사선 -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LISA)는 세 개의 인공위성을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하여 레이저 간섭계를 통해 중력파에 의한 미세한 거리 변화를 측정, 지구 기반 간섭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낮은 주파수 영역의 중력파를 관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우주 프로젝트이다.
  • 제안된 우주 탐사선 - 엔셀라두스 탐사선
    엔셀라두스 탐사선은 독일항공우주센터 주도로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의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탐색하는 프로젝트로, 핵전기 로켓 추진 방식의 궤도선과 아이스몰을 탑재한 착륙선으로 구성되어 엔셀라두스 지하 해양의 물 샘플을 채취, 분석하여 생명체의 흔적을 탐색한다.
  • 우주 개발에 관한 - 제미니 10호
    제미니 10호는 1966년 7월에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으로, 궤도상 랑데부, 도킹, 우주 유영,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70시간 10분간 비행 후 대서양에 착수했다.
  • 우주 개발에 관한 - 아제나 표적기
    아제나 표적기는 제미니 계획에서 사용된 우주 표적 비행체로, 록히드 항공이 제작한 아제나-D 로켓 상단과 맥도넬 항공의 도킹 어댑터로 구성되어 제미니 우주선과의 랑데부 및 도킹을 위한 목표물 역할을 했다.
머큐리-P
머큐리-P 개요
임무 유형수성 탐사
운영 기관로스코스모스
웹사이트머큐리-P 프로젝트
우주선 정보
탑재 질량착륙선:
발사 정보
발사 예정 시기2030년대
발사 로켓소유스-2
행성 간 이동 정보
유형궤도선
목표 천체수성
착륙 정보
유형착륙선
목표 천체수성
기타 정보
머큐리-P 우주선의 상상도
머큐리-P 우주선의 상상도

2. 역사와 제작 배경

러시아 연방 우주국은 수성을 탐사할 계획을 세웠으나, 항상 여러 가지 문제들로 흐지부지 되었다. 하지만 랜더와 오비터로 구성된 신개념 수성 탐사선 형태로 새로운 탐사선이 제안되며 연구원들은 연구를 시작했고, 예산안이 통과되어 구체적인 발사체, 발사 계획 등이 세워졌다.[11]

2. 1. 초기 계획 및 연기

머큐리-P는 당초 2016년부터 2019년경에 발사할 계획이 있었으나, 포보스-그룬트의 실패로 인해 계획이 완전히 무산되었다.[5] 2012년 초에는 2020년대 후반에 발사하겠다는 제안이 나왔고, 같은 해 8월에는 2026년에 발사하는 안이 제시되었다.[5]

수성은 현재 어느 나라도 착륙에 성공하지 못했으며, 태양계 내에서 도달하기 어려운 행성으로 여겨진다.[5] 이 미션에서는 금성으로의 플라이바이와 수성의 인공위성 궤도 진입, 수성에 착륙선을 운반하는 등의 활동을 수행한다.[5] IKI는 포보스-그룬트나 마르스 96에서 사용될 예정이었던 우주선 등의 기기를 재사용하여 개량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5]

3. 페이로드

베피콜롬보와 전체적인 장비가 비슷하다.[12]

'''MTM (Mercury Transfer Module)'''

베피콜롬보와 전체적인 장비가 비슷하다.[12]

MTM은 탐사선을 추진시키는 장치로, 이온 엔진을 사용한다.[12] 로켓의 힘이 아닌 지구금성스윙바이하여 수성으로 향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12] 주 목적이 추진이기 때문에 특별한 과학 장비는 탑재하지 않는다.[12]

'''MPO (Mercury Planetary Orbiter)'''

MPO는 과학 장비를 모아놓은 곳으로, 분광계, 레이저 고도계 등과 전력 공급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12] 전체적인 장비는 베피콜롬보와 비슷하다.

'''MMO (Mercury Magnetospheric Orbiter)'''

MMO는 통신 장치로, 안테나를 통해 X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한다.[12]

3. 1. MTM (Mercury Transfer Module)

베피콜롬보와 전체적인 장비가 비슷하다.[12]

MTM은 탐사선을 추진시키는 장치로, 이온 엔진을 사용한다.[12] 로켓의 힘이 아닌 지구금성스윙바이하여 수성으로 향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12] 주 목적이 추진이기 때문에 특별한 과학 장비는 탑재하지 않는다.[12]

3. 2. MPO (Mercury Planetary Orbiter)

MPO는 과학 장비를 모아놓은 곳으로, 분광계, 레이저 고도계 등과 전력 공급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12] 전체적인 장비는 베피콜롬보와 비슷하다.

3. 3. MMO (Mercury Magnetospheric Orbiter)

MMO는 통신 장치로, 안테나를 통해 X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한다.[12]

4. 발사

2031년, 소유스-2 로켓을 통해 발사될 예정이다.[13] 정확한 발사 장소는 공개되지 않았다. 당초 2016년부터 2019년경에 발사할 계획도 있었지만[5], 포보스-그룬트의 실패로 인해 그 계획은 완전히 무산되었다. 2012년 초에는 2020년대 후반에 발사하겠다는 제안이 나왔고, 같은 해 8월에는 2026년에 발사하는 안이 제시되었다[5] .

수성은 현재 어느 나라도 착륙에 성공하지 못했으며, 태양계 내에서 도달하기 어려운 행성으로 여겨진다. 이 미션에서는 금성으로의 플라이바이와 수성의 인공위성 궤도 진입, 수성에 착륙선을 운반하는 등의 활동을 수행한다. IKI는 포보스-그룬트나 마르스 96에서 사용될 예정이었던 우주선 등의 기기를 재사용하여 개량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5] .

5. 지원, 개발, 투자

러시아 연방 우주국이 주도하고 유럽 우주국(ESA)이 협력하는 프로젝트이다. 러시아 우주 연구소(IKI)는 포보스-그룬트나 마르스 96에서 사용될 예정이었던 우주선 등의 기기를 재사용하여 개량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LAVOCHKIN ASSOCIATION - Space Missions http://www.thespacer[...] Roscosmos 2010
[2] 뉴스 Russian space probe aims to be the first to land on Venus' surface https://www.rbth.com[...] Russia Beyond 2012-10-17
[3] 뉴스 Roscosmos looking to win the Venus race https://www.rbth.com[...] Russia Beyond 2012-10-18
[4] 웹사이트 Mercury-P project http://www.russiansp[...] Russianspaceweb 2013-01-13
[5] 간행물 LAVOCHKIN ASSOCIATION - Space Missions http://www.thespacer[...] Roscosmos 2010
[6] 웹사이트 Mercury-P project http://www.russiansp[...] Russianspaceweb 2018-10-20
[7] 웹인용 Russian-European cooperation on Bepi-Colombo mission http://www.russiansp[...] 2018-07-18
[8] 웹인용 Russian-European cooperation on Bepi-Colombo mission http://www.russiansp[...] 2018-07-18
[9] 웹인용 Russian-European cooperation on Bepi-Colombo mission http://www.russiansp[...] 2018-07-18
[10] 웹인용 SPACE MISSIONS http://www.thespacer[...] 2018-07-18
[11] 웹인용 Russian-European cooperation on Bepi-Colombo mission http://www.russiansp[...] 2018-07-18
[12] 웹인용 Russian-European cooperation on Bepi-Colombo mission http://www.russiansp[...] 2018-07-18
[13] 웹인용 Russian-European cooperation on Bepi-Colombo mission http://www.russiansp[...] 2018-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