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화부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부부인은 유효립의 딸로, 조선 선조의 서자 정원군의 차남 능원군 이보와 혼인하였다. 1628년 유효립이 광해군을 추대한 사건으로 인해 인조로부터 이혼을 요구받았으나 남편 능원군이 거부하여 첩으로 강등되었다. 능원군 사후에도 사저에서 거주하다 1676년에 사망했으며, 숙종 때 복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원종 - 구사맹
    구사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선조 때 이조좌랑과 황해도 관찰사를 지냈으며, 그의 딸이 정원군과 혼인하여 인조를 낳아 인조 즉위 후 능안부원군에 추증되었다.
  • 조선 원종 - 인헌왕후
    인헌왕후는 조선 추존왕 원종의 비이자 인조의 생모로, 인조반정 이후 왕후로 추존되었으며, 복잡한 왕실 혼맥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가문의 위상을 높였다.
  • 1676년 사망 -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는 1645년부터 1676년까지 러시아 차르로 재위하며 중앙 집권화 강화, 영토 확장, 종교 개혁을 시도했으나 농노제 강화, 전쟁, 종교 분열 등의 문제도 겪었다.
  • 1676년 사망 - 상가희
    상가희는 명나라에서 청나라로 넘어가는 시기에 활동하며 청나라의 중국 통일에 기여했으나, 광주대도살에 책임이 있고 병자호란에 참전하여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군인이다.
  • 1598년 출생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 1598년 출생 -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은 1598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1664년 사망한 스페인의 화가로, 종교화를 주로 그렸으며 강렬한 명암 대비와 엄숙한 구도, 정교한 세부 묘사가 특징이다.
문화부부인
개요
칭호문화부부인
한자文化府夫人 文化 柳氏
본관문화 류씨
이름유효립
로마자 표기Yu Hyoryp
생년월일1598년
사망년월일1676년

2. 생애

1628년 유효립의 옥사가 발생하자, 그해 10월부터 능원군의 부인 유씨를 역적의 딸인데 사묘(인조의 사친 묘)의 주부로 둘 수 없다 하여 양사가 파직을 청하였지만 왕이 듣지 않았다.[8] 그해 11월 옥당에서 유효립의 딸이 낳은 자손들은 역적의 외손인데, 이들로 사묘를 봉사하게 할 수 없다고 상차하였고[9], 예조에서도 계를 올려 유효립의 딸을 정원군의 제사를 지내게 할 수 없다고 하였지만 왕이 듣지 않았다.[10] 인조는 능원군에게 군부인 유씨와 이혼을 요구했지만 그는 완강하게 거절했고, 작호는 깎였지만 계속 능원군의 집에 머무를 수 있었다. 능원군이 유씨를 내보내기를 완강하게 거절하므로 인조는 결국 '의지하여 돌아갈 곳이 없는데 이제 내치는 것은 불쌍하다. 강등시켜 첩으로 삼게 하여 인정과 의리가 아울러 행해지도록 하라.[10]'는 명을 내렸다.

1656년 남편 능원군이 사망한 뒤에도 한성부 이현(梨峴)의 능원군 사저에서 계속 거주하였고, 1676년 8월 3일에 이현 사저에서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78세였다.

2. 1. 초기 생애

유효립의 딸로, 선조의 다섯째 서자인 정원군 부의 차남 능원군 보와 가례를 올렸다. 친정아버지 유효립광해군의 장인이자 폐비 유씨의 친정아버지 유희분(柳希奮)의 조카로, 유희분의 형 유희견(柳希鏗)의 아들이다. 슬하에 자녀가 있었지만 요절하였고, 이이의 명을 받고 첩으로 강등된 뒤에는 자녀를 낳지 못하였다.

1699년(숙종 25) 숙종의 특명으로 작첩을 돌려받고 복권되었다. 유씨 부인은 선조 재위 기간인 1598년 10월 27일에 문화 유씨 가문에서 유효립과 그의 이름 없는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유희견의 아들이었고, 유희분의 형제였으며, 폐비 유씨의 아버지이자 광해군의 장인인 유자신의 조카였다.

2. 2. 혼인

유효립(柳孝立)의 딸로, 선조의 다섯째 서자인 정원군 부의 차남 능원군 보와 가례를 올렸다. 친정아버지 유효립광해군의 장인이자 폐비 유씨의 친정아버지 유희분(柳希奮)의 조카로, 유희분의 형 유희견(柳希鏗)의 아들이다. 슬하에 자녀가 있었지만 요절하였고, 인조의 명을 받고 첩으로 강등된 뒤에는 자녀를 낳지 못하였다. 1628년유효립 등이 광해군을 상왕으로 추대한 뒤 인성군 공을 왕으로 세우려는 음모가 적발되자, 능양군에게서 이이(離異, 이혼)의 명을 받았지만 능원대군이 완강하게 거절하여 실패한다.[8]

1628년 유효립의 옥사가 발생하자, 그해 10월부터 능원군의 부인 유씨를 역적의 딸인데 사묘(능양군의 사친 묘)의 주부로 둘 수 없다 하여 양사가 파직을 청하였지만 왕이 듣지 않았다. 그해 11월 옥당에서 유효립의 딸이 낳은 자손들은 역적의 외손인데, 이들로 사묘를 봉사하게 할 수 없다고 상차하였고[9], 예조에서도 계를 올려 유효립의 딸을 정원군의 제사를 지내게 할 수 없다고 하였지만 왕이 듣지 않았다.[10] 능양군은 능원군에게 군부인 유씨와 이혼을 요구했지만 그는 완강하게 거절했고, 작호는 깎였지만 계속 능원군의 집에 머무를 수 있었다. 능원군이 유씨를 내보내기를 완강하게 거절하므로 능양군은 결국 '의지하여 돌아갈 곳이 없는데 이제 내치는 것은 불쌍하다. 강등시켜 첩으로 삼게 하여 인정과 의리가 아울러 행해지도록 하라.[10]'는 명을 내린다. 후일 능원군의 서자 영풍군 식이나 금천군(錦川君) 지(榰)가 군부인 유씨의 억울함을 여러번 상소하여 복작시키게 된다.

그녀는 이후 정원군의 셋째 아들인 이보(능원군)와 결혼했다(이보 능원군|labels=no한국어).[2] 이후 여러 자녀를 낳았지만 일부는 태어난 직후 또는 성인이 되기 전에 사망했다. 그러나 1628년, 그녀의 아버지는 선조와 여흥 민씨 정빈의 첫째 아들인 인성군(인성군|labels=no한국어)[4][5]을 광해군을 이어 새로운 왕으로 옹립하려는 음모로 인해 옥사(옥사|labels=no한국어)[3]에서 처형되었고, 이에 인조는 그녀의 남편인 능원대군에게 그녀와 이혼할 것을 요구했다.

처음에는 이를 거부했지만, 결국 그녀의 칭호를 박탈하고 첩(첩|labels=no한국어)으로 강등시켰으며, 더 이상 자녀를 낳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그의 집에서 계속 살 수 있었다.

2. 3. 첩 강등과 복권

1628년 유효립의 옥사가 발생하자, 그해 10월부터 능원군의 부인 유씨를 역적의 딸인데 사묘(능양군의 사친 묘)의 주부로 둘 수 없다 하여 양사가 파직을 청하였지만 왕이 듣지 않았다.[8] 그해 11월 옥당에서 유효립의 딸이 낳은 자손들은 역적의 외손인데, 이들로 사묘를 봉사하게 할 수 없다고 상차하였고,[9] 예조에서도 계를 올려 유효립의 딸을 정원군의 제사를 지내게 할 수 없다고 하였지만 왕이 듣지 않았다.[10] 인조는 능원군에게 군부인 유씨와 이혼을 요구했지만 그는 완강하게 거절했고, 작호는 깎였지만 계속 능원군의 집에 머무를 수 있었다. 능원군이 유씨를 내보내기를 완강하게 거절하므로 인조는 결국 '의지하여 돌아갈 곳이 없는데 이제 내치는 것은 불쌍하다. 강등시켜 첩으로 삼게 하여 인정과 의리가 아울러 행해지도록 하라.[10]'는 명을 내린다. 후일 능원군의 서자 영풍군 식이나 금천군(錦川君) 지(榰)가 군부인 유씨의 억울함을 여러번 상소하여 복작시키게 된다.

1699년(숙종 25) 숙종의 특명으로 작첩을 돌려받고 복권되었다. 뒤에 남편 능원군 묘소에 합폄하였다.

2. 4. 사망

1656년 남편 능원군이 사망한 뒤에도 한성부 이현(梨峴)의 능원군 사저에서 계속 거주하였고, 1676년 8월 3일에 이현 사저에서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78세였다.[6] 1699년(숙종 25) 숙종의 특명으로 작첩을 돌려받고 복권되었다. 사후 남편 능원군 묘소에 합폄되었다.

3. 가족 관계

유효립의 딸로, 선조의 다섯째 서자인 정원군 부의 차남 능원군 보와 가례를 올렸다. 친정아버지 유효립광해군의 장인이자 폐비 유씨의 친정아버지 유희분의 조카로, 유희분의 형 유희견의 아들이다. 슬하에 자녀가 있었지만 요절하였고, 이이의 명을 받고 첩으로 강등된 뒤에는 자녀를 낳지 못하였다.[10] 후일 능원군의 서자 영풍군 식이나 금천군(錦川君) 지(榰)가 군부인 유씨의 억울함을 여러번 상소하여 복작시키게 된다.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아버지유효립1579년1628년
어머니나주 정씨(羅州 丁氏)1579년?
여동생문화 류씨(文化 柳氏)1603년?
여동생문화 류씨(文化 柳氏)1608년?1627년 김익견의 첫 번째 부인으로 결혼
남편능원군 이보1598년 5월 15일1656년 1월 26일
장인조선 원종1580년 8월 2일1620년 2월 2일
장모인헌왕후 구씨1578년 5월 23일1626년 2월 10일
아들이식(李식)1630년 8월 29일?요절
아들이함(李涵)1633년 4월 8일1700년요절
아들이형(李瀅)1635년 10월 22일?요절
아들이영정(李英淨)1645년?요절
이씨(李氏)1647년?요절
이씨(李氏)1649년?요절


참조

[1] 웹사이트 유효립(柳孝立) http://encykorea.aks[...] 2021-06-05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6-05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6-05
[4]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6-05
[5] 서적 국역연려실기술 https://books.google[...] National Culture Promotion Association, 민족문화추진회 1966
[6] 웹사이트 이현궁(梨峴宮) http://encykorea.aks[...] 2021-06-05
[7]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6-05
[8] 문서 능양군일기 19권, 1628년(능양군 6년, 명 천계 8년) 10월 25일 임자 1번째기사 1628-10-25
[9] 문서 능양군일기 19권, 1628년(능양군 6년, 명 천계 8년) 11월 8일 을축 4번째기사 1628-11-08
[10] 문서 능양군 일기19권, 1628년(능양군 6년, 명 천계 8년) 11월 20일 정축 3번째기사 1628-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