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어리드 코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어리드 코리건은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출신으로, 1976년 언니의 아이들이 총격 사건으로 사망한 후 평화 운동에 참여하여 베티 윌리엄스와 함께 '평화 사람들'을 결성했다. 이들의 활동은 1976년 노벨 평화상 수상으로 이어졌다. 코리건은 이후에도 평화 운동을 지속하며 다양한 사회 문제에 관여했고, 특히 중동,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그녀는 이스라엘의 정책을 비판하고, 핵무기 폐기를 주장하는 등 국제적인 연대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활동은 비판과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북아일랜드 - 길퍼드 4인과 매과이어 7인
길퍼드 4인과 매과이어 7인은 1970년대 영국에서 IRA 관련 폭탄 테러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수사 문제로 유죄 판결이 파기된 사건들이며, 길퍼드 4인은 1974년 길퍼드 펍 폭탄 테러, 매과이어 7인은 니트로글리세린 소지 혐의로 기소되었다. - 1976년 북아일랜드 - 모포투쟁
모포투쟁은 1917년부터 1981년까지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이 정치범 지위 획득을 위해 담요 사용, 단식 투쟁 등 다양한 저항 운동을 벌인 사건으로, 1976년 영국 정부의 '범죄자화' 정책 이후 '담요 시위'와 '더러운 시위'로 격화되었으며 1981년에는 1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 북아일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데이비드 트림블
데이비드 트림블은 1944년 벨파스트에서 태어나 2022년 사망한 북아일랜드의 정치인으로, 퀸즈 대학교 교수, 얼스터 유니오니스트당 당수 및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1998년 벨파스트 협정 체결에 기여하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북아일랜드 자치정부 초대 수상을 지냈다. - 북아일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베티 윌리엄스
베티 윌리엄스는 1976년 북아일랜드 분쟁으로 인한 아이들의 희생을 계기로 메어리드 코리건과 함께 '평화를 위한 여성'을 창립하여 평화 운동을 전개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하고, 이후 세계 어린이 자선 센터를 설립하여 여성과 아동을 위한 활동을 이어간 북아일랜드의 평화 운동가이다. - 벨파스트 출신 - 패디 벨
패디 벨은 1962년 코리 포크 트리오에서 활동하다 솔로로 전향, 1990년대 스코틀랜드 포크 음악계에 복귀하여 밴드 활동, 순회 공연, 에든버러 프린지 협연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친 스코틀랜드의 포크 가수이다. - 벨파스트 출신 - C. S. 루이스
C. S. 루이스는 북아일랜드 출신 영국의 소설가이자 학자, 기독교 변증가로, 옥스퍼드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중세 및 르네상스 문학을 연구했으며, 기독교 변증 저술과 《나니아 연대기》 등의 소설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메어리드 코리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이어리드 코리건 |
출생일 | 1944년 1월 27일 |
출생지 |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
다른 이름 | 마이어리드 코리건 매과이어 |
배우자 | 재키 매과이어 (1981년 결혼) |
자녀 | 2명 (총 5명) |
친척 | 앤 매과이어 (자매) |
활동 | |
소속 단체 | 평화 사람들 노벨 여성 이니셔티브 |
알려진 업적 | 국제 사회 운동가 |
수상 | |
수상 내역 | 노벨 평화상 (1976년) 노르웨이 국민 평화상 (1976년) 카를 폰 오시에츠키 메달 (1976년) 팍셈 인 테리스 상 (1990년) |
2. 초기 생애 (1944–1976)
메어리드 코리건은 벨파스트의 가톨릭 신자 가정에서 태어나 21세부터 기네스에서 비서로 일했다. 1976년 8월 10일, 언니 앤 매과이어와 세 아이들이 영국 육군을 피해 도주하던 IRA 임시파 대원 차량에 치이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세 아이들이 모두 사망했고, 메어리드는 이 사건을 계기로 평화 운동에 뛰어들게 되었다. 1980년 1월, 앤은 자녀를 잃은 슬픔으로 자살했다.
2. 1. 출생 및 가정 환경
메어리드 코리건은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의 로마 가톨릭 공동체에서 태어났다. 5명의 자매와 2명의 형제가 있었으며, 부모는 앤드루와 마가렛 코리건이었다.[32][9] 14세까지 사립 가톨릭 학교인 세인트 빈센트 초등학교에 다녔으나, 가정 형편으로 학업을 중단해야 했다. 가톨릭 커뮤니티 센터에서 베이비시터로 일하며 돈을 모아 미스 고든 상업 대학에서 1년간 비즈니스 수업을 들었고, 16세에 지역 공장의 회계 사무원으로 취직했다. 마리아 군단에서 정기적으로 자원 봉사 활동을 하며, 아이들을 돌보거나 롱 케시 교도소 수감자를 방문하기도 했다. 21세부터는 기네스 양조장의 비서로 일했으며, 1976년 12월까지 근무했다.[10][11][12][13] 2013년 ''더 프로그레시브''와의 인터뷰에서 도로시 데이와 베리건 형제를 초기 가톨릭 영웅으로 꼽았다.[14]2. 2. 교육 및 경력
메어리드 코리건은 벨파스트의 가톨릭 신자 가정에서 8명의 자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14세까지 가톨릭 학교에 다녔으며, 16세에 지역 공장의 회계 사무원으로 취직했다. 21세에 기네스에서 비서로 일했으며 1976년까지 근무했다.[10][11][12][13]2. 3. 가톨릭 신앙과 초기 영웅
매과이어는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의 로마 가톨릭 공동체에서 8명의 자녀 중 둘째로 태어났으며, 5명의 자매와 2명의 형제가 있었다. 그녀의 부모는 앤드루와 마가렛 코리건이었다.[32][9] 14세까지 사립 가톨릭 학교인 세인트 빈센트 초등학교에 다녔는데, 그 당시 그녀의 가족은 더 이상 학비를 낼 수 없었다. 가톨릭 커뮤니티 센터에서 베이비시터로 잠시 일한 후, 미스 고든 상업 대학에서 1년 동안 비즈니스 수업을 들을 수 있을 만큼 돈을 모을 수 있었고, 이로 인해 16세에 지역 공장의 회계 사무원으로 취직하게 되었다. 마리아 군단에서 정기적으로 자원 봉사를 했고, 저녁과 주말을 아이들과 함께 일하고 롱 케시 교도소의 수감자를 방문하는 데 보냈다. 21세에 기네스 양조장의 비서로 일하기 시작하여 1976년 12월까지 그곳에서 근무했다.[10][11][12][13]매과이어는 2013년 ''더 프로그레시브''와의 인터뷰에서 초기 가톨릭 영웅으로 도로시 데이와 베리건 형제를 언급했다.[14]
3. 북아일랜드 평화 운동 (1976–1980)
메어리드 코리건은 1976년 언니 앤 매과이어의 세 아이들이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요원 대니 레논이 몰던 차에 치여 사망하는 사건을 겪고, 베티 윌리엄스와 함께 북아일랜드 평화 운동에 뛰어들었다. 이들은 "평화 사람들"이라는 단체를 조직하여 활동했다.
"평화 사람들"은 격주로 "평화에 의한 평화"라는 신문을 발행하고, 벨파스트 감옥으로 가는 죄수 가족들에게 버스 서비스를 제공했다.[25] 코리건은 폭력 대신 재교육을 통해 분쟁을 해결해야 한다고 믿었다.[24]
1977년, 코리건과 윌리엄스는 1976년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8] 당시 32세였던 코리건은 말랄라 유사프자이가 2014년에 수상하기 전까지 최연소 노벨 평화상 수상자였다.[26]
3. 1. 앤더슨타운 사건과 평화 운동의 시작
앤더슨타운 사건으로 언니 앤 매과이어의 세 아이들이 사망하자, 메어리드 코리건은 북아일랜드 평화 운동에 참여했다.[15]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소속 대니 레논은 영국군의 총격을 받고 사망했는데, 1976년 8월 10일 레논과 공범은 벨파스트 앤더슨타운에서 Armalite 소총을 운반하던 중이었다. 영국군은 소총이 자신들을 향했다고 주장했다.[16] 레논은 즉사했고, 공범은 중상을 입었다. 레논의 차는 피나기 로드 노스 인도로 돌진해 쇼핑 중이던 앤 매과이어와 세 아이들을 덮쳤다.[17] 8세 조앤과 생후 6주 앤드루는 현장에서, 2세 존은 다음 날 병원에서 사망했다.[18]이 사건을 목격한 베티 윌리엄스는 IRA를 비난하고,[19] 평화 청원 서명을 모아 200여 명의 여성들과 벨파스트 평화 행진을 벌였다. 코리건도 이 행진에 합류하여 윌리엄스와 함께 "자발적인 대중 운동의 공동 지도자"가 되었다.[20]
매과이어 아이들 매장지 행진에는 개신교도와 가톨릭 여성 10,000명이 함께 했으나, IRA 회원들의 공격을 받았다. 그 달 말, 코리건과 윌리엄스는 35,000명을 벨파스트 거리로 불러내 아일랜드 공화주의와 얼스터 충성주의 간 평화를 청원했다.[21] "평화를 위한 여성"으로 시작한 이 운동은 시아란 맥키언의 합류로 "평화 공동체"(평화 사람들)로 변경되었다.[22] 코리건은 폭력 종식을 위해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확신했다.[24]
3. 2. 베티 윌리엄스와의 만남과 평화 운동의 전개
매과이어는 언니 앤 매과이어의 세 자녀가 대니 레논이 운전하던 차에 치여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북아일랜드 평화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대니 레논은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요원으로, 영국군의 총에 맞아 사망했다. 레논이 몰던 차는 통제를 잃고 앤 매과이어와 세 아이들을 덮쳤고, 이 사고로 세 아이들 모두 사망했다.[15][17][18]이 비극적인 사건을 목격한 앤더슨타운 주민 베티 윌리엄스는 IRA를 비난하며 평화를 위한 청원을 시작했다.[19] 며칠 뒤, 그녀는 벨파스트에서 평화를 위한 행진을 벌였고, 여기에 매과이어(당시 메어리드 코리건)도 참여했다. 두 사람은 "사실상 자발적인 대중 운동의 공동 지도자"가 되었다.[20]
다음 행진은 매과이어 아이들의 매장지로 이어졌는데, 10,000명의 개신교도와 가톨릭 여성이 함께했다. 이들은 IRA 회원들에게 공격을 받기도 했다. 그 달 말, 매과이어와 윌리엄스는 35,000명의 사람들을 벨파스트 거리로 이끌어 아일랜드 공화주의와 얼스터 충성주의 파벌 간의 평화를 요구했다.[21]
처음에는 "평화를 위한 여성"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아일랜드 프레스'' 통신원 시아란 맥키언의 제안으로 "평화 공동체" 또는 "평화 사람들"로 이름을 바꾸었다.[22] 매과이어는 폭력을 멈추는 가장 좋은 방법은 폭력이 아니라 재교육이라고 믿었다.[23][24] 이들은 격주로 "평화에 의한 평화"라는 신문을 발행하고, 벨파스트 감옥으로 가는 죄수 가족들을 위한 버스를 제공했다.[25] 1977년, 매과이어와 베티 윌리엄스는 1976년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8] 당시 32세였던 매과이어는 말랄라 유사프자이가 2014년에 수상하기 전까지 최연소 노벨 평화상 수상자였다.[26]
3. 3. 노벨 평화상 수상 (1976)
대니 레논이 운전하던 차에 언니 앤 매과이어의 세 아이들이 치여 사망한 후, 매과이어는 북아일랜드 평화 운동에 참여했다. 이 사건을 목격한 앤더슨타운 주민 베티 윌리엄스는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을 비난하며 평화 운동을 시작했고, 매과이어도 이에 합류하여 "사실상 자발적인 대중 운동의 공동 지도자"가 되었다.[20]이들은 35,000명의 사람들을 벨파스트 거리로 불러내 아일랜드 공화주의와 얼스터 충성주의 파벌 간의 평화를 청원했다.[21] 처음에는 "평화를 위한 여성"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이후 "평화 공동체" 또는 "평화 사람들"로 이름을 변경했다.[22] 매과이어는 폭력을 종식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폭력이 아니라 재교육이라고 확신했다.[24]
1977년, 매과이어와 베티 윌리엄스는 그들의 노력으로 1976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8] 당시 32세였던 매과이어는 말랄라 유사프자이가 2014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 전까지 최연소 노벨 평화상 수상자였다.[26]
4. 노벨상 수상 이후 (1980년 이후)
메어리드 코리건은 1976년 노벨 평화상 수상 이후에도 북아일랜드 평화 운동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다양한 사회, 정치적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81년 인권 옹호 단체인 사법행정위원회를 공동 설립했고,[32][33] 낙태 반대 단체인 일관된 생명 윤리 회원으로서 낙태, 사형, 안락사에 반대하는 활동을 펼쳤다.[34]
미얀마의 아웅 산 수 치[35], 터키의 압둘라 오잘란[36], 중국의 류샤오보[37] 등 정치범 석방 운동, 21세기를 위한 국제 평화 문화 및 비폭력 증진 10년 명예 이사[38][39], 노벨 여성 이니셔티브 창립[40] 등 국제 평화 증진 활동에 참여했다. 또한 점령 운동을 지지하고 위키리크스 설립자 줄리안 어산지와 첼시 매닝을 옹호했으며,[14] 데즈먼드 투투,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과 함께 첼시 매닝 지지 서한을 발표했다.[41]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문제와 관련하여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을 비판하고 팔레스타인의 권리를 옹호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 핵무기 폐기와 군비 축소, 로힝야족 분쟁 문제 등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4. 1. 평화 운동의 지속과 확장
베티 윌리엄스가 1980년 평화운동 단체에서 사임했지만,[27] 매과이어는 현재까지도 이 단체에 계속 관여하고 있으며, 단체의 명예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25] 그 이후 이 단체는 전 세계의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문제들을 다루면서 더욱 광범위한 의제를 채택했다.
1980년 1월, 1976년 피나기 로드 사건으로 자녀를 잃은 슬픔으로 우울증을 앓던 매과이어의 여동생 앤이 자살했다.[28][29][30] 1년 반 후인 1981년 9월, 메어리드는 돌아가신 여동생의 미망인인 재키 매과이어와 결혼했다.[31] 그녀는 세 명의 의붓자녀와 두 명의 친자녀, 존 프랜시스(1982년 출생)와 루크(1984년 출생)를 두고 있다.[32]
1981년 매과이어는 인권 옹호에 헌신하는 비종파 단체인 사법행정위원회를 공동 설립했다.[32][33]
그녀는 낙태 반대 단체인 일관된 생명 윤리의 회원이며, 이 단체는 낙태, 사형, 안락사에 반대한다.[34]
매과이어는 전 세계의 정치범들을 위한 여러 캠페인에 참여해 왔다. 1993년 그녀와 다른 6명의 노벨 평화상 수상자들은 태국에서 미얀마로 들어가 야당 지도자 아웅 산 수 치의 장기 구금을 항의하려 했으나 실패했다.[35] 그녀는 2008년 터키가 쿠르드 지도자 압둘라 오잘란을 고문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촉구하는 청원에 최초 서명했다.[36] 2010년 10월, 그녀는 노벨 평화상 수상자 류샤오보를 가택 연금에서 석방하라고 중국에 촉구하는 청원에 서명했다.[37]
매과이어는 2003년 21세기를 위한 국제 평화 문화 및 비폭력 증진 10년으로서 21세기 첫 10년을 위한 유엔의 1998년 비전을 홍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체인 국제 10년 연합의 명예 이사진으로 선정되었으며, 크리스티앙 르누가 의장을 맡고 있다.[38][39]
2006년, 매과이어는 동료 평화상 수상자 베티 윌리엄스, 시린 에바디, 왕가리 마타이, 조디 윌리엄스, 리고베르타 멘추 툼과 함께 노벨 여성 이니셔티브를 창립했다. 이 단체는 북미와 남미, 유럽, 중동,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6명의 여성들이 "정의와 평등을 위한 연합된 노력으로 특별한 경험을 결합"하고 "전 세계 여성의 권리를 지원하는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결성되었다고 설명한다.[40]
매과이어는 점령 운동을 지지했으며 위키리크스 설립자 줄리안 아산지를 "매우 용감한" 사람이라고 묘사했다. 그녀는 또한 첼시 매닝을 칭찬했다. 그녀는 "그들은 진실을 말하는 데 엄청나게 용감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며, "미국 정부와 NATO는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을 파괴했다. 그들의 다음 목표는 시리아와 이란이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14]
매과이어는 데즈먼드 투투,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과 함께 첼시 매닝을 지지하는 서한을 발표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매닝에게서 비롯된 단어들은 그가 입대했을 때부터 내부고발자가 되기까지 심오한 도덕적 갈등을 겪었음을 보여준다. 그는 이라크에서의 경험을 통해 인간의 생명을 과소평가하고 무고한 민간인과 군인들의 고통을 야기하는 최고위 정책에 대해 불만을 품게 되었다. 다른 용감한 내부고발자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무엇보다도 진실을 밝히고자 하는 열망에 이끌렸다."[41]
매과이어는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의 아일랜드 에큐메니컬 학교에서 학위를 받았다. 그녀는 다양한 범교회 및 종교 간 단체와 협력하며, 국제 평화 위원회의 위원이다. 또한 감리교 신학 대학과 북아일랜드 통합 교육 위원회의 후원자이기도 하다.[42]
2019년 4월, 매과이어는 당시 영국에 수감되어 있던 줄리안 아산지를 대신하여 2019년 ''언론인, 내부고발자 및 정보 권리 옹호자를 위한 GUE/NGL 상''을 수상했다.[43]
4. 2. 결혼과 가족
1980년 1월, 1976년 피나기 로드 사건으로 자녀를 잃은 슬픔으로 우울증을 앓던 매과이어의 여동생 앤이 자살했다.[28][29][30] 1981년 9월, 메어리드는 사망한 여동생의 남편이었던 재키 매과이어와 결혼했다.[31] 메어리드는 세 명의 의붓자녀와 존 프랜시스(1982년 출생), 루크(1984년 출생) 두 명의 친자녀를 두었다.[32]
4. 3. 국제적인 연대 활동
매과이어는 전 세계의 정치범들을 위한 여러 캠페인에 참여해 왔다. 1993년 그녀와 다른 6명의 노벨 평화상 수상자들은 미얀마의 야당 지도자 아웅 산 수 치의 장기 구금에 항의하기 위해 태국에서 미얀마로 들어가려 했으나 실패했다.[35] 2008년에는 터키가 쿠르드 지도자 압둘라 오잘란을 고문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촉구하는 청원에 최초로 서명했다.[36] 2010년 10월에는 노벨 평화상 수상자 류샤오보를 가택 연금에서 석방하라고 중국에 촉구하는 청원에 서명했다.[37]2003년, 매과이어는 유엔의 1998년 비전을 홍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체인 국제 10년 연합의 명예 이사진으로 선정되었다. 이 단체는 21세기를 위한 국제 평화 문화 및 비폭력 증진 10년(International Decade for the Promotion of a Culture of Peace and Non-Violence for the Children of the World)으로서 21세기 첫 10년을 위한 것이었으며, 크리스티앙 르누가 의장을 맡고 있다.[38][39]
2006년, 매과이어는 베티 윌리엄스, 시린 에바디, 왕가리 마타이, 조디 윌리엄스, 리고베르타 멘추 툼과 함께 노벨 여성 이니셔티브를 창립했다. 이들은 북미와 남미, 유럽, 중동,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6명의 여성들로, "정의와 평등을 위한 연합된 노력으로 특별한 경험을 결합"하고 "전 세계 여성의 권리를 지원하는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결성되었다.[40]
매과이어는 점령 운동을 지지했으며, 위키리크스 설립자 줄리안 아산지를 "매우 용감한" 사람이라고 묘사했다. 또한 첼시 매닝을 칭찬하며 "그들은 진실을 말하는 데 엄청나게 용감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녀는 "미국 정부와 NATO는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을 파괴했다. 그들의 다음 목표는 시리아와 이란이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14]
매과이어는 데즈먼드 투투,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과 함께 첼시 매닝을 지지하는 서한을 발표했다. 서한에서 "매닝에게서 비롯된 단어들은 그가 입대했을 때부터 내부고발자가 되기까지 심오한 도덕적 갈등을 겪었음을 보여준다. 그는 이라크에서의 경험을 통해 인간의 생명을 과소평가하고 무고한 민간인과 군인들의 고통을 야기하는 최고위 정책에 대해 불만을 품게 되었다. 다른 용감한 내부고발자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무엇보다도 진실을 밝히고자 하는 열망에 이끌렸다"고 밝혔다.[41]
2019년 4월, 매과이어는 당시 영국에 수감되어 있던 줄리안 아산지를 대신하여 2019년 ''언론인, 내부고발자 및 정보 권리 옹호자를 위한 GUE/NGL 상''을 수상했다.[43]
2012년 10월, 매과이어는 작가 앨리스 워커, 활동가 안젤라 데이비스, 전 하원의원 신시아 매키니, 핑크 플로이드의 로저 워터스와 함께 러셀 재판소에 참여하기 위해 뉴욕시로 갔다.[14] 한 보도에 따르면, 매과이어는 러셀 재판소에서 "미국에서 금기시되는 질문, 즉 이란이 핵확산 금지 조약(NPT)에 서명했고 이스라엘이 최소 200개의 핵무기를 가지고 있는데 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이스라엘이 이란을 전쟁으로 위협하는 것을 허용하는가? 왜 대통령은 이스라엘이 NPT에 서명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110]
러셀 재판소에서의 활동을 마친 후, 매과이어는 이 경험이 "참석한 모든 사람의 마음을 열었고,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이스라엘의 포위와 점령 하에서 매일 겪고 있는 현재 진행 중인 불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다. RToP(러셀 재판소)의 발견과 결론은 정부와 시민 사회가 용기를 내어 제재, BDS 등을 시행함으로써 이스라엘의 국제법 위반에 대해 침묵하고 공범이 되기를 거부하도록 도전한다. RToP는 훌륭하고 유익하며 결단력 있었으며, 우리 정부와 우리 국민 모두가 인권과 국제법을 보호하기 위해 행동할 도덕적, 법적 책임을 지고 있으며, 어디에서 누구에게라도 불의가 행해질 때 침묵할 수 없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었다"라고 말했다.[111]
4. 4. 주요 관심 분야 및 활동
메어리드 코리건은 북아일랜드 평화 운동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해 왔다.1981년 인권 옹호 단체인 사법행정위원회를 공동 설립했다.[32][33] 낙태 반대 단체인 일관된 생명 윤리 회원으로 낙태, 사형, 안락사에 반대한다.[34]
미얀마의 아웅 산 수 치[35], 터키의 압둘라 오잘란[36], 중국의 류샤오보[37] 등 정치범 석방 운동과 21세기를 위한 국제 평화 문화 및 비폭력 증진 10년 명예 이사[38][39], 노벨 여성 이니셔티브 창립[40] 등 국제 평화 증진 활동을 했다.
점령 운동을 지지하고 위키리크스 설립자 줄리안 어산지와 첼시 매닝을 옹호했다.[14] 데즈먼드 투투,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과 함께 첼시 매닝 지지 서한을 발표했다.[41]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학위, 국제 평화 위원회 위원, 감리교 신학 대학, 북아일랜드 통합 교육 위원회 후원자로 활동했다.[42] 2019년 줄리안 아산지를 대신하여 ''언론인, 내부고발자 및 정보 권리 옹호자를 위한 GUE/NGL 상''을 수상했다.[43]
4. 4. 1. 미국 및 서방 국가 비판
매과이어는 중동, 특히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미국과 영국의 정책을 비판해왔다. 그녀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리더십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미국에서의 활동은 때때로 법적인 문제로 이어지기도 했다.[14]2012년 시카고에서 열린 노벨 정상 회담에 초대를 받았지만, 미국 국무부가 주최한다는 이유로 참가를 거부했다. 그녀는 "노벨 평화상 수상자가 전쟁을 지속하고, 기본적인 시민 자유, 인권, 국제법을 없애면서 젊은이들에게 평화를 이야기하는 국무부에 의해 주최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이중 잣대이다."라고 말했다.[14]
매과이어는 2003년 이라크 침공에 강력히 반대했다. 2002년 8월, 전쟁 반대자 국제 연합 회의에서 이라크 전쟁에 반대할 것을 촉구했다.[51][52] 2003년 3월 17일, 유엔 본부 밖에서 전쟁에 항의했고,[53] 3월 19일에는 르 모인 칼리지에서 "어떤 언어로 봐도 공정하지 않습니다."라고 연설했다.[53] 팍스 크리스티 회원들과 40일간 단식 투쟁을 했으며,[54][55] 전쟁 시작 후에는 "진행 중이며 부끄러운 학살"이라고 묘사했다.[54][56] 그녀는 미국 언론이 이라크 뉴스를 왜곡했으며, 전쟁은 미국의 "경제적, 군사적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57] 2006년에는 조지 W. 부시와 토니 블레어가 전쟁 범죄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58]
유엔의 이라크 제재에 대해 "부당하고 비인간적"이며 "무기보다 훨씬 더 잔인하다"고 비판했다.[45][46] 1999년 3월,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과 함께 바그다드를 방문하여 빌 클린턴과 토니 블레어에게 폭격 중단과 제재 해제를 촉구했다.[47][48]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군사 배치에 반대했다. 인도에서 평화 행진을 했고,[49] 뉴욕에서 1만 명의 시위대와 함께 행진했다.[50]
버락 오바마의 2009년 노벨 평화상 수상에 대해, "아프가니스탄의 군국주의 정책과 점령을 계속하고 있다"며 실망감을 표했다.[59] 2008년 달라이 라마와의 면담을 거절하고,[60] 2009년에도 만나지 않은 오바마를 비난했다.[61] 2010년에는 오바마에게 국제법 위반 책임을 물으며, 핵무기 위협은 뉘른베르크 헌장에 따른 범죄라고 말했다.[62]
매과이어는 미국에서 두 차례 체포되었다. 2003년 3월 17일, 유엔 본부 밖에서 체포되었고,[63] 3월 27일에는 백악관 근처에서 체포되었다.[63][64] 2009년 5월과 7월, 텍사스와 버지니아주 공항에서 이민 당국에 의해 구금되어 환승 항공편을 놓쳤다.[65][66]
4. 4. 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
메어리드 코리건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해 왔으며,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을 비판하고 팔레스타인의 권리를 옹호하는 활동을 펼쳐왔다.1984년, 코리건은 처음으로 이스라엘을 방문하여 종교 간 대화에 참여했다. 2000년 6월에는 인권 랍비와 가옥 철거 반대 이스라엘 위원회의 초청으로 다시 이스라엘을 방문하여 팔레스타인 가정을 지원했다.[67][68] 2013년 인터뷰에서 그녀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생활 환경에 "전적으로 경악했다"고 말하며, 이후 정기적으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방문하게 되었다고 밝혔다.[14]
코리건은 이스라엘을 맹렬히 비판하며, 유엔 회원 자격을 취소하거나 정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69] 그녀는 이스라엘 정부가 "동예루살렘에서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민족 청소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70]라고 비난했으며, 이스라엘에 대한 보이콧 및 투자 철회(BDS) 운동을 지지한다.[71][72]
2004년, 코리건은 이스라엘의 핵무기를 아우슈비츠의 나치 가스실에 비유하여 논란을 일으켰다.[79] 그러나 2010년 인터뷰에서 그녀는 이스라엘을 나치 독일에 비유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82]
2007년, 코리건은 빌린에서 이스라엘 분리 장벽 건설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했다가 이스라엘 군의 고무탄과 최루 가스에 맞아 부상을 입었다.[84][85][86]
2008년, 코리건은 가자 지구를 방문하여 하마스 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를 만났다.[88][89] 2009년에는 가자 지구로 향하던 인도적 지원 선박에 탑승했다가 이스라엘 군에 의해 구금되기도 했다.[91]
2010년, 코리건은 가자 지구 봉쇄를 돌파하려던 선단에 참여했다가 이스라엘에 의해 추방되었고, 10년간 입국 금지 조치를 받았다.[98][99]
코리건은 하마스를 선출된 정당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팔레스타인인들이 이스라엘 정부보다 평화를 더 원한다고 말했다.[103][109][14]
4. 4. 3. 로힝야족 문제
2018년 3월, 매과이어는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시린 에바디, 타와쿨 카르만과 함께 방글라데시 콕스 바자르 구의 로힝야족 분쟁 난민촌을 방문하여 위기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다카로 돌아온 후 그들은 방글라데시 시민 사회 구성원들과 로힝야족 위기에 대해 논의했다.[112][113]4. 4. 4. 핵무기 폐기 및 군비 축소
매과이어는 핵무기 폐기와 군비 축소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2010년 12월 카를 폰 오시에츠키 메달 시상식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핵무기 없는 세상을 원한다고 말하면서도 이란에 대해 '모든 옵션이 고려 대상'이라고 언급한 것은 핵무기 사용 위협이며, 이는 국제법 위반이라고 비판했다.[62] 그녀는 뉘른베르크 헌장에 따라 핵무기 위협이나 사용은 범죄이며, 핵 억지력을 유지하는 핵무기 보유국 관리들은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고 주장했다.[62]2009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오바마 대통령이 선정된 것에 대해 매과이어는 실망감을 표하며, 오바마 대통령이 아프가니스탄에서 군사적 정책과 점령을 지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59]
5. 개인 철학 및 비전
Gandhi|간디영어는 비폭력이 수동적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가르쳤다. 비폭력은 가장 대담하고, 창의적이며, 용감한 삶의 방식이자 유일한 희망이다. 비폭력은 폭력과 살인을 거부하고, 사랑과 진실의 힘으로 갈등과 갈등의 근본 원인을 변화시키는 적극적인 삶의 방식이다. 비폭력은 대화를 추구하고, 화해를 모색하며, 상대방의 진실에 귀 기울이고, 군국주의를 거부하며,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추구한다.[114]
메어리드 매과이어는 폭력이 인간의 본성이 아니라 질병과 같다고 믿는다. 그녀는 인류가 폭력과 전쟁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비폭력과 사랑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믿는다. 그녀는 예수,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간디, 칸 압둘 가파르 칸, 존 L. 맥켄지 신부, 마틴 루터 킹 등을 영적 예언자로 여긴다.[115][116][117][118]
매과이어는 모든 형태의 폭력을 거부한다. 그녀는 "평화주의자로서 폭력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으며, 무력과 무력 위협에 대한 대안이 항상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그런 대안이 없다고 말하는 사회에 도전해야 합니다. 삶의 모든 영역에서 생활 방식, 교육, 상업, 국방 및 통치에 비폭력을 채택해야 합니다."라고 말한다.[115] 매과이어는 모든 군대를 폐지하고 비무장 평화 유지군으로 구성된 다국적 공동체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9]
매과이어는 2010년에 출판된 책 『평화의 비전: 북아일랜드의 믿음과 희망』[120]을 저술했다. 이 책은 에세이와 편지 모음집으로, 그녀의 정치 활동과 신앙 사이의 관계를 다룬다. 책의 대부분은 북아일랜드에 관한 내용이지만, 홀로코스트, 인도, 동티모르, 유고슬라비아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매과이어는 "미래에 대한 희망은 우리 각자가 비폭력을 마음에 새기고, 모든 사람에게 비폭력적이고 생명을 주는 새롭고 상상력 넘치는 구조를 개발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너무 이상적이라고 주장할 것입니다. 저는 그것이 매우 현실적이라고 믿습니다.... 우리는 기적적인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기뻐하고 축하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이 변하고 있고,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라고 썼다.[121]
6. 비판
메어리드 코리건에 대한 비판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제기되었다.
첫째, 1976년 노벨 평화상 수상 결정과 평화 운동 자체에 대한 비판이다. 마이클 비니언은 노벨 위원회가 성과보다는 희망에 상을 준 것이라며, 코리건과 베티 윌리엄스의 북아일랜드 평화 기여가 "미미하다"고 평가했다.[130] 신 페인의 알렉스 마스키는 평화 운동이 영국 정부에 의해 아일랜드 공화주의에 반대하는 여론을 조성하는 데 이용되었다고 주장했다.[131] 가디언의 데릭 브라운은 코리건과 윌리엄스가 순진하게 폭력 종식을 요구했지만, 이는 비현실적인 요구였다고 평가했다.[132] 롭 페어마이클은 평화 운동이 일부 사람들에게 IRA보다 UDA에 더 반대하는 것으로 여겨졌다고 지적했다. 또한, 윌리엄스와 코리건이 적대적인 군중에게 위협받거나 구타당한 사례도 언급했다.[133]
둘째, 노벨상 상금 사용 논란이다. 대부분의 노벨상 수상자는 상금을 보유하지만,[134] 일부는 과학, 문화, 인도주의적 대의에 기부하기도 한다.[135] 코리건과 윌리엄스가 상금을 보유하기로 결정한 것은 북아일랜드에서 논란을 일으켰고,[136] 피스 피플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을 분노하게 했다.[137] 롭 페어마이클은 이 논란이 피스 피플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138]
셋째, 이스라엘 및 친이스라엘 진영의 비판이다. 2009년 가자 지구 선박 습격 사건 이후, 마아리브의 벤-드로르 예미니는 코리건이 이스라엘에 집착하며 다른 억압받는 사람들에게는 관심이 없다고 비판했다.[139] 또한, 그녀가 반유대주의 운동을 이끌고 있다고 주장했다.[139] 엘리아즈 루프와 마이클 엘터만은 코리건의 활동이 하마스 등의 테러 조직을 돕고 반유대주의 의제를 조장한다고 비판했다.[140][141] 예루살렘 포스트는 코리건이 이스라엘 핵무기를 아우슈비츠에 비유한 것을 비판하며, 그녀를 추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2][143]
그러나 이스라엘 내에서도 코리건에 대한 의견이 모두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베냐민 네타냐후는 코리건의 비폭력 저항을 다른 활동가들의 폭력적인 행위와 구별했으며,[144] 기드온 레비는 코리건을 옹호하며 이스라엘 정부를 비판했다.[145]
6. 1. 노벨상 수상 결정 및 평화 운동에 대한 비판
마이클 비니언은 1976년 노벨 평화상 수상에 대해 "노벨 위원회는 이전에 논란의 여지가 있는 상을 수여한 적이 있습니다. 어떤 상들은 성과보다는 희망을 보상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두 여성의 북아일랜드 평화 기여가 슬프게도 "미미하다"고 묘사했다.[130]신 페인의 알렉스 마스키는 "분쟁 당시, 평화 운동이 영국 정부에 의해 탈취되어 여론을 아일랜드 공화주의에 반대하도록 이용되었다."라며 "저와 다른 사람들에게, 평화 운동과 그들의 좋은 의도는 재빨리 악용되어 영국 국가 정책에 흡수되었습니다."라고 주장했다.[131]
가디언의 벨파스트 특파원인 데릭 브라운은 코리건과 베티 윌리엄스가 "둘 다 훌륭하게 말을 잘하고, 가능한 최선의 의미에서 완전히 순진했다."고 썼다. 그는 그들이 국민의 뜻에 따라 폭력 종식을 요구한 것을 "엄청나게 비현실적인 요구"라고 묘사했다.[132]
평화 운동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에서 롭 페어마이클은 평화 운동이 일부 사람들에게 "UDA에 반대하기보다는 IRA에 더 반대하는" 것으로 여겨졌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왕당파보다 공화파에 더 반대한다는 것이다. 페어마이클은 또한 "베티 윌리엄스와 메어리드 코리건은 여러 번 구타당했으며, 때로는 지도자들이 적대적인 군중에게 위협을 받았다."고 언급하며, 일부 극단적인 부정적 반응이 취한 형태의 예시로 이를 들었다.[133]
6. 2. 상금 사용 논란
대부분의 노벨상 수상자는 상금을 보유하지만,[134] 과학, 문화 또는 인도주의적 대의에 상금을 기부하는 수상자도 드물지 않다.[135] 메어리드 코리건과 베티 윌리엄스가 상금을 보유하기로 결정한 것은 북아일랜드에서 논란을 일으켰다.[136] 이 결정은 피스 피플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을 분노하게 했고, 두 여성에 대한 불쾌한 소문을 부추겼다.[137] 롭 페어마이클은 "모피 코트의 소문"을 언급하며, 상금 논란이 피스 피플의 쇠퇴와 관련하여 대중에게 특히 문제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고 결론 내렸다.[138]6. 3. 이스라엘 및 친이스라엘 진영의 비판
2009년 가자 지구 선박 습격 사건 이후, 이스라엘 일간지 『마아리브』의 칼럼니스트 벤-드로르 예미니는 코리건 매과이어가 이스라엘에 집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스리랑카나 티베트의 억압받는 사람들에게는 관심이 없고, 오직 이스라엘과의 투쟁만 본다고 주장했다.[139] 또한 매과이어가 반유대주의 운동을 이끄는 인물이라고 비난하며, 그 운동의 목적이 유대 국가의 파괴라고 주장했다.[139]엘리아즈 루프 캐나다 주재 이스라엘 외교 공관 부대표는 매과이어의 활동이 가자 지구의 하마스와 다른 테러 조직의 손에 놀아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40] 마이클 엘터만 캐나다-이스라엘 위원회 태평양 지역 회장은 매과이어의 행동이 의도는 좋았을지라도 증오와 반유대주의 의제를 조장한다고 경고했다.[141]
2010년 10월, 『예루살렘 포스트』는 사설에서 매과이어가 이스라엘의 핵무기를 아우슈비츠의 가스실에 비유한 것을 "충격적"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이스라엘이 매과이어와 같은 사람들이 이스라엘 시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것을 막기 위해 주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매과이어의 추방을 환영했다.[142] 『포스트』는 매과이어가 진정으로 가자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고 싶다면, 이스라엘과 협력하여 인도적 지원을 보내고 하마스에게 압력을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매과이어는 이스라엘을 돕는 것보다 하마스 테러리스트에게 힘을 실어주는 데 더 관심이 있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143]
그러나 이스라엘 내에서도 매과이어에 대한 여론이 모두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2010년 6월 가자 지구 선박 습격 사건 이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매과이어가 탑승한 『레이첼 코리』호에서의 비폭력 저항을 다른 6척의 선박에 탑승한 활동가들의 폭력적인 행위와 구별했다.[144] 기드온 레비는 2010년 10월 이스라엘 신문 『하레츠』에서 매과이어를 옹호하며, 이스라엘이 그녀의 입국을 거부하고 구금한 것을 "국가 테러"라고 비판했다.[145]
7. 수상 및 영예
예일 대학교는 1977년 매과이어에게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122] 같은 해에 그녀는 미국 업적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을 받았다.[123] 뉴로셸 대학교도 1978년에 그녀에게 명예 학위를 수여했다.[124] 1998년 매과이어는 콜로라도주, 덴버에 있는 예수회 기관인 레지스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125] 로드아일랜드 대학교는 2000년에 그녀에게 명예 학위를 수여했다.[126] 그녀는 2006년, 문화 전파와 세계 평화 수호에 의미 있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알베르트 슈바이처 국제대학교로부터 과학과 평화 금메달을 받았다.[127]
1990년 그녀는 1963년 교황 요한 23세가 모든 선의의 사람들에게 모든 국가 간의 평화를 확보할 것을 촉구한 회칙인 파쳄 인 테리스 상을 수상했다. 데이븐포트 가톨릭 인종 간 위원회는 북아일랜드에서의 그녀의 평화 노력과 "종교의 이름으로 폭력에 맞서는 세계적인 힘"으로 그녀를 칭찬했다.[128] 파쳄 인 테리스는 라틴어로 "지상 평화"를 의미한다.
핵 시대 평화 재단은 1992년 매과이어에게 "그녀의 도덕적 리더십과 사회 정의 및 비폭력에 대한 변함없는 헌신"을 기리는 공로로 탁월한 평화 지도자 상을 수여했다.[129]
참조
[1]
뉴스
Mairead Maguire: Nobel winner, veteran peace campaigner
https://archive.toda[...]
2010-06-04
[2]
웹사이트
Mairead Corrigan Maguire
https://web.archive.[...]
The Peace People
2011-02-04
[3]
간행물
NORTHERN IRELAND: A People's Peace Prize
https://web.archive.[...]
1976-12-13
[4]
웹사이트
Die Carl-von-Ossietzky-Medaille
http://www.ilmr.de/d[...]
Internationale Liga für Menschenrechte (International League for Human Rights)
2011-02-20
[5]
문서
[6]
문서
[7]
웹사이트
Peace People – History
https://web.archive.[...]
The Peace People
2011-02-20
[8]
웹사이트
The Nobel Peace Prize 1976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09-07-08
[9]
서적
The International Who's Who, 2004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2011-03-22
[10]
서적
Mairead Corrigan and Betty Williams: Partners for Peace in Northern Ireland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1]
서적
Mairead Corrigan, Betty Williams
https://archive.org/[...]
Barron's
[12]
서적
Peace: Nobel Lecture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3]
문서
[14]
웹사이트
Mairead Maguire
http://progressive.o[...]
The Progressive
2013-04-09
[15]
서적
Cage Eleven: Writings from Prison
Roberts Rinehart Publishers
2011-02-23
[16]
문서
[17]
논문
Resistance
http://cedarlounge.f[...]
Irish Republican Support Group (C.P.G.B.)
2016-08-31
[18]
뉴스
A woman of peace
http://living.scotsm[...]
2006-07-28
[19]
웹사이트
"'Each Child Belongs to Us': A New way forward for children of the world"
https://web.archive.[...]
Peace Proposal
2011-02-23
[20]
논문
Two Battlers for Peace: Mairead Corrigan and Betty Williams
https://books.google[...]
Arno Press
2011-03-06
[21]
서적
The Art of Peace: Nobel Peace Laureates Discuss Human Rights, Conflict and Reconciliation
https://archive.org/[...]
Snow Lion Publications
2011-03-08
[22]
서적
Nobel Faces: A Gallery of Nobel Prize Winners
https://archive.org/[...]
Wiley-VCH
2011-03-09
[23]
서적
Champions for Peace: Women Winners of the Nobel Peace Priz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1-03-09
[24]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Chippendale–Dickinson
https://books.google[...]
Gale Research
2011-03-09
[25]
웹사이트
Máiread Maguir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11-07
[26]
웹사이트
Nobel Laureates – FAQ
https://web.archive.[...]
nobelprize.org
2011-10-07
[27]
서적
The Field Day Anthology of Irish Writing: Irish Women's Writings and Traditions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1-03-09
[28]
뉴스
A Belfast Tragedy: Death of a Mother
http://www.boston.co[...]
1980-01-22
[29]
뉴스
Tragedy of a Broken Heart
https://web.archive.[...]
1980-02-04
[30]
웹사이트
CAIN: People: Biographies of Prominent People During 'the Troubles' – C
http://cain.ulst.ac.[...]
CAIN Web Service (Conflict Archive on the INternet)
2011-02-23
[31]
서적
A Persistent Peace
https://archive.org/[...]
Lolyola Press
[32]
웹사이트
Mairead Corrigan – Curriculum Vitae
http://nobelprize.or[...]
2011-03-21
[33]
뉴스
Warrior for peace: Mairead Corrigan Maguire
http://www.belfastte[...]
2010-06-05
[34]
웹사이트
The Consistent Life Ethic and the Catholic Tradition
http://www.consisten[...]
Consistent Life
2011-03-22
[35]
웹사이트
A Lexicon of Spiritual Leaders in the IFOR Peace Movement, Part 2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Fellowship of Reconciliation
2011-03-18
[36]
웹사이트
Freedom for Abdullah Ocalan – Peace in Kurdistan
http://www.freedom-f[...]
International Initiative
2008-10-17
[37]
웹사이트
15 Nobel Peace Prize Laureates Call on World Leaders to Urge Chinese President Hu Jintao to Release Nobel Peace Prize Laurate Liu Xiaobo and his wife Liu Xia
http://www.freedom-n[...]
Freedom Now
2010-10-25
[38]
웹사이트
Coordination Internationale pour la Décennie – Our Honorary Board
http://www.nvpdecade[...]
International Coalition for the Decade
[39]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alition for the Decade Mid-decade Report
http://www3.unesco.o[...]
Coordination Internationale pour la Décennie
[40]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nobelwome[...]
Nobel Women's Initiative
[41]
간행물
Nobel Laureates Salute Bradley Manning
http://www.thenation[...]
2012-11-14
[42]
웹사이트
Mairead Maguire-Northern Ireland, 1976
http://nobelwomensin[...]
Nobel Women's Initiative
[43]
뉴스
Julian Assange wins EU journalism award
https://www.news.com[...]
Press Association
2019-04-17
[44]
뉴스
No to Violence, Yes to Dialogue: Nobel Peace Prize Laureate Mairead Maguire on Path to Peace Today
https://www.democrac[...]
Democracy Now
[45]
뉴스
U.N. worker details harm
https://www.proquest[...]
1998-12-17
[46]
서적
Abrams
2003
[47]
뉴스
Nobel Winners: Give Iraq a Break
1999-03-09
[48]
웹사이트
Iraq Peace Plea
http://www.peacepeop[...]
The Peace People
[49]
서적
Abrams
2003
[50]
웹사이트
New York City protest opposes war in Afghanistan
http://www.wsws.org/[...]
World Socialist Web Site
2001-10-12
[51]
웹사이트
Peace on the Move
http://www3.unesco.o[...]
UNESCO
[52]
웹사이트
Act to Save the Children of Iraq
http://www.wagingpea[...]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2002-08-04
[53]
웹사이트
She's a Peacemaker
http://www.thecathol[...]
The Catholic Sun
2003-03-27
[54]
웹사이트
War in Iraq and Anti-war Protests
http://www.peacepeop[...]
The Peace People
[55]
서적
Abrams
2003
[56]
웹사이트
Mairead Corrigan Maguire
http://www.paxchrist[...]
Pax Christi
[57]
서적
Abrams
2003
[58]
웹사이트
A Right to Live Without Violence, Nuclear Weapons and War
http://www.nobelwome[...]
Nobel Women's Initiative
2006-02-21
[59]
웹사이트
Nobel Peace Laureate: Obama Choice 'Disappointing'
http://www.accuracy.[...]
Institute for Public Accuracy
2009-10-09
[60]
문서
Barack Obama's Letter to the Dalai Lama
2008-07-24
[61]
웹사이트
Rising China Poses Danger to Peace, Say Nobel Laureates
http://ipsnews.net/n[...]
Inter Press Service (IPS)
2009-10-31
[62]
웹사이트
Speech by Nobel Laureate Mairead Maguire During the Carl-von-Ossietzky Medal Award Ceremony Berlin 12th December 2010
http://www.nobelforp[...]
World Summit of Nobel Peace Laureates
[63]
웹사이트
Protest Arrests Include Nobel Winners, Ellsberg
https://www.latimes.[...]
2003-03-27
[64]
웹사이트
War on Iraq and Anti-war Protests
http://www.peacepeop[...]
The Peace People
2003-04-03
[65]
웹사이트
Nobel Peace Laureate Mairead Maguire Detained by USA Homeland Security
http://www.nobelwome[...]
Nobel Women's Initiative
[66]
웹사이트
Could U.S. Officials Please Treat a Nobel Peace Laureate with Respect?
http://www.huffingto[...]
2009-08-24
[67]
웹사이트
From Northern Ireland to Israel and Palestine
http://www.interfait[...]
[68]
웹사이트
"[From ''Report from the Peace Council'', Fall, 2000]"
http://www.peacecoun[...]
International Committee for the Peace Council
[69]
뉴스
Nobel laureate Maguire: UN should suspend Israel membership
http://www.haaretz.c[...]
2008-11-20
[70]
뉴스
Nobel laureate accuses Israel of 'ethnic cleansing'
https://www.google.c[...]
2009-04-22
[71]
웹사이트
Saving Succeeding Generations from the Scourge of War
http://www.action-fo[...]
Action for UN Renewal
2011-03-27
[72]
웹사이트
Mairead Maguire Speech at Sabeel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http://www.fosna.org[...]
Friends of Sabeel – North America
2011-03-27
[73]
뉴스
האם כלת פרס נובל לשלום תורשה להיכנס לישראל?
http://www.mako.co.i[...]
2011-03-27
[74]
Youtube
פעילת השלום האירית לא תיכנס לישראל" "(Irish Peace Activist Will Not Enter Israel)
http://www.mako.co.i[...]
Keshet (TV)|Mako
2010-10-04
[75]
웹사이트
Mairead Corrigan Maguire Calls for an End to 40 Years of Israeli Occupation in Palestine
http://www.nobelwome[...]
Nobel Women's Initiative
2011-03-27
[76]
웹사이트
Vanunu released after 18 years
https://www.theguard[...]
2011-02-22
[77]
웹사이트
Israel frees nuclear whistleblower Vanunu
https://www.usatoday[...]
2009-07-08
[78]
웹사이트
An Open Letter to the People of Israel about Mordechai Vanunu
http://www.peacepeop[...]
Peace People
2011-02-22
[79]
뉴스
Nobel laureate compares Israeli nuclear arms to gas chambers
http://www.haaretz.c[...]
2010-07-01
[80]
웹사이트
The Lonely Israeli Prisoner – Mordechai Vanunu
http://www.wagingpea[...]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2011-02-22
[81]
웹사이트
Nobel Women's Initiative – a Right to Live without Violence, Nuclear Weapons and War
http://www.nobelwome[...]
Nobelwomensinitiative.org
2010-07-01
[82]
뉴스
http://www.globes.co[...]
Globes (newspaper)|Globes
2011-03-11
[83]
웹사이트
Mairead Corrigan Maguire: Nobel Peace Laureate Shot with Israeli Rubber-coated Steel Bullet
http://blog.beliefne[...]
God's Politics
2013-11-25
[84]
뉴스
Nobel peace laureate Corrigan injured in anti-fence protest
http://www.ynetnews.[...]
2009-07-08
[85]
웹사이트
Palestine: IDF Shoots Irish Peace Prize Winner With Rubber Bullets
http://www.indymedia[...]
Indymedia Ireland
2009-07-08
[86]
웹사이트
End the Occupation Now
http://www.commondre[...]
Common Dreams NewsCenter|Common Dreams
2009-07-08
[87]
웹사이트
Protesters' boat arrives in Gaza
https://www.latimes.[...]
2011-01-24
[88]
웹사이트
Photo from Getty Images
http://www.daylife.c[...]
Daylife.com
2010-10-14
[89]
웹사이트
Israel and the Palestinians: Key terms
https://web.archive.[...]
BBC
[90]
웹사이트
Removal of Hamas from the EU Terror List
http://www.informati[...]
Information Clearing House
2011-01-24
[91]
웹사이트
Israel navy intercepts boat with ex-U.S. Rep. McKinney
http://edition.cnn.c[...]
CNN
2013-08-25
[92]
웹사이트
Nobel Peace Laureate Mairead Maguire Speaks from Israeli Jail Cell After Arrest on Boat Delivering Humanitarian Aid to Gaza
http://www.democracy[...]
2009-07-08
[93]
뉴스
Israel deports Nobel laureate
http://www.irishtime[...]
2009-07-08
[94]
웹사이트
Nobel Peace Laureate Mairead Maguire Speaks from Israeli Jail Cell After Arrest on Boat Delivering Humanitarian Aid to Gaza
http://www.democracy[...]
Democracy Now
2013-11-25
[95]
웹사이트
Irish aid ship expects Israelis to board vessel
https://www.bbc.co.u[...]
BBC
2010-12-29
[96]
뉴스
Seized ship enters Ashdod Port
http://www.ynetnews.[...]
Ynet
2010-12-29
[97]
웹사이트
Rachel Corrie activists 'relieved' to be home
http://www.rte.ie/ne[...]
RTÉ
2010-12-29
[98]
뉴스
Irish Nobel laureate challenges Israeli detention
https://www.google.c[...]
2010-10-07
[99]
뉴스
Supreme Court rejects Maguire's appeal
http://www.ynetnews.[...]
Ynet News
2010-10-07
[100]
웹사이트
Nobel Peace Prize Winner Detained in Israel
http://www.huffingto[...]
2013-11-27
[101]
웹사이트
Irish Nobel winner Maguire boards flight out of Israel
http://www.jpost.com[...]
2010-10-07
[102]
뉴스
Nobel laureate appeals for safe passage for Gaza flotilla
http://www.thejourna[...]
2011-06-25
[103]
웹사이트
Nobel Peace Laureate Mairead Maguire speaks to MEMO about Palestine, political prisoners and nuclear weapons
http://www.middleeas[...]
2013-11-25
[104]
뉴스
Egypt bars Gaza-bound Irish Nobel Peace Laureate Maguire
https://news.yahoo.c[...]
2014-03-05
[105]
웹사이트
Participants on Board: Messina to Gaza
https://wbg.freedomf[...]
2020-02-20
[106]
웹사이트
Israel intercepts protest vessel trying to break naval blockade of Gaza
https://www.theguard[...]
2016-10-05
[107]
뉴스
Nobel peace laureate Mairead Maguire: Israeli forces kidnapped me in international waters
http://www.belfastte[...]
Belfast Telegraph
null
[108]
웹사이트
Nobel peace prize winner Mairead Corrigan 'kidnapped' by Israeli forces
http://www.irishnews[...]
The Irish News
2016-10-06
[109]
웹사이트
Nobel Peace Laureate Mairead Maguire speaks to MEMO about Palestine, political prisoners and nuclear weapons
http://www.middleeas[...]
Middle East Monitor
2011-12-01
[110]
웹사이트
Russell Tribunal on Palestine Examines Roles of U.N. and U.S.
http://www.wrmea.org[...]
2013
[111]
웹사이트
Mairead Maguire, Russell Tribunal on Palestine find Israel guilty of Apartheid
http://nobelwomensin[...]
Nobel Women's Initiative
2011-11-10
[112]
뉴스
Three female Nobel Peace laureates to meet Rohingya refugees in Bangladesh
https://bdnews24.com[...]
null
[113]
뉴스
3 Nobel laureates to visit Rohingya camp
https://en.prothomal[...]
null
[114]
웹사이트
Mairead Corrigan Maguire Reflects on Working Toward Peace
http://www.scu.edu/e[...]
null
[115]
웹사이트
Journeying with Active Nonviolence
http://www.wagingpea[...]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2006-12-21
[116]
웹사이트
A Nonkilling, Nonviolent World for the 21st Century
http://www.wagingpea[...]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2006-11-17
[117]
웹사이트
Mairead Corrigan Maguire by John Dear, S.J.
http://www.peacepeop[...]
The Peace People
[118]
웹사이트
We Need Wisdom
http://www.jesusours[...]
Jesus Our Shepherd
[119]
웹사이트
'Saving Succeeding Generations from the Scourge of War': Building a Nonkilling, Nonviolent Culture for the Human Family
http://www.vmpeace.o[...]
Mehta Centre
2009-02-18
[120]
웹사이트
Mairead Maguire – Northern Ireland, 1976
http://nobelwomensin[...]
Nobel Women's Initiative
[121]
서적
The Vision of Peace: Faith and Hope in Northern Ireland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0-08
[122]
웹사이트
Yale Honorary Degree Recipients
http://ris-systech2.[...]
Yale University
[123]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124]
간행물
Peacemaker
http://www.cnr.edu/M[...]
2009
[125]
웹사이트
Recipients of honorary degrees from the [1960s] to the 1990s are
http://www.regis.edu[...]
Regis University
[126]
웹사이트
Previous Honorary Degree Recipients
http://www.uri.edu/c[...]
The University of Rhode Island
[127]
웹사이트
Medals and Honorary Degrees
http://www.albertsc.[...]
Fundación Universidad Albert Schweitzer
[128]
웹사이트
Pacem in Terris
http://www.davenport[...]
Diocese of Davenport
[129]
웹사이트
Distinguished Peace Leadership Award
http://www.wagingpea[...]
Nuclear Age Peace Foundation
[130]
웹사이트
Comment: absurd decision on Obama makes a mockery of the Nobel Peace Prize
http://www.timesonli[...]
2009-10-09
[131]
웹사이트
Legacy of NI peace movement
http://news.bbc.co.u[...]
2006-08-11
[132]
뉴스
The Sad History of Ulster's Peace Movements
1976-08-16
[133]
문서
Fairmichael, pp. 17, 18
[134]
간행물
Reflections on the prize of prizes: Alfred Nobel
2006
[135]
웹사이트
Berkeley Nobel laureates donate prize money to charity
http://www.ebcf.org/[...]
[136]
문서
Abrams (2001) p. 28
[137]
문서
Buscher, pp. 89–90
[138]
문서
Fairmichael
[139]
웹사이트
Hovevei ha-Ayatollot ba-Hevra ha-Yisre'elit (Hebrew)
http://www.nrg.co.il[...]
NRG (Maariv)
2009-07-07
[140]
웹사이트
Calat Pras Nobel le-Shalom Mevaqeshet le-Hishaer ba-Aretz (Hebrew)
http://www.nrg.co.il[...]
NRG (Maariv)
2010-09-29
[141]
웹사이트
Michael Elterman: Nobel laureate Mairead Maguire's good intentions promote anti-Semitism
https://www.straight[...]
2009-10-06
[142]
웹사이트
Editorial: The disengenuous Nobel laureate
http://www.jpost.com[...]
2010-10-04
[143]
웹사이트
Editorial: The disingenuous Nobel laureate
http://www.jpost.com[...]
2010-10-04
[144]
웹사이트
Navy takes over Rachel Corrie without incident
http://www.haaretz.c[...]
2010-06-06
[145]
웹사이트
A Nobel Peace Prize laureate in prison
http://www.haaretz.c[...]
2010-10-03
[146]
서적
Mairead Corrigan and Betty Williams: Partners for Peace in Northern Ireland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47]
서적
Mairead Corrigan, Betty Williams
https://books.google[...]
Barron's
[148]
서적
Peace: Nobel Lecture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49]
문서
Buscher, p. 32: "Máiread left school at the age of fourteen. She went to business school for a year, taking baby-sitting jobs to earn money. That year she also joined the Legion of Mary, a Catholic lay organization dedicated to helping the very poor in the Catholic community."
[150]
간행물
Resistance
http://cedarlounge.f[...]
Irish Republican Support Group (C.P.G.B.)
2016-08-31
[151]
뉴스
A woman of peace
http://living.scotsm[...]
2006-07-28
[152]
뉴스
A Belfast Tragedy: Death of a Mother
http://www.boston.co[...]
1980-01-22
[153]
뉴스
Tragedy of a Broken Heart
http://www.time.com/[...]
1980-02-04
[154]
웹사이트
CAIN: People: Biographies of Prominent People During 'the Troubles' – C
http://cain.ulst.ac.[...]
CAIN Web Service (Conflict Archive on the INternet)
[155]
웹사이트
The Nobel Peace Prize 1976
https://www.nobelpri[...]
"ノーベル財団"
[156]
서적
A Persistent Peace
Lolyola Press
[157]
뉴스기사
2007 hit by a rubber bullet and inhaled tear gas (Israeli report)
http://www.ynetnews.[...]
[158]
뉴스기사
2007 hit by a rubber bullet and inhaled tear gas (Irish report)
http://www.indymedia[...]
[159]
웹사이트
2007 hit by a rubber bullet and inhaled tear gas (her own first-hand account)
http://www.commondre[...]
[160]
뉴스
ノーベル平和賞受賞者を国外退去処分…イスラエル
https://web.archive.[...]
2010-10-05
[161]
뉴스
ノーベル平和賞受賞者を国外退去 イスラエル
https://web.archive.[...]
2010-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