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빈 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빈 박씨는 조선 숙종의 후궁으로, 원래 상궁이었다가 숙종의 승은을 입었다. 1698년 숙원, 1702년에는 정1품 빈의 자리에 올라 명빈이 되었으며, 연령군을 낳았다. 1703년에 사망하여 금천에 예장되었고, 아들 연령군은 어머니 곁에 묻히기를 원하여 묘소가 이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03년 사망 - 박세당
    박세당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소론 계열에서 활동하며 주자학 비판과 독자적인 학문적 견해를 제시했고, 농업 기술 서적 《색경》을 저술했으며 사후 문정 시호를 받았다.
  • 1703년 사망 - 오이시 요시오
    오이시 요시오는 아사노 나가노리를 섬기다 아코 번이 폐지되자 46명의 로닌과 함께 키라 요시나카를 공격하여 살해하고 할복한 인물이며, 일본에서 이상적인 사무라이의 본보기로 여겨진다.
  • 조선 숙종 - 경신환국
    경신환국은 1680년 숙종 때 서인이 유악 사건과 삼복의 변을 계기로 남인을 몰아내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서인이 요직을 차지하며 조선 정계가 서인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 조선 숙종 - 심재
    심재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좌의정 심희수의 후손이며, 문과 급제 후 여러 요직을 거쳐 경기도 관찰사, 이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했으나 갑술환국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 조선의 후궁 - 숙의 나씨 (중종)
    조선 중종의 후궁인 숙의 나씨는 나주 나씨로,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26세에 출산 중 사망하여 경빈 박씨와의 관계 속에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그녀의 묘는 이천시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조선의 후궁 - 숙의 방씨
    숙의 방씨는 철종의 후궁으로 두 딸을 낳았으나 모두 요절하였고, 사후 조귀인의 예에 따라 장례를 치렀으며 묘는 서삼릉 후궁 묘역으로 이장, 해당 묘역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드라마에서 묘사되기도 했다.
명빈 박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조선 숙종의 후궁
별칭숙원 박씨 (Suk-won Bak-ssi)
숙의 박씨 (Sug-ui Bak-ssi)
귀인 박씨 (Gwi-in Bak-ssi)
배우자숙종
자녀1남 : 연령군
출생일미상
사망일1703년 음력 7월 15일
능묘명빈 박씨묘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옥계리
부친박효건
모친미상

2. 생애

명빈 박씨는 원래 상궁이었다가 숙종의 승은을 입었다.[2] 승은을 입은 지 10여 년이 지난 1698년(숙종 24년) 11월 4일에 회임을 한 공으로 내명부 종4품 숙원에 책봉되어 후궁이 되었다.[2] 1699년(숙종 25년)에는 연령군 훤을 출산하고, 단종의 복위를 기념하여 종2품 숙의로 진봉되었다.[3]

1701년(숙종 27년) 음력 3월 23일[4] 귀인에 올랐다가 1702년(숙종 28년) 음력 10월 18일 인원왕후의 왕비 책봉을 기념하여 정1품 빈의 자리에 올라 명빈(䄙嬪, 嫇嬪[5])이 되었다.

1703년(숙종 29년) 음력 7월 15일에 사망하여[6] 음력 9월 17일 금천에 내명부 정1품의 예우로 예장되었다.[7][8][9] 명빈 박씨가 사망하고 장사를 지내기 전에, 그녀의 일가 친척인 박동지가 관아에서 보낸 관을 짤 목재가 구차함을 호소하니, 숙종이 해당 관원 및 아전까지 모두 체포하여 추문·나문토록 하고 기한 내[10]에 관판을 구하지 못하면 사대부가에서 관판을 찾아내라는 명을 내렸다.[11]

그녀의 장례를 앞둔 음력 9월 3일, 숙종은 명빈의 초상에 제사를 주관할 사람이 없고 방제[12]에 아명을 넣을 수 없다는 이유로 6~7세에 왕자를 봉작하는 관례를 깨고 5세인 그녀의 외아들을 왕자군으로 책봉하여 연령군으로 삼고 헌(또는 훤, 昍)의 명호를 주었다[13]

2. 1. 출생과 입궁

2. 2. 후궁 책봉과 연령군 출산

2. 3. 사망과 장례

2. 4. 사후

처음에는 경기도 금천현 번당리(衿川縣 樊塘里; 현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에 안장되었다. 1720년 그의 아들 연령군은 죽으면서, 자신이 어려서 어머니가 돌아가 얼굴조차 제대로 기억 못하는 것을 슬퍼하며 어머니의 곁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겨 그의 묘소 근처에 묻혔다. 1935년 경성부 구획정리 때 경성부 대방정에서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구 가야사터 근처에 아들 연령군의 묘소와 함께 이장되었다. 가야사터는 연령군의 양증손 남연군 묘소가 있는 곳이다.

남연군 묘 근처 옥계저수지변으로 이장되었으며, 묘소는 부인, 아들 연령군과 며느리 상산군부인 김씨의 합장묘 왼쪽에 있다. 명빈박씨의 묘소 왼쪽 아래편에는 양고손자인 남연군 이구의 장남 흥녕군 이창응의 묘소가 있다.

3. 가족 관계

3. 1. 남편: 숙종

3. 2. 아들: 연령군

4. 평가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4. 3. 중도진보적 관점에서의 평가

참조

[1] 웹인용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한국학중앙연구원 <명빈 박씨> https://web.archive.[...] 2011-04-25
[2] 웹사이트 숙종실록 32권, 숙종 24년 11월 4일 을해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숙종실록 33권, 숙종 25년 10월 23일 정해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간행물 승정원일기 숙종 27년 3월 23일 (경술) 원본396책/탈초본21책 (16/19)
[5] 문서 명빈의 빈호는 䄙嬪이나, [[승정원일기]]에는 䄙嬪, 嫇嬪 두 가지로 기록되어 있다.
[6]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숙종 29년 7월 15일(기미) 1번째기사
[7] 간행물 승정원일기 숙종 29년 8월 24일 (정유) 원본414책/탈초본22책 (3/23)
[8] 간행물 승정원일기 숙종 29년 8월 24일 (정유) 원본414책/탈초본22책 (3/23)
[9] 간행물 승정원일기 숙종 29년 9월 17일 (경신) 원본414책/탈초본22책 (10/29)
[10] 문서 예장 기한을 말한다. [[조선]]의 정1품 후궁의 예장은 3월장으로 50일 내에 치러져야 하는데 이는 50일을 넘긴 3월장이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장례([[영조]]시대부터 세자의 사친도 추가됨)이기 때문이다.
[11]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숙종 29년 7월 15일(기미) 1번째기사
[12] 문서 신주 아래의 왼쪽에 쓴 제사를 받드는 사람의 이름.
[13]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숙종 29년 9월 3일(병오) 3번째기사
[14] 웹사이트 숙종실록 64권, 숙종 45년 10월 2일 신축 2번째기사"연령군 이훤의 졸기" http://sillok.histor[...]
[15]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영조 6권, 1년(1725 을사 / 청 옹정(雍正) 3년) 5월 7일(갑진) 1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