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서리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서리해는 경제학 및 수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최적화 문제에서 해가 경계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경제학에서는 소비자가 예산 제약 하에서 특정 상품만 소비하고 다른 상품은 전혀 소비하지 않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를, 수학에서는 함수의 극값이 허용된 영역의 경계에서 나타나는 경우를 지칭한다. 소비자 이론에서는 효용 극대화 문제에서 한 재화의 소비량이 0일 때 효용이 극대화되는 상황을 모서리해라고 부르며, 완전 대체재의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효용 - 효용 극대화
    효용 극대화는 소비자가 제한된 예산으로 상품 구매를 통해 얻는 만족을 최대로 하려는 경제 행위이며, 한계효용균등의 법칙에 따라 지출 배분을 결정하고 생산자의 이윤 극대화에도 적용된다.
  • 효용 - 선호 (경제학)
    선호는 경제 주체의 선택 대안에 대한 주관적 순서 관계를 의미하며, 현시선호이론, 효용 함수 등을 통해 수학적으로 표현되고, 합리적인 선호는 효용 극대화를 통해 경제 주체의 행동을 설명한다.
  • 미시경제학 - 기회비용
    기회비용은 경제학적 개념으로, 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들 중 가장 가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경제 주체의 모든 선택에 내재된 비용을 찾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미시경제학 -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는 3개 이상의 선택지에서 약한 파레토, 무관한 대안으로부터의 독립성, 비독재성을 모두 만족하는 사회 후생 함수는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한 정리이다.
  • 소비자 이론 - 수요와 공급
    수요와 공급은 시장에서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과 거래량을 결정하는 경제학의 기본 원리이며,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량과 공급량이 변동하고,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시장 균형이 이루어진다.
  • 소비자 이론 - 예산 제약
    예산 제약은 소비자의 소득과 상품 가격에 의해 결정되며, 소비자가 구매 가능한 상품 조합을 제한하고, 효용 극대화를 위해 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이 접하는 점에서 소비를 선택하게 한다.
모서리해
개요
분야수리경제학
하위 분야미시경제학
유형경제 모델
관련 항목볼록 선호
정의
설명경제학에서, 모서리 해(corner solution)는 소비자가 예산 제약에도 불구하고 특정 상품을 전혀 소비하지 않는 경우 발생한다.
예시예산선이 무차별 곡선과 접하지 않고, 소비자가 가능한 모든 예산을 한 상품에만 소비하는 경우

2. 경제학에서의 모서리해

경제학에서 '''모서리해'''는 최고 무차별 곡선예산선에 접하지 않고, 소비자가 전체 예산을 하나의 상품을 최대한 구매하는 데 사용하고 다른 상품은 전혀 구매하지 않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2]

무차별 곡선의 기울기가 예산선의 기울기보다 클 때, 소비자는 시장에서 요구하는 것보다 더 많은 재화 1을 포기하고 재화 2를 얻으려 한다. 따라서 무차별 곡선의 기울기가 예산선의 기울기보다 엄격하게 클 경우, 결과는 x축과 교차하는 모서리해가 된다.[3] y축을 통한 절편에서 발생하는 모서리해에도 이와 반대되는 내용이 적용된다.[3]

;모서리해의 발생 조건

모서리해는 무차별 곡선의 기울기가 예산선의 기울기보다 크거나 작을 때 발생한다. 즉, 소비자가 시장 가격 비율보다 특정 상품을 더 선호하거나 덜 선호할 때 나타난다.

;현실에서의 예시

현실 세계에서 모서리해의 예시는 "어떤 가격에도 그걸 사지 않겠어", "Y가 더 싼데 왜 X를 사겠어?" 또는 "비용에 상관없이 X를 할 거야"와 같은 경우이다.[4] 이는 나쁜 브랜드 경험, 특정 브랜드에 대한 강한 충성심, 또는 동일한 제품의 더 저렴한 버전이 존재할 때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4]

"무관용" 정책 또한 모서리해의 예시이다. 예를 들어, 아무리 작더라도 아이들을 어떤 위험에도 노출시키려 하지 않는 부모의 경우, 활동의 혜택이 무엇이든 상관없다. "내 아이의 안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는 모서리해로, 잠재적인 상충 관계를 인정하지 않는다.[4]

두 상품이 완전 대체재일 때도 모서리해가 발생할 수 있다.[5] "모서리"라는 단어는 최대화 문제를 그래프로 나타낼 경우 최적의 지점이 예산 제약과 한 축으로 만들어진 "모서리"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4]

2. 1. 모서리해의 발생 조건

모서리해는 무차별 곡선의 기울기가 예산선의 기울기보다 크거나 작을 때 발생한다. 즉, 소비자가 시장 가격 비율보다 특정 상품을 더 선호하거나 덜 선호할 때 나타난다.

2. 2. 현실에서의 예시

현실 세계에서 모서리해의 예시는 "어떤 가격에도 그걸 사지 않겠어", "Y가 더 싼데 왜 X를 사겠어?" 또는 "비용에 상관없이 X를 할 거야"와 같은 경우이다.[4] 이는 나쁜 브랜드 경험, 특정 브랜드에 대한 강한 충성심, 또는 동일한 제품의 더 저렴한 버전이 존재할 때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4]

"무관용" 정책 또한 모서리해의 예시이다. 예를 들어, 아무리 작더라도 아이들을 어떤 위험에도 노출시키려 하지 않는 부모의 경우, 활동의 혜택이 무엇이든 상관없다. "내 아이의 안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는 모서리해로, 잠재적인 상충 관계를 인정하지 않는다.[4]

두 상품이 완전 대체재일 때도 모서리해가 발생할 수 있다.[5] "모서리"라는 단어는 최대화 문제를 그래프로 나타낼 경우 최적의 지점이 예산 제약과 한 축으로 만들어진 "모서리"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4]

3. 수학에서의 모서리해

수학에서 모서리해는 최적화 문제에서 함수의 극값이 허용된 영역 내부가 아닌 경계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해는 수학적 우아함이 부족하며, 대부분 실제 극값을 허용된 값 밖으로 밀어내는 외부 강제 조건(예: "변수 ''x''와 ''y''는 음수가 될 수 없다")으로 특징지어진다.

다른 기술적인 표현으로, 모서리해는 비-모서리해가 불가능한, 즉, 영역에 없는 최소화 또는 최대화 문제의 해이다. 대신, 해는 ''x'' 또는 ''y''가 0과 같은 축의 모서리해이다. 예를 들어, 경제학에서 두 재화의 최대 효용이 재화 ''x''와 ''y''의 수량이 (−2, 5)일 때 달성되고, 효용이 ''x''와 ''y''가 0보다 크거나 같다는 제약 조건에 종속된다면(음수의 재화를 소비할 수 없음) 흔한 경우처럼, 문제의 실제 해는 ''x'' = 0인 모서리해가 될 것이다.

3. 1. 모서리해의 특징

3. 2. 수학적 풀이

라그랑주 승수법을 x ≥ 0 및 y ≥ 0의 비음수 제약 조건과 함께 적용하여 모서리 해를 수학적으로 구할 수 있다.[6] 효용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무차별 곡선을 이동시켜 그래프로 모서리 해를 찾을 수 있는데, 무차별 곡선과 예산선 사이에 접점이 생기면 모서리 해가 아닌 내부 해를 갖게 된다. 도메인 내에서 접점을 찾을 수 없다면, 주어진 예산 제약 조건에 대한 효용 극대화 무차별 곡선은 x축 또는 y축과의 교차점에 위치하게 된다(무차별 곡선의 기울기가 예산 제약 조건의 기울기보다 엄격하게 크거나 작은지에 따라 달라짐). 이것이 모서리 해이다.[3]

4. 소비자 이론에서의 모서리해

소비자 이론에서 효용 극대화 문제는 예산 제약 조건 하에서 발생한다. 이때, 한 재화의 소비량이 0인 상태에서 효용이 극대화되는 경우를 모서리해라고 한다. 즉, 소비자는 예산 제약 조건하에서 두 재화 중 한 재화만 소비하고 다른 재화는 전혀 소비하지 않는 선택을 할 수 있다.

더 일반적인 경우는 목적 함수와 제약 조건 사이의 접점에서, 두 재화 모두 양의 값을 갖는 소비 지점에서 효용이 극대화되는 경우이다. 소비자 이론에서 목적 함수는 소비자의 무차별 곡선 (효용 함수)이고, 예산선은 제약 조건이다. 일반적인 경우, 효용은 두 재화 모두를 양의 수량으로 소비하는 예산 제약 조건에서 최대화된다. 그러나 모서리 해의 경우, 효용은 예산 제약 조건이 한 재화에 모든 소득을 사용하고 다른 재화의 소비가 0인 상태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달성 가능한 무차별 곡선과 교차하는 한 축의 점에서 최대화된다.

어떤 재화의 초기 소비량이 0일 때, 그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수요량이 증가하지 않고 여전히 0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모서리해(corner solution)라고 부른다. 두 상품이 완전 대체재인 경우에도 모서리해가 발생할 수 있다.

4. 1. 모서리해와 수요 변화

어떤 재화의 초기 소비량이 0일 때, 그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수요량이 증가하지 않고 여전히 0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모서리해(corner solution)라고 부른다.

4. 2. 완전 대체재와 모서리해

두 상품이 완전 대체재인 경우에도 모서리해가 발생할 수 있다.

5. 한국 사회에서의 모서리해

참조

[1] 웹사이트 Illustration of corner solution https://www.research[...]
[2] 웹사이트 Consumer Theory https://www.ed.ac.uk[...] 2015-08
[3] Youtube Econ - Corner Solutions https://www.youtube.[...] 2021-04-25
[4] 웹사이트 What does CORNER SOLUTION mean? https://www.definiti[...] 2021-04-25
[5] 웹사이트 Solving the Consumer's Problem http://www.columbia.[...] 2016
[6] 웹사이트 Utility Maximization https://ocw.mit.edu/[...]
[7] 서적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