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몬태나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태나 대학교는 1893년 몬태나주 미줄라에 설립된 공립 종합대학교이다. 1881년 몬태나 준주에 대학 설립을 위해 부지가 지정되었고, 1895년에 정식 개교했다. 몬태나 대학교는 산림학, 환경학 분야와 저널리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11개의 단과대학과 스쿨로 구성되어 있다. 미식축구팀 몬태나 그리즐리스를 비롯한 다양한 운동팀을 운영하며, 저명한 동문으로는 정치인, 언론인, 학자, 예술가, 스포츠 선수 등 각 분야의 인재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태나 대학교 - 몬태나 대학교 시스템
    몬태나 대학교 시스템은 몬태나주의 여러 캠퍼스로 이루어진 고등 교육 시스템으로, 각 대학과 칼리지는 이사회 승인 하에 자체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 1893년 개교 - 아메리칸 대학교
    아메리칸 대학교는 1893년 워싱턴 D.C.에 설립된 사립 연구 중심 대학으로, 공공 서비스 분야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며, 워싱턴 학기 프로그램, 탄소 중립 캠퍼스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다.
  • 1893년 개교 - 웨일스 대학교
    웨일스 대학교는 1893년 설립된 연합 대학교였으나, 2007년 비연합대학 체제로 전환 후 소속 대학들이 독립했으며, 2010년대 초 스캔들로 사실상 폐지되어 웨일스 삼위일체 성 다비드 대학교와 합병되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몬태나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몬태나 대학교 인장
몬태나 대학교 인장
모토Lux et Veritas (라틴어)
모토 (번역)빛과 진리
설립일1893년 2월 13일
대학 유형공립 연구 대학
인증 기관NWCCU
기부금2억 4,160만 달러 (2022년)
총장세스 보드너
교무처장안드레아 로렌스
교수진풀타임 559명, 파트타임 232명
학생 수 (2024년 가을)10,811명
학부생 수 (2024년 가을)6,494명
위치미줄라, 몬태나주, 미국
캠퍼스 유형소도시
캠퍼스 크기220 에이커 (약 0.89 km²)
상징색  자주색과 은색
별칭그리즐리스와 레이디 그리즈
마스코트몬테
운동 경기 연맹전미 대학 체육 협회 디비전 I FCS – 빅 스카이
USCSA
학술 연맹우주 지원
웹사이트몬태나 대학교 웹사이트
로고University of Montana logo (2013).svg
관련 시스템몬태나 대학교 시스템
신문몬태나 카이민
역사
이전 명칭몬태나 주립 대학교 (1945–1965)
기타 정보
카네기 분류박사 과정 대학 - 높은 연구 활동
저명한 동문
노벨상 수상자해럴드 유리 (1934년 노벨 화학상)

2. 역사

몬태나 대학교는 1893년 몬태나주 미줄라에 설립된 주립 대학이다. 1945년부터 1965년까지는 "몬태나 주립 대학교"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보즈먼에 있는 학교는 "몬태나 주립 칼리지"로 알려졌다.[1]

2. 1. 설립 배경

1881년 2월 18일 미국 의회 법안에 따라 몬태나 준주에 대학 설립을 위해 72구획(46000acre)이 지정되었다.

몬태나주는 1889년 11월 8일에 연방에 가입했으며, 몬태나주 의회는 곧 주의 영구적인 주도와 주립 대학교의 위치를 고려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주립 대학교가 미줄라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도시 지도자들은 미줄라가 새로운 주도 입찰에서 물러나고 주요 경쟁 도시인 아나콘다보다 헬레나를 지원하겠다는 합의를 헬레나와 맺었다. 도시들의 입찰은 각각 경쟁적인 "구리 왕"인 윌리엄 A. 클라크와 마커스 데일리가 지원했다.

미줄라는 1893년 2월 열린 제3회 몬태나 입법 회의에서 새로운 대학교 설립에 대한 의회 투표에서 승리했으며, 1895년에 정식으로 개교했다. 대학교 캠퍼스 계획이 진행되는 동안, 수업은 인근 윌라드 학교에서 임시로 진행되었다. A.B. 해먼드, 리처드 에디, 마커스 데일리가 소유한 사우스 미줄라 토지 회사와 히긴스 가문은 새로운 캠퍼스 부지를 기증했다. 1898년 6월 A.J. 깁슨이 설계한 대학교 홀의 초석이 놓였고, 미줄라는 "대학교 도시"가 되었다.[1]

2. 2. 초기 역사 (1893년 - 1945년)

대학교 (메인) 홀


몬태나 대학교


1881년 2월 18일 미국 의회 법안에 따라 몬태나 준주에 대학 설립을 위해 72구획 (46000acre)이 지정되었다.

몬태나주는 1889년 11월 8일 연방에 가입했으며, 몬태나주 의회는 곧 주의 영구적인 주도와 주립 대학교의 위치를 고려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주립 대학교가 미줄라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도시 지도자들은 미줄라가 새로운 주도 입찰에서 물러나고 주요 경쟁 도시인 아나콘다보다 헬레나를 지원하겠다는 합의를 헬레나와 맺었다. 도시들의 입찰은 각각 경쟁적인 "구리 왕"인 윌리엄 A. 클라크와 마커스 데일리가 지원했다.

미줄라는 1893년 2월 열린 제3회 몬태나 입법 회의에서 새로운 대학교 설립에 대한 의회 투표에서 승리했으며, 1895년에 정식으로 개교했다. 대학교 캠퍼스 계획이 진행되는 동안, 수업은 인근 윌라드 학교에서 임시로 진행되었다. A.B. 해먼드, 리처드 에디, 마커스 데일리가 소유한 사우스 미줄라 토지 회사와 히긴스 가문은 새로운 캠퍼스 부지를 기증했다. 1898년 6월 A.J. 깁슨이 설계한 대학교 홀의 초석이 놓였고, 미줄라는 "대학교 도시"가 되었다.

1945년부터 1965년까지 의회는 학교 이름을 "몬태나 주립 대학교"로 변경했으며, 보즈먼의 학교는 "몬태나 주립 칼리지"로 알려졌다.[1]

2. 3. 발전과 변화 (1945년 - 현재)

1945년부터 1965년까지 의회는 학교 이름을 "몬태나 주립 대학교"로 변경했으며, 보즈먼의 학교는 "몬태나 주립 칼리지"로 알려졌다.[1] 1893년에 몬태나 주에서 처음 설립된 이 대학교는 학생 수가 약 14,000명 정도로, 주립 대학교로서는 비교적 소규모이다. 미줄라에 위치하며, 세 개의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다. 몬태나 주는 캐나다와 국경을 접하고, 로키 산맥이나 국립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등이 많아 매우 녹지로 둘러싸인 캠퍼스를 자랑한다. 전공은 다방면에 걸쳐 있지만, 입지를 활용한 산림학이나 환경학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저널리즘 분야에서는 8명의 퓰리처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일본 세이죠 대학,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도요 대학과 협정을 맺고 있다.

2. 4. 역대 총장

재임 기간이름비고
1895–1908오스카 J. 크레이그
1908–1912클라이드 V. 더니웨이
1912–1915에드윈 B. 크레이그헤드
1915–1917랜달 M. M. 새비지
1917–1921에드워드 O. 시슨
1921–1935찰스 H. 섐
1936–1941조지 F. 시먼스
1941–1945어니스트 O. 멜비
1945–1950제임스 A. 매케인
1951–1958칼 맥팔랜드
1959–1963해리 K. 뉴번
1963–1966로버트 존스
1966–1974로버트 T. 판처
1974–1981리처드 C. 보워스
1981–1986닐 S. 버클루
1986–1990제임스 V. 코치
1990–2010조지 M. 데니슨
2010–2016로이스 엥스트롬
2016-2017쉴라 스턴스 (임시)
2018-세스 보드나

[12]

3. 캠퍼스

몬태나 대학교 캠퍼스는 미줄라 시내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센티넬 산, 북쪽으로는 클라크 포크 강과 접해 있어 수려한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캠퍼스 초기 계획은 초대 교수 중 한 명인 프레드릭 슈에흐가 설계했으며, 중앙 타원형을 대학 건물로 둘러싸는 형태였다. 모든 건물 입구가 타원형 중앙을 향하도록 하는 방사형 건물 패턴을 구상했다. 1895년 타원형 주변에 첫 번째 건물들이 세워졌으며, 이후 다양한 캠퍼스 계획과 건축 양식이 사용되었다.

3. 1. 개요

대학교의 상징


몬태나 대학교 캠퍼스


몬태나 대학교는 1893년 몬태나 주에 설립된 주립 대학교이다. 학생 수는 약 14,000명 정도로, 주립 대학교로서는 비교적 소규모이다. 미줄라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 개의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잡고 있다. 몬태나 주는 캐나다와 국경을 접하고, 로키 산맥과 국립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등이 많아 매우 녹지로 둘러싸인 캠퍼스를 자랑한다. 전공은 다방면에 걸쳐 있지만, 입지를 활용한 산림학이나 환경학으로 알려져 있다. 저널리즘 분야에서는 8명의 퓰리처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일본 세이죠 대학,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도요 대학과 협정을 맺고 있다.

캠퍼스 초기 계획은 초대 교수 중 한 명인 프레드릭 슈에흐가 설계했으며, 중앙 타원형을 대학 건물로 둘러싸는 형태였다. 슈에흐의 계획은 모든 건물 입구가 타원형 중앙을 향하도록 하여 방사형 건물 패턴을 형성하도록 했지만, 이후 르네상스 부흥 양식의 3층 건물로, 경사 지붕과 스페인식 녹색 지붕 타일을 사용하여 건설되었다.

1895년 타원형 주변에 첫 번째 건물들이 세워졌다. 그 이후 다양한 캠퍼스 계획과 건축 양식이 사용되었다. 오늘날 캠퍼스는 220acre이며, 동쪽으로는 센티넬 산, 북쪽으로는 클라크 포크 강과 접해 있다. 메인 캠퍼스는 64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9개의 기숙사, 26,500석 규모의 미식축구 경기장인 워싱턴-그리즐리 스타디움, 7,500석 규모의 다목적 경기장인 아담스 센터(구 달버그 아레나)를 포함한 다양한 운동 시설이 있다. 아담스 센터에서는 대학 농구 팀이 경기를 한다.

캠퍼스 랜드마크는 다음과 같다.

; 타원형

동서로 뻗어 있는 3acre의 잔디밭으로, 전통적으로 대학의 중심을 표시한다. 현재는 두 개의 교차하는 벽돌길로 사분면으로 나뉘지만, 원래 타원형은 잔디였으며 학생들이 건너는 것이 금지되었다. 1896년 나무 심는 날에 타원형 주변에 두 줄의 나무가 심어졌지만, 이후 많은 나무가 죽어 다시 심는 과정에 있다. 타원형을 둘러싸고 있던 원래의 자갈길도 보도로 대체되었다. 대학의 원래 마스터 플랜은 모든 건물이 타원형 중앙을 향하도록 했지만, 이 계획은 어려움이 있어 1935년에 새로운 계획이 수립되었다.

타원형 서쪽 끝에는 1969년 세라믹 예술가이자 조각가인 루디 아우티오가 제작한 실물 크기의 회색곰 동상이 있다.[14] 이 청동상은 높이가 7feet, 무게가 약 2267.96kg이며, 제작에 1년이 걸렸다.[15] 대학의 많은 사진에서 타원형, 대학(메인) 홀, 센티넬 산의 'M'을 배경으로 곰의 모습을 담고 있다.

; "M" 트레일

약 4.83km 길이의 트레일로, 13개의 헤어핀 턴이 있으며, 센티넬 산 기슭의 대학교에서 약 188.98m를 올라간다. 트레일은 아래 도시의 탁 트인 전망을 제공한다.

"The 'M'"이 언제 처음 센티넬 산에 설치되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1908년경, 임업 클럽 회원들은 산으로 지그재그 트레일을 만들었고 학생들은 몬태나 대학교의 상징을 만들기 위해 돌을 가져왔다. 원래 백색 석회로 만들어졌으며 크기가 약 7.62m였던 첫 번째 "M"은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아 1912년에 18달러의 비용으로 나무 "M"으로 교체되었다. 오늘날의 "M"과 달리 그 "M"은 센티넬 산의 면에 똑바로 서 있었다. 더 큰 나무 버전의 "M"이 1913년에 건설되었으며 유지 관리는 매년 신입생에게 공식적으로 부과되었다.

큰 나무 "M"이 1915년 눈보라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 더 큰 버전이 백색 석회 화강암으로 건설되었다. 다시 신입생들은 상징의 연례 개조 작업을 맡아 새로운 전통을 시작했다. 그 이후 매년 몬태나 대학교 신입생들은 "M"에 올라 신선한 백색 석회를 칠하고 구조물 안팎에서 자란 잡초와 잔디를 제거했다.

1968년 약 38.10m 크기의 콘크리트 "M"이 4,328달러의 비용으로 건설되면서 연례 전통이 끝났다. 바위를 콘크리트로 대체한 결정 뒤에는 유지 관리 문제가 있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UM 학생들은 언덕 위로의 연례 여행과 "M"의 연례 유지 관리에 대한 열정이 줄어들었다. 연례 백색 석회 칠은 사라졌지만, 오늘날에도 살아있는 전통은 매년 가을 대학교의 홈커밍 축제 기간 동안 "M"에 불을 밝히는 것이다. 1919년 10월 9일 가을 백색 석회 칠 후 학생 그룹에 의해 처음 불이 켜졌는데, 행사가 너무 인기가 있어서 학생들은 매년 홈커밍 주간 동안 "M"에 불을 계속 켜왔다. 특별한 비콘이 거대한 글자에 불을 밝혀, 졸업생들을 대학교로 다시 환영한다.[16]

; 기념 행렬

캠퍼스 북쪽에는 29그루의 상록수가 두 개의 열을 이루어, 과거 반 뷰렌 애비뉴의 경로를 따라 기념 행렬을 형성하고 있다. 타원형 모퉁이에서 에디 애비뉴까지 뻗어 있는 이 나무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9년에 전쟁에서 사망한 UM 학생, 졸업생, 교직원을 기리기 위해 심어졌으며, 일부는 전투에서, 훨씬 더 많은 수는 1918년 독감 유행으로 사망했다. 이 나무들은 몬태나주의 미국 주 나무 목록인 ''소나무''(서부 노란 소나무 또는 폰데로사 소나무)이다. 원래 각 나무 앞에는 이를 기리는 사람의 이름이 적힌 흰색 T자형 보드가 있었고, 1925년에는 콘크리트 표지 위에 35개의 구리 명판으로 교체되었다. 동시에 대학교는 기념 행렬에 가장 가까운 타원형 가장자리에 있는 바위에 기념비를 추가했다. 1919년의 31명의 헌정자 중 21명의 이름을 나열하고 있다. 1925년까지 대학교는 공식 명단에 있는 이름을 35개로 늘렸고, 얼마 후 37개로 늘어났다.[17]

주요 관심 장소:

  • 모린 앤 마이크 만스필드 도서관
  • 모린 앤 마이크 만스필드 재단
  • 필립 L. 라이트 동물학 박물관
  • 몬태나 대학교 표본실
  • 워싱턴-그리즐리 스타디움
  • spectrUM 발견 지역

3. 2. 주요 건물 및 시설



캠퍼스는 220acre 면적에 동쪽으로는 센티넬 산, 북쪽으로는 클라크 포크 강과 접해 있다. 메인 캠퍼스는 64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9개의 기숙사, 26,500석 규모의 미식축구 경기장인 워싱턴-그리즐리 스타디움, 7,500석 규모의 다목적 경기장인 아담스 센터(구 달버그 아레나) 등 다양한 운동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요 랜드마크는 다음과 같다.

; 타원형

동서로 뻗어 있는 3acre 크기의 잔디밭으로, 전통적으로 대학의 중심을 상징한다. 1896년 나무 심는 날에 타원형 주변에 두 줄의 나무가 심어졌으나, 많은 나무가 죽어 다시 심는 과정에 있다. 타원형 서쪽 끝에는 1969년 세라믹 예술가이자 조각가인 루디 아우티오가 제작한 실물 크기의 회색곰 동상이 있다.[14] 이 청동상은 높이가 7feet이고 무게가 약 2267.96kg이며, 제작에 1년이 걸렸다.[15]

; "M" 트레일

약 4.83km 길이의 트레일로, 13개의 헤어핀 턴이 있으며, 센티넬 산 기슭에서 약 0.91m 에서 약 0.91m까지 약 188.98m를 올라간다. 1908년경 임업 클럽 회원들이 산에 지그재그 트레일을 만들고 학생들이 몬태나 대학교의 상징을 만들기 위해 돌을 가져왔다. 1968년 125by 크기의 콘크리트 "M"이 건설되기 전까지, 매년 신입생들이 "M"에 올라 백색 석회를 칠하고 잡초와 잔디를 제거하는 전통이 있었다. 현재는 매년 가을 홈커밍 축제 기간 동안 "M"에 불을 밝히는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16]

; 기념 행렬

캠퍼스 북쪽에는 29그루의 상록수가 두 개의 열을 이루어 기념 행렬을 형성하고 있다. 이 나무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9년에 전쟁에서 사망한 몬태나 대학교 학생, 졸업생, 교직원을 기리기 위해 심어졌다.[17] 이 나무들은 몬태나주의 미국 주 나무 목록인 ''소나무''(서부 노란 소나무 또는 폰데로사 소나무)이다.

주요 관심 장소는 다음과 같다.

  • 모린 앤 마이크 만스필드 도서관
  • 모린 앤 마이크 만스필드 재단
  • 필립 L. 라이트 동물학 박물관
  • 몬태나 대학교 표본실
  • 워싱턴-그리즐리 스타디움
  • spectrUM 발견 지역

4. 학문

몬태나 대학교는 1893년 몬태나 주에 설립된 주립 대학교로, 약 14,0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비교적 소규모 대학이다. 미줄라에 위치하며, 캐나다와 국경을 접하고 로키 산맥과 국립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등 녹지로 둘러싸인 캠퍼스를 자랑한다. 산림학, 환경학, 저널리즘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며, 특히 저널리즘 분야에서는 8명의 퓰리처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일본의 세이죠 대학,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도요 대학과 협정을 맺고 있다.

4. 1. 단과대학 및 대학원

몬태나 대학교는 11개의 단과대학 및 스쿨로 구성되어 있다.

  • 인문 과학 대학
  • 필리스 J. 워싱턴 교육 및 인문 과학 대학
  • W.A. 프랭크 임학 및 보존 대학
  • 보건 전문 및 생명 의학 대학
  • 시각 및 공연 예술 대학
  • 알렉산더 블루엣 III 법학 스쿨
  • UM 경영 대학
  • UM 언론 스쿨
  • UM 확장 및 평생 학습 스쿨
  • 미줄라 칼리지 및 비터루트 칼리지


필리스 J. 워싱턴 교육 및 인문 과학 대학은 5개의 학과와 교육 연구 서비스 연구소로 나뉜다. 1914년 몬태나 대학교 법학 스쿨은 미국 법학 대학 협회 회원으로 가입했으며, 1923년 미국 변호사 협회로부터 인증을 받았다. W.A. 프랭크 임학 및 보존 대학은 5개의 학부 전공(생태계 과학 및 복원, 임학, 공원,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 관리, 자원 보존, 야생 생물학)과 5개의 이학 석사 및 3개의 박사 학위를 제공한다.

몬태나 대학교는 7개의 단과대학과 2개의 전문대학원을 포함한다.

단과대학 및 대학원
인문과학대학 (1893)
필리스 J. 워싱턴 교육 및 인간과학 칼리지 (2009)
W.A. 프랑케 임업 및 보존 칼리지 (1913)
보건 전문 및 생명 의학 과학 칼리지
* 스카그스 약학대학 (1907)
* 물리치료 및 재활 과학 학교
* 사회복지 학교
* 공중 보건 및 지역 사회 보건 과학 학교
미줄라 칼리지 (1956)
* 기술 칼리지
* 비터루트 칼리지 (해밀턴, MT)
예술 및 미디어 칼리지
* 미술 학교
* 연극 및 무용 학교
* 미디어 예술 학교
* 음악 학교 (1893)
* 저널리즘 학교 (1914)
데이비슨 명예 칼리지 (1991)
경영대학 (1918)
법학대학원 (1911)


4. 2. 입학

2017년 가을 학기에 몬태나 대학교에 6,182명의 학생이 지원했으며, 이 중 93%가 합격했다. 신입생의 평균 고등학교 GPA는 3.55였으며, SAT 점수의 중간 50% 범위는 읽기 및 쓰기 540-650점, 수학 520-620점이었다. ACT 종합 점수 범위는 21~26점이었다.[13]

4. 3. 연구

몬태나 대학교는 11개의 단과대학 및 스쿨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인문 과학 대학, 필리스 J. 워싱턴 교육 및 인문 과학 대학, W.A. 프랭크 임학 및 보존 대학, 보건 전문 및 생명 의학 대학, 시각 및 공연 예술 대학, 알렉산더 블루엣 III 법학 스쿨, UM 경영 대학, UM 언론 스쿨, UM 확장 및 평생 학습 스쿨, 미줄라 칼리지, 비터루트 칼리지가 포함된다.

필리스 J. 워싱턴 교육 및 인문 과학 대학은 5개 학과와 교육 연구 서비스 연구소로 나뉜다. 1914년 몬태나 대학교 법학 스쿨은 미국 법학 대학 협회에 가입했으며, 1923년 미국 변호사 협회로부터 인증을 받았다. W.A. 프랭크 임학 및 보존 대학은 5개 학부 전공(생태계 과학 및 복원, 임학, 공원,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 관리, 자원 보존, 야생 생물학)과 5개의 이학 석사 및 3개의 박사 학위를 제공한다.

5. 학생 생활

몬태나 대학교에는 다양한 학생 단체와 국제 교류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캠퍼스 내에는 7개의 프래터니티와 4개의 소로리티 지부가 있다. 프래터니티에는 파이 델타 세타(1921), 시그마 누(1904), 시그마 치(1905), 시그마 파이 엡실론(1918), 시그마 알파 엡실론(1927), 카파 시그마(1927)가 있으며,[23] 소로리티에는 카파 알파 세타(1909), 카파 카파 감마(1909), 델타 감마(1911), 알파 파이(1918)가 있다.

1924년, 몬태나 대학교 최초의 교환 학생이었던 알렉스 스테판조프를 포함한 러시아인 5명은 국제 학생 클럽을 설립했다. 이는 몬태나 대학교에서 가장 오래된 학생 단체이다. 1971년에는 프랑스, 독일, 스페인으로의 해외 유학 프로그램이 처음으로 개설되었고, 1981년에는 맨스필드 센터 설립과 함께 영어 교육(TESL) 자격증 과정이 시작되었다.[24] 2010년을 기준으로 몬태나 대학교는 40개국 이상, 90개 이상의 대학교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일본(8개), 중국(7개), 칠레(7개) 대학과의 교류가 활발하다.[25]

1997년에는 중앙 아시아 및 서남아시아 프로그램이 신설되었다. 몬태나 대학교는 미국에서 유일하게 중앙 및 서남아시아 연구 학사 학위를 제공하는 대학이다. 2010년 9월, 몬태나 대학교 이사회는 중앙 및 서남아시아 연구 센터 설립을 만장일치로 승인하였다.[26][27][28]

5. 1. 학생 구성

2022년 5월 2일 기준 몬태나 대학교의 학생 구성은 다음과 같다.[22]

2022년 5월 2일 기준 학생 구성
인종 및 민족총계
백인76%
기타Other|기타영어10%
히스패닉6%
아메리카 원주민5%
아시아인1%
외국 국적1%
흑인1%
경제적 다양성총계
저소득층35%
부유층65%



캠퍼스에는 다양한 학생 단체가 존재한다. 7개의 프래터니티와 4개의 소로리티가 캠퍼스에 지부를 두고 있다. 프래터니티는 파이 델타 세타 (1921), 시그마 누 (1904년 몬태나 대학교 설립), 시그마 치 (1905), 시그마 파이 엡실론 (1918), 시그마 알파 엡실론 (1927), 카파 시그마 (1927)이다.[23] 소로리티는 카파 알파 세타 (1909), 카파 카파 감마 (1909), 델타 감마 (1911), 알파 파이 (1918)이다.

몬태나 대학교의 국제 프로그램은 1924년 국제 학생 클럽으로 시작되었다. 이 클럽은 몬태나 대학교의 첫 번째 교환 학생이었던 알렉스 스테판조프와 다른 네 명의 러시아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몬태나 대학교에서 가장 오래된 학생 단체이다. 최초의 해외 유학 프로그램은 1971년 프랑스, 독일, 스페인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어졌다. 1981년에는 맨스필드 센터가 설립되었고 영어 교육 (TESL) 자격증 과정이 시작되었다.[24] 2010년 기준으로 몬태나 대학교는 40개국 이상, 90개 이상의 대학교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파트너십이 가장 많은 국가는 일본(8개), 중국(7개), 칠레(7개)이다.[25]

중앙 아시아 및 서남아시아에 대한 프로그램은 1997년에 만들어졌다. 몬태나 대학교는 현재 중앙 및 서남아시아 연구 학사 학위를 제공하는 유일한 미국 대학교이다. 2010년 9월 몬태나 대학교 이사회는 몬태나 대학교 내 중앙 및 서남아시아 연구 센터 설립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26][27][28]

5. 2. 학생 단체

2022년 5월 2일 기준 학생 구성은 다음과 같다.[22]

인종 및 민족총계
백인76%
기타10%
히스패닉6%
아메리카 원주민5%
아시아인1%
외국 국적1%
흑인1%
경제적 다양성
저소득층35%
부유층65%


  • 기타는 다인종 미국인과 언급을 원치 않는 사람들로 구성된다.
  • 저소득층은 소득 기반 연방 펠 그랜트를 받은 학생의 비율이다.
  • 부유층은 최소한 미국 중산층에 속하는 학생의 비율이다.


다양한 학생 단체가 캠퍼스에 존재한다. 7개의 프래터니티와 4개의 소로리티가 캠퍼스에 지부를 두고 있다. 프래터니티는 파이 델타 세타 (1921), 시그마 누 (1904년 몬태나 대학교 설립), 시그마 치 (1905), 시그마 파이 엡실론 (1918), 시그마 알파 엡실론 (1927), 카파 시그마 (1927)이다.[23] 소로리티는 카파 알파 세타 (1909), 카파 카파 감마 (1909), 델타 감마 (1911), 알파 파이 (1918)이다.

몬태나 대학교의 국제 프로그램은 1924년 국제 학생 클럽으로 시작되었다. 이 클럽은 몬태나 대학교의 첫 번째 교환 학생이었던 알렉스 스테판조프와 다른 4명의 러시아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몬태나 대학교에서 가장 오래된 학생 단체이다. 최초의 해외 유학 프로그램은 1971년 프랑스, 독일, 스페인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어졌다. 1981년에는 맨스필드 센터가 설립되었고 영어 교육 (TESL) 자격증 과정이 시작되었다.[24] 2010년 기준으로 몬태나 대학교는 40개국 이상, 90개 이상의 대학교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파트너십이 가장 많은 국가는 일본(8개), 중국(7개), 칠레(7개)이다.[25]

중앙 아시아 및 서남아시아에 대한 프로그램은 1997년에 만들어졌다. 몬태나 대학교는 현재 중앙 및 서남아시아 연구 학사 학위를 제공하는 유일한 미국 대학교이다. 2010년 9월 몬태나 대학교 이사회는 몬태나 대학교 내 중앙 및 서남아시아 연구 센터 설립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26][27][28]

5. 3. 국제 교류

몬태나 대학교의 국제 프로그램은 1924년 국제 학생 클럽으로 시작되었다. 이 클럽은 몬태나 대학교의 첫 교환 학생이었던 알렉스 스테판조프와 다른 네 명의 러시아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몬태나 대학교에서 가장 오래된 학생 단체이다. 최초의 해외 유학 프로그램은 1971년 프랑스, 독일, 스페인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어졌다. 1981년에는 맨스필드 센터가 설립되었고 영어 교육(TESL) 자격증 과정이 시작되었다.[24] 2010년 기준으로 몬태나 대학교는 40개국 이상, 90개 이상의 대학교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파트너십이 가장 많은 국가는 일본(8개), 중국(7개), 칠레(7개)이다.[25]

중앙 아시아 및 서남아시아에 대한 프로그램은 1997년에 만들어졌다. 몬태나 대학교는 현재 중앙 및 서남아시아 연구 학사 학위를 제공하는 유일한 미국 대학교이다. 2010년 9월 몬태나 대학교 이사회는 몬태나 대학교 내 중앙 및 서남아시아 연구 센터 설립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26][27][28] 일본과는 세이죠 대학,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도요 대학과 협정을 맺고 있다.

5. 4. 교통

몬태나 대학교는 마운틴 라인 버스 시스템의 1, 8, 12번 노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2015년 1월부터 모든 마운틴 라인 버스는 일반인에게 무료이지만, 일요일에는 운행하지 않는다.[29]

대학교는 본관 북쪽과 남쪽에 두 개의 환승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이스트 브로드웨이의 미줄라 칼리지, 메인 캠퍼스, 히긴스 애비뉴의 루이스 앤 클락 빌리지를 운행한다. 셔틀은 가을 및 봄 학기 동안 매 10~20분마다 오전 7시 25분부터 오후 6시 15분까지 운행한다.[30] UDASH는 캠퍼스에서 루이스 앤 클락(학생 기숙사)까지, 다시 캠퍼스로 돌아와 시내로 매 30분마다 운행하는 심야 셔틀 서비스이다.[31]

ASUM 크루저 협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Griz 카드로 최대 이틀 동안 노란색 크루저 자전거(남녀공용, 조명, 바구니, 잠금장치 포함)를 무료로 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32]

몬태나 대학교(UM)와 미줄라 칼리지 캠퍼스 내 주차는 연중, 월요일~금요일 오전 7시부터 오후 5시까지 주차 허가증 또는 방문객 패스가 필요하다. 방문객의 일일 주차 패스는 3.5달러이며, 학생들은 연간 주차권을 232USD에 구매할 수 있다.

6. 스포츠 (Athletics)

몬태나 대학교의 운동팀은 몬태나 그리즐리스(Montana Grizzlies)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종종 그리즈 또는 레이디 그리즈(여자 농구팀 한정)로 줄여 부른다.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 빅 스카이 컨퍼런스 소속으로, 1963년 컨퍼런스 창설 이후 참가하고 있다. 1924년부터 1950년까지는 퍼시픽 코스트 컨퍼런스(현재의 팩 12) 회원이었다. 몬태나 주립 대학교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Brawl of the Wild"라는 주 대항 미식축구 경기와 "Copper Cup"이라는 주 대항 클럽 라크로스 경기가 유명하다.

6. 1. 주요 스포츠 팀

몬태나 그리즐리스 로고


몬태나 대학교의 운동팀은 몬태나 그리즐리스(Montana Grizzlies)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종종 그리즈 또는 레이디 그리즈(여자 농구팀 한정)로 줄여 부른다.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 빅 스카이 컨퍼런스 소속으로 1963년 컨퍼런스 창설 이후 참가하고 있다. 1924년부터 1950년까지는 퍼시픽 코스트 컨퍼런스(현재의 팩 12) 회원이었으며, 몬태나 주립 대학교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Brawl of the Wild"라는 주 대항 미식축구 경기와 "Copper Cup"이라는 주 대항 클럽 라크로스 경기가 유명하다.

주요 스포츠 팀은 다음과 같다.

  • 몬태나 그리즐리스 미식축구 – 1990년대 이후 빅 스카이 컨퍼런스와 NCAA 풋볼 챔피언십 하위 리그(2006년 이전에는 디비전 I-AA)에서 강력한 팀으로 자리매김했다. 1995년과 2001년에 I-AA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다.
  • 몬태나 그리즐리스 남자 농구 – 최근 빅 스카이 컨퍼런스 강팀으로, 2005년, 2006년, 2010년, 2012년, 2013년, 2018년, 2019년에 NCAA 남자 디비전 I 농구 토너먼트에 컨퍼런스 대표로 참가했다. 2006년 토너먼트에서는 12번 시드로 5번 시드인 네바다 대학교, 리노를 87-79로 꺾는 이변을 연출(31년 만의 토너먼트 승리)했으나, 4번 시드 보스턴 칼리지 이글스에 패했다.
  • 몬태나 그리즐리스 여자 농구 – 빅 스카이 컨퍼런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이다. 25년간 17번의 컨퍼런스 타이틀을 획득(최근 2012년)했으며, NCAA 여자 토너먼트에 17번 출전했다. 1978년부터 2016년까지 로빈 셀비그(Montana, 1974) 코치가 지도했으며, 통산 865승 286패(.752 승률)를 기록했다. 셀비그는 772경기 만에 600승을 달성(NCAA 남녀 코치 통틀어 6번째)했고, 여자 농구 코치 역대 최다승 8위로 경력을 마쳤다. 2016년부터 전 선수 섀넌 슈웨옌이 팀을 이끌고 있다.


다른 대학 간 스포츠로는 남자 및 여자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여자 골프, 남자 및 여자 육상, 남자 및 여자 실내 육상, 남자 및 여자 테니스, 여자 배구, 여자 축구, 여자 소프트볼(2015년 추가) 등이 있다.

교내 스포츠로는 남자 라크로스(2007년 MCLA-B 디비전 전국 챔피언십 우승), 여자 라크로스, 알파인 스키 팀(2006년 겨울 전국 챔피언십 출전), 조정, 댄스 및 치어, 남자 및 여자 아이스하키, 남자 축구, 우즈맨 팀, 로데오, 미줄라 풋백 얼라이언스, 트라이애슬론, 사이클링, 펜싱, 제스터 럭비, 베터사이드 여자 럭비 등이 있다.

몬태나 대학교의 마스코트는 그리즐리 베어인 몬테(Monte)이다. 1897년 "베어스"로 알려진 UM 미식축구팀과 함께 살아있는 곰 새끼가 동행(1923년 "그리즐리스"로 변경)했고, 여러 곰 새끼들이 ''테디'', ''페시'', 1960년대 ''코코아''라는 이름으로 마스코트 활동을 했다. 1980년대 UM 복장 마스코트 ''오토''는 미식축구 경기에서 관중들을 즐겁게 했다. 1993년 가을 미줄라 산에서 태어난 ''몬테''(''몬태나''의 줄임말)는 2002-03 및 2004-05년 전국 올해의 마스코트 챔피언(Capital One/ESPN)으로, "오토바이를 타고, 브레이크 댄스를 추고, 백 플립을 하고, 슬램덩크를 하고, 영화를 만들고, 군중 서핑을 하고, 골대를 부수고, 장난을 치는 슈퍼스타"로 발전했다.[33]

6. 2. 기타 스포츠

몬태나 대학교의 운동팀은 몬태나 그리즐리스(Montana Grizzlies)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종종 그리즈 또는 레이디 그리즈(여자 농구팀 한정)로 줄여 부른다. 1963년 빅 스카이 컨퍼런스 창설 이후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 빅 스카이 컨퍼런스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1924년부터 1950년까지는 퍼시픽 코스트 컨퍼런스(현재의 팩 12) 소속이었다. 몬태나 주립 대학교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Brawl of the Wild"라는 미식축구 경기와 "Copper Cup"이라는 클럽 라크로스 경기가 유명하다.

다른 대학 간 스포츠로는 남자 및 여자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여자 골프, 남자 및 여자 육상, 남자 및 여자 실내 육상, 남자 및 여자 테니스, 여자 배구, 여자 축구 등이 있다. 2015년에는 여자 소프트볼 팀이 창단되었다.

교내 스포츠로는 남자 라크로스(2007년 MCLA-B 디비전 전국 챔피언십 우승), 여자 라크로스, 알파인 스키 팀(2006년 겨울 전국 챔피언십 출전), 조정, 댄스 및 치어, 남자 및 여자 아이스하키, 남자 축구, 우즈맨 팀, 로데오, 미줄라 풋백 얼라이언스, 트라이애슬론, 사이클링, 펜싱, 제스터 럭비, 베터사이드 여자 럭비 등이 있다.

몬태나 대학교의 마스코트는 그리즐리 베어인 몬테(Monte)이다.[33] 1897년 "베어스"(1923년 "그리즐리스"로 변경)라는 미식축구팀과 함께 살아있는 곰 새끼가 동행했으며, 여러 곰 새끼들이 마스코트로 활동했다. 처음에는 '테디', 그 다음에는 '페시', 1960년대에는 '코코아'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1980년대 복장 마스코트인 '오토'는 그리즐리 미식축구 경기에서 관중들을 즐겁게 했다. '몬테'(몬태나의 줄임말)는 1993년 가을 미줄라 산에서 태어났으며, 2002-03 및 2004-05년 전국 올해의 마스코트 챔피언(Capital One/ESPN)을 차지했다.

6. 3. 교내 스포츠



몬태나 대학교의 운동팀은 몬태나 그리즐리스(Montana Grizzlies)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그리즈 또는 레이디 그리즈(여자 농구팀 한정)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1963년 빅 스카이 컨퍼런스 창설 이후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의 빅 스카이 컨퍼런스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1924년부터 1950년까지는 퍼시픽 코스트 컨퍼런스(현재의 팩 12의 전신) 소속이었다. 몬태나 주립 대학교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Brawl of the Wild"라는 미식축구 경기와 "Copper Cup"이라는 라크로스 경기가 유명하다.

주요 스포츠 팀은 다음과 같다.

  • 몬태나 그리즐리스 미식축구: 1990년대 이후 빅 스카이 컨퍼런스와 NCAA 풋볼 챔피언십 하위 리그(2006년 이전에는 디비전 I-AA)에서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1995년과 2001년에 전국 우승을 차지했다.
  • 몬태나 그리즐리스 남자 농구: 최근 빅 스카이 컨퍼런스 강팀으로, 2005년, 2006년, 2010년, 2012년, 2013년, 2018년, 2019년에 NCAA 남자 디비전 I 농구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2006년 토너먼트에서는 네바다 대학교, 리노를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31년 만에 토너먼트 승리를 거두었으나, 보스턴 칼리지 이글스에 패배했다.
  • 몬태나 그리즐리스 여자 농구: 빅 스카이 컨퍼런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이다. 25년 동안 17번의 컨퍼런스 우승을 차지했으며(최근 2012년), NCAA 여자 토너먼트에 17번 출전했다. 로빈 셀비그(Montana, 1974) 코치는 1978년부터 2016년까지 팀을 이끌며 통산 865승 286패(.752 승률)를 기록, 여자 농구 코치 역대 최다승 8위에 올랐다. 2016년부터는 섀넌 슈웨옌이 팀을 지도하고 있다.


다른 대학 스포츠로는 남자 및 여자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여자 골프, 남자 및 여자 육상, 남자 및 여자 실내 육상, 남자 및 여자 테니스, 여자 배구, 여자 축구 등이 있다. 2015년에는 여자 소프트볼 팀이 창단되었다.

교내 스포츠로는 남자 라크로스(2007년 MCLA-B 디비전 전국 챔피언십 우승), 여자 라크로스, 알파인 스키 팀(2006년 겨울 전국 챔피언십 출전), 조정, 댄스 및 치어, 남자 및 여자 아이스하키, 남자 축구, 우즈맨 팀, 로데오, 미줄라 풋백 얼라이언스, 트라이애슬론, 사이클링, 펜싱, 제스터 럭비, 베터사이드 여자 럭비 등이 있다.

몬태나 대학교의 마스코트는 그리즐리 베어인 몬테(Monte)이다. 1897년 UM 미식축구팀(''베어스''로 불림, 1923년 ''그리즐리스''로 변경)과 함께 살아있는 곰 새끼가 동행한 것을 시작으로, 여러 곰 새끼들이 마스코트로 활동했다. 1980년대에는 ''오토''라는 복장 마스코트가 활동했고, 1993년 ''몬테''(몬태나의 줄임말)가 등장했다. 몬테는 2002-03 및 2004-05년 전국 올해의 마스코트 챔피언(Capital One/ESPN)에 선정되었으며, 다양한 묘기를 선보이는 슈퍼스타로 성장했다.[33]

6. 4. 마스코트

몬태나 대학교의 마스코트는 그리즐리 베어인 몬테이다. 1897년 "베어스"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몬태나 대학교 미식축구팀은 살아있는 곰 새끼와 함께 경기에 참여했다. (1923년 "그리즐리스"로 변경됨) 그 후 여러 곰 새끼들이 대학 마스코트로 활동했는데, 처음에는 '테디', 그 다음에는 '페시', 1960년대에는 '코코아'라는 이름으로 불렸다.[33] 1980년대에는 '오토'라는 복장을 착용한 마스코트가 그리즐리 미식축구 경기에서 관중들을 즐겁게 했다. '몬테'(몬태나의 줄임말)는 1993년 가을 미줄라 산에서 태어났다. 2002-03년과 2004-05년에 전국 올해의 마스코트 챔피언(Capital One/ESPN)에 선정된 몬테는 "오토바이를 타고, 브레이크 댄스를 추고, 백 플립을 하고, 슬램덩크를 하고, 영화를 만들고, 군중 서핑을 하고, 골대를 부수고, 장난을 치는 슈퍼스타"로 성장했다.[33]

7. 저명한 동문

몬태나 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했다.

몬태나 대학교 주요 동문
분야인물설명
스포츠알도 포르테NFL 미식축구 선수, 시카고 베어스 오펜시브 태클
배리 다로우NFL 미식축구 선수, 클리블랜드 브라운스 오펜시브 태클
브라이언 살로넨NFL 미식축구 선수, 댈러스 카우보이스 타이트 엔드
체이스 레이놀즈NFL 미식축구 선수, 세인트루이스 램스 러닝 백
콜트 앤더슨NFL 미식축구 선수, 버팔로 빌스 세이프티
코리 프로크터NFL 미식축구 선수, 마이애미 돌핀스 가드/센터
댈러스 닐NFL 미식축구 선수, 애틀랜타 팰컨스 스페셜 팀
댄 카펜터NFL 미식축구 선수, 버팔로 빌스 플레이스 키커
데이브 디킨슨캐나다 미식축구 선수, BC 라이언스캘거리 스탬피더스 쿼터백, CFL MVP (2000) 및 그레이 컵 MVP (2006)
더그 베터스NFL 미식축구 선수, 마이애미 돌핀스 디펜시브 엔드
더스틴 린드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타격 코치 및 보조 타격 코치
가이 빙엄NFL 미식축구 선수, 뉴욕 제츠 센터
조시 바넷전 얼티밋 파이팅 챔피언십 헤비급 챔피언, 종합격투기 선수
케론 디실즈이스라엘 내셔널 리그 농구 선수
커크 스크라포드NFL 미식축구 선수, 신시내티 벵골스 오펜시브 라인맨
크로이 비어만NFL 미식축구 선수, 버팔로 빌스 디펜시브 엔드
래리 크리스토비악전 NBA 선수 겸 코치, 현재 유타 대학교 헤드 코치
렉스 힐리어드NFL 미식축구 선수, 마이애미 돌핀스 러닝 백
마크 마리아니NFL 미식축구 선수, 테네시 타이탄스 와이드 리시버, 2011년 프로볼 리턴 스페셜리스트로 선정
마티 모닌위그몬태나 대학교에서 미식축구를 했으며 NFL에서 코치가 됨, 전 볼티모어 레이븐스 오펜시브 코디네이터
마이클 레이 리처드슨전미 농구 협회 선수, 뉴욕 닉스 및 뉴저지 네츠에서 선수로 활약
미키 서튼NFL 미식축구 선수, 로스앤젤레스 램스 코너백
마이크 라제티치NFL 미식축구 선수, 로스앤젤레스 램스 오펜시브 가드
마이크 틸먼NFL 미식축구 선수, 뉴올리언스 세인츠 디펜시브 태클
밀트 포포비치NFL 미식축구 선수, 시카고 카디널스 하프백
라울 알레그레NFL 미식축구 선수, 뉴욕 자이언츠 플레이스 키커
로빈 셀비그농구 선수이자 몬태나 레이디 그리즈 헤드 코치
스콧 커리NFL 미식축구 선수, 그린베이 패커스 오펜시브 라인맨
스콧 그라그NFL 미식축구 선수, 뉴욕 자이언츠 오펜시브 태클
샨 쉴링거NFL 미식축구 선수, 애틀랜타 팰컨스 세이프티
테리 딜런NFL 미식축구 선수, 미네소타 바이킹스 디펜시브 백
팀 하우크NFL 미식축구 선수, 그린베이 패커스 세이프티
트루메인 존슨NFL 미식축구 선수, 로스앤젤레스 램스 코너백
웨인 팅클전 프로 농구 선수이자 대학교 남자 농구팀 헤드 코치, 현재 오리건 주립 대학교 헤드 코치
게일 D. 짐머먼와이오밍 주 의원[34]


7. 1. 정치 및 법조계

재닛 랭킨 (미국 하원에 선출된 최초의 여성)

  • 에드워드 부처 (Edward Butcher영어), 주의원
  • 찰스 E. "칩" 에르드만 (Charles E. "Chip" Erdmann영어), 미국 군사 항소 법원 순회 판사, 전 몬태나 주 대법원 부대법관
  • 포레스트 H. 앤더슨, 몬태나 주 17대 주지사
  • 개리 사우스, 캘리포니아 기반의 민주당 전략가이자 평론가, ASUM 회장 (1973–74), 올해의 전국 선거 운동 본부장 (1998), UM 우수 동문상 (2008)
  • 고든 벨코트, 전 몬태나-와이오밍 부족 지도자 협의회 전무 이사
  • 재닛 랭킨, 미국 하원에 선출된 최초의 여성, 몬태나에서 선출됨[34]
  • 제리 다니엘스, 베트남 전쟁라오스에서 활동한 CIA 요원
  • 짐 메씨나, 정치 참모,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백악관 부비서실장
  • 존 밀코비치, 루이지애나 주 상원 의원이자 변호사, 몬태나주 라운드업 출신
  • 리 민토, 의료 및 여성 권리 운동가이자 전 시애틀-킹 카운티 계획 임신 연맹 전무 이사
  • 마이크 맨스필드, 미국 하원 의원 (1943–1953); 미국 상원 의원 (1953–1977); 상원 다수당 대표 (1961–1977); 정치 경력을 시작하기 전에 대학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고 라틴 아메리카 및 극동 역사를 가르쳤다.
  • 시드니 러니언 토마스, 법학전문대학원 졸업생, 미국 제9 연방 순회 법원 연방 판사
  • 테드 슈윈덴, 몬태나 주 23대 부지사 및 19대 주지사
  • 마이크 맨스필드, 미국의 정치인. 전 주일본 미국 대사.
  • 아놀드 올슨 미국의 정치인
  • 리처드 쇼프 미국의 정치인
  • 워싱턴 J. 매코믹 미국의 정치인
  • 리 메트칼프 미국의 정치인
  • 조셉 모나한 미국의 정치인

7. 2. 언론계

1898년에 창간된 몬태나 카이민은 학생이 운영하는 대학 신문이다. 이 신문은 대학과는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2009년에는 바비 하우크 풋볼 코치가 두 명의 그리즐리 풋볼 선수에 의한 폭행 혐의에 대한 기사에 대한 보복으로 이 신문과의 인터뷰를 거부하면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21] 몬태난은 대학 관계 부서에서 발행하는 대학 동문 잡지이다. 1973년 창작 문예 프로그램에 의해 창간된 컷뱅크문예지이다. 캐머스: 더 네이처 오브 더 웨스트는 환경 연구 프로그램 대학원생들이 운영하는 문학 저널이다.

KBGA(89.9 FM)는 대학 라디오 방송국이다. KUFM-FM은 몬태나 공영 라디오의 본부이자 창립 방송국이다. 1965년에 설립되었으며, 스튜디오는 공연 예술/라디오 텔레비전 센터의 방송 미디어 센터에 위치해 있다. KUFM-TV(채널 11)는 지역 몬태나 PBS 방송국이다.

'''언론계 주요 동문'''

  • 행크 그린: 인기 유튜브 채널 브이로그브라더스의 멤버이자, 교육 채널 크래시 코스와 사이쇼의 제작자, DFTBA 레코드의 공동 설립자
  • 버논 아놀드 하우글랜드: 작가, AP 2차 세계 대전 및 NASA 기자, 최초의 민간인 은성 훈장 수훈자
  • 제니퍼 서보: 22세의 방송 저널리스트
  • 메그 올리버: CBS 심야 뉴스 프로그램 ''Up to the Minute''의 앵커
  • 몰리 우드: CNET의 편집장, 팟캐스트 버즈 아웃 라우드의 진행자

7. 3. 학계


  • Emily Graslie영어, 유튜브 채널 The Brain Scoop의 진행자이자 시카고 필드 자연사 박물관의 초대 수석 호기심 특파원이다.
  • Helen M. Duncan영어, 지질학자이자 고생물학자[36]
  • Harold Urey영어, 물리화학, 1934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동위원소 연구). 대학교의 해럴드 C. 유레이 강당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James B. Yule영어, 미국 산림청의 항공 사진 및 사진 측량법 개척자
  • Jessie M. Bierman영어, 공공 보건 의사이자 학자
  • John P. Grotzinger영어, 지질학 교수
  • Lisa Parks영어, 미디어 학자
  • Mark Angelo영어, 세계 강(World Rivers Day)의 창시자
  • Ragan Callaway영어, 생태학 교수, 생태적 촉진 및 침입종 연구 전문가.
  • R. Thomas Flynn영어, 럿거스 대학교, 오션 커뮤니티 칼리지 및 먼로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근무한 대학 행정가[37]
  • Reynold C. Fuson영어, 화학자
  • Raymond R. Rogers영어, 지질학 교수
  • Stewart M. Brandborg영어, 환경 보호론자
  • Steve Running영어, 생태학 교수, 전 지구적 생태계 모니터링 전문가,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위원
  • Carla Dove영어, 조류학자이자 조류-항공기 충돌 분야의 선구자
  • David Alt영어, 지질학 교수이자 작가
  • Merilyn Manley-Harris영어, 탄수화물 화학자
  • 마이클 조지프 만스필드, 미국의 정치인. 전 주일본 미국 대사.
  • 아놀드 올슨 미국의 정치인
  • 리처드 쇼프 미국의 정치인
  • 워싱턴 J. 매코믹 미국의 정치인
  • 리 메트칼프 미국의 정치인
  • 조셉 모나한 미국의 정치인
  • 잭 호너 미국의 고생물학자

콜린 멀로이, 더 데셈버리스트의 음악가이자 프론트맨


마크 라시코 - 몬태나 주 21대 주지사


J. K. 시몬스 - 배우

7. 4.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 릴리 글래드스톤, 배우
  • 베스 로, 예술가
  • 미겔 델 아귈라,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 캐럴 오코너, 영화 및 텔레비전 배우, 저널리즘 학교 졸업, 올 인 더 패밀리에서 아치 벙커 역할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콜린 멜로이, 디셈버리스트의 리드 싱어이자 작곡가
  • 에릭 브래든, 영화 및 텔레비전 배우, ''더 영 앤 더 레스트리스''에서 빅터 뉴먼 역할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젠 휴이트, 살리시-펜드 오레유 싱어송라이터
  • 조지 몽고메리, 영화 및 텔레비전 배우, 스턴트맨, 화가, 목공예가; 할리우드로 가기 전에 1년 동안 다녔다.
  • J. K. 시몬스, 배우, 위플래쉬에서 오스카상을 수상한 역할, ''스파이더맨'' 영화에서 J. 조나 제임슨 역, ''로 & 오더'', ''더 클로저'', ''오즈''를 포함한 TV 시리즈로 알려져 있다.
  • 제프 에이먼트, 밴드 펄 잼의 창립 멤버; 몬태나 대학교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농구를 했지만, 대학교에서 더 이상 그래픽 디자인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알려준 후 2학년 때 중퇴했다.
  • 리 파웰, 배우
  • 레이건 윌슨, 배우이자 플레이보이 모델
  • 롭 퀴스트, 가수 겸 음악가
  • 사히르 로디, 파키스탄의 영화 및 텔레비전 배우, 라디오 쇼 호스트
  • 수잔 깁슨, 가수 겸 작곡가, 몬태나 대학교 재학 중 더 칙스의 "Wide Open Spaces" 작사
  • 테드 조거건, 각본가 겸 감독, 2015년 공포 영화 ''위 아 스틸 히어''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메리 커크우드, 예술가


7. 5. 스포츠



몬태나 대학교의 운동팀은 몬태나 그리즐리스(Montana Grizzlies)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줄여서 그리즈 또는 레이디 그리즈(여자 농구팀 한정)라고도 한다. 1963년 빅 스카이 컨퍼런스 창설 이후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 빅 스카이 컨퍼런스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1924년부터 1950년까지는 퍼시픽 코스트 컨퍼런스(현재의 팩 12) 소속이었다. 몬태나 주립 대학교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Brawl of the Wild"라는 미식축구 경기와 "Copper Cup"이라는 클럽 라크로스 경기가 유명하다.[33]

몬태나 대학교의 주요 스포츠 팀은 다음과 같다.

  • 몬태나 그리즐리스 미식축구: 1995년과 2001년에 I-AA 전국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빅 스카이 컨퍼런스와 NCAA 풋볼 챔피언십 하위 리그에서 강력한 팀으로 자리 잡았다.
  • 몬태나 그리즐리스 남자 농구: 최근 빅 스카이 컨퍼런스 강팀으로, 2005년, 2006년, 2010년, 2012년, 2013년, 2018년, 2019년에 NCAA 남자 디비전 I 농구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2006년 토너먼트에서는 31년 만에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 몬태나 그리즐리스 여자 농구: 빅 스카이 컨퍼런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으로, 25년 동안 17번의 컨퍼런스 타이틀을 획득했다. 로빈 셀비그 코치는 865승으로 여자 농구 코치 역대 승리 8위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남자 및 여자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여자 골프, 남자 및 여자 육상, 남자 및 여자 실내 육상, 남자 및 여자 테니스, 여자 배구, 여자 축구, 여자 소프트볼(2015년 추가) 팀 등이 있다.

교내 스포츠로는 남자 라크로스(2007년 MCLA-B 디비전 전국 챔피언십 우승), 여자 라크로스, 알파인 스키 팀, 조정, 댄스 및 치어, 남자 및 여자 아이스하키, 남자 축구, 우즈맨 팀, 로데오, 미줄라 풋백 얼라이언스, 트라이애슬론, 사이클링, 펜싱, 제스터 럭비, 베터사이드 여자 럭비 등이 있다.

몬태나 대학교의 마스코트는 그리즐리 베어인 몬테(Monte)이다. 1993년에 등장한 몬테는 2002-03 및 2004-05년 전국 올해의 마스코트 챔피언에 선정될 정도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33]

7. 6. 작가


  • 릴리 글래드스톤(en:Lily Gladstone), 배우
  • 미겔 델 아귈라(en:Miguel del Aguila),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 콜린 멜로이(en:Colin Meloy), 디셈버리스트의 리드 싱어이자 작곡가
  • A.B. 거스리 주니어(en:A.B. Guthrie Jr.), 퓰리처상 수상 작가, 시나리오 작가, 역사학자
  • 앨리 브로시(en:Allie Brosh), 블로거, 웹 코믹 아티스트, 작가; ''과장법과 반쪽(en:Hyperbole and a Half)''의 작가/삽화가
  • 앤드루 션 그리(en:Andrew Sean Greer), 소설 ''레스''(Less)로 2018년 퓰리처상 소설 부문 수상자
  • 앤서니 크로닌(en:Anthony Cronin), 아일랜드 작가이자 시인, 1966년 - 1968년 방문 강사
  • 디어드리 맥네이머(en:Deirdre McNamer), 작가
  • 주디 블런트(en:Judy Blunt), ''브레이킹 클린(en:Breaking Clean)''의 작가, 현재 몬태나 대학교 부교수
  • 에드 스쿠그(en:Ed Skoog), 작가이자 시인
  • 에두아르도 치리노스(en:Eduardo Chirinos), 페루 시인, 몬태나 대학교 부교수 역임
  • J. 로버트 레논(en:J. Robert Lennon), 작가
  • 제임스 웰치 (작가)(en:James Welch), 수상 경력 작가
  • 조안나 클링크(en:Joanna Klink), 시인
  • 리처드 휴고(en:Richard Hugo), 시인이자 교수로 그의 작품은 북서부의 경제적 침체를 반영
  • 섀넌 헤일(en:Shannon Hale), 청소년 판타지 및 성인 소설 작가
  • 윌리엄 피네건(en:William Finnegan), 2015년 회고록 ''야만적인 날들, 서핑 라이프(en:Barbarian Days, A Surfing Life)''로 2016년 퓰리처상 전기/자서전 부문 수상자
  • 릭 드마리니스(en:Rick DeMarinis), 몬태나 대학교에서 가르쳤던 소설가이자 단편 소설 작가

참조

[1] 뉴스 University of Montana new name for Missoula campus https://news.google.[...] 1965-07-01
[2] 웹사이트 UMT History https://libguides.li[...]
[3] 보고서 University of Montana Foundation AUDITED FINANCIALS https://supportum.or[...] University of Montana Foundation 2022-06-30
[4] 웹사이트 Official Graphic Standards Manual for The University of Montana http://www.umt.edu/b[...]
[5] 웹사이트 Montana University System Profile https://mus.edu/hr/M[...] Montana University System
[6] 웹사이트 University of Montana Fall 2024 Census Enrollment Report https://www.umt.edu/[...] 2024-09-18
[7] 웹사이트 Carnegie Classifications Institution Lookup https://carnegieclas[...] Center for Postsecondary Education
[8] 웹사이트 University of Montana Overview http://colleges.usne[...]
[9] 뉴스 UM Student Wins Prestigious Award UM News 2014-04-10
[10] 웹사이트 UM External Scholarship Recipients 1904–present http://www.dhc.umt.e[...]
[1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34 https://www.nobelpri[...]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12] 웹사이트 University of Montana's Past Presidents http://www.umt.edu/p[...]
[13] 웹사이트 Common Data Set 2017-2018 https://www.umt.edu/[...] 2017-10-15
[14] 웹사이트 Grizzly, (sculpture) http://siris-artinve[...] Smithsonian Institution
[15] 웹사이트 2010 Logo Information – NCUR 2010 – The University Of Montana http://www.umt.edu/n[...] Umt.edu
[16] 웹사이트 The Story of Missoula's "M" http://www.makeitmis[...]
[17] 웹사이트 Memorial Row – Memorial Row – The University Of Montana http://umt.edu/memor[...] Umt.edu 2010-11-22
[18] 웹사이트 Montana University System Website http://mus.edu/ Mus.edu
[19] 웹사이트 Accreditation 2010 Self-Study Report ''Standard Six: Governance and Administration'' http://www.umt.edu/s[...]
[20] 웹사이트 Accreditation 2010 Self-Study Report Standard Seven: Finance http://www.umt.edu/s[...]
[21] 뉴스 Bobby Hauck, Kaimin feud goes viral http://www.missoulia[...] 2009-10-24
[22] 웹사이트 College Scorecard: University of Montana https://collegescor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ducation
[23] 웹사이트 Guide to the Kappa Sigma Fraternity. Delta Omicron Chapter (State University of Montana) Records 1916–1978 http://nwda-db.wsuli[...] Nwda-db.wsulibs.wsu.edu 2004-05-21
[24] 웹사이트 History of International Activities at the University of Montana http://www.umt.edu/i[...] University of Montana International Programs
[25] 웹사이트 UM International Partners http://www.umt.edu/i[...] University of Montana International Programs
[26] 웹사이트 Home – Central and Southwest Asian Studies Center – The University Of Montana http://umt.edu/cswa/ Umt.edu
[27] 뉴스 News http://missoulian.co[...]
[28] 웹사이트 UM International Partners https://www.usatoday[...]
[29] 웹사이트 Mountain Line Routes with interactive map http://www.mountainl[...]
[30] 웹사이트 UM Park 'n' Ride http://life.umt.edu/[...]
[31] 웹사이트 UDASH – The University of Montana http://life.umt.edu/[...] Life.umt.edu
[32] 문서 UM Bicycle Information
[33] 웹사이트 Montana Grizzlies website http://www.montanagr[...]
[34] 웹사이트 TRIBUTE TO DR. GAIL ZIMMERMAN; Congressional Record Vol. 165, No. 154 https://www.congress[...] 2019-09-24
[35] 웹사이트 World's Largest Professional Network http://www.linkedin.[...] LinkedIn
[36]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women in science: pioneering lives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US 2000-07-27
[37] 뉴스 Retiring Flynn oversaw time of rapid growth at Monroe Community College http://www.democrata[...] 2008-06-26
[38] 웹사이트 U.S. and Canadian Institutions Listed by Fiscal Year 2009 Endowment Market Value and Percentage Change in Endowment Market Value from FY 2008 to FY 2009 http://www.nacubo.or[...] National Association of College and University Business Offic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