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히칸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히칸족은 "늑대"를 의미하는 '마히간'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린 북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이다. 과거에는 현재의 미국 뉴욕주 일대에 거주했으며, 모히칸 헤어스타일로 알려진 독특한 머리 모양을 하기도 했다. 모계 사회였으며, 왐파노아그 족, 델라웨어 족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으나, 모호크족과는 적대적인 관계였다. 17세기 초 네덜란드인과의 접촉 이후, 모호크족과의 갈등과 유럽에서 유입된 질병으로 인해 영토를 잃고 쫓겨나, 현재는 위스콘신주에서 먼시 델라웨어 족과 함께 스톡브리지-문시 커뮤니티를 이루어 살아가고 있다. 소설 '마지막 모히칸'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사추세츠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내러갠셋족
    내러갠셋족은 "작은 곶과 만의 사람들"이라는 의미를 지닌 뉴잉글랜드의 주요 부족 중 하나로, 로드아일랜드와 주변 지역을 지배했으나 유럽인과의 접촉 후 현재는 보호 구역에 정착하여 부족 인구를 유지하며 언어 부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매사추세츠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매사추세츠족
    매사추세츠족은 미국 매사추세츠주 동부, 특히 매사추세츠 만 남쪽에 거주했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으로, "큰 언덕에서"라는 의미의 고유어에서 유래했으며, 유럽인 접촉 후 인구 감소와 사회 구조 붕괴를 겪었지만 현재에도 후손들이 공동체를 이루며 언어와 문화 복원 노력을 하고 있다.
  • 뉴욕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레나페족
    레나페족은 "진정한 사람"을 의미하는 알곤킨 어족의 북미 원주민 부족으로, 과거 미국 동부 지역에 거주하며 느슨한 연합체를 이루었으나, 유럽 식민화 과정에서 서쪽으로 이주하여 현재는 미국과 캐나다에 흩어져 살며 모계 사회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 뉴욕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오논다가족
    오논다가족은 호데노쇼니 연맹의 일원이며, 뉴욕주에 보호구역을 두고 모계 사회를 이루며 늑대, 거북이 등 9개의 씨족으로 구성되어 전통과 관습을 중시하고, 조상 땅에 대한 권리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 위스콘신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사우크족
    사우크족은 스스로를 '타키와키'라 칭하는 알곤킨어족의 북미 원주민 부족으로, 여러 지역으로 이주 후 블랙 호크 전쟁에서 패배하여 일부는 강제 이주되었으며 현재는 여러 네이션과 부족으로 나뉘어 존재한다.
  • 위스콘신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레나페족
    레나페족은 "진정한 사람"을 의미하는 알곤킨 어족의 북미 원주민 부족으로, 과거 미국 동부 지역에 거주하며 느슨한 연합체를 이루었으나, 유럽 식민화 과정에서 서쪽으로 이주하여 현재는 미국과 캐나다에 흩어져 살며 모계 사회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모히칸족
부족 정보
모히칸족의 역사적 영토
모히칸족의 역사적 영토
명칭모히칸족
자칭무흐헤쿤네우
언어영어(과거에는 모히칸어)
종교모라비안 교회
관련 부족레나페족, 문시족, 아베나키족
인구
추정 인구약 3,000명
거주지
주요 거주 지역미국(샤와노 군, 위스콘신 주)
기타 정보
과거 영토 규모약 22,000 에이커 (약 89 제곱킬로미터)
프랑스어 명칭루프 (늑대)
기타 명칭무흐헤카네우, 무흐헤칸, 마히카누크
인터넷 용어모히칸족 (인터넷 용어)

2. 어원

본래 ‘마히칸’이라고 불렸으며, ‘늑대’를 뜻하는 ‘마힌간(Mahiingan)’에서 유래했다. 이들은 알곤킨 어족 계열의 피쿼트족에서 독립하여 스스로를 ‘Muheconneok’(허드슨강의 그들의 이름)라고 불렀다.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의 소설 《모히칸족의 최후》에서 ‘마히칸 족’을 ‘모히칸 족’으로 칭하면서 ‘모히칸 족’이라는 명칭이 더 널리 알려졌으나, 이들은 여전히 스스로를 ‘마히칸’이라 부른다. 모히칸족의 언어는 피쿼트족 언어와 가까웠다.

3. 특징

모히칸 헤어스타일 또는 모호크족에서 유래된 모호크 헤어스타일(모호크족도 이 헤어스타일을 하고 있었다.)로 유명하다. 머리의 좌우를 깎거나 삭발하고 중간 부분의 머리만 남기는 독특한 헤어스타일로 알려져 있지만, 이 머리 모양은 주로 전사만 했다. 그러나 전사가 전투에 참가할 때, 이 헤어스타일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 많은 모히칸족이 머리에 문신을 했다.[1]

4. 문화

모히칸족 마을은 씨족 원로들로 구성된 평의회의 자문을 받는 세습 사켐이 다스렸다. 이들은 모계 사회였으며, 재산과 상속(세습 관직 포함)은 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모라비안 선교사 존 헤케웰더와 초기 인류학자 루이스 H. 모건은 모히칸족 정보원으로부터 그들의 모계 사회가 세 개의 프라트리(터키, 거북이, 늑대)로 나뉘었다는 것을 배웠다. 이들은 베어 씨족을 포함하여 씨족 또는 하위 씨족으로 나뉘었다. 이 발견은 조약 및 토지 증서에 대한 모히칸족의 서명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

사켐들의 일반 평의회는 전체 연맹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을 결정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스코닥(현재의 올버니 동쪽)에서 만났다.[4] 에드워드 매닝 루텐버는 허드슨강의 인디언 역사에서 모히칸족의 씨족을 곰, 터키, 거북이, 늑대로 묘사했다. 각 씨족은 사람들의 삶에서 역할을 했으며, 늑대는 이로쿼이 5개국 중 가장 동쪽에 위치한 모호크족에 대항하여 북쪽에서 전사 역할을 했다.

남쪽에 있는 문시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모히칸족 마을은 분산된 정착 패턴을 따랐으며, 각 공동체는 단일 혈통 또는 씨족이 지배했을 가능성이 높다. 마을은 일반적으로 작고 중간 크기의 소규모 장막의 집합으로 구성되었으며, 범람원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전쟁 중에는 방어적인 위치(능선 등)에 퇴각 장소로 요새를 건설했다. 그들의 옥수수밭은 공동체 근처에 있었고, 여성들은 또한 동부 농업 복합체에서 다양한 호박, 콩, 해바라기 및 기타 작물을 재배했다. 원예와 견과류(히코리, 버터넛, 검은 호두, 도토리), 과일(블루베리, 라즈베리, 6월 열매 등), 뿌리(땅콩, 나무 백합, 화살뿌리 등)의 수집과 가공은 그들의 식단의 많은 부분을 제공했다. 이것은 남성들이 사냥하는 사냥감(타코닉스에서 칠면조, 사슴, 엘크, 곰, 무스)과 낚시(철갑상어, 알레와이프, 섀드, 장어, 칠성장어, 줄무늬 농어)로 보충되었다.

5. 언어

모히칸어는 형식적으로 사멸되었으며, 알곤킨어족의 동부 알곤킨어군에 속했다. 본래 명칭인 마히칸은 "늑대"를 의미하는 "''Mahiingan''"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같은 알곤킨 어족 계열로 피쿼트족에서 독립한 모히건족이 원래 스스로를 부르던 이름이다. 모히칸족은 스스로를 "''Muheconneok''"(허드슨강의 그들의 이름)이라고 불렀다. 서로 이름은 그다지 유사하지 않았다.

모히칸족의 언어(마히칸어)는 피쿼트족의 언어와 가까웠다.

6. 역사

160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의 영국인 헨리 허드슨이 모히칸족의 땅에 도착했다. 1614년 네덜란드는 비버 등의 모피가 풍부했던 허드슨강 유역에 식민지를 구축하고, 캐슬 섬에 식민지를 설치했다.[4]

당시 이 땅에 정착한 모히칸족은 적대적인 모호크족과 긴장 관계가 고조되어 계속 싸우고 있었다. 결국 모히칸족은 영유하던 땅에서 쫓겨나 서쪽으로 이동해야 했다. 이후 영국이 네덜란드를 대신하여 정착촌을 영유하면서 모히칸족은 땅을 빼앗기고 쫓겨났다. 또한 유럽인과 함께 들어온 천연두, 홍역, 디프테리아, 성홍열 등 미국 원주민에게는 없었던 질병으로 많은 모히칸족이 사망했다.[4] 살아남은 모히칸족의 일부는 델라웨어족과 이로쿼이 연방 등 근처 부족으로 피난을 갔다. 다른 많은 이들은 매사추세츠주의 스톡브리지로 이주했다.

모히칸족은 매사추세츠주 스톡브리지에 정착하여 점차 "스톡브리지 인디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들은 개신교 선교사들을 받아들였고, 18세기에는 많은 이들이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그들만의 전통을 유지했다. 이들은 프랑스-인디언 전쟁 (7년 전쟁)에서 영국 식민지 주민 편에 섰고, 미국 독립 전쟁 동안에는 식민지 주민 편을 들었다.[14]

18세기에는 일부 모히칸족이 모라비아 교회 선교사들과 강한 유대 관계를 맺었고, 뉴욕주 더치스 카운티의 셰코메코mjy 마을에 선교부가 세워지기도 했다. 모라비아인들은 유럽 식민지 주민들의 착취에 맞서 모히칸족을 보호하려 노력했지만, 결국 모히칸족은 셰코메코에서 쫓겨났다.

1710년 앤 여왕을 방문한 모히칸족 족장 , 4명의 모호크 왕 중 한 명. 존 사이먼(조각가) 제작, 1750년경.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대륙군에 참전한 스톡브리지 민병대 전사 스케치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모히칸족은 애국자 편에 서서 보스턴 포위전, 사라토가 전투, 몬머스 전투에 참전했다. 1778년 킹스브리지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지만,[18] 조지 워싱턴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19]

미국 독립 혁명 이후, 스톡브리지 인디언들은 오나이다족이 있는 뉴욕 중부의 새로운 지역으로 이주하여 뉴 스톡브리지를 건설했다. 이들은 영어를 사용하고 기독교인으로 살면서도 자신들의 언어와 모히칸 문화적 전통을 유지했다.[21]

1820년대와 1830년대에 대부분의 스톡브리지 인디언들은 위스콘신주 쇼와노 군으로 이주했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인디언 이주 정책에 따라 미국 정부로부터 토지를 약속받았다. 위스콘신에서 그들은 레나페 족(문시라고 불림)과 함께 인디언 보호 구역에 정착했으며, 레나페 족 역시 알곤킨어를 사용했다. 이 둘은 함께 하나의 밴드를 형성했으며, 연방 정부로부터 스톡브리지-문시 커뮤니티로 인정받고 있다.[22]

20세기 후반부터 스톡브리지-문시 부족은 뉴욕을 상대로 토지 반환 소송을 제기했고, 2011년에는 뉴욕주와 합의에 도달하여 일부 토지를 돌려받았다.[22] 또한, 2011년에는 이스트 그린부시와 스코닥 근처의 허드슨 강변의 156acre를 소유하게 되었다.[23]

6. 1. 부족 연맹

모히칸족은 스스로를 Muhhekunneuwmjy, 즉 "결코 멈추지 않는 물의 사람들"이라고 불렀다.[4]

모히칸족은 5개의 부족과 40개에 달하는 마을로 구성된 연맹체였다.[4]

  • '''모히칸족'''은 오늘날의 올버니 근처(Pempotowwuthut-Muhhcanneuwmjy, "마히칸족의 난로")에서 서쪽으로 모호크강, 북서쪽으로는 챔플레인호와 조지 호수까지 거주했다.
  • '''Mechkentowoonmjy'''는 캣스킬 크릭 위쪽의 허드슨강 서쪽 강변을 따라 거주했다.
  • '''와와야흐토녹(와와야크토녹)'''(Wawayachtonocmjy, "소용돌이 사람" 또는 "굽이진 물길의 사람들")은 더치스 카운티와 컬럼비아 카운티에서 리치필드 카운티, 코네티컷의 후사토닉강까지 동쪽으로 거주했으며, 주요 마을은 ''위안티노크''였고, 추가 마을로는 ''시코메코'', ''위쿼드나치'', ''팸퍼라우그'', ''밴텀'', ''위터우그'', ''스카티쿡''이 있었다.
  • '''웨스텐훅'''(hous atenucmjy, "산 너머")은 그레이트 배링턴 근처의 마을 이름이었다. 종종 "후사토닉 사람들"이라고 불리며, 코네티컷매사추세츠의 후사토닉 밸리와 그들이 Mahaiwemjy라고 불렀던 그레이트 배링턴 근처에 거주했는데, 이는 "강 하류의 장소"를 의미했다.[7]
  • '''위카지옥'''(wikwajekmjy, "강의 상류")은 뉴욕주 허드슨 시 근처, 컬럼비아 카운티의 허드슨강 동쪽에 거주했다.[8]

6. 2. 유럽인과의 접촉

160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 영국인 헨리 허드슨이 모히칸족의 땅에 도착했다. 허드슨은 비버수달 (네덜란드 사람이 가장 선호하는 모피)이 풍부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1614년 네덜란드는 허드슨강 유역에 식민지를 구축하고 캐슬 섬에 식민지를 설치했다.[4]

그 무렵, 이 땅에 정착한 모히칸족은 적대적인 모호크족과 긴장이 고조되어 계속 싸우고 있었다. 결국 모히칸족은 영유하고 있었던 땅에서 쫓겨나 서쪽으로 갈 수 밖에 없었다. 그 후, 영국이 네덜란드를 대신하여 정착촌을 영유하면서 모히칸족은 땅을 빼앗기고 쫓겨났다. 또한 유럽 사람과 함께 들어온 천연두, 홍역, 디프테리아, 성홍열 등 미국 원주민에게는 없었던 질병으로 모히칸족이 죽어갔다.[4] 살아남은 모히칸족의 일부는 델라웨어족과 이로쿼이 연방 등 근처 부족으로 피난을 갔다. 그리고 다른 많은 이들이 매사추세츠주의 스톡브리지로 이주를 했다.

토지 증서, 1664년 5월 31일, 윌렘 호프마이어가 트로이 인근 허드슨 강에 있는 3개의 섬을 3명의 모히칸 원주민으로부터 매입 - 올버니 역사 예술 연구소


알곤킨족(모히칸)과 이로쿼이족(모호크)은 전통적인 경쟁 관계이자 적이었다. 1609년 9월, 헨리 허드슨은 현재 올버니 바로 아래에 있는 모히칸 마을과 마주쳤고, 그들과 모피를 교환했다. 허드슨은 귀중한 모피 화물을 싣고 네덜란드로 돌아갔고, 이는 즉시 네덜란드 상인들의 관심을 이 지역으로 끌어들였다. 첫 번째 네덜란드 모피 상인들은 그 다음 해에 모히칸족과 거래하기 위해 허드슨 강에 도착했다. 그들은 유럽의 유행병에 노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피 거래는 지역의 불안정을 초래했다.[4]

1614년, 네덜란드는 캐슬 아일랜드에 영구적인 무역 기지를 세우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먼저 모히칸족과 모호크족 사이에서 발발한 싸움을 끝내기 위해 휴전을 마련해야 했다. 1617년 모히칸족과 모호크족 사이에 다시 싸움이 벌어졌고, 나소 요새가 홍수로 심하게 손상되자 네덜란드군은 요새를 포기했다. 1618년, 다시 휴전을 협상한 네덜란드군은 더 높은 지대에 나소 요새를 재건했다.[10] 그 해 말, 나소 요새는 홍수로 파괴되었고 영원히 버려졌다. 1624년, 코르넬리우스 야콥센 메이 선장은 Nieuw Nederlandtnl를 거슬러 올라가 캐슬 아일랜드 맞은편 평지에 18가구의 왈론족을 상륙시켰다. 그들은 오렌지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모히칸족은 알곤킨족과 몬태그네족을 초청하여 퀘벡의 프랑스 상인 대신 오렌지 요새에 모피를 가져오도록 했다. 모히칸족이 모피 거래에 대한 통제력을 확대하는 것을 본 모호크족은 공격하여 초기 성공을 거두었다. 1625년 또는 1626년에 모히칸족은 가장 동쪽에 있는 이로쿼이 "성"을 파괴했다. 그런 다음 모호크족은 모호크 강 남쪽, 오렌지 요새에 더 가까운 곳으로 이주했다. 1626년 7월, 분쟁으로 인해 많은 정착민들이 뉴 암스테르담으로 이주했다. 모히칸족은 네덜란드군의 도움을 요청했고, 사령관 다니엘 반 크리에케베크는 병사 6명과 함께 요새를 출발했다. 반 크리에케베크, 병사 3명, 모히칸족 24명은 요새에서 약 1마일 떨어진 곳에서 모호크족의 매복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 모호크족은 우월함을 과시하기 위해 죽은 자들의 신체 일부를 가져갔다.[11]

전쟁은 스카네흐타티에서 킨더후크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 전체에서 모히칸족과 모호크족 사이에서 계속되었다.[12] 1629년까지 모호크족은 이전에 모히칸족이 소유했던 허드슨 강 서쪽의 영토를 장악했다.[13] 이 분쟁으로 인해 대부분의 모히칸족이 허드슨 강을 건너 서부 매사추세츠주코네티컷주로 이주했다. 모호크족은 북쪽 또는 동쪽의 인접한 알곤킨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의 무역을 금지함으로써 네덜란드와의 모피 거래에서 거의 독점권을 얻었다.

6. 3. 모호크족과의 갈등

160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 영국인 헨리 허드슨이 모히칸 족의 땅에 도착한 이후, 1614년 네덜란드는 허드슨강 유역에 식민지를 구축했다. 이 무렵 모히칸 족은 모호크 족과의 갈등이 심화되어 영토 분쟁을 겪고 있었다.

알곤킨족(모히칸)과 이로쿼이족(모호크)은 전통적인 경쟁 관계이자 적이었다. 1609년 9월, 헨리 허드슨은 현재의 올버니 바로 아래에 있는 모히칸 마을과 마주쳐 모피를 교환했다. 이는 네덜란드 상인들의 관심을 끌었고, 이듬해 첫 네덜란드 모피 상인들이 허드슨 강에 도착해 모히칸족과 거래했다.

1614년, 네덜란드는 캐슬 아일랜드에 무역 기지를 세웠으나, 모히칸족과 모호크족 간의 분쟁을 중재해야 했다. 1617년 분쟁이 재발했고, 나소 요새가 홍수로 손상되자 네덜란드군은 요새를 포기했다가 1618년에 재건했다. 그러나 그해 말, 나소 요새는 다시 홍수로 파괴되어 영원히 버려졌다. 1624년, 코르넬리우스 야콥센 메이 선장은 캐슬 아일랜드 맞은편 평지에 18가구의 왈론족을 상륙시켜 오렌지 요새를 건설했다.

모히칸족은 알곤킨족과 몬태그네족을 초청하여 오렌지 요새에 모피를 가져오도록 했으나, 모호크족은 이를 견제하기 위해 공격했다. 1625년 또는 1626년에 모히칸족은 가장 동쪽에 있는 이로쿼이 "성"을 파괴했고, 모호크족은 모호크 강 남쪽으로 이주했다. 1626년 7월, 모히칸족은 네덜란드군의 도움을 요청했으나, 네덜란드군과 모히칸족 연합군은 모호크족의 매복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

전쟁은 스케넥터디에서 킨더후크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 전체에서 계속되었다. 1629년까지 모호크족은 허드슨 강 서쪽의 모히칸족 영토를 장악했다. 이 분쟁으로 인해 대부분의 모히칸족은 허드슨 강을 건너 서부 매사추세츠와 코네티컷으로 이주했고, 모호크족은 네덜란드와의 모피 거래에서 거의 독점권을 얻었다.

6. 4. 질병과 이주

160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 영국인 헨리 허드슨이 모히칸 족의 땅에 도착했다. 1614년까지 네덜란드는 허드슨강 유역에 식민지를 구축했다.

그 무렵, 이 지역에 정착한 모히칸 족은 적대적인 모호크족과의 긴장이 고조되어 계속 싸웠다. 결국 모히칸 족은 소유하고 있던 땅에서 쫓겨나 서쪽으로 이동해야 했다. 이후 영국이 네덜란드를 대신하여 식민지를 점령하면서 모히칸 족은 더욱 땅을 빼앗기고 쫓겨났다. 게다가 유럽인이 가져온 천연두, 홍역, 디프테리아, 성홍열과 같은 질병으로 많은 모히칸 족이 사망했다.

살아남은 모히칸 족의 일부는 델라웨어족과 이로쿼이 연방 등 인근 부족에게 피난을 갔다. 다른 많은 사람들은 매사추세츠주의 스톡브리지로 이주했다. 그래서 모히칸 족은 스톡브리지 인디언이라고 불리게 되었지만, 곧 다시 쫓겨나 먼시 델라웨어 족(Stockbridge-Munsee)과 함께 위스콘신주로 이주해야 했고, 모히칸 족은 먼시 델라웨어 족과 맹약을 맺었다. 스톡브리지 모히칸 족과 만시 델라웨어 족은 지금까지 함께 살고 있다.

6. 5. 스톡브리지 인디언

160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 영국인 헨리 허드슨이 모히칸 족의 땅에 도착한 후, 1614년 네덜란드는 허드슨강 유역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당시 모히칸 족은 모호크 족과의 갈등으로 서쪽으로 쫓겨났고, 이후 영국이 네덜란드를 대신해 정착촌을 차지하면서 땅을 빼앗기고 쫓겨났다. 천연두, 홍역 등 유럽에서 유입된 질병으로 많은 모히칸 족이 사망했다. 살아남은 일부는 델라웨어족과 이로쿼이 연방 등 주변 부족으로 피난을 갔고, 다른 많은 이들은 매사추세츠주 스톡브리지로 이주하여 "스톡브리지 인디언"으로 불리게 되었다.

스톡브리지 인디언들은 조나단 에드워즈(신학자)와 같은 개신교 선교사들을 받아들였고, 18세기에는 많은 이들이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고유의 전통도 유지했다. 이들은 프랑스-인디언 전쟁 (7년 전쟁)에서 영국 식민지 주민 편에 섰고, 미국 독립 전쟁에서는 식민지 주민 편에 서서 싸웠다.[14]

18세기 일부 모히칸족은 모라비아 교회 선교사들과 유대 관계를 맺고 뉴욕주 더치스 카운티 셰코메코mjy에 선교부가 세워지기도 했다. 모라비아인들은 유럽 식민지 주민들의 착취에 맞서 모히칸족을 보호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모히칸족은 토지 침해와 술 남용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셰코메코에서 쫓겨났다.

미국 독립 혁명 당시 모히칸족은 애국자 편에 서서 보스턴 포위전, 사라토가 전투, 몬머스 전투 등에 참전했다. 1778년 킹스브리지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지만,[18] 조지 워싱턴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19]

미국 독립 혁명 이후, 스톡브리지 인디언들은 뉴욕 중부의 새로운 지역으로 이주하여 뉴 스톡브리지를 건설했다. 이들은 영어를 사용하고 기독교인으로 살면서도, 자신들의 언어와 모히칸 문화적 전통을 유지했다.[21]

6. 6. 위스콘신으로의 이주

160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 영국인 헨리 허드슨이 모히칸 족의 땅에 도착한 후, 1614년 네덜란드는 허드슨강 유역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모히칸 족은 적대적인 모호크족과의 갈등으로 땅에서 쫓겨났고, 이후 영국이 네덜란드를 대신하여 식민지를 영유하면서 더욱 땅을 빼앗기고 쫓겨났다. 천연두, 홍역 등 유럽에서 온 질병으로 많은 모히칸 족이 사망했다.[22]

살아남은 모히칸 족의 일부는 델라웨어족과 이로쿼이 연방 등 근처 부족으로 피난을 갔고, 많은 이들이 매사추세츠주의 스톡브리지로 이주하여 스톡브리지 인디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곧 다시 쫓겨나 먼시 델라웨어 족(Stockbridge-Munsee)과 함께 위스콘신주로 이주해야 했고, 먼시 델라웨어 족과 맹약을 맺었다. 스톡브리지 모히칸 족과 만시 델라웨어 족은 현재까지 함께 살고 있다.[22]

1820년대와 1830년대에 대부분의 스톡브리지 인디언들은 위스콘신주 쇼와노 군으로 이주했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인디언 이주 정책에 따라 미국 정부로부터 토지를 약속받았다. 위스콘신에서 그들은 레나페 족(문시라고 불림)과 함께 인디언 보호 구역에 정착했으며, 레나페 족 역시 알곤킨어를 사용했다. 이 둘은 함께 하나의 밴드를 형성했으며, 연방 정부로부터 스톡브리지-문시 커뮤니티로 인정받고 있다.[22]

그들의 22,000에이커 규모의 보호 구역은 스톡브리지-문시 모히칸 인디언 밴드(Stockbridge-Munsee Band of Mohican Indians)로 알려져 있으며, 위스콘신주 볼러 마을 근처에 위치해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그들은 보호 구역에 노스 스타 모히칸 리조트 & 카지노(North Star Mohican Resort and Casino)를 개발했으며, 이는 부족 복지 및 경제 발전을 위한 자금 조달에 성공적으로 기여했다.[22]

6. 7. 토지 반환 소송

20세기 후반, 스톡브리지-문시족은 뉴욕을 상대로 토지 소송을 제기한 부족 중 하나였다. 뉴욕은 상원의 비준 없이 원주민으로부터 토지를 위헌적으로 취득한 것으로 판결받았다. 스톡브리지-문시족은 과거 소유지였던 메디슨 카운티의 23000acre에 대한 토지 소송을 뉴욕주에 제기했다.[22] 2011년, 퇴임하는 데이비드 패터슨 주지사는 부족과 합의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그들은 메디슨 카운티에 약 2acre를 받고, 더 큰 토지 소유권을 포기하는 대신 뉴욕주로부터 설리번 카운티, 캣스킬 산맥에 있는 330acre의 토지를 받기로 했다. 주 정부는 경제 개발을 장려하려 했다. 연방 정부는 이 토지를 신탁으로 인수하기로 동의하여 게임 카지노 개발을 가능하게 했으며, 주는 미국 원주민에게 점점 더 중요한 수입원이 되고 있는 게임을 허용할 것이었다. 경마장과 카지노, 사적 이익, 그리고 다른 부족들은 이 거래에 반대했다.[22]

2011년, 모히칸족의 스톡브리지-문시 커뮤니티 밴드는 이스트 그린부시와 스코닥 근처의 팝스카니 아일랜드 자연 보호 구역으로 알려진 허드슨 강변의 156acre를 소유하게 되었다. 이 토지는 오픈 스페이스 이니셔티브에 의해 원주민의 후손에게 기증되었다. 식민지화 이전에, 이 섬은 모히칸족이 의식을 치르던 곳이었으며, 1637년 네덜란드 상인 킬리안 반 렌셀러에게 매각되었다. 이 토지는 모히칸족이 소유하고 있지만, 대중의 접근과 보호를 위해 렌셀러 카운티와 렌셀러 토지 신탁에서 관리하고 있다.[23]

7. 현대의 모히칸족

18세기에 백인이 가져온 천연두 등의 역병과 전쟁 등으로 많은 모히칸족이 죽었지만, 현재는 위스콘신주 쇼노 군의 스톡브리지-먼시 공동체의 스톡브리지 인디언 보호구역의 레드스프링스나 바텔미 등에서 먼시족(델라웨어족)과 함께 '스톡브리지 모히칸족'으로 살고 있다.[1]

뉴욕주매사추세츠주에서도 소수지만 공동체를 결성하여 살고 있다.[1] 모히칸족은 스톡브리지 인디언이라고 불렸지만, 이윽고 다시 쫓겨나 만시 델라웨어족(스톡브리지-만시)과 함께 위스콘신주로 이주했다.[1] 그곳에서 모히칸족은 만시 델라웨어족과 동맹을 맺었다.[1] 스톡브리지 모히칸족과 만시 델라웨어족은 현재까지 함께 생존해 있다.[1]

8. 다른 부족과의 관계

모히칸족은 와파노악 족, 델라웨어 족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거래했다. 델라웨어 족 계열의 먼시 족과는 위스콘신주에서 동맹 관계였다.[4] 모호크 족이나 이로쿼이 연맹 부족과는 적대 관계였다.[4]

9. 관련 작품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는 소설 ''모히칸족의 최후''의 소재로 모히칸족을 삼았다. 그의 묘사에는 동부 코네티컷에 살았던 다른 알곤킨족인 모히건족의 문화적 측면이 일부 포함되어 있다. 쿠퍼는 소설의 배경을 모히칸의 땅인 허드슨 계곡으로 설정했지만, 등장인물 이름에 언캐스와 같은 모히건족의 이름을 사용했다.

이 소설은 1920년에 처음 영화화된 이후 12번 이상 영화로 제작되었다. 마이클 만1992년 영화를 감독했는데, 여기에는 모히칸족에게 입양된 백인 남자로 다니엘 데이 루이스가 출연했다.

2016년, 독일 메탈 밴드 러닝 와일드는 16번째 앨범 래피드 포레이를 발매했다. 이 앨범의 마지막 곡은 '마지막 모히칸'이다.[1]

10. 저명한 인물


  • 에토 오 캄: 모히칸족 족장이자 1710년 3명의 모호크족 지도자들과 함께 영국을 방문하여 앤 여왕과 그녀의 정부를 알현한 4명의 인디언 왕 중 한 명이다.
  • 헨드릭 아우파무트: (1757–1830) 족장, 역사학자, 미국 독립 전쟁 대위
  • 스티브 콘리프: (1949-2006) 정치 작가, 역사학자, 예피 운동가
  • 브렌트 마이클 데이비즈: (1959년 출생) 작곡가 겸 플루트 연주자
  • 빌 밀러: (1955년 출생) 음악가
  • 엘렉타 퀴니: (1798–1885) 위스콘신 최초의 공립 학교 교사
  • 존 완누아우콘 퀴니: (1797–1855) 외교관
  • 돈 코이히스: (1943년 8월 16일 출생) 중독 전문가, 아메리카 원주민 건강 운동가이자 작가
  • 존 코코코호 리비: (1986년 6월 17일 출생) 야생 동물 보호 운동가, 네이처 컨서번시 매거진
  • 앤서니 키디스: (1962년 11월 1일 출생)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리드 싱어
  • 알라쿠아 콕스: 호크아이 & 에코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Mohican" (history) http://p2.www.britan[...] 2007-06-24
[2] 서적 Stockbridge, Past and Present
[3] 서적 Mohican Oral Tribal History as recorded by Hendrick Aupaumut https://archive.org/[...] Samuel Bowles & Company 1854
[4] 웹사이트 Mahican http://www.dickshove[...] 2021-06-26
[5] 간행물 Footprints of the Red Men: Indian Geographical Names in the Valley of Hudson's River, the Valley of the Mohawk, and on the Delaware: Their location and the probable meaning of some of them https://books.google[...] New York State Historical Association 2010-10-31
[6] 웹사이트 Wappinger History http://www.dickshove[...] 2012-01-14
[7] 서적 Indians of Maryland Past and Present Somerset Pubs 1999
[8] 서적 Indian Affairs in Colonial New York Indian Affairs in Colonial New York: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7
[9] 서적 American Heritage Book of Indians https://archive.org/[...] American Heritage Pub. Co. 1961
[10] 웹사이트 "Mahican Confederacy", The History Files http://www.historyfi[...] 2018-01-27
[11] 서적 Separate Vessel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4
[12] 서적 Albany Chronicles: A History of the City Arranged Chronologically https://books.google[...] J.B. Lyon Company 1906
[13] 서적 Mohawk Frontier: The Dutch Community of Schenectady, New York, 1661–1710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1
[14] 서적 The American Revolution in Indian Country: Crisis and Diversity in Native American Communiti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5] 서적 The Mohican World 1680–1750
[16] 서적 The Mohican World 1680–1750
[17] 웹사이트 Pine Plains http://www.usgennet.[...] Pawling, NY 2011-05-15
[18] 웹사이트 "Death In the Bronx, The Stockbridge Indian Massacre August, 1778" https://www.american[...] 2021-10-20
[19] 웹사이트 From George Washington to Captain Hendrick Aupaumut, 4 July 1779 https://founders.arc[...] Archives.gov 2018-04-21
[20] 서적 The Mohicans of Stockbridge
[21] 서적 The Mohican World 1680–1750 Purple Mountain Press, Ltd.
[22] 뉴스 Seneca Upset Over N.Y. Casino Agreement https://archive.toda[...] Indian Country Today 2011-01-26
[23] 뉴스 Mohicans reclaim a key part of their New York ancestral lands https://www.timesuni[...] Albany times-Union 2021-05-08
[24] 웹사이트 Don Coyhis, 2009 Purpose Prize Winner https://encore.org/p[...] 2020-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