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무안광주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무안광주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광주광역시 광산구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2002년 88올림픽고속도로 연장으로 지정되어 2008년 무안공항 나들목에서 운수 나들목 구간이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2007년 무안공항 나들목 ~ 나주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9년 서광산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총 연장은 41.35km이며, 전 구간 왕복 4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안광주고속도로 - 동함평 나들목
    동함평 나들목은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월산리에 위치한 무안광주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학동로를 통해 연결되며 국도 제1호선 등과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 무안광주고속도로 - 함평 분기점
    함평 분기점은 전라남도 함평군에 위치하며 무안광주고속도로와 서해안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으로, 직결 램프가 포함된 클로버형 입체 교차로이다.
  • 광주 광산구의 교통 - 극락강역
    극락강역은 1922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1938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호남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광주 광산구의 교통 - 광주송정역
    광주송정역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호남선과 호남고속선의 철도역으로, 다양한 열차 운행 및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연결, 그리고 5면 10선의 승강장을 갖춘 교통 허브이다.
  • 함평군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함평군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무안광주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노선 번호고속국도 제12호선의 일부
노선명무안광주고속도로
로마자 표기Muan Gwangju Gosok Doro
한글 표기무안광주고속도로
한자 표기務安光州高速道路
대체 명칭무안-광주 고속도로
노선 정보
총 연장41.3 km
개통일2007년 11월 9일 (무안공항 ~ 나주)
2008년 5월 28일 (나주 ~ 운수)
기점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종점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주요 경유지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남도 함평군, 전라남도 나주시, 광주광역시
주요 교차 도로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77호선
지도 정보
12 Muan-Gwangju.svg
노선도

2. 역사

2. 1. 2002년 ~ 2007년: 건설 시작 및 무안-나주 구간 개통


  • 2002년 12월 5일: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 광주광역시 광산구 구간이 88올림픽고속도로로 연장 지정되었다.[6]
  • 2002년 12월 6일: 2007년 12월까지 무안 ~ 광주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41.62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7]
  • 2005년 12월 9일: 5공구 구간 노선 변경으로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동산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 40.79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8]
  • 2007년 11월 9일: 무안공항 나들목 ~ 나주 나들목 30.4km 구간이 개통되었다.[9]

2. 2. 2008년 ~ 현재: 나주-운수 구간 개통 및 확장

3. 구성

무안광주고속도로는 전 구간 왕복 4차로, 총 연장 41.35km로 구성되어 있다. 최고 제한 속도는 100km/h,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

이 고속도로에는 보평터널, 함평나비터널, 문평1터널, 문평2터널, 문평3터널, 문평4터널, 문평5터널, 노안터널, 어등산호남대터널 등 여러 터널과 유압천교, 상주교천교, 목동교, 신촌천교, 동산교, 평산1교, 무안천교, 엄다천교, 수호교, 화양1교, 화양2교, 함평천교, 월산1교, 월산2교, 마산교, 학교천교, 백호교, 금곡교, 고막원천교, 송산교, 계로교, 대도2교, 국동교, 오정교, 양천2교, 계림교, 동산1교, 동산2교, 연산1교, 광산교, 황룡강교, 운수교 등 다수의 교량이 있다.

3. 1. 차로수

전 구간이 왕복 4차로이다.

3. 2. 총 연장

41.35km

3. 3.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속도는 100km/h, 최저 속도는 50km/h이다.

3. 4. 터널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 연도비고
보평터널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매곡리937m2007년
함평나비터널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금곡리863m2007년광주 방면
860m무안 방면
문평1터널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송산리300m2007년광주 방면
342m무안 방면
문평2터널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343m2007년광주 방면
328m무안 방면
문평3터널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260m2007년광주 방면
255m무안 방면
문평4터널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계로리235m2007년광주 방면
202m무안 방면
문평5터널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724m2007년광주 방면
690m무안 방면
노안터널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국동리1180m2007년광주 방면
1190m무안 방면
어등산호남대터널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1486m2008년


3. 5. 교량


  • 유압천교
  • 상주교천교
  • 목동교
  • 신촌천교
  • 동산교
  • 평산1교
  • 무안천교
  • 엄다천교
  • 수호교
  • 화양1교
  • 화양2교
  • 함평천교
  • 월산1교
  • 월산2교
  • 마산교
  • 학교천교
  • 백호교
  • 금곡교
  • 고막원천교
  • 송산교
  • 계로교
  • 대도2교
  • 국동교
  • 오정교
  • 양천2교
  • 계림교
  • 동산1교
  • 동산2교
  • 연산1교
  • 광산교
  • 황룡강교
  • 운수교

4. 나들목 · 분기점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1무안공항Muan Airport-0.00국도 제77호선 (공항로)
지방도 제815호선 (운해로)전라남도무안군기점2무안공항 요금소Muan Airport TG국도 제24호선 (함장로, 현해로)
국도 제77호선 (공항로, 현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공항로)본선요금소(나들목, 요금소 일체형)북무안N.Muan4.654.65무안방향 진출, 광주방향 진입만 가능3함평 분기점Hampyeong JC4.979.62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함평군SA함평나비휴게소Hampyeong-Nabi SA양방향4동함평E.Hampyeong6.0215.64국도 제1호선 (영산로)
국도 제23호선 (함영로)
국도 제24호선 (함장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영산로)
학동로5문평Munpyeong5.1320.77지방도 제825호선 (체암로)나주시6나주Naju9.6330.40지방도 제822호선 (노안삼도로)7서광산W.Gwangsan4.3834.78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빛가람장성로)
연산로광주광역시광산구TG동광산 요금소E.Gwangsan TG본선요금소8운수Unsu6.5741.35국도 제13호선 (동곡로)
국도 제22호선 (어등대로)
무진대로종점무진대로와 직결
이후는 광주대구고속도로 참고


5. 주요 통과지

무안광주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 함평군, 나주시광주광역시 광산구를 통과한다.

5. 1.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 현경면 - 무안읍) - 함평군 (함평읍 - 엄다면 - 학교면 - 대동면) - 나주시 (문평면 - 노안면)

5. 2.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산동 - 용곡동 - 용동 - 지죽동 - 서봉동 - 선암동 - 운수동)

6. 교통량

2009년 기준 교통량 정보에 따르면[16], 41.3km 전 구간 기준 12시간 통과 차량은 12,495대, 24시간 통과 차량은 16,146대이다. 구간별 최대치는 서광산 나들목에서 운수 나들목까지의 7.1km 구간에서 나타났으며, 24시간당 24,208대가 통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특이사항

광주광역시 부근 운수 나들목을 지나 나오는 터널 이름을 정할 때, 광주광역시는 어등산을 지나므로 '어등산터널'로 하자고 주장했다. 반면 호남대학교는 학교 사이를 지나가므로 '호남대터널'로 하자고 주장하여 갈등이 있었다. 수년간 확정되지 않다가 결국 '어등산호남대터널'로 결정되었다.[17]

참조

[1]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7-446호 http://gwanbo.mois.g[...] 2007-11-09
[2] 간행물 대통령령 제17794호 http://www.law.go.kr[...] 2002-12-05
[3]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7-446호 http://gwanbo.mois.g[...] 2007-11-09
[4]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08-224호 http://gwanbo.mois.g[...] 2008-04-28
[5]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09-859호 http://gwanbo.mois.g[...] 2009-09-29
[6] 간행물 대통령령 제17794호 http://www.law.go.kr[...] 2002-12-05
[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245호 http://gwanbo.mois.g[...] 2002-12-06
[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83호 http://gwanbo.mois.g[...] 2005-12-09
[9]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7-446호 http://gwanbo.mois.g[...] 2007-11-09
[10] 간행물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8-01-03
[11]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08-224호 http://gwanbo.mois.g[...] 2008-04-28
[12]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225호 http://gwanbo.mois.g[...] 2008-06-13
[13]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09-859호 http://gwanbo.mois.g[...] 2009-09-29
[14]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1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16] 웹사이트 2009년 통계 연보 http://www.road.re.k[...] 2010-08-21
[17] 웹사이트 http://www.nocutnew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