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 (옷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명은 면으로 만든 옷감을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다. 고려 시대에 문익점이 원나라에서 면화 씨를 들여와 재배에 성공하면서 널리 보급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화폐 및 군포 대용으로 사용될 정도로 중요한 물품이었다. 무명은 직조 방식, 가공법, 혼방 소재 등에 따라 평직, 능직, 수자직, 캘리코, 깅엄, 플란넬, 비엘라 등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면섬유 - 문익점
문익점은 고려 말 문신으로,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들여와 전국에 보급하여 백성들의 의생활 향상에 기여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고 조선 시대에 참지의정부사로 추증되었다. - 면섬유 - 면실유
면실유는 목화 씨앗에서 추출한 식물성 기름으로, 튀김용 기름 등으로 사용되다가 쇼트닝의 주요 성분으로 식용유 사용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최근 트랜스 지방 회피 경향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뇌종양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피륙 - 직물
직물은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만든 것으로, 의류, 인테리어,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평직, 능직, 새틴 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 피륙 - 케블라
케블라는 듀폰이 개발한 고강도 아라미드 섬유로, 강철보다 강하고 내열성, 내화학성이 뛰어나 방탄복 등에 사용되지만 자외선에 약하고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테이진, 코오롱 등의 경쟁 제품이 있다.
무명 (옷감) |
---|
2. 역사
한국에서 무명은 삼국시대부터 백첩포(白疊布)라는 이름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1] 고려 말 문익점이 원나라에서 면화씨를 가져와 재배에 성공하면서 널리 보급되었고,[1] 조선 시대에는 왕의 하사품, 무역 물품, 화폐, 세금 징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2]
2. 1. 삼국시대
삼국시대에도 백첩포(白疊布)라고 불리는 직물이 생산되었는데, 이는 초면을 이용한 면직물로 추정된다.[1]2. 2. 고려시대
고려 말 문익점이 원나라에서 면화씨를 가져와 재배에 성공하면서 면직물이 널리 보급되었다.[1]2. 3. 조선시대
조선 초기부터 면포는 왕이 신하에게 내리는 하사품[2]과 무역 물품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면포는 화폐 역할도 했는데, 거래와 세금 징수에도 쓰였다.[2] 15세 이상 백성은 평상시 군역 대신 군포를 냈다.[2] 승려는 도첩을 받으려면 정포 30필을 나라에 바치고 군포를 면제받았다.[2]3. 주요 면직물 종류
면직물은 직조 방식, 가공법, 혼방 소재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종류 | 설명 |
---|---|
개버딘 | |
캘리코 | 표백하지 않은 면직물 |
깅엄 | 선염사를 사용한 체크나 줄무늬 면직물 |
코튼 새틴 | |
코튼 트윌 (능직) | |
코듀로이 (골덴) | |
서지 (능직) | |
시팅 | |
조젯 | |
크레이프 (면 시지미, 양류) | |
Stretch fabric|스트레치 브로드영어 | |
Jersey (fabric)|스무스 편영어 (인터록 편, 양면 편) | |
타월지 (파일지) | 파일을 세워 흡수성을 높임 |
데님 | |
천축 (텐지쿠, 평편) | |
토왈 | |
도비직 | |
비엘라 | 모(55%)와 면(45%)을 혼방한 능직물 (넬의 일종) |
Ribbing (knitting)|프라이스 편영어 (리브 편) | |
플란넬 (넬) | 표면 기모 처리 |
브로드 (포플린) | |
벨벳 | |
캔버스 | |
Voile|보일영어 | |
몰스킨 | |
라샤 | |
생명사|론한국어 | |
Waffle fabric|와플영어 (써멀 편) | |
유카타지 | |
아이즈 면 | |
아와 시지라직 | |
이시다지마 | |
이요가스리 | |
엔슈 면 | |
가즈사 면 | |
쿠루메가스리 | |
오구라직 | |
사가라 면 | |
치타 면 | |
테누구이 | |
토잔 | |
반슈직 | |
마츠사카 면 | |
민사직 | |
야에야마 민사 | |
야나이 지마 |
3. 1. 직조 방식에 따른 분류
- End-on-end영어
- 카스리(면이 주를 이루지만, 마나 실크로 된 것도 있다)
- Organdy영어
- Oxford (cloth)영어
- Piqué (weaving)영어 (가노코)
- Kersey (cloth)영어 - 세로실에 뭉치사 또는 털실을 2가닥씩 묶어 사용하고, 가로실에는 염색사(2가닥 묶음도 있음)를 사용한 2/2 능직물.
- 캠브릭(샹브레이)
- 개버딘
- 캘리코
- 깅엄
- 코튼 새틴
- 코튼 트윌 (능직)
- 코듀로이 - 골덴
- 서지 (능직)
- 시팅
- 조젯
- 크레이프 (면 시지미, 또는 양류(요류))
- Stretch fabric영어
- Jersey (fabric)영어 (인터록 편, 양면 편)
- 타월지 - 파일지
- 데님
- 천축 (텐지쿠, 평편)
- 토왈
- 도비직
- 비엘라 - 넬의 일종. 모(55%)와 면(45%)을 혼방한 실을 사용한 능직물.
- Ribbing (knitting)영어 (리브 편)
- 플란넬 (넬)
- 브로드 (포플린)
- 벨벳
- 캔버스
- 보일
- 몰스킨
- 라샤
- 론
- Waffle fabric영어 (써멀 편)
- 유카타지
- 아이즈 면
- 아와 시지라직
- 이시다지마
- 이요가스리
- 엔슈 면
- 가즈사 면
- 쿠루메가스리
- 오구라직
- 사가라 면
- 치타 면
- 테누구이
- 토잔
- 반슈직
- 마츠사카 면
- 민사직
- 야에야마 민사
- 야나이 지마
3. 2. 가공법에 따른 분류
- 캘리코: 표백하지 않은 면직물로, 자연스러운 색감과 질감을 가진다.
- 깅엄: 선염한 실을 사용하여 체크나 줄무늬를 낸 면직물이다.
- 타월지: 파일(고리 모양의 섬유)을 세워 흡수성을 높인 면직물이다.
- 플란넬(넬): 표면을 기모 처리하여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준다.
3. 3. 혼방 소재에 따른 분류
비엘라는 넬의 일종으로, 모(55%)와 면(45%)을 혼방한 실을 사용한 능직물이다.3. 4. 기타 면직물
- 카스리(면이 주를 이루지만, 마나 실크로 된 것도 있다)
- Organdy|오간디영어
- Oxford (cloth)|옥스포드 (옷감)영어
- Piqué (weaving)|피케영어 (가노코)
- Kersey (cloth)|커지영어 - 세로실에 뭉치사 또는 털실을 2가닥씩 묶어 사용하고, 가로실에는 염색사(2가닥 묶음도 있음)를 사용한 2/2 능직물.
- 캠브릭(샹브레이)
- 개버딘
- 코듀로이 (골덴)
- 시팅
- 조젯
- 크레이프 (면 시지미, 또는 양류(요류))
- Stretch fabric|스트레치 브로드영어
- Jersey (fabric)|스무스 편영어 (인터록 편, 양면 편)
- 도비직
- 토왈
- 벨벳
- 캔버스
- Voile|보일영어
- 몰스킨
- 라샤
- 생명사|론한국어
- Waffle fabric|와플영어 (써멀 편)
4. 한국 전통 면직물
- 아이즈 면
- 아와 시지라직
- 이시다지마
- 이요가스리
- 엔슈 면
- 가즈사 면
- 쿠루메가스리
- 오구라직
- 사가라 면
- 치타 면
- 테누구이
- 토잔
- 반슈직
- 마츠사카 면
- 민사직
- 야에야마 민사
- 야나이 지마
5. 갤러리
참조
[1]
뉴스
문익점 목화 면직물과 능산리 백제 면직물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0-07-16
[2]
문서
한 필의 크기는 가로 3자(95cm) 세로 40자(1290cm) 정도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