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푸역은 1908년 대만총독부 철도 튄마선 개통과 함께 '메이푸차'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20년 '메이푸'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중화민국이 대만을 점령한 후에도 유지되었다. 2013년 튄마선 지하화 공사로 지하역으로 이전하며 위치가 변경되었다. 역은 췬완선과 튄마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동서 출구를 연결하는 환승 통로에는 상점과 편의시설이 있다. 주변은 주택 지역이며, 기본적인 생활 편의 시설과 대중교통 접근성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췬완선 - 조던역
조던역은 홍콩 지하철 췬완 선의 지하역으로, 조던 로드와 네이선 로드의 교차로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호텔과 구룡 공원 등의 명소가 있고, 2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췬완선 - 프린스 에드워드 역
프린스 에드워드 역은 홍콩 MTR의 쿤통선과 췬완선 환승역으로, 1982년 개통되었으며 평면 환승 구조이고, 2019년 경찰 과잉 진압 논란이 있었으며, 주변에 다양한 시설과 7개의 출구가 있다. - 삼서이보구 - 홍콩 성시 대학
홍콩 성시 대학은 1984년에 설립된 홍콩의 공립 연구 대학으로, 가우룽통에 위치한 15.6 헥타르 규모의 캠퍼스에서 10개의 단과 대학 및 학교를 통해 150개 이상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며, 국내외 대학 평가 기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다양한 국제 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 삼서이보구 - 훙함역
훙함역은 홍콩 주룽 지구에 있는 MTR 철도역으로, 동철선과 툰마선의 환승역이며, 한때 중국 본토로 가는 직통 열차도 운행했던 교통 요지이다. - 가우룽의 지하철역 - 조던역
조던역은 홍콩 지하철 췬완 선의 지하역으로, 조던 로드와 네이선 로드의 교차로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호텔과 구룡 공원 등의 명소가 있고, 2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가우룽의 지하철역 - 프린스 에드워드 역
프린스 에드워드 역은 홍콩 MTR의 쿤통선과 췬완선 환승역으로, 1982년 개통되었으며 평면 환승 구조이고, 2019년 경찰 과잉 진압 논란이 있었으며, 주변에 다양한 시설과 7개의 출구가 있다.
메이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역 이름 | 메이푸 |
원어 이름 | 美孚 |
원어 이름 (광둥어) | Mei5 fu1 |
의미 | 아름다운 믿음 |
주소 | MTR 췬완선: 마운트 스털링, 메이푸신춘, 라이치콕 MTR 튄마선: 라이치콕 공원, 라이치콕 |
위치 | 홍콩 삼서이보 구 |
노선 | 췬완선 튄마선 서철선 (2021년 6월 27일까지) |
연결 | 버스 미니버스 |
역 구조 | 췬완선: 지하 튄마선: 지상, 덮개 및 밀폐 |
승강장 | 4개 췬완선: 1개 (섬식 승강장) 튄마선: 2개 (상대식 승강장) |
개업 | 췬완선: 1982년 5월 17일 서철선: 2003년 12월 20일 |
전철화 | 췬완선: 1500 V DC (가공선) 서철선: 25 kV 50 Hz (가공선) |
접근성 | https://www.mtr.com.hk/en/customer/services/free_search.php?query_type=search&station=20 |
건축가 | MTR Corporation (췬완선) Aedas (구 Liang Peddle Thorp Architects & Planners) 및 홍콩 정부 도시 계획가 (서철선/튄마선) |
역 코드 | MEF |
소유 | 췬완선: MTR Corporation 튄마선: Kowloon-Canton Railway Corporation |
운영자 | MTR Corporation |
이전 이름 | 라이완 (1982-1985) |
운행 정보 | |
췬완선 | 이전 역: 라이치콕 다음 역: 라이킹 |
튄마선 | 이전 역: 췬완서 (튄문 방면) 다음 역: 남청 (우카이샤 방면) |
2. 역사
메이푸역은 계획 초기 '라이지곡'(Lai Chi Kok)이라는 가칭으로 불렸으나, 1982년 5월 17일 췬완선 역으로 개통했을 때는 '라이완'(荔灣, Lai Wan)이라는 이름이었다.[6] 이후 1985년 5월 31일에 현재의 역명인 '메이푸'(美孚)로 변경되었다.
2003년 12월 20일에는 튄마선 (당시 서철선) 승강장이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다. 2007년 12월 2일에는 운영 주체인 MTR과 KCR의 합병에 따라 두 노선의 역사가 하나의 역으로 통합되었다.[7]
2. 1. 초기 역사
메이푸역은 계획 초기에는 지역명을 딴 '라이지곡'(Lai Chi Kok)이라는 가칭으로 불렸다. 그러나 1982년 5월 17일 개통 당시에는 '라이지곡 만'을 줄인 '라이완'(荔灣, Lai Wan)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6] 1985년 5월 31일에 MTR 췬완선이 개통되면서 현재의 역명인 '메이푸'로 변경되었다. 역 건설은 일본 기업인 쿠마가이구미(熊谷組)가 담당했다.튄마선 (당시 서철선) 승강장은 2003년 12월 20일 서철선 개통과 함께 문을 열었다. 이 승강장은 라이지곡 공원 중앙, 기존 췬완선 승강장의 서쪽에 위치한다. 역 공사 과정에서 공원 경관이 일부 훼손되었으나, 완공 후 역 시설과 함께 점차 복구되었다.
2007년 12월 2일, 운영 주체인 MTR과 KCR의 합병에 따라 췬완선과 튄마선 (당시 서철선) 승강장은 하나의 역으로 통합 운영되기 시작했다.[7]
날짜 | 내용 |
---|---|
1982년 5월 17일 | 라이완(荔灣) 역으로 개업 (췬완선) |
1985년 5월 31일 | 현재의 메이푸(美孚) 역으로 역명 변경 |
2003년 12월 20일 | 튄마선 (당시 서철선) 승강장 개통 및 환승 시작 |
2007년 12월 2일 | MTR- KCR 합병으로 단일 역으로 통합 운영 |
2. 2. 튄마선 개통 및 통합
튄마선 (당시 서철선) 승강장은 2003년 12월 20일 노선 개통과 함께 운영을 시작했다. 이 승강장은 라이치콕 공원 중앙에 위치하며, 췬완선 승강장보다 약간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튄마선 역 건설 계약은 키어-젠 퍼시픽(Zen Pacific) 합작 회사에 주어졌다.[2] 역 건설 과정에서 공원 경관이 크게 훼손되었으나, 완공 후 역 복합 시설과 함께 공원이 재건되었다.기존의 췬완선 역과 새로 개통된 서철선 역은 운영 주체인 MTR과 KCR의 합병(MTR-KCR 합병)에 따라 2007년 12월 2일 하나의 역으로 통합되었다.[7] 통합 이전에는 두 노선 간 환승 시 별도의 개찰구를 통과해야 했다.
2021년 6월 27일, 사틴-센트럴 링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서철선과 마온산선 (당시 '튄마선 1단계')이 공식적으로 합병하여 새로운 튄마선이 완전 개통되었다. 이에 따라 메이푸역은 현재 튄마선의 중간역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3. 역 구조
메이푸역은 MTR의 췬완선과 튄마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5] 췬완선 승강장은 지하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 구조이고, 튄마선 승강장은 지상에 위치한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5]
둥충선과 튄마선이 평면환승이 가능한 남청역과는 달리, 메이푸역의 두 노선 승강장은 서로 상당히 떨어져 있다.[8][3] 따라서 두 노선 간 환승을 위해서는 각 노선의 대합실 층에 있는 환승 통로를 이용해야 하며, 도보로 약 5분에서 10분 정도 소요된다.[8][3][5]
튄마선 승강장은 지상에 있지만, 역 앞뒤 선로가 지하 구간으로 이어지고 인접한 라이치콕 공원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외부와 차단된 밀폐형 구조로 지어졌다.[8][3]
역에는 총 8개의 출구가 있다.[5]
3. 1. 췬완선 승강장

췬완선 승강장은 지하 3층(L3)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의 지하역이다.[5] 두 승강장이 하나의 섬식 승강장을 공유하며, 오른쪽 문이 열린다.[8][3]
- 승강장 '''1''': 췬완 방면 (다음 역: 라이깅)
- 승강장 '''2''': 중완 방면 (다음 역: 라이지곡)
둥충선 및 튄마선과 평면 환승이 가능한 남청역과는 달리, 메이푸역의 췬완선과 튄마선 승강장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8][3] 두 노선 간 환승은 지하 1층(L1)의 환승 통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동에는 약 5분에서 10분 정도 소요된다.[8][3] 췬완선 대합실(L2)과 튄마선 대합실(G/C)은 개찰구 내에서 이 통로로 연결된다.[5]
3. 2. 튄마선 승강장
튄마선 승강장은 지상에 위치해 있지만, 역 앞뒤의 선로는 지하 구간으로 이어져 있다.[8][3] 이 때문에 승강장은 인접한 라이치콕 공원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와 차단된 밀폐형 구조로 되어 있다.[3] 승강장 형식은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이며, 양쪽 승강장 모두 왼쪽 문이 열린다.[8][5]췬완선 승강장과는 별도로 떨어져 있으며, 두 노선 간 환승을 위해서는 약 5분에서 10분 정도 소요되는 환승 통로를 이용해야 한다.[8][3] 이는 둥충선과 튄마선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한 남청역과는 다른 구조이다.[8] 췬완선과 튄마선의 대합실(콘코스) 층은 개찰구 내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5]

층 | 구조 | 비고 |
---|---|---|
U1 | 옥상 정원 | 출구 G, 라이치콕 공원, 칭라이 코트 방면 육교, 라이킹힐 로드 연결[8][3] |
C/G | 튄마선 대합실 | 출구 F, 고객 서비스, 화장실, MTR샵,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인출기[8][3] |
P 승강장 | 승강장 1 | ← 튄마선 튄문 방면 (췬완서)[8][3] |
승강장 2 | 튄마선 우카이사 방면 (남청) →[8][3] |
3. 3. 환승 통로
메이푸역은 남청역과 달리 췬완선과 튄마선 간의 평면환승이 불가능하다. 췬완선 승강장은 지하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이고, 튄마선 승강장은 지상에 위치한 상대식 승강장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3][5]두 노선은 각 대합실 층에서 개찰구 내부에 있는 환승 통로를 통해 연결된다. 이 통로를 이용한 환승에는 도보로 약 5분에서 10분 정도 소요된다.[3][5]
튄마선 승강장은 지상에 건설되었지만, 역 앞뒤의 선로가 지하 구간이며 인접한 라이치콕 공원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외부와 차단된 밀폐형 구조로 되어 있다.[3]
3. 4. 역 층별 구조
옥상정원대합실
승강장
지면
지하 통로
대합실
승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