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광주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안광주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광주광역시 광산구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2002년 88올림픽고속도로 연장으로 지정되어 2008년 무안공항 나들목에서 운수 나들목 구간이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2007년 무안공항 나들목 ~ 나주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9년 서광산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총 연장은 41.35km이며, 전 구간 왕복 4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안광주고속도로 - 동함평 나들목
동함평 나들목은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월산리에 위치한 무안광주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학동로를 통해 연결되며 국도 제1호선 등과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 무안광주고속도로 - 함평 분기점
함평 분기점은 전라남도 함평군에 위치하며 무안광주고속도로와 서해안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으로, 직결 램프가 포함된 클로버형 입체 교차로이다. - 광주 광산구의 교통 - 극락강역
극락강역은 1922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1938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호남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광주 광산구의 교통 - 광주송정역
광주송정역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호남선과 호남고속선의 철도역으로, 다양한 열차 운행 및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연결, 그리고 5면 10선의 승강장을 갖춘 교통 허브이다. - 함평군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함평군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무안광주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노선 번호 | 고속국도 제12호선의 일부 |
노선명 | 무안광주고속도로 |
로마자 표기 | Muan Gwangju Gosok Doro |
한글 표기 | 무안광주고속도로 |
한자 표기 | 務安光州高速道路 |
대체 명칭 | 무안-광주 고속도로 |
노선 정보 | |
총 연장 | 41.3 km |
개통일 | 2007년 11월 9일 (무안공항 ~ 나주) 2008년 5월 28일 (나주 ~ 운수) |
기점 |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
종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
주요 경유지 | 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남도 함평군, 전라남도 나주시, 광주광역시 |
주요 교차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77호선 |
지도 정보 | |
![]() | |
2. 역사
- 2002년 12월 5일: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 광주광역시 광산구 구간이 88올림픽고속도로로 연장 지정되었다.[6]
- 2002년 12월 6일: 2007년 12월까지 무안 ~ 광주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41.62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7]
- 2005년 12월 9일: 5공구 구간 노선 변경으로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동산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 40.79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8]
- 2007년 11월 9일: 무안공항 나들목 ~ 나주 나들목 30.4km 구간이 개통되었다.[9]
- 2008년 1월 3일: 무안공항 나들목 ~ 운수 나들목 구간이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분할되어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10]
- 2008년 5월 28일: 서광산 나들목을 제외한 나주 나들목 ~ 운수 나들목 10.95km 구간이 개통되었다.[11]
- 2008년 6월 13일: 호남대학교 민원으로 운수 나들목 일부 램프 연장 공사로 인해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동산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 40.79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12]
- 2009년 9월 29일: 서광산 나들목이 개통되었다.[13]
- 2010년 12월 28일: 도로명주소에 무안공항 나들목부터 운수 나들목까지 41.3km 구간을 '''무안광주고속도로'''로 고시하였다.[14]
-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 종점을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으로 명시하였다.[15]
2. 1. 2002년 ~ 2007년: 건설 시작 및 무안-나주 구간 개통
- 2002년 12월 5일: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 광주광역시 광산구 구간이 88올림픽고속도로로 연장 지정되었다.[6]
- 2002년 12월 6일: 2007년 12월까지 무안 ~ 광주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41.62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7]
- 2005년 12월 9일: 5공구 구간 노선 변경으로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동산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 40.79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8]
- 2007년 11월 9일: 무안공항 나들목 ~ 나주 나들목 30.4km 구간이 개통되었다.[9]
2. 2. 2008년 ~ 현재: 나주-운수 구간 개통 및 확장
- 2007년 11월 9일: 무안공항 나들목 ~ 나주 나들목 30.4km 구간이 개통되었다.[9]
- 2008년 1월 3일: 무안공항 나들목 ~ 운수 나들목 구간이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분할되어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10]
- 2008년 5월 28일: 서광산 나들목을 제외한 나주 나들목 ~ 운수 나들목 10.95km 구간이 개통되었다.[11]
- 2008년 6월 13일: 호남대학교 민원으로 운수 나들목 일부 램프 연장 공사로 인해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동산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 40.79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12]
- 2009년 9월 29일: 서광산 나들목이 개통되었다.[13]
- 2010년 12월 28일: 도로명주소에 무안공항 나들목부터 운수 나들목까지 41.3km 구간을 '''무안광주고속도로'''로 고시하였다.[14]
-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 종점을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으로 명시하였다.[15]
3. 구성
무안광주고속도로는 전 구간 왕복 4차로, 총 연장 41.35km로 구성되어 있다. 최고 제한 속도는 100km/h,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
이 고속도로에는 보평터널, 함평나비터널, 문평1터널, 문평2터널, 문평3터널, 문평4터널, 문평5터널, 노안터널, 어등산호남대터널 등 여러 터널과 유압천교, 상주교천교, 목동교, 신촌천교, 동산교, 평산1교, 무안천교, 엄다천교, 수호교, 화양1교, 화양2교, 함평천교, 월산1교, 월산2교, 마산교, 학교천교, 백호교, 금곡교, 고막원천교, 송산교, 계로교, 대도2교, 국동교, 오정교, 양천2교, 계림교, 동산1교, 동산2교, 연산1교, 광산교, 황룡강교, 운수교 등 다수의 교량이 있다.
3. 1. 차로수
전 구간이 왕복 4차로이다.3. 2. 총 연장
41.35km3. 3.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속도는 100km/h, 최저 속도는 50km/h이다.3. 4. 터널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연도 | 비고 |
---|---|---|---|---|
보평터널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매곡리 | 937m | 2007년 | |
함평나비터널 |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금곡리 | 863m | 2007년 | 광주 방면 |
860m | 무안 방면 | |||
문평1터널 |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송산리 | 300m | 2007년 | 광주 방면 |
342m | 무안 방면 | |||
문평2터널 |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 | 343m | 2007년 | 광주 방면 |
328m | 무안 방면 | |||
문평3터널 |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 | 260m | 2007년 | 광주 방면 |
255m | 무안 방면 | |||
문평4터널 |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계로리 | 235m | 2007년 | 광주 방면 |
202m | 무안 방면 | |||
문평5터널 |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 | 724m | 2007년 | 광주 방면 |
690m | 무안 방면 | |||
노안터널 |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국동리 | 1180m | 2007년 | 광주 방면 |
1190m | 무안 방면 | |||
어등산호남대터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 1486m | 2008년 |
3. 5. 교량
- 유압천교
- 상주교천교
- 목동교
- 신촌천교
- 동산교
- 평산1교
- 무안천교
- 엄다천교
- 수호교
- 화양1교
- 화양2교
- 함평천교
- 월산1교
- 월산2교
- 마산교
- 학교천교
- 백호교
- 금곡교
- 고막원천교
- 송산교
- 계로교
- 대도2교
- 국동교
- 오정교
- 양천2교
- 계림교
- 동산1교
- 동산2교
- 연산1교
- 광산교
- 황룡강교
- 운수교
4. 나들목 · 분기점
거리
거리
지방도 제815호선 (운해로)
국도 제77호선 (공항로, 현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공항로)
국도 제23호선 (함영로)
국도 제24호선 (함장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영산로)
학동로
연산로
국도 제22호선 (어등대로)
무진대로
이후는 광주대구고속도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