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평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학평론은 문학 작품을 연구하고 평가하는 분야로, 문학의 역사, 비평 방법론, 그리고 다양한 쟁점들을 다룬다. 문학의 역사를 연구하는 것은 표현 형식, 사본의 변천, 문예평론 자체의 역사를 포함하며,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에서 발전해 왔다. 문학 비평은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에서 시작하여 르네상스, 계몽주의, 낭만주의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방법론이 등장했다. 주요 방법론으로는 형식주의, 정신분석 비평, 마르크스주의 비평, 페미니즘 비평, 탈식민주의 비평, 독자 반응 비평 등이 있으며, 신역사주의, 문화 연구, 생태 비평 등도 포함된다. 한국 문학 비평은 순수 문학과 참여 문학 논쟁, 민족 문학론, 서구 이론 수용 문제, 대중문화와 문학 비평, 디지털 시대의 문학 비평 등 다양한 쟁점을 다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문학평론 | |
---|---|
문학 비평 | |
분야 | 문학, 비평 |
하위 분야 | 비평 이론, 문학 이론 |
관련 주제 | 해석학, 탈구축, 페미니즘 문학 비평,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 정신분석학적 문학 비평, 구조주의 문학 비평, 신비평 |
2. 역사
문학 비평의 역사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서양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 문학 비평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책에서 모방(mimesis)과 카타르시스(catharsis) 이론을 제시했다.[3][4] 플라톤(Plato)은 시의 모방적, 허위적 성격을 비판하며 철학적 관점에서 문학을 논했다.[4] 동양에서는 인도의 『나타샤스트라(Natya Shastra)』,[5] 중국 육기의 『문학에 대한 운문』, 유협의 『문학 정신』 등이 고대 문학 비평의 중요한 문헌으로 꼽힌다. 중세 시대에는 종교적 텍스트 해석학(hermeneutics)과 텍스트 주해(exegesis)가 발달하며 세속 문학 연구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6]
르네상스 시대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 재발견되면서 문학 비평이 다시 활기를 띠었다. 로도비코 카스텔베트로는 1570년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대한 주석을 썼다.[1] 17세기 바로크 시대에는 고전 고대로부터 계승된 비례, 조화, 통일성 등의 원칙들이 도전을 받았다. 에마누엘레 테사우로는 은유를 이미지의 보편적 언어이자 최고의 지적 행위로 보았다.[8]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는 인쇄술의 발달과 문학의 상업화로 인해 비평이 대중화되었다.[9][10] 조너선 스위프트와 같은 작가들은 비평을 통해 사회를 풍자하기도 했다. 19세기 초 영국의 낭만주의 운동은 문학 연구에 새로운 미학적 개념을 도입했다. 독일 낭만주의는 단편화된 미학을 강조하고, 영어권 낭만주의보다 ''Witz''(일종의 "재치" 또는 "유머")를 더 높이 평가했다.[22]
19세기 후반에는 아널드처럼 문학 비평을 통해 사회와 문화를 비판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세기 초, 러시아 형식주의와 영미 뉴 크리티시즘이 등장하여 텍스트 자체의 형식과 구조를 중시했다.[14][15][16][17][18] 프루스트, T. S. 엘리엇 등은 사르 보브의 전기적 비평에 반대하며 문학 작품의 자율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생각은 미국의 "신비평"으로 이어졌으며, 프라하 학파의 포르말리즘 비평, 바르트 등에 의한 프랑스파 구조주의 비평으로 대체되었다.
작가 | 주요 저작 |
---|---|
윌리엄 워즈워스 | 서정 발라드 제2판 서문 |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 셰익스피어의 천재성과 동등한 판단력, 총체적 비평의 원리에 관하여, 국가 원수의 안내서, 문학전기 |
존 키츠 | 벤저민 베일리, 조지&토마스 키츠, 존 테일러, 리처드 우드하우스에게 보낸 편지들 |
퍼시 비시 셸리 | 시의 옹호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에커만과의 대화, 격언 279번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미술 철학 |
프란체스코 데 산티스 | 비평 에세이; 이탈리아 문학사 |
토마스 칼라일 | 상징 |
존 스튜어트 밀 | 시란 무엇인가? |
랄프 왈도 에머슨 | 시인 |
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 | 고전이란 무엇인가? |
에드거 앨런 포 | 시적 원리 |
현대 한국 문학 비평은 서구 문학 이론의 수용과 전통적인 관점의 융합, 그리고 한국의 특수한 역사적 경험을 반영하며 발전해왔다. 개화기에는 김억, 김소월 등이 서구 상징주의 시를 번역, 소개하며 새로운 문학 조류를 수용했다. 일제 강점기에는 민족주의적 관점과 계급주의적 관점의 비평이 등장했으며, 특히 카프(KAPF)를 중심으로 한 프로문학 비평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이념 대립과 분단 상황 속에서 문학의 순수성과 참여성을 둘러싼 논쟁이 지속되었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 이후에는 다양한 비평 이론들이 수용되면서 문학 연구의 다원화가 이루어졌다.
2. 1. 고대 및 중세
서양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시학』이 문학 비평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모방(mimesis)과 카타르시스(catharsis) 이론을 제시했다.[3][4] 플라톤(Plato)은 시의 모방적, 허위적 성격을 비판하며 철학적 관점에서 문학을 논했다.[4] 동양에서는 인도의 『나타샤스트라(Natya Shastra)』,[5] 중국 육기의 『문학에 대한 운문』, 유협의 『문학 정신』 등이 고대 문학 비평의 중요한 문헌으로 꼽힌다. 특히, 중세 시대에는 종교적 텍스트 해석학(hermeneutics)과 텍스트 주해(exegesis)가 발달하며 세속 문학 연구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6]2. 2. 르네상스 시대
르네상스 시대 문학 비평은 형식과 내용의 통일성이라는 고전적 개념을 문학적 신고전주의로 발전시켜, 문학을 문화의 중심으로 선포하고 시인과 작가에게 오랜 문학 전통의 보존이라는 임무를 부여했다. 르네상스 비평의 탄생은 1498년 고전 텍스트 발굴, 특히 조르조 발라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시작되었다.[1]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 특히 『시학』은 18세기 후반까지 문학 비평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 로도비코 카스텔베트로는 1570년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대한 주석을 쓴 가장 영향력 있는 르네상스 비평가 중 한 명이다.[1]- 로도비코 카스텔베트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번역과 해설』[1]
- 필립 시드니: 『시에 대한 사과』[1]
- 야코포 마쪼니: 『단테의 코메디아에 대한 옹호』[1]
- 토르콰토 타소: 『영웅 서사시에 관한 논고』[1]
- 프랜시스 베이컨: 『학문의 진보』[1]
- 헨리 레이놀즈: 『신화주의자』[1]
- 존 맨드빌: 『14세기 중반에 쓰여진 것으로, 아마도 프랑스 의사에 의해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됨』[1]
2. 3. 바로크 시대
17세기에는 고전 고대로부터 계승된 비례, 조화, 통일성, decorum과 같은 핵심 비평-미학적 원칙들이 위기를 맞았다. 고전주의는 여전히 문화적 힘을 가지고 있었지만, 통일성, 조화, 예술의 decorum을 주장하는 대신 극단과 탈선을 선호하는 바로크라는 새로운 운동에 도전을 받았다.[8] 바로크 미학의 핵심 개념인 "concetto", "acutezza" (''ingegno''), 그리고 "놀라움" (''meraviglia'')은 1654년 에마누엘레 테사우로의 ''Il Cannocchiale aristotelico'' (아리스토텔레스식 망원경) 출판 전까지 문학 이론에서 완전히 발전하지 못했다.[8] 잠바티스타 마리노의 서사시 ''아도네''와 스페인 예수회 철학자 발타사르 그라시안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이 중요한 논문은 은유를 이미지의 보편적 언어이자 최고의 지적 행위로, 동시에 인공물이자 진리에 접근하는 인식론적으로 특권적인 방식으로 발전시켰다.[8]2. 4. 계몽주의 시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는 문학 비평이 더욱 대중화되었다. 이 시기에는 대중의 읽기 능력 수준이 높아지면서,[9] 읽기는 더 이상 부유하거나 학식 있는 사람들만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인쇄술의 발달, 문학의 상업화와 함께 비평 또한 등장했다.[10] 읽기는 교육적 목적이나 종교적 성격의 신성한 원천으로만 여겨지지 않고, 하나의 오락 형태가 되었다.[11] 문학 비평은 명료하고 대담하며 정확한 글쓰기와 더불어 저자의 종교적 신념이라는 더욱 논란의 여지가 있는 기준을 포함한 가치와 문체에 영향을 받았다.[12] 이러한 비평은 많은 잡지, 신문, 학술지에 실렸다.문학의 상업화와 대량 생산은 부정적인 면도 있었다. 대중을 교육하고 미신과 편견으로부터 보호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신흥 문학 시장은 계몽주의 이론가들의 이상적인 통제에서 점점 벗어나 계몽주의 사업 자체가 계몽주의의 사업이 되었다.[13] 특히 오락 문학의 등장이라는 이러한 발전은 비평의 강화를 통해 다루어졌다.[13] 예를 들어 조너선 스위프트의 많은 작품, 그의 책 ''걸리버 여행기''를 포함하여 비판을 받았는데, 한 비평가는 그것을 "야후들의 혐오스러운 이야기"라고 묘사했다.[12]
2. 5. 낭만주의 시대
19세기 초 영국의 낭만주의 운동은 문학 연구에 새로운 미학적 개념을 도입했다. 문학의 대상이 항상 아름답거나 고귀할 필요는 없으며, 평범한 소재도 숭고의 경지로 끌어올릴 수 있다는 개념이었다. 독일 낭만주의는 단편화된 미학을 강조하고, 영어권 낭만주의보다 ''Witz''(일종의 "재치" 또는 "유머")를 더 높이 평가했다.[22]이 시기 주요 비평가와 저작은 다음과 같다.
작가 | 주요 저작 |
---|---|
윌리엄 워즈워스 | 서정 발라드 제2판 서문 |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 셰익스피어의 천재성과 동등한 판단력, 총체적 비평의 원리에 관하여, 국가 원수의 안내서, 문학전기 |
존 키츠 | 벤저민 베일리, 조지&토마스 키츠, 존 테일러, 리처드 우드하우스에게 보낸 편지들 |
퍼시 비시 셸리 | 시의 옹호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에커만과의 대화, 격언 279번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미술 철학 |
프란체스코 데 산티스 | 비평 에세이; 이탈리아 문학사 |
토마스 칼라일 | 상징 |
존 스튜어트 밀 | 시란 무엇인가? |
랄프 왈도 에머슨 | 시인 |
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 | 고전이란 무엇인가? |
에드거 앨런 포 | 시적 원리 |
낭만주의 이후의 비평은 감성의 우위를 주장하며, 인간 개개인의 개성과 특수성을 중시했다. 생트뵈브는 작가와 작품을 밀접하게 연결하여, 작가의 실제 삶을 통해 작품을 해명하려고 했다.
2. 6.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19세기 후반에는 아널드처럼 문학 비평을 통해 사회와 문화를 비판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세기 초, 러시아 형식주의와 영미 뉴 크리티시즘이 등장하여 텍스트 자체의 형식과 구조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14][15][16][17][18] 이들은 세밀한 독서를 강조했고, 작가의 의도나 독자 반응보다 '단어 그 자체'에 대한 형식과 정밀한 주의를 기울였다.2. 7. 20세기 중반 이후
영국과 미국의 문학계에서는 1960년대 후반까지 신비평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이후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대륙 철학의 영향을 받은 문학 이론들이 부상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중반까지 "이론"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달했으나, 이후 많은 비평가들은 이론적 연구의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문학을 단순히 해석하는 데 더 집중했다.[20]현재 대학 문학과에서는 문학 이론과 대륙 철학에 기반한 접근 방식과 신비평의 영향을 받은 전통적인 방법론이 공존하고 있다. 서구 정전에 대한 관심은 여전하지만, 여성 문학을 비롯한 비전통적인 텍스트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20] 문화 연구의 영향으로 만화책이나 싸구려 잡지/장르 소설과 같은 대중적인 텍스트를 연구하는 비평가들도 있으며, 생태 비평가들은 문학과 자연 과학 간의 연관성을 탐구한다. 다윈주의 문학 연구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문학을 연구하며, 탈비평은 문학 텍스트를 읽고 반응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다.[20]
히로노 유미코는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예로 들어, 전통적 비평, 장르 비평, 독자 반응 비평, 해체 비평, 정신분석 비평, 페미니즘 비평, 젠더 비평, 마르크스주의 비평, 문화 비평, 포스트 콜로니얼 비평, 신역사주의, 문체론적 비평 등 다양한 비평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프루스트, T. S. 엘리엇 등은 사르 보브의 전기적 비평에 반대하며 문학 작품의 자율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생각은 미국의 "신비평"으로 이어졌으며, 프라하 학파의 포르말리즘 비평, 바르트 등에 의한 프랑스파 구조주의 비평으로 대체되었다.
현대 비평은 텍스트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포스트구조주의, 연문학성, 해체 비평 등 다양한 방법론이 혼재하고 있다.
2. 8. 현대 한국 문학 비평
현대 한국 문학 비평은 서구 문학 이론의 수용과 전통적인 관점의 융합, 그리고 한국의 특수한 역사적 경험을 반영하며 발전해왔다. 개화기에는 김억, 김소월 등이 서구 상징주의 시를 번역, 소개하며 새로운 문학 조류를 수용했다.일제 강점기에는 민족주의적 관점과 계급주의적 관점의 비평이 등장했으며, 특히 카프(KAPF)를 중심으로 한 프로문학 비평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이념 대립과 분단 상황 속에서 문학의 순수성과 참여성을 둘러싼 논쟁이 지속되었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 이후에는 다양한 비평 이론들이 수용되면서 문학 연구의 다원화가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포스트모더니즘, 페미니즘, 생태주의 등 새로운 관점의 비평이 등장하며 문학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문학의 사회적 역할과 참여를 강조하는 경향이 강하며,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목소리에 주목하는 비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 주요 방법론
문학 비평은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한다. 주요 방법론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역사주의적 접근법
- 신역사주의: 문학 텍스트를 역사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텍스트와 역사의 상호 관계를 탐구한다.
; 형식주의적 접근법
- 러시아 형식주의
- 내러티브학
- 구조주의
- 탈구조주의
- 해체주의
- 근대주의 문학
- 포스트모더니즘
- 독자 반응 비평: 독자의 경험, 해석, 반응에 따라 작품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 기호학적 문학 비평
- 신비평
- 장르 연구
- 해석학
; 정치적 접근법
-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 문학을 사회적, 경제적 조건의 산물로 보고, 계급 갈등, 이데올로기 등을 분석한다.
- 문화 연구: 문학뿐만 아니라 대중문화, 영화, 텔레비전 등 다양한 문화 현상을 연구하며, 권력, 이데올로기, 젠더, 인종 등의 문제를 다룬다.
- 탈식민주의: 식민지 경험과 그 이후의 문화적, 정치적 영향을 분석한다.
- 페미니즘 문학 비평: 문학 작품을 여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가부장제, 성차별, 여성 억압 등의 문제를 다룬다.
- 생태 비평
; 심리적 접근법
- 원형 문학 비평
- 현상학
- 정신분석적 문학 비평: 문학 작품에 나타난 무의식, 욕망, 상징 등을 분석한다.
- 신인본주의
; 인종 및 성적 접근법
히로노 유미코는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소재로 비평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서, 전통적 비평, 장르 비평, 독자 반응 비평, 해체 비평, 정신분석 비평, 페미니즘 비평, 젠더 비평, 마르크스주의 비평, 문화 비평, 포스트 콜로니얼 비평, 신역사주의, 문체론적 비평, 투명한 비평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1]
각 평론가나 연구자는 자신의 입장, 학설, 연구 대상에 따라 다양한 방법론을 선택하거나 결합하여 사용한다.
3. 1. 형식주의 비평
러시아 형식주의와 영미 뉴 크리티시즘은 텍스트의 세밀한 독서를 강조하며, 작가의 의도나 독자 반응보다는 "단어 그 자체"에 대한 형식과 정밀한 주의를 기울였다는 공통점을 지닌다.[14][15] 이러한 경향은 이들 비평 이론이 쇠퇴한 후에도 지속되었다.[18]20세기 초 발레리, 프루스트, T. S. 엘리엇 등은 사르 보브의 전기적 비평에 반대하며, 작품을 작가로부터 분리하고 문학 작품을 완전히 자율적인 전체로 간주했다. 이러한 생각은 1930년대 이후 미국의 뉴 크리티시즘으로 발전하였다.
야콥손 등 프라하 학파의 포르말리즘 비평은 객관적인 방법에 의한 이미지 분석과 개념화를 위한 독자적인 비평 용어 개발을 특징으로 했지만, 바르트 등에 의한 프랑스파 구조주의 비평에 의해 대체되었다.
3. 2. 정신분석 비평
정신분석 비평은 프로이트와 융 등의 정신분석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문학 작품에 나타난 무의식, 욕망, 상징 등을 분석하는 방법이다.3. 3. 마르크스주의 비평
마르크스주의 비평은 문학을 사회적, 경제적 조건의 산물로 보고, 계급 갈등, 이데올로기 등을 분석한다. 프롤레타리아 문학 옹호 및 육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문학사회학적 비평, 프로이트 및 융의 정신분석학적 비평, 크로체 등의 관념론적·역사적 비평 탄생에 기여했다.3. 4. 페미니즘 비평
페미니즘 비평은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과 같은 문학 작품을 여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가부장제, 성차별, 여성 억압 등의 문제를 다룬다.[1]3. 5. 탈식민주의 비평
히로노 유미코는 문학 평론 방법 중 하나로 탈식민주의 비평을 언급했다.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비평하는 경우에 탈식민주의(포스트 콜로니얼) 비평이 가능하다고 예시를 들었다.[1]3. 6. 독자 반응 비평
독자 반응 비평은 독자의 능동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독자의 경험, 해석, 반응에 따라 작품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히로노 유미코는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소재로 비평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서 독자 반응 비평을 언급했다.3. 7. 신역사주의 비평
히로노 유미코는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소재로 비평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서, 신역사주의 비평은 문학 텍스트를 역사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텍스트와 역사의 상호 관계를 탐구하는 방법론이라고 설명한다.[1]3. 8. 문화 연구
문화 연구는 문학뿐만 아니라 대중문화, 영화, 텔레비전 등 다양한 문화 현상을 연구하며, 권력, 이데올로기, 젠더, 인종 등의 문제를 다룬다.3. 9. 생태 비평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생태 비평'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으므로, '생태 비평'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4. 한국 문학 비평의 쟁점
한국 문학 비평은 다양한 쟁점들을 안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Johns Hopkins Guide to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2]
학술지
Understanding theory, literary theory and literary criticism
https://www.englishj[...]
2024-01-01
[3]
웹사이트
Literary Theory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0-12-01
[4]
서적
Aristotle's Poetics: Translated and with a Commentary by George Whalley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5]
서적
A rasa reader: classical Indian aesthet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6]
서적
Truth and Method
Continuum
2003
[7]
서적
Beyond the Line: Classical Arabic Literary Critics on the Coherence and Unity of the Poem
Brill Publishers
1982
[8]
서적
L’estetica del Barocco
Il Mulino
[9]
서적
The Rise of the Public in Enlightenment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Androids in the Enlightenment: Mechanics, Artisans, and Cultures of the Self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
[11]
서적
The Library: An Illustrated History
Skyhorse
2009
[12]
서적
Reading 1759: Literary Culture in Mid-Eighteenth-Century Britain and France
Bucknell University Press
2013
[13]
서적
A History of German Literary Criticism: 173–1980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4]
서적
The intentional fallacy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Oxford
2024-10-25
[15]
서적
The Encyclopedia of Literary and Cultural Theory
https://onlinelibrar[...]
Wiley
2010-12-24
[16]
학술지
The Intentional Fallacy
https://www.jstor.or[...]
1946
[17]
학술지
The Affective Fallacy
https://www.jstor.or[...]
1949
[18]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Literary Theory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19]
서적
Degenerate Moderns: Modernity as Rationalized Sexual Misbehaviour
https://archive.org/[...]
Ignatius Press
1991
[20]
웹사이트
Contemporary Women's Writing Oxford Academic
https://academic.oup[...]
2019-08-01
[21]
서적
Clio Or, a Discourse on Taste: Addressed to a Young Lady
https://books.google[...]
Davies
2014-10-10
[22]
서적
Formalism, Experience, and the Making of American Literature in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文芸批評(ブンゲイヒヒョウ)とは
https://kotobank.jp/[...]
2019-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