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미니 10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미니 10호는 1966년 7월에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으로, 존 영과 마이클 콜린스가 탑승했다. 이 임무는 아폴로 계획을 위한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궤도상 랑데부, 도킹, 우주 유영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제미니 10호는 아제나 표적기와 도킹에 성공했고, 두 차례의 우주 유영을 통해 우주선 외부에서 작업을 수행했다. 또한 다양한 과학 실험을 수행했으며, 70시간 10분간의 비행 후 대서양에 착수하여 회수되었다. 제미니 10호는 현재 캔자스주 허치슨의 코스모스피어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클 콜린스 (우주비행사) - 아폴로 11호
아폴로 11호는 1969년 미국 NASA에서 발사된 유인 우주선으로,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하여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을 탐사하고 월석을 채집했으며, 냉전 시대 우주 경쟁에서 미국의 우위 확보와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1966년 재진입한 우주선 - 제미니 8호
제미니 8호는 아폴로 계획의 일환으로 궤도상 랑데부 및 도킹, 선외 활동 기술 개발을 목표로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임무로, 아제나 표적기와의 첫 도킹에 성공했으나 기체 회전 문제로 비상 착륙했으며, 현재 기체는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1966년 재진입한 우주선 - 제미니 9A호
제미니 9A호는 제미니 계획의 일환으로 발사된 유인 우주선으로, 아제나 표적기 대신 증강형 표적 도킹 어댑터와의 랑데부를 시도했으나 도킹에 실패했으며, 우주 유영 또한 계획대로 진행되지 못했고, 지구 궤도 45회 비행 후 지구로 귀환했다. - 1966년 7월 - 1966년 FIFA 월드컵
1966년 FIFA 월드컵은 잉글랜드에서 개최된 제8회 FIFA 월드컵으로, 잉글랜드가 서독을 꺾고 우승했으며, 포르투갈의 에우제비우가 득점왕을 차지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8강에 진출했다. - 1966년 7월 - AS-203
AS-203은 아폴로 계획의 일환으로 발사된 무인 우주 비행으로, 새턴 V 로켓 2단 S-IVB 탱크 내 극저온 연료의 무중력 상태 거동 연구를 주 목적으로 하며, 연료 움직임 기록을 통해 달 탐사 로켓 엔진 재점화 기술 개발에 기여했다.
제미니 10호 | |
---|---|
기본 정보 | |
![]() | |
![]() | |
임무 유형 | 우주 랑데부 우주선 도킹 선외 활동 |
운영자 | NASA |
COSPAR ID | 1966-066A |
SATCAT | 2349 |
임무 기간 | 2일 22시간 46분 39초 |
완료 궤도 수 | 43 |
우주선 | 제미니 SC10 |
제조업체 | 맥도넬 |
발사 질량 | 3,763 kg |
착륙 질량 | 4,254 lb |
발사 날짜 | 1966년 7월 18일 22시 20분 26초 UTC |
발사 로켓 | 타이탄 II GLV, s/n #62-12565 |
발사 장소 | 케이프 케네디 LC-19 |
착륙 날짜 | 1966년 7월 21일 21시 07분 05초 UTC |
착륙 장소 | 26 |
회수 | USS 과달카날 LPH-7 |
궤도 기준점 | 1966년 7월 19일 |
궤도 기준 | 지심 |
궤도 영역 | 저궤도 |
근지점 | 299 km |
원지점 | 756 km |
궤도 경사 | 28.8도 |
궤도 주기 | 95.19분 |
궤도 유형 | gee |
도킹 정보 | |
도킹 대상 | GATV-5005 |
도킹 유형 | 도킹 |
도킹 날짜 | 1966년 7월 19일 04시 15분 00초 UTC |
도킹 해제 날짜 | 1966년 7월 20일 19시 00분 00초 UTC |
도킹 시간 | 1일 14시간 45분 |
승무원 정보 | |
승무원 수 | 2 |
승무원 | 존 W. 영 마이클 콜린스 |
선외 활동 횟수 | 2 |
선외 활동 시간 | 1시간 28분 |
![]() | |
임무 연대기 | |
이전 임무 | 제미니 9A호 |
다음 임무 | 제미니 11호 |
프로그램 정보 | |
프로그램 | 제미니 계획 |
궤도 정보 | |
궤도 근지점 (1주차) | 159.9 해리 |
궤도 원지점 (1주차) | 268.9 해리 |
궤도 주기 (1주차) | 88.79 분 |
궤도 경사각 | 28.87 도 |
2. 승무원
제미니 10호의 승무원은 선장 존 영과 파일럿 마이클 콜린스로 구성되었다.[3] 존 영은 제미니 3호에 탑승한 경험이 있었고, 마이클 콜린스는 제미니 10호가 첫 우주 비행이었다. 지원 승무원은 버즈 올드린, L. 고든 쿠퍼였다.
2. 1. 정규 승무원
2. 2. 예비 승무원
- 선장: 앨런 빈
- 조종사: 클리프턴 윌리엄스
2. 3. 지원 승무원
짐 러벨과 버즈 올드린은 원래 제미니 10호의 예비 대원으로 지명되었지만, 찰스 배셋과 엘리엇 시가 T-38 추락 사고로 사망하면서 제미니 9호의 예비 대원으로 이동했다. 앨런 빈과 클리프턴 윌리엄스는 제미니 10호 비행으로 이동했다.[4]3. 임무 주요 내용
제미니 10호의 주된 목적은 아폴로 계획의 달 비행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특히 궤도상에서 다른 우주선과 만나 도킹하고, 우주 유영(EVA)을 하는 기술이 중요했다. 이전의 제미니 8호와 제미니 9A호도 도킹을 시도했지만, 완전히 성공하지는 못했다.[5]
제미니 10호는 제미니 8호의 아제나 표적기와 랑데부하여 우주 유영을 하고, 남대서양 이상 현상을 관찰하며 황도광을 촬영했다.[5]
제미니 10호는 고고도 방사선이 문제가 되지 않음을 입증했다. 아제나 부스터와 도킹 후, 존 영과 마이클 콜린스는 이를 이용해 763.8km까지 상승했다. 첫 번째 아제나와 분리 후, 제미니 8호에서 사용되지 않은 아제나와 랑데부했는데, 이는 프로그램 최초의 이중 랑데부였다. 두 번째 아제나는 전기가 없어 육안으로만 랑데부했다.[5]
마이클 콜린스는 약 15.24m 밧줄에 매달려 정지된 아제나로 우주 유영을 하여, 궤도에서 다른 우주선을 만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 콜린스는 아제나에서 우주 먼지 수집 패널을 회수했지만, 밧줄이 엉키지 않도록 집중하다가 카메라를 놓쳐 우주 유영 중 사진을 찍지 못했다.[5]
그 외에도 제미니 10호는 10개의 실험을 실시했으며, 일부는 우주선과 관련된 것이었다. 발사 70시간 10분 후 역분사하여 대기권 재진입을 시작했다. 플로리다 반도 연안 대서양에 착수하여, 강습상륙함가달카날에서 5.6km 지점에 착수, 회수되었다. 미국 국방부는 제미니 10호 지원에 인원 9,067명, 항공기 78대, 함정 13척을 투입했다.[1]
3. 1. 도킹
제미니 8호와 제미니 9A호도 도킹을 목표로 했지만, 완벽한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제미니 10호는 1966년 7월 19일 04:15:00 UTC에 아제나 표적기와 도킹했고, 1966년 7월 20일 19:00:00 UTC에 도킹을 해제했다.[1]
제미니 10호 발사에 앞서, 도킹 대상인 아제나 표적기(GATV-5005)가 1966년 7월 18일 20:39:46 UTC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LC-14 발사대로부터 발사되었다. 이 발사는 성공하여, 원지점 302.8km, 근지점 294.7km의 궤도에 진입했다. 제미니 10호는 타이탄 II GLV 로켓을 사용하여, 1966년 7월 18일 22:20:26 UTC에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 LC-19 발사대로부터 발사되었다.[1]
궤도 수정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발사 6시간 후에는 아제나 표적기와의 도킹에 성공했다. 도킹 상태를 유지한 채, 아제나 표적기의 엔진을 사용하여 원지점 763km, 근지점 294km의 궤도로 변경했다. 7월 19일 20:58 UTC에 78초간 분사하여 원지점 382km, 근지점 294km의 궤도로 재수정했다. 그 후의 재수정을 통해 원지점 377.6km의 궤도에 진입했다.[1]
1차 우주 유영으로, 승무원 마이클 콜린스는 해치 부분까지 나가 우주선 외부 사진 촬영을 실시했다. 그 후, 아제나 표적기(GATV-5005)와 분리하고, 제미니 8호와 도킹했던 아제나 표적기(GATV-5003)에 랑데부하여 3m까지 접근했다.[1]
3. 2. 우주 유영
마이클 콜린스는 두 번의 우주 유영을 실시했다. 첫 번째 우주 유영은 1966년 7월 19일 21:44:00 UTC에 시작하여 22:33:00 UTC에 종료되었으며, 49분 동안 진행되었다. 콜린스는 이때 해치 부분까지 나가 우주선 외부를 사진 촬영하는 임무를 수행했다.[1]두 번째 우주 유영은 1966년 7월 20일 23:01:00 UTC에 시작하여 23:40:00 UTC에 종료되었으며, 39분 동안 진행되었다. 콜린스는 제미니 8호와 도킹했던 아제나 표적기(GATV-5003)로 이동하여 미소 운석 수집 장치를 회수했다. 생명줄을 착용하고 우주총을 사용했지만, 아제나 표적기에 잡을 곳이 없어 이동에 어려움을 겪었다.[1]
4. 임무 목표 및 성과
제미니 10호의 주된 목적은 아폴로 계획의 달 비행 계획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특히 궤도상에서 다른 우주선과 만나 도킹하고, 우주비행사가 우주선 밖에서 활동하는 (우주 유영) 능력을 시험하는 것이 중요했다.[5]
제미니 10호는 아제나 표적 비행체(ATV)와 우주 랑데부 및 우주선 도킹 및 계류를 하고, 우주 유영을 하는 임무를 맡았다. 또한, 이전에 발사된 제미니 8호의 ATV와도 도킹할 계획이었다.[5] 제미니 8호의 ATV는 배터리가 다 되었지만, 제미니 10호는 이를 통해 수동 물체와의 랑데부 능력을 보여줄 수 있었다. 게다가 아제나의 로켓을 사용하여 더 높은 궤도에 도달하는 첫 번째 임무이기도 했다.
제미니 10호는 높은 고도에서 방사선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낮은 궤도에서 아제나 부스터와 도킹한 후, 존 영과 마이클 콜린스는 이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763.8km까지 고도를 높였다. 첫 번째 아제나와 분리된 후에는 제미니 8호 비행에서 사용되지 않고 남은 아제나와 랑데부했는데, 이는 프로그램 최초로 두 번의 랑데부를 실행한 것이다. 두 번째 아제나는 전기가 없었기 때문에, 레이더 없이 눈으로만 랑데부를 해야 했다.
랑데부 후, 콜린스는 약 15.24m 길이의 밧줄에 매달려 작동이 멈춘 아제나로 우주 유영을 했다. 이로써 그는 궤도에서 다른 우주선을 만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 콜린스는 아제나 측면에서 우주 먼지를 수집하는 패널을 회수했다. 그러나 콜린스는 자신의 밧줄이 엉키지 않도록 집중하던 중, 카메라가 스스로 풀려 떠내려가 버렸기 때문에 우주 유영 중 사진을 찍을 수 없었다.
제미니 10호는 10개의 실험을 실시했으며, 그 중 일부는 우주선과 관련된 것이었다.
발사 70시간 10분 후에는 역분사를 실시하여 대기권 재진입을 시작했다. 플로리다 반도 연안 대서양에 착수하여, 강습상륙함가달카날에서 5.6km 지점에 착수, 회수되었다. 미국 국방부도 제미니 10호 지원에 참여하여, 인원 9,067명과 항공기 78대, 함정 13척을 투입했다.
5. 비행 과정
제미니 8호의 아제나 표적기와의 랑데부 및 우주선 도킹 및 계류, 우주 유영을 위해 설계된 제미니 10호는, 아제나 로켓 발사 100분 후 발사되어 159.9km x 268.9km 궤도에 진입했다. 이때 아제나 로켓보다 1800km 뒤처져 있었다.[5] 발사 직후 추진제 주입 탯줄이 분리 끈에 걸려 발사대 서비스 타워에서 뜯겨져 나갔고, 1단계 산화제 탱크 돔 파열로 이산화질소 구름이 방출되는 이상 현상이 발생했으나, NASA는 안전상의 위험이 없다고 판단했다.[5]
제미니 10호 | 아제나 정보 | |
---|---|---|
아제나 | GATV-5005 | |
NSSDC ID: | 1966-065A | |
질량 | 3175kg | |
발사 지점 | 14번 발사대 (LC-14) | |
발사일 | 1966년 7월 18일 | |
발사 시각 | UTC 20:39:46 | |
1차 근지점 | 294.7km | |
1차 원지점 | 302.8km | |
주기 | 90.46분 | |
궤도 경사각 | 28.85° | |
대기권 재진입 | 1966년 12월 29일 |
마이클 콜린스는 항해 장비인 육분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지상 컴퓨터 도움으로 265km x 272km 궤도에 진입했다. 존 영은 분사 중 우주선 회전을 인지 못 해 궤도면 이탈 오차가 발생, 추가 분사로 연료가 60% 소모되었다. 그러나 아제나 연료를 자세 제어에 사용할 수 있어 최대한 도킹 상태를 유지하기로 했다.[5]
아제나 엔진 80초 분사로 294km x 763km 궤도에 진입, 인류 최고 고도 도달 기록을 세웠으나 곧 제미니 11호에 의해 깨졌다. 8시간 수면 후, 아제나 엔진 2차 분사(7월 19일 20시 58분 UTC, 78초)로 속도를 105m/s 줄여 294km x 382km 궤도에 진입, 추가 분사로 377.6km 원형 궤도를 만들었다.[5]
제미니 10호는 두 번의 우주 유영(EVA)을 실시했다. 첫 번째는 스탠드업 우주유영으로, 콜린스가 열린 해치에 서서 S-13 실험으로 별 사진을 찍고, 70mm 카메라로 자외선 남쪽 은하수를 촬영, 궤도 일출 후 우주선 측면(MSC-8) 색상판을 촬영했다. 두 우주비행사 모두 눈 자극을 느껴 6분 일찍 귀환했는데, 이는 수산화리튬 누출이 원인이었다.[6]
두 번째 우주유영은 제미니 8호 아제나와 랑데부(약 3.05m 거리에서 위치 유지 비행) 후 시작되었다. 콜린스는 미소유성체 수집기(S-12) 회수에 어려움을 겪고 분실했다. 휴대용 조종 장치(HHMU)로 제미니로 이동 후 다시 아제나로 이동, 미소유성체 수집기(S-10)를 회수했다. 아제나 덮개 일부가 탯줄에 걸릴 수 있어 수집기 교체는 포기했다.[7] 연료 부족으로 HHMU 테스트 등 남은 임무는 중단, 39분 만에 종료되었다.[8][9]
6. 실험
제미니 10호는 10가지 과학 실험을 수행했다. 여기에는 방사선 측정, 우주선 이온 및 전자 후류 조사, 시노프틱 지형 및 기상 사진 촬영, 황도광 촬영, 항법 실험, 이온 감지 자세 제어 시스템 조사가 포함되었다.[3]
방사선 측정 실험은 다음과 같다.
- MSC-3: 남대서양 이상 지역의 방사선 수준을 측정하는 삼축 자력계[3]
- MSC-6: 아폴로 임무의 잠재적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베타 입자 분광계[3]
- MSC-7: 우주선이 남대서양 이상 지역을 통과할 때 방사선 플럭스를 감지하는 브렘슈트라룽 분광계[3]
S-26 실험은 우주선의 이온 및 전자 후류를 조사했다. 자세 제어 연료 부족으로 결과는 제한적이었지만, 전자 및 이온 온도가 예상보다 높았고 도킹 및 언도킹 중 충격 효과가 기록되었다.[3]
제미니 9A호에서 수행되었던 S-5 (시노프틱 지형 사진 촬영) 및 S-6 (시노프틱 기상 사진 촬영) 실험도 수행되었다. 또한 황도광을 촬영하기 위한 S-1 실험도 있었다. 그러나 사용된 필름의 감도가 낮고 창문이 더러워 빛 투과율이 낮아 이러한 실험들은 거의 효과가 없었다.[3]
승무원은 D-5 항법 실험을 시도했지만, 정확한 측정에 필요한 6개의 별 대신 5개의 별만 추적할 수 있었다. 마지막 실험인 D-10은 이온 감지 자세 제어 시스템을 조사하는 것으로, 궤도에서 우주선 주변의 이온과 전자의 흐름을 통해 우주선의 자세를 측정했다. 이 실험 결과는 시스템이 정확하고 반응이 빠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
7. 대기권 재진입 및 회수
임무 마지막 날, 역분사는 임무 시작 70시간 10분 후에 이루어져 대기권 재진입을 시작했다. 예정된 착륙 지점에서 5.6km 떨어진 대서양에 착수했고, 강습상륙함가달카날에 의해 회수되었다.
제미니 10호 임무에는 미국 국방부의 지원으로 인원 9,067명, 항공기 78대, 함정 13척이 투입되었다.
8. 기념 패치
이 패치는 디자인은 단순하지만 매우 상징적이다. 주요 특징은 큰 X자 모양이며, 그 주위를 제미니와 아제나가 공전하고 있다. 두 별은 두 번의 랑데부 시도, 제미니 자리의 카스토르와 폴룩스, 또는 두 명의 승무원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승무원의 이름이 없는 몇 안 되는 승무원 패치 중 하나이다. 거꾸로 표시할 수 있지만 우주선이 오른쪽에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정확하다. 영의 첫 번째 아내인 바바라가 디자인했다.
9. 우주선 보관
제미니 10호 우주선은 한때 노르웨이 오슬로에 있는 노르스크 테크니스크 박물관(Norsk Teknisk Museum)의 우주 전시회 중심 작품이었다. 2002년에 요청에 따라 반환되었다.
현재 이 우주선은 캔자스주 허치슨(Hutchinson, Kansas)에 있는 코스모스피어(Cosmosphere)에 전시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ATCAT
http://planet4589.or[...]
Jonathan's Space Pages
2014-03-23
[2]
서적
On the Shoulders of Titans: A History of Project Gemini
http://www.hq.nasa.g[...]
NASA
1974-09-01
[3]
웹사이트
Astronaut Fact Book
https://www.nasa.gov[...]
NASA
2013-04-01
[4]
서적
Project Gemini
Schiffer Publishing
[5]
웹사이트
Gemini 10
https://nssdc.gsfc.n[...]
NASA Space Science Data Coordinated Archive
2018-01-06
[6]
ebook
Carrying the Fire: An Astronaut's Journeys
Cooper Square Press
1974-01-01
[7]
웹사이트
Gemini X Composite Air-to-Ground and Onboard Voice Tape Transcription, 338 pages
https://historycolle[...]
2019-01-02
[8]
웹사이트
Gemini X PAO Mission Commentary Transcript, 524 pages
https://www.jsc.nasa[...]
2019-01-02
[9]
웹사이트
Gemini X PAO Mission Commentary Transcript, 524 pages
https://www.jsc.nasa[...]
2019-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