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장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장실은 화장을 고치는 방을 의미하며, 개인 위생, 소변 및 배변에 사용되는 사적인 공간을 지칭하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화장실은 문화와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가지며, 처리 방식 또한 건식, 습식, 개별 처리, 집합 처리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세계 각국의 화장실은 프라이버시, 위생, 문화적 관습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이며, 특수한 상황이나 장소에 맞는 특수 화장실도 존재한다. 최근에는 젠더 중립 화장실과 같은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화장실 형태도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장실 - 변기
    변기는 인간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위생 설비로, 고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개인 위생과 공중 보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화장실 - 배뇨
    배뇨는 비뇨기계를 통해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생리 현상으로, 요의를 느끼고 뇌의 제어를 받아 이루어지며, 사회문화적 측면과 관련될 뿐 아니라 배뇨 관련 질병 및 장애도 존재한다.
  • 방 - 사우나
    사우나는 핀란드에서 유래한 뜨거운 방에서 증기욕을 즐기는 시설 또는 행위로, 건식과 습식으로 나뉘며 혈액 순환 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핀란드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 방 - 스튜디오
    스튜디오는 예술, 미디어 제작, 교육, 훈련, 마스터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작업 공간 또는 시설을 의미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화장실
개요
화장실 표지판
화장실 표지판
유형
용도배변 및 배뇨
어원
영어Toilet (토일렛)
일본어トイレ (토이레), 化粧室 (게쇼시쓰)
역사 및 문화
역사고대부터 존재
위생공중 보건과 밀접한 관련
사회적 의미사생활 보호 및 편의 제공
시설
주요 설비변기
세면대
추가 설비거울
수납장
휴지통
환풍기
종류
가정용욕실 내부에 위치
공공용공원
쇼핑몰
식당
교통 시설
이동식임시 시설, 건설 현장 등
디자인 및 기술
디자인다양한 스타일과 크기
기술수세식 변기
절수형 변기
비데
기타
관련 용어변소
뒷간
해우소
중요성위생적인 생활 환경 유지에 필수적

2. 명칭

'''화장실'''(化粧室)은 문자 그대로 화장을 고치는 방을 의미한다. toilet영어은 불어로 화장을 일컫는 말인데, 이는 유럽에서 머리에 파우더를 뿌렸고 파우더를 씻는 것에서 비롯됐다. 이 때문에 파우더를 씻어 내리는 곳이 필요해서 만들어졌다.[80]

"Toilet"은 원래 개인 위생을 의미했으며, 환유를 통해 목욕, 옷 입기 등에 사용되는 개인적인 방을 지칭하게 되었다. 그 후에는 유사하게 소변과 배변에 사용되는 사적인 방을 완곡어법으로 지칭하게 되었고, 환유를 통해 이러한 방의 비품을 직접 지칭하게 되었다.[2][3] 현재 이 단어는 주로 그러한 비품을 지칭하며, 방이나 행위를 지칭하기 위해 "toilet"을 사용하는 것("use the toilet")은 다소 무뚝뚝하며 경솔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4] 그러나 이 용어는 더 정중한 용어가 지역별로 다르지만, 전 세계 영어 사용 국가에서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용어이다.

Lavatory (라틴어 ''lavatoriumla'', "세면대" 또는 "세면실"에서 유래)[5]는 19세기에 흔히 사용되었으며, 여전히 널리 이해되고 있지만, 미국 영어에서는 상당히 격식 있는 표현으로 간주되며, 영국에서는 공중 화장실을 더 자주 지칭한다. 축약형 "lav"[6]는 영국 영어에서 흔히 사용된다.[7]

미국 영어에서 개인 화장실을 지칭하는 가장 일반적인 용어는 욕실이며, 욕조나 샤워 시설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된다.[8][9] 영국 영어에서 "bathroom"은 흔히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주로 목욕에 사용되는 개인적인 방에 사용되며, 욕조나 샤워 시설이 없는 방은 "WC", 즉 water closet의 약자[10], "lavatory" 또는 "loo"로 더 자주 알려져 있다.[11]

일부 형태의 전문 용어는 화장실을 지칭하는 고유한 용어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상업용 항공기의 "lavatory", 선박의 "head"[12], 군대에서 "latrine" 등이 있다.[13] 북미에서는 "파우더룸" 또는 "하프 배스"(half-bathroom)로,[14] 영국에서는 "cloakrooms"로 알려져 있다.[15]

불결하고 부정한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일본을 포함한 많은 문화권에서 완곡한 표현이 존재한다.

일본에는 변소를 의미하는 호칭이나 이칭이 많다. 현재에도 사용되는 "'''측간'''(かわや, 카와야)"은 옛날 『고사기』에 그 예가 보이며, 시설 아래에 물을 흘려보내는 도랑을 배치한 '川屋(카와야)'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노골적으로 입에 담는 것을 "거리낀다"는 의미에서 "'''하바카리'''", 마지막으로 손을 씻는다는 의미에서 "'''수수'''(ちょうず, 쵸-즈)"가 있다. 측간의 이명인 "'''설은'''(せっちん, 셋친)"은 종래부터 다도회 등에서 측간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다실의 정원(내 샛길)에 손님 전용의 모래 설은이나 장식 설은을 설치하여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측간(외 샛길)과 별도로 깨끗한 측간에서 다도회 손님을 맞이했다. 후에 이것이 바뀌어 다실 이외의 장소에서도 품위 있는 표현으로 설은이 사용되게 되었다.

쇼와 시대가 되자 "더러운 곳"에서 "'''세면소'''", "'''화장실'''", "'''화장실'''"로 차츰 표현이 더 부드러운 것이 사용되게 되었다. 전후에는 "'''화장실'''"이나 "W.C. (water closet의 머리글자)" 등 외국어에서 유래된 표현이나 남녀를 나타내는 픽토그램으로 그 장소를 나타내는 경우도 늘었다.

영어에서는 "화장실"이라는 표기의 원래 단어 "'''토일렛'''" (toilet) 자체가 "화장실"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지만 "변기"를 의미하는 직설적인 단어이기도 하므로 일상 대화 등에서 주택에서는 같은 방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 목욕탕과 함께 "bathroom"이라고 부르거나, 점포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장소에서는 원래 "휴게실"을 의미하는 "rest room", 혹은 "men's / ladies' room"과 같이 완곡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철도 차량이나 항공기 등 공공성이 높은 교통 수단에서는 "'''Lavatory(s)'''"(변소)의 표기가 사용되고 있다.

도쿄도 아라카와구에서는 2010년, "공중변소"의 명칭을 화장실에 관한 이미지 문제에서 "공중 화장실"로 변경하는 취지의 논의가 오간 끝에 조례 명칭을 변경하는 것이 결정되었다[68]

3. 역사

현대 시대에 들어서면서 인간은 일반적으로 노상 방뇨를 하거나, 시골 지역에서는 뒷간이나 옥외 변소를 구덩이 변소 위에 사용했고, 도시 지역에서는 요강을 사용하여 거리나 배수구에 버렸다.[16][17] 인더스 문명은 특히 발달된 위생 시설을 갖추고 있었으며, 여기에는 개인용 수세식 변기의 일반적인 사용이 포함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인들은 공중 화장실을 가지고 있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본적인 하수도 시스템에 연결된 실내 배관을 사용했다. 중세 수도원의 뒷간은 재래터로 알려졌는데, 어떤 경우에는 공동체의 식수, 요리 또는 세척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폐기물을 제거하는 정교한 물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었다. 근대 초기에는 시의 옥외 변소에서 나온 "야분"이 화약을 만들기 위한 질산염의 중요한 원천이 되었다.[18] 19세기 옥외 변소의 개선 사항으로는 변소 퇴비와 양동이 변소가 포함되었다.

실내 변기는 처음에는 부유층의 사치품이었으며, 점차적으로 하류층으로 확산되었다. 1890년대 후반에도 런던의 건축 규정은 노동자 계급의 주택에 실내 변기를 설치하도록 요구하지 않았으며, 20세기 초까지 일부 영국 가정은 주인이 사용하는 2층 변소와 하인이 사용하는 옥외 변소로 지어졌다.[19] 어떤 경우에는 변기가 집 안에 설치되었지만 외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는 과도기적 단계가 있었다.[20]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런던과 그 교외의 모든 신규 주택에는 실내 변기가 설치되었다.[26]

욕실은 변기보다 늦게 표준화되었지만, 거의 동시에 노동자 계급의 집에 들어왔다.[21][22] 배관상의 이유로, 수세식 변기는 일반적으로 주거지의 욕실 안이나 근처에 위치해 왔다. (둘 다 처음에는 같은 이유로 주방과 부엌 부속실 위에 위치했다.) 상류층 가정에서는 최초의 현대식 화장실이 침실 근처에 세면대가 있는 세면실이었고, 하류층 가정에서는 종종 접이식 욕조만 있었다. 영국에서는 화장실을 욕실 안에 두는 것에 대해 오랫동안 편견이 있었는데, 1904년에 헤르만 무테시우스는 "화장실[즉, 변기]은 사실상 영국 욕실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실제로 그 안에 있는 것은 완전히 용납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라고 언급했다. 변기가 욕실 안에 배치되었을 때, 최초의 이유는 비용 절감이었다.[26] 1876년 에드워드 윌리엄 고드윈은 진보적인 건축가이자 디자이너로, 욕실 안에 변기가 있는 저렴한 주택을 설계했으며, 이에 대한 비판에 직면했다.[27]

미국과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현재 변기와 욕실을 결합하고 있다.[29] 별도의 화장실은 여전히 영국 가정에서 흔하며,[22] 변기가 욕실에 있는 것이 일반적인 곳에서도 건축업자의 선택 사항으로 남아 있다.[28] 프랑스,[29][30] 일본,[31][32] 및 일부 다른 국가에서는,[33] 위생 및 프라이버시상의 이유로 별도의 화장실이 여전히 일반적이다. 프랑스 이외의 현대 가정에서는,[29] 이러한 별도의 화장실에는 일반적으로 세면대가 포함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변기에 내장된 세면대가 있어(폐수는 다음 물 내림에 사용됨) 사용자가 즉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34] 일본의 화장실은 또한 화장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집의 나머지 부분에서 신는 것과 다른 특별한 슬리퍼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32][35][36]

로마 제국 멸망 후, 인프라가 열악해진 중세 유럽의 도시에서는 방 안의 덧창처럼 확장된 구석에 가림막을 치고 요강을 사용했으며, 배설물은 "물! 조심해!"라고 외친 후 창밖으로 길에 버렸다. 이 때문에 골목길의 오물로 의상의 밑단이 더러워지지 않도록 오버슈즈나 하이힐이 발명되었으며, 길에서 건물 안으로 들어갈 때 단차를 두는 등의 관습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귀족의 저택,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 등에는 변소가 없어 광대한 정원의 화단 등이 용변을 보는 장소였다고 한다. 귀족 여성의 넓게 퍼지는 플레어 스커트는, 그대로 쪼그리고 앉아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않고 용변을 보기 위한 궁리이기도 했다고 한다. "잠깐 꽃을 따러"라는 여성의 용변을 보는 핑계(은어)는 여기서 유래했다.

이러한 불위생적인 사회적 인프라의 불행한 결과가 콜레라의 대유행이다. 이후 공중 보건학의 발전과 함께 이러한 실정은 점차 개선되었다.

유럽에서는 수많은 전란으로 인한 피해를 면한 지 2~3백 년 된 건물(더 오래된 것도 많다)이 현역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변소가 각 가정에 보급된 것은 불과 백 년 정도 전이므로, 오래된 건물의 변소는 계단 아래나 창고의 한구석 등 틈새에 설치되어 좁고 답답하게 느껴지는 곳도 많다.

== 한국의 화장실 역사 ==

한국 전통 가옥에서는 화장실이 건물 밖에 별도로 위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뒷간'이라고 불렀다.[81] 밤에 화장실을 가기 어려운 경우에는 방 안에 '요강'을 두고 사용하기도 했다.[81] 현대 시대에 들어서 한국에서도 수세식 변기가 보급되기 시작했다. 19세기 옥외 변소의 개선 사항으로는 변소 퇴비와 양동이 변소가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런던과 그 교외의 모든 신규 주택에는 실내 변기가 설치되었다.[26]

1980년대 이후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 보급되면서 실내 수세식 화장실이 일반화되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비데 등 위생 편의 시설이 도입되면서 화장실 문화가 더욱 발전하였다.

3. 1. 한국의 화장실 역사

한국 전통 가옥에서는 화장실이 건물 밖에 별도로 위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뒷간'이라고 불렀다.[81] 밤에 화장실을 가기 어려운 경우에는 방 안에 '요강'을 두고 사용하기도 했다.[81] 현대 시대에 들어서 한국에서도 수세식 변기가 보급되기 시작했다. 19세기 옥외 변소의 개선 사항으로는 변소 퇴비와 양동이 변소가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런던과 그 교외의 모든 신규 주택에는 실내 변기가 설치되었다.[26]

1980년대 이후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 보급되면서 실내 수세식 화장실이 일반화되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비데 등 위생 편의 시설이 도입되면서 화장실 문화가 더욱 발전하였다.

4. 화장실의 구성 요소

화장실의 주요 설비는 변기이다. 변기는 대변기와 소변기로 구분된다.[44]
대변기


  • 양변기(걸터앉는 방식 변기)[44]
  • 재래식 변기(쪼그려 앉는 방식 변기)[44]

소변기수세식 변기의 경우, 물통 (탱크)에 연결되어 볼탑 (플로트 밸브)에 의해 작동되거나, 플러시 밸브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한다.

새로운 화장실 칸 내부의 여러 설비. 변기(수도 직결식 수세식, 걸터앉는 방식), 화장지 홀더, 손잡이, 세면대 등.


그 외에도 화장실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 두루마리 휴지 걸이: 화장지를 걸어두는 용도로 사용된다.
  • 손잡이
  • 세면대: 손 씻기를 위한 시설이다. 비누와 함께 제공되며, 약장이나 거울이 부착될 수 있다.
  • 거울
  • 비데
  • 비데 샤워 (건강 수도꼭지)
  • 핸드 드라이어
  • 화장실용 의성어 장치 (일본 등에서 사용)


일부 화장실에는 변기 배수구의 막힘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플런저나 변기 안을 청소하기 위한 변기솔이 비치되어 있기도 하다. 또한, 개인 위생 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장이 설치되기도 한다.

항문 세정 방법은 문화권에 따라 다르다. 두루마리 휴지 걸이에 걸린 화장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물로 씻는 것에 익숙한 문화권에서는 비데 샤워 (건강 수도꼭지) 또는 비데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자동 세척 기능을 제공하는 Washlet과 같은 변기가 인기있다.

4. 1. 추가 구성 요소 (선택 사항)

일부 화장실에는 변기 배수구의 막힘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플런저나 변기 안을 청소하기 위한 변기솔이 비치되어 있기도 하다. 또한, 개인 위생 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장이 설치되기도 한다.

항문 세정 방법은 문화권에 따라 다르다. 두루마리 휴지 걸이에 걸린 화장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물로 씻는 것에 익숙한 문화권에서는 비데 샤워 (건강 수도꼭지) 또는 비데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자동 세척 기능을 제공하는 Washlet과 같은 변기가 인기있다.

5. 처리 방식

화장실 오수 처리 방식은 크게 건식과 습식, 개별 처리와 집합 처리로 나눌 수 있다.[47]

건식 처리 방식은 물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물만 사용하는 방식이다.[47] 피트식 화장실은 땅을 파서 변조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개발도상국에서 많이 사용된다.[47][48] 분뇨 분리 퇴비 화장실은 북유럽 국가 등에서 채택된 방식으로, 경사진 단조 퇴비화조를 통해 퇴비를 만든다.[47] 바이오 화장실은 톱밥 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뇨를 분해한다.

수세식 변소는 물을 사용하여 오물을 처리하는 습식 처리 방식이다.[47]

개별 처리 방식은 주택이나 건물 단위에서 오수를 처리하는 방식이다.[49] 부패조는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는 전통적인 방식이지만, 일본에서 개발된 정화조에 비해 처리 성능이 낮다.[49][50] 정화조는 혐기성 및 호기성 미생물의 정화 작용을 이용한다.

집합 처리 방식은 여러 건물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모아 처리하는 방식이다.[47] 하수도는 주로 도시부의 우수 및 오수를 지하 수로로 모아 처리한다.

그 외에 산화지(라군) 방식은 직렬로 연결된 여러 연못에서 폭기로 정화하며,[47] 습지(인공 습지) 방식은 토양 접촉이나 부레옥잠 등 수생 식물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47]

5. 1. 한국의 오수 처리 방식

6. 세계의 화장실



쪼그려 앉는 변기와 변기 슬리퍼가 있는 일본 사찰 호텔


변기의 방식이 '앉는 방식'인지 '쪼그려 앉는 방식'인지는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르고, 시대에 따라서도 다르며, 동일 지역에서도 가정용인지 공중용인지에 따라서도 다르다.

화장실에서의 프라이버시를 어느 정도 중요하게 여기는가는 문화마다 크게 다르다. 완전 개별실 방식, 반 개별실 방식, 전혀 칸막이가 없는 방식(여성도 옆 사람이 용변을 보는 모습이 다 보이는 방식) 등 다양하다.

미국에서는 공중 화장실을 완전히 밀실로 만드는 것은 범죄의 온상이 된다고 여겨져서 매우 꺼려진다. 문도 완전히 시선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발 부분은 외부에서 보이는 형식이 많다. 러시아에서는 소치 올림픽 때, 선수촌의 화장실은 (여성용도) 전혀 칸막이가 없는 화장실이 설치되어 (러시아 이외의 국가에서) 화제가 되었다. 세계 각국에서는 "일본인은 배설하는 모습을 타인에게 보이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지만, 입욕하는 것을 보이는 것에 저항을 느끼지 않는 (기묘한) 국민이다"라고 말하며, 일본인의 화장실에 대한 감각이 세계의 표준은 아니다. 세계 각지의 화장실의 다양성이나, 프라이버시 취급에 대한 차이점 등에 대해서는 『세계의 쪼그려 앉는 방식』이라는 책[52]에도 해설되어 있다.

용변을 본 후의 항문 세척에는 화장지(화장실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물로 세척하는 습관을 가진 나라도 있다. 그러한 화장실은 사진의 인도나 튀르키예처럼, 개별 실내에 수도꼭지가 있고 손수레가 준비되어 있거나, 물을 담는 저수조에 소형 핸드 샤워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스로 조준하여 세척한다. 물을 사용하는 지역은 기온이 높은 곳이 많다.

중국의 변소('''측소''' 혹은 '''세수간'''이라고 한다)의 역사는 오래되어, 『설문해자』에도 '측(厠)'이 게재되어 있으며, 한진 왕조 시대의 화장실 토기도 출토되고 있다. 그러나, 근대화는 늦어져, 이것이 1978년의 개혁 개방으로 유입된 외국인에 의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외국인의 비판 기사는 중국에서 번역되어 소개되었고, 중국인의 의식을 바꾸었다. 이를 받아, 화장실 개량은 관광지에서 시작되었다. 1990년 아시아 경기 대회를 계기로 베이징에서 대폭적인 화장실 정비가 이루어졌지만, 매우 간소한 것이었다. 대변기 (대부분은 사각형 구멍이나 긴 홈만) 사이는 일단 칸막이판으로 막혀 있어도, 칸막이의 높이는 1m 정도인 경우가 많다. 문은 없는 경우가 많고, 있어도 칸막이의 높이 이하이다. 또한, 그 칸막이조차 존재하지 않는 완전 오픈형으로, 용변 중인 모습이 다른 이용자에게 훤히 보인다. 비슷한 것으로, 속칭 "니하오 화장실"이라고 불리는 칸막이 없는 공동 변소가 있다. 이는 공중 화장실로 오해되지만, 순수한 공중 화장실은 소수이고, 대부분은 자택에 변소를 갖지 못한 주민들이 공용하는 변소이다. 실제로 용변을 보면서 대화를 하는 데서 유래되었다. 대도시 지역에서는 다소 줄어들었지만, 지방 도시나 농촌 등에서는 아직도 많이 보이는 형식이다.[53][54]

그 후에도, 2004년 제4회 세계 화장실 회의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정비가 추진되었다[53]. 농촌 지역의 정비도 추진되어, 2013년 전국 농촌 위생 화장실 보급률은, 1993년의 7.5%에서 74.1%까지 상승했다[54]. 2015년에는 시진핑 정권이 "화장실 혁명"을 내걸고, 2017년 10월 말까지, 그 목표를 넘어선 6만 8000곳에서 화장실이 신설·개수되었다[55]. 그러나, 정비 후의 화장실이라도 가림막이 없는 재래식 변기 모양인 경우도 많지만, 이를 청소 시에 합리적이라는 의견도 있다[56]. 또한, 양변기가 정비되어 있어도, 휴지는 변기 옆의 쓰레기통에 버리는 것이 일반적이다[56].

"터키식"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터키에서 대변기는 일본식 변기와 마찬가지로 걸터앉는 방식이다. 단, 일본의 변기와는 달리, 소위 가림막이 없다. 또한, 일부 외국인용을 제외하고, 용변을 본 후의 항문 세척에는, 변소에 비치된 손잡이가 달린 소형 컵 모양의 용기에 담긴 물과 왼손을 사용하기 때문에, 변소지(화장지)의 설치는 없다. 또한, 변소 내에는 항문 세척 및 변기 세척에 사용할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전용 수도꼭지와 플라스틱제 등의 컵 모양 용기가 준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부분의 변소는 수세식이나, 일부 변소를 제외하고는 플러시나 탱크 등 수세 방식은 사용하지 않고, 항문을 세척하기 위한 컵 모양 용기에 물을 채워 변기 내에 흘려보내 변기 내의 변 등을 흘려보낸다. 이 때문에 배수구의 구멍이나 구멍 근처에 대변을 떨어뜨리지 않으면, 물로 흘려보내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변소지(화장지)를 흘려보낼 수는 없지만, 터키인의 대부분은 종이 등으로 물 세척 후의 엉덩이를 닦지 않는다. 이는 숙련되면 놀라울 정도로 적은 수량으로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이 때문에 개인실 내에 변소지(화장지) 등을 버리기 위한 쓰레기통의 설치가 없는 경우가 많다. 외국인 등이 변소지(화장지)로 항문을 닦은 경우에는 사용 후의 종이를 개인실 밖의 쓰레기통에 버리러 가야 한다.

항문을 손으로 세척하는 방법은 치질에 걸리기 어렵다고 한다. 이 방식은 인도에서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 항문을 씻는 왼손은 부정한 손으로 간주되어, 식품을 취급하거나, 악수를 하는 일은 없다. 외국인이 숙박하는 호텔의 객실 내 변소는 양변기인 경우가 많다.

터키인과 외국인 모두가 숙박하는 호텔은 객실 내 변소는 양변기이지만, 로비 등의 변소는 터키식도 병설하는 경우가 많다. 종이로 닦는 것보다 물로 세척하는 편이 청결하다고 생각하는 터키인 중에는, 객실의 변소는 전적으로 소변에만 사용하고, 대변은 로비 등의 터키식 변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남성용 소변기의 경우, 일본이나 서양의 것과 형태는 거의 다르지 않지만, 설치 위치가 매우 높은 경우가 많다. 키가 작은 사람은 기지개를 켜야 할 정도이며, 크기도 조금 작은 것이 많다. 일부 소변기는 어린이를 위해 낮은 위치에 설치되기도 한다. 이는, 높은 위치에 설치해두면, 이용자가 소변기에 접근하여 정확하게 용변을 보지 않으면, 자신의 옷을 더럽힐 우려가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소변기 주변으로의 소변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청소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터키에서는, 일반적으로 공중 변소는 유료이며, 2009년 현재 이스탄불에서의 공중 변소 사용 요금은 0.5 - 1터키 리라이다. 또한, 지역에 관계없이 자미(camii: 모스크)의 변소가 공중 변소로 유료로 사용 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멀리서도 잘 보이는 자미의 미나렛을 목표로 하면, 많은 경우 부속 공중 변소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변소에서는, 손을 닦기 위한 종이를 사용 후 무료로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맨손으로 항문을 세척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유료 변소의 거의 모든 손 씻는 곳에는 비누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서비스가 좋은 일부 변소에서는 콜로냐(kolonya: 터키식 코롱을 말한다. 레몬 향이 나는 것이 대부분이며, 약 80퍼센트의 알코올과 향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소독 효과가 있다.)를 손에 뿌려주는 경우도 있으며, 희망하는 경우에만 콜로냐를 제공해주는 변소도 있다. 터키식 변소는, 서유럽에서도, 시골 등의 변소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또한, 이집트, 요르단, 모로코 등 아랍 세계와, 태국 등 동남아시아의 변소도, 위의 터키의 변소와 거의 유사한 형태 및 상황이며, 거리의 공중 변소는 원칙적으로 유료이다. 외국인용 고급 호텔 내부의 변소는, 일본의 양변기와 거의 유사한 형태이지만, 일본과 같은 온수 세척 변좌는 고급 호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로마 제국 멸망 후, 인프라가 열악해진 중세 유럽의 도시에서는 방 안의 덧창처럼 확장된 구석에 가림막을 치고 요강을 사용했으며, 배설물은 "물! 조심해!"라고 외친 후 창밖으로 길에 버렸다. 이 때문에 골목길의 오물로 의상의 밑단이 더러워지지 않도록 오버슈즈나 하이힐이 발명되었으며, 길에서 건물 안으로 들어갈 때 단차를 두는 등의 관습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귀족의 저택,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 등에는 변소가 없어 광대한 정원의 화단 등이 용변을 보는 장소였다고 한다. 귀족 여성의 넓게 퍼지는 플레어 스커트는, 그대로 쪼그리고 앉아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않고 용변을 보기 위한 궁리이기도 했다고 한다. "잠깐 꽃을 따러"라는 여성의 용변을 보는 핑계(은어)는 여기서 유래했다.

이러한 불위생적인 사회적 인프라의 불행한 결과가 콜레라의 대유행이다. 이후 공중 보건학의 발전과 함께 이러한 실정은 점차 개선되었다.

유럽에서는 수많은 전란으로 인한 피해를 면한 지 2~3백 년 된 건물(더 오래된 것도 많다)이 현역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변소가 각 가정에 보급된 것은 불과 백 년 정도 전이므로, 오래된 건물의 변소는 계단 아래나 창고의 한구석 등 틈새에 설치되어 좁고 답답하게 느껴지는 곳도 많다.

남자 소변기는 바닥에 설치하는 형태는 거의 없고, 벽걸이형이 대다수이다. 대변기는 범죄 방지 관점에서 개인 화장실 문이 작고, 무릎 정도까지밖에 없어서 발은 완전히 밖에서 보인다. 세면대에는 거의 항상 종이 타월이 비치되어 있다. 반면에 핸드 드라이어는 기존에는 그다지 보급되지 않았고, 설치된 곳에서도 스스로 손으로 버튼(크기 때문에 팔꿈치로 누를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을 눌러 작동시키는 곳이 대부분이다. 대규모 화장실이나 공중 화장실에도 외부 출입구에 문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출입구 밖에는 냉수기가 설치된 곳이 매우 많다. 일본 이외의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온수 세정 변기는 고급 호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인도에 많은 신자를 둔 힌두교의 사상 중 하나는 배설물은 부정하며 주거지에서 멀리 떨어뜨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농촌 지역에는 화장실 자체가 없는 가정이 많으며, 2015년 유엔 아동 기금의 조사에 따르면, 약 13억 인구 중 5억 2,300만 명이 노상 배변을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58]。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2019년까지 약 1억 2,000만 가구에 화장실을 신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깨끗한 인도"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59]。이처럼 야외에서 배설된 분뇨가 하천과 우물 물을 오염시켜 영유아의 병사 등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60]

하수도 정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개발도상국에서는 도시 지역에서도 굴착식 변기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61]。슬럼 등 극심한 지역에서는 오물을 봉투에 담아 밖으로 던지는 '''플라잉 토일렛'''이 행해지고 있다. 어느 쪽이든 우기에는 오물이 넘쳐 위생 상태가 악화되는 문제에 직면한다[62][63]

6. 1. 일본의 화장실

일본에서는 '일본식(和式)'이라 불리는 쪼그려 앉는 변기가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서유럽에서 수입된 앉아서 용변을 보는 변기(양식)와 남성용 소변기가 일반화되었다. 물이 흐르는 수세식 변소와 흐르지 않는 낙하식 변소(보통 변소)로 나뉜다.

JIS 규격에 의해 변기의 크기가 정해져 있지만, 현재 일본인의 체격에 비해 작은 문제가 있다. 일본식 변기는 이미 JIS 규격에서 벗어났으며, 양식 변기는 길이가 짧아 큰 음경을 가진 남성이 사용하면 음경이 변기에 닿아 비위생적일 수 있다. 따라서, 현재는 표준 사이즈보다 4cm 정도 큰 에롱게이트 사이즈가 대부분이다. 일본식 변기 또한 길이가 짧아 성기가 가리개에 닿지 않도록 쪼그려 앉으면 똥이 변기 뒤쪽이나 가장자리에 떨어질 수 있다.

언어 사회학자 스즈키 타카오는 일본인이 한 가지 일을 할 때 시간이 다층적이며, 감각도 다층적이라고 지적하며, 화장실에 꽃을 장식하는 발상은 일본뿐이라고 언급했다.

7. 특수 화장실

고산 지대에서는 물리적으로 오물 처리가 곤란하여 과거에는 오물을 그대로 방류하는 일이 많았다. 이로 인해 악취 발생, 화장지로 인한 미관 훼손, 지하수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후지산이 자연 유산으로 세계 유산에 등재되지 못한 것도 이 문제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노상 방뇨도 심각한 문제였다. 2000년부터 후지산 화장실 개선 대책이 시작되어, 바이오 화장실 설치, 공중 화장실 개량 등을 통해 2006년에는 모든 곳에서 새로운 화장실로 개선되었다.

항공기의 변소는 과거에는 오물을 공중 살포하거나 오물 저장 탱크를 갖춘 형태였다. 현대에는 물을 재순환하는 시스템을 사용했지만, 물 절약을 위해 비행기 내외부 기압차를 이용해 오물을 흡입하는 진공 흡입식 변기를 사용한다. 열차에서도 신형 차량은 진공 흡입식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열차 화장실은 신칸센 등을 제외하고 오랫동안 오물을 선로에 떨어뜨리는 방식이었으나, 비산 문제로 인해 1990년대부터 저장식으로 개조되거나 신차로 교체되어 2000년대 이후에는 거의 사라졌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차량 기지에서의 오물 처리 문제 등으로 인해 차내 화장실 설치 자체가 없어지는 노선이 발생하여 문제가 되었다. 최근에는 다시 화장실을 설치하는 추세이다.

버스 차량 내 화장실은 처음부터 저류식이 채용되었다. 일본에서는 1964년 메이신 하이웨이 버스에 사용된 국철 버스 차량에 처음 설치된 이후, 야간 고속 버스를 중심으로 설치가 확대되었다. 최근에는 파우더룸이 포함된 넓은 화장실을 갖춘 차량도 등장하고 있다.[65] WILLER EXPRESS처럼 화장실 설치에 소극적인 사업자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화장실이 있는 차량을 도입하는 추세이다.

휴대용 변소는 특수 가공된 봉투에 배설물 응고제를 섞어 쓰레기로 폐기하는 방식이다. 주로 자동차 이용 중 교통 체증 등에서 소변에 사용되며, 등산, 아웃도어용 및 비상시용은 대변에도 이용할 수 있다.

7. 1. 우주 화장실



우주왕복선의 화장실은 배설물을 흡입하고 진공 상태에서 건조시키는 방식이다.[66] 소변은 청소기 호스와 같은 관으로 흡입하며, 대변은 변기에 앉아 레버 조작으로 중앙 흡입구에서 흡입한다.

국제 우주 정거장 (ISS)의 화장실은 소변을 흡입하여 오수 탱크에 저장한다.[67] 가득 차면 보급선으로 옮기거나 (러시아 구획), 물 재생 시스템으로 식수 등으로 재처리한다 (미국 구획). 대변은 변기에 흡착 팩을 설치하고, 변이 회수되면 자동으로 팩의 고무가 닫히며, 그 후 사용된 팩을 고형 배설물 탱크에 저장한다 (탱크는 일주일에 한 번 보급선으로 운반한다).

7. 2. 재해용 화장실

재해 발생 시에는 위생적인 화장실 사용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가설 변소, 휴대용 변소, 맨홀 변기 등 다양한 형태의 재해용 화장실이 활용된다.[70]

최근에는 휴대용 변소가 상품화되어 자동차 이용 중 교통 체증 등에서 주로 소변에 사용된다. 등산, 아웃도어용 및 비상시용은 대변에도 이용할 수 있다.

피난소 등에서 변소 사용에 지장이 있으면, 재해자는 수분 섭취를 자제하여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설 변소나 휴대용 변소를 비축하거나, 하수도 맨홀 뚜껑을 열고 그 위에 설치하는 맨홀 변기를 설치하기도 한다.[70]

하수도 관로에 오물을 직접 배출하는 경우, 관로 폐쇄를 막기 위해 정상적인 유하를 고려해야 한다. 피난소 학교의 수영장 물을 활용하여 오물을 효과적으로 유하시키는 설비를 마련하는 예가 있다.[69]

8. 사회 문화

영어에서 화장실에 대한 모든 용어는 원래 완곡어법이었다.[3] "shitter"와 같은 직접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 심지어 불쾌한 것으로 여겨지지만,[37] 일부 지역에서는 사용된다. 이전에는 방송 검열로 인해 완곡어법에 대한 언급조차 금지되었다. 잭 파는 1960년 2월 NBC가 "WC"라는 용어가 포함된 자신이 녹화한 농담 대신 뉴스 영상을 방송하자 잠시 Tonight Show에서 하차했다.

기본적으로 화장실 청소는 불쾌한 의무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일본에서는 화장실 청소를 매일 하면 금전운이 상승한다는 미신도 있다.

8. 1. 젠더 중립 화장실 (선택 사항)

스웨덴에서는 젠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2010년 무렵부터 공공시설 화장실을 남녀 공용 개인실로 일원화하는 개조가 진행되고 있다. 스웨덴은 각국의 성 격차 지수 조사에서 항상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성 소수자 인권 보호와 성 평등 실현을 위해 젠더 중립 화장실 설치가 논의되고 있으며, 이는 성별 구분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을 의미한다.

9. 같이 보기

일본의 화장실,화장실 기호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 Half Bath? The Mystery Behind Fractional Bathrooms, Solved https://www.homeligh[...] HomeLight 2020-03-12
[2]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3] 서적 Historical Linguistics: An Introduction, ''2nd ed.'' MIT Press 2006
[4] 서적 Stack Exchange 2010-12-09
[5]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6]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7]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8]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9] 서적 American English: An Introduction Broadview 2000
[10]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2]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3]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4]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5]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6] 서적 Discovering Abbeys and Priories Shire 2004
[17] 서적 Medieval Monasteries https://books.google[...] Leicester University Press 1992
[18] 서적 Firearms: A Global History to 1700
[19] 서적 The English Terraced Hous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2
[20] 인용
[21] 인용
[22] 서적 The New York Times 1992-01-03
[23] 서적 Das englische Haus: Entwicklung, Bedingungen, Anlage, Aufbau, Einrichtung und Innenraum, ''Vol. II'' Wasmuth 1904
[24] 서적 The English House Granada
[25] 서적 The Edwardian House: The Middle-Class Home in Britain, 1880-1914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3
[26] 서적 Semi-Detached London: Suburban Development, Life and Transport, 1900–39 https://archive.org/[...] Allen & Unwin 1973
[27] 웹사이트 The Architects: Edward W Godwin http://www.bedfordpa[...] 2016-11-02
[28] 서적 Houses: The Illustrated Guide to Construction, Design, and Systems, ''3rd ed.'' Real Estate Education Co. 1998
[29] 서적 Derniers Domiciles Connus: Enquête sur les Nouveaux Logements, 1970–1990 Créaphis 1990
[30] 서적 Culture Shock!: France, ''2nd ed.'' https://books.google[...] Graphic Arts Center 2003
[31] 서적 Doing Business With the Japanese: A Guide to Successful Communication, Management and Diplomac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
[32] 서적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Japanese Culture Routledge 2002
[33] 서적 An Uncommon History of Common Things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9
[34] 서적 Where Stuff Comes From: How Toasters, Toilets, Cars, Computers, and Many Other Things Come to Be As They Are Routledge 2003
[35] 서적 In the Know in Japan: The Indispensable Cross-cultural Guide to Working and Living in Japan Terra Cognita 2003
[36] 서적 Japanese Beyond Words: How to Walk and Talk Like a Native Speaker Stone Bridge 2000
[37]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38] 문서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大項目事典。「便所」
[39] 문서 直接の意味は「洗う場所」。語源はラテン語の動詞「lavare 洗う」から派生した「lavatorium 洗うための場所」。そのままの意味で[[中英語|中期英語]]にlavatoryとして導入され、そのまま文字通りの意味で使われていたのだが、19世紀になって便所を指すために用いられるようになった。21世期になっても継続して人類はトイレを使用している。 https://www.lexico.c[...]
[40] PDF 山海敏弘「建築物における節水化技術の効用」 https://www.env.go.j[...] 환경성
[41] 문서 世界大百科事典 第二版
[42] PDF 高橋邦夫、酒井 彰、保坂公人、高村 哲「6.エコサン・トイレの便益評価への方向性 バングラデシュ農村地域におけるエコサン・トイレの導入効果と便益評価」 http://www.jca.apc.o[...] JCA-NET
[43] 서적 完全図解 空調・給排水衛生設備の基礎知識早わかり 2014
[44] 서적 完全図解 空調・給排水衛生設備の基礎知識早わかり 2014
[45] 서적 完全図解 空調・給排水衛生設備の基礎知識早わかり 2014
[46] 웹사이트 女の人も立っておしっこ?男女兼用の小便器“サニスタンド” http://www.toto.co.j[...]
[47] PDF 浄化槽読本 変化する時代の生活排水処理の切り札 https://www.jeces.or[...] 日本環境整備教育センター
[48] PDF 途上国のトイレ・環境改善支援事例集第2集 https://jica-net-lib[...] JICA-Net
[49] PDF 途上国のトイレ・環境改善支援事例集第2集 https://openjicarepo[...] JICA-Net
[50] PDF ベトナム国浄化槽維持・管理技術の導入による生活排水処理水準の向上に向けた案件化調査業務完了報告書 http://open_jicarepo[...] 独立行政法人国際協力機構
[51] 웹사이트 油脂の塊「ファットバーグ」がロンドンの下水管をつまらせる https://www.gizmodo.[...] GIZMODO 2021-05-02
[52] 서적 世界のしゃがみ方 平凡社新書 2015
[53] 웹사이트 第1回 中国の「トイレ革命」《アジアトイレ紀行》(山田 七絵) https://www.ide.go.j[...] 2024-12-08
[54] 간행물 百年の不体裁 ―現代中国のトイレ革命 https://www.jstage.j[...]
[55] 웹사이트 猛スピードで進む中国トイレ革命「1年後は日本よりきれい!?」 https://wedge.ismedi[...] 2024-12-08
[56] 웹사이트 第10回 中国──トイレから見える中国人の合理性《アジアトイレ紀行》(内藤 寛子) https://www.ide.go.j[...] 2024-12-08
[57] 웹사이트 スウェーデン、ストックホルム ── 男女共用を可能にする国民性 https://www.biz-lixi[...] LIXIL 2021-07-20
[58] 뉴스 女性に危険が迫る「インドのトイレ事情」 https://www.huffingt[...] ハフィントンポスト 2021-10-12
[59] 뉴스 「家から離せ」ヒンドゥーの教え トイレが遠いインド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7-11-27
[60] 뉴스 【特派員発】インド・ガダワリ村 森浩/7%経済成長の裏 5億人が屋外排泄/トイレ設置進むも ヒンズー教壁高く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07-06
[61] 웹사이트 トイレ先進国・日本 23億の“トイレ難民”救え!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8-12-29
[62] 웹사이트 途上国が抱えるトイレ不足・非衛生的トイレという問題~ハード面からの解決案~ http://seize-stone.c[...] ATONE 2018-12-29
[63] 웹사이트 劣悪トイレ事情の改善に挑む ケニアで進めるリクシルの“水なしトイレ”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8-12-29
[64] 간행물 京都交通 長距離路線バスのトイレ付車両を増備 ぽると出版
[65] 웹사이트 変わる高速バストイレ事情 「なし車」から「付き車」への動き 着替えられる広いトイレ https://trafficnews.[...] メディア・ヴァーグ 2022-04-09
[66] 웹사이트 宇宙情報センター / SPACE INFORMATION CENTER :トイレ https://web.archive.[...] JAXA 2020-07-02
[67] 웹사이트 宇宙ではどうやってお風呂やトイレに入るのですか? https://fanfun.jaxa.[...] JAXA 2020-07-02
[68] 웹사이트 日本語大切に!便所→トイレの呼称変更に荒川区議会紛糾?(アーカイブ) - zakzak記事 https://web.archive.[...] 2018-05-20
[69] 웹사이트 神戸市:神戸市 : 震災資料室 災害時の便所機能の確保 http://www.city.kobe[...]
[70] 웹사이트 災害トイレ情報ネットワーク NPO法人日本トイレ研究所 Japan Toilet Labo. http://www.toilet.or[...]
[71] 웹사이트 Bathing Area, Mohenjo-daro, Sindh http://www.harappa.c[...]
[72] 웹인용 Toilet Museum https://web.archive.[...] 2008-04-24
[73] 웹인용 Tampereen yliopiston sähköiset julkaisut https://web.archive.[...] 2008-04-24
[74] 웹인용 Who invented the toilet https://web.archive.[...] 2008-04-24
[75] 웹인용 A History of the flush toilet https://web.archive.[...] 2008-04-24
[76] 서적 Poop Culture: How America is Shaped by its Grossest National Product by Dave Praeger https://www.amazon.c[...]
[77] 뉴스 Nearly two-thirds of Africans have no toilets - CNN.com http://edition.cnn.c[...]
[78] 웹사이트 http://mnews.imaeil.[...]
[79] 웹사이트 https://www.khan.co.[...]
[80] 서적 『한 번쯤, 파리지앵처럼』
[81] 웹인용 사라져가는 풍물, 풍습들-요강 https://web.archive.[...] 2009-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