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함마드 알셰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함마드 알셰이크는 16세기 모로코의 사드 왕조의 통치자였다. 그는 형제 아흐마드 알아라즈와 함께 포르투갈 세력에 대항하여 사드 왕조의 지휘권을 확보하고, 1524년 마라케시를 정복했다. 와타스 왕조와의 갈등 속에서 포르투갈을 몰아내고 오스만 제국을 모델로 군대를 재편하여 페스를 정복, 모로코의 유일한 왕조로 만들었다. 스페인과의 동맹을 모색했으나 1557년 암살당했으며, 그의 아들 압달라 알갈리브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모로코 사람 - 레오 아프리카누스
16세기 초 북아프리카를 여행하며 『아프리카의 묘사』를 남긴 안달루시아 출신의 탐험가이자 외교관, 작가인 레오 아프리카누스는 이슬람교도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후 유럽인들에게 아프리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세계관을 넓혔으나 유럽 중심적 시각과 부정확한 정보도 포함했다는 평을 받으며, 그의 삶은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16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는 와타스 왕조의 모로코 술탄으로,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공략에 맞서 프랑스와 관계를 개선하려 노력했지만, 사드족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복귀 후 사망했다. - 16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아폰수 2세 (콩고)
아폰수 2세는 16세기 말 콩고 왕국의 왕으로, 디오구 1세 사후 왕위 계승 분쟁기에 포르투갈의 지원을 받아 짧게 통치했으나 불법적인 인물로 여겨져 전복되었고, 그의 이름은 17세기 콩고 역사가의 왕 목록에 남아있다.
무함마드 알셰이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모로코의 술탄 |
원어 이름 | محمد الشيخ |
로마자 표기 | Muḥammad ash-Shaykh |
재위 기간 | 1549년~1557년 |
전임 | 알리 아부 하순 |
후임 | 압달라 알갈리브 |
작위 | 마라케시의 에미르 |
재위 기간 | 1544년~1549년 |
후임 | 아흐마드 알아라지 |
출생일 | 1490년경 |
사망일 | 1557년 10월 23일 |
사망지 | 사드 술탄국 |
아버지 | 아부 압달라 알카임 |
왕조 | 사드 왕조 |
종교 | 순니파 |
묘소 | 사드 왕릉 |
2. 생애
무함마드 알셰이크는 1517년 아버지 아부 압달라 알카임이 사망하자 형 아흐마드 알아라즈와 함께 사드 왕조의 군대를 이끌고 포르투갈에 맞서 싸웠다. 1524년 마라케시를 점령했고,[2] 아흐마드는 마라케시의 에미르가 되었으나 페스를 수도로 삼은 와타스 왕조를 인정했다. 반면 무함마드는 타루단트의 통치자로 남았다.[1]
1527년 와디알바이드 전투에서 와타스 왕조가 패배하자 사드 왕조와 와타스 왕조는 타들라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으로 두 세력은 타들라를 경계로 서로의 영토를 인정했다.[2]
1536년부터 아흐마드의 세력이 커지면서 형제간 갈등이 발생했다.[2] 아흐마드는 알리 아부 하순이 섭정을 하던 와타스 왕조와 동맹을 맺었다. 무함마드는 모로코 남부를 계속 통치하며 1541년 아가디르 등 연안 도시를 점령하여 포르투갈 세력을 몰아냈다. 아가디르를 잃은 포르투갈은 아자모르와 사피에서도 철수했고, 아흐마드는 타필랄레트로 도망쳤다.[1]
사드 술탄국과 알안달루스의 외교 관계는 좋지 않았지만, 무함마드 알셰이크가 포르투갈을 무찔렀다는 소식은 알안달루스인들에게 좋은 영향을 끼쳐 지하드(성전)를 이끈 영웅으로서 전적인 지지를 받았다.[3]
무함마드 알셰이크는 오스만 제국을 본보기로 삼아 군대를 재편한 뒤 1549년 페스를 정복하였다. 이때 알셰이크는 1541년 아가디르 함락 때와 마찬가지로 유럽 포병대를 활용했다.[4] 이후 아들에게 군사를 물려주었고, 아들은 1550년 틀렘센을 점령하여 스페인의 지원을 받던 자이얀 왕조의 술탄을 몰아냈다.[5]
1550년 페스, 크사르엘케비르, 아실라가 차례로 함락되면서 모로코 내 포르투갈 세력은 세우타 (1415년~1668년), 탕헤르 (1471년~1661년), 마자간 (1502년~1769년) 정도만이 군사 거점으로 남게 되었다.[2][6]
와타스 왕조의 알리 아부 하순은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 1554년 초에 다시 한번 페스를 정복하였다. 그러나 1554년 9월 무함마드 알셰이크가 타들라 전투에서 와타스군을 완전히 물리치고 페스를 되찾았다.[7]
무함마드 알셰이크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스페인과 동맹을 모색하였으나 1557년 10월 암살당하면서 뜻을 이루지 못했다. 당시 오스만 제국의 해군제독 하이레딘 바르바로사의 아들 하산 파샤의 명령을 받은 오스만 군인들이 탈영병을 가장하여 알셰이크 휘하 군대로 들어갔다가 암살하였다.[8]
그의 뒤를 이어 아들 압달라 알갈리브가 왕위에 올랐다.
2. 1. 와타스 왕조와의 관계 및 포르투갈과의 전쟁
무함마드 알셰이크는 1517년 아버지 아부 압달라 알카임이 사망하자 형 아흐마드 알아라즈와 함께 사드 왕조의 군대를 이끌고 포르투갈에 맞서 싸웠다. 1524년 마라케시를 점령했고,[2] 아흐마드는 마라케시의 에미르가 되었으나 페스를 수도로 삼은 와타스 왕조를 인정했다. 반면 무함마드는 타루단트의 통치자로 남았다.[1]1527년 와디알바이드 전투에서 와타스 왕조가 패배하자 사드 왕조와 와타스 왕조는 타들라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으로 두 세력은 타들라를 경계로 서로의 영토를 인정했다.[2]
1536년부터 아흐마드의 세력이 커지면서 형제간 갈등이 발생했다.[2] 아흐마드는 알리 아부 하순이 섭정을 하던 와타스 왕조와 동맹을 맺었다. 무함마드는 모로코 남부를 계속 통치하며 1541년 아가디르 등 연안 도시를 점령하여 포르투갈 세력을 몰아냈다. 아가디르를 잃은 포르투갈은 아자모르와 사피에서도 철수했고, 아흐마드는 타필랄레트로 도망쳤다.[1]
2. 2. 안달루시아와의 관계
사드 술탄국과 알안달루스의 외교 관계는 좋지 않았지만, 무함마드 알셰이크가 포르투갈을 무찔렀다는 소식은 알안달루스인들에게 좋은 영향을 끼쳐 지하드(성전)를 이끈 영웅으로서 전적인 지지를 받았다.[3] 무함마드 알셰이크는 당시 기독교 왕국의 레콩키스타로 위협받던 알안달루스를 구원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과 동맹을 맺으려 했으나, 알안달루스와의 외교 갈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3]2. 3.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무함마드 알셰이크는 오스만 제국을 본보기로 삼아 군대를 재편한 뒤 1549년 페스를 정복하였다. 이때 알셰이크는 1541년 아가디르 함락 때와 마찬가지로 유럽 포병대를 활용했다.[4] 이로써 와타스 왕조는 몰락 위기에 처했고 사드 왕조는 모로코의 유일한 왕조가 되었다. 이후 알셰이크는 아들에게 군사를 물려주었고, 아들은 1550년 틀렘센을 점령하여 스페인의 지원을 받던 자이얀 왕조의 술탄을 몰아냈다.[5]1550년 페스, 크사르엘케비르, 아실라가 차례로 함락되면서 모로코 내 포르투갈 세력은 세우타 (1415년~1668년), 탕헤르 (1471년~1661년), 마자간 (1502년~1769년) 정도만이 군사 거점으로 남게 되었다.[2][6]
와타스 왕조의 알리 아부 하순은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 1554년 초에 다시 한번 페스를 정복하였다. 그러나 1554년 9월 무함마드 알셰이크가 타들라 전투에서 와타스군을 완전히 물리치고 페스를 되찾았다.[7] 이에 오스만군은 1556년 오란 공성전에 나섰으나, 무함마드 알셰이크는 스페인과의 동맹을 추진하고 오스만 세력에 속했던 틀렘센을 점령하게 되었다.[7] 그해 사드군의 최종 승리와 알리 아부 하순의 죽음으로 와타스 왕조는 완전히 사라지고 전쟁은 끝이 났다.
2. 4. 암살과 사후
무함마드 알셰이크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스페인과 동맹을 모색하였으나 1557년 10월 암살당하면서 뜻을 이루지 못했다. 당시 오스만 제국의 해군제독 하이레딘 바르바로사의 아들 하산 파샤의 명령을 받은 오스만 군인들이 탈영병을 가장하여 알셰이크 휘하 군대로 들어갔다가 암살하였다.[8]알셰이크는 마라케시의 사드 왕릉에 묻혔으며, 그의 뒤를 이어 아들 압달라 알갈리브가 왕위에 올랐다. 압달라 알갈리브는 1558년 무함마드의 암살을 기회로 공세에 나선 오스만군을 와디알라반 전투에서 격파하였다.[9][10]
참조
[1]
서적
The last great Muslim empires: history of the Muslim world
https://books.google[...]
[2]
서적
A history of the Maghrib in the Islamic period
https://books.google[...]
[3]
웹인용
هل خضع المغرب لنفوذ الإمبراطورية العثمانية ؟
http://almassae.pres[...]
2024-10-14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5]
서적
The last great Muslim empires: history of the Muslim world
https://books.google[...]
[6]
서적
City walls: the urban enceinte in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7]
서적
A history of the Maghrib in the Islamic period
https://books.google[...]
[8]
간행물
Relations entre le Maroc et la Turquie dans la seconde moitié du XVIe siècle et le début du XVIIe siècle (1554-1616)
https://www.persee.f[...]
1973
[9]
웹인용
حكاية مغربية.. العثمانلي يغتال السلطان السعدي والمغاربة يردون في وادي اللبن {{!}} تركيا الآن
https://www.turkeyno[...]
2022-03-13
[10]
서적
Nozhet-Elhâdi : Histoire de la dynastie saadienne au Maroc (1511-1670)
https://books.google[...]
18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