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물총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물총새는 몸집에 비해 머리와 부리가 크고 꼬리가 짧으며, 금속 광택이 나는 청색 깃털을 가진 소형 조류이다. 물가에 서식하며, 물고기를 주식으로 한다. 물총새는 맑은 물에서 서식하며, 수질의 지표종으로 여겨진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개체수는 안정적인 편이나, 서식지 파괴와 수질 오염으로 인해 위협받기도 한다. 아름다운 외모로 인해 관상용으로 사육되거나, 신칸센의 디자인 모티브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여름철새 - 파랑새
    파랑새는 한국 문화에서 동방울새를 지칭하며, 수컷은 검은 갈색 머리와 푸른색을 띤 갈색 윗등을 가지고, 곤충류를 먹으며 숲 속에서 독특한 울음소리를 내는 종이다.
  • 한국의 여름철새 - 팔색조
    팔색조는 물총새과에 속하며 일곱 가지 색깔의 깃털을 가진 철새로, 동북아시아에서 번식하고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나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방글라데시의 새 - 검은등뻐꾸기
    검은등뻐꾸기는 인도 아대륙에서 동남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회색 등과 검은색 가로줄무늬 배를 가진 중형 뻐꾸기로, 낙엽수림과 상록수림에 서식하며 독특한 울음소리와 탁란 습성을 지니고 한국에서는 드물게 관찰되는 나그네새이다.
  • 방글라데시의 새 - 뜸부기
    뜸부기는 뜸부기과에 속하는 새로, 옆으로 납작한 몸, 긴 발가락, 짧은 꼬리를 가졌으며, 수컷은 붉은색 이마판과 뿔을 가진 것이 특징이고, 아시아 지역 습지에서 서식하며 곤충, 연체동물, 씨앗 등을 먹는 잡식성 새로 6~9월에 번식한다.
  • 필리핀의 새 - 동박새
    동박새는 인도네시아, 일본, 대한민국 등지에 분포하는 몸길이 약 12cm의 작은 새이며, 녹색 깃털과 흰색 눈 테두리가 특징이고, 꽃꿀, 과실, 곤충 등을 먹는 잡식성 조류이다.
  • 필리핀의 새 - 노랑때까치
    노랑때까치는 4개의 아종으로 나뉘는 때까치과 조류로, 유라시아 대륙 동부에 널리 분포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여름에 번식하는 철새이지만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어 보호받고 있다.
물총새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카와세미 분포 지도
카와세미의 분포 영역
기본 정보
학명Alcedo atthis
명명자Linnaeus, 1758
이명Gracula atthis Linnaeus, 1758
영명Common Kingfisher
European Kingfisher
River Kingfisher
중국어 (번체)翠鳥
중국어 (간체)翠鸟
핀인cuìniǎo
일본어カワセミ
한국어물총새
물총새과
아과물총새아과
물총새속
물총새
상태관심 필요
상태 기준iucn
상태 출처IUCN Red List
형태
카와세미 수컷
수컷, 잉글랜드
카와세미 암컷
암컷, 케치케메트, 헝가리 (A. a. ispida)
일본의 카와세미
카와세미 (수컷)
물총새 수컷
물총새 수컷
물총새 암컷
물총새 암컷
하위 분류
아종상세 내용은 아종 참고
기타 정보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지정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지정,관리

2. 형태

몸집에 비해 머리와 부리가 크고 꼬리가 짧은 소형종이다. 이마, 머리, 뒷머리는 청록색이며 눈의 앞면과 측면은 황갈색이고 턱밑과 멱은 흰색이다. 가슴 양쪽에는 녹청색의 얼룩무늬가 있다.[64] 몸통 윗면은 금속 광택이 나는 청색이고, 아랫면은 적갈색이다. 부리는 곧고 길며 검고 홍채는 갈색이며 다리는 짧고 붉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색상이 엷고 아랫부리가 붉은색이다.[64] 날개 길이는 약 25cm[28] (24-25cm[21])이고, 체중은 19-40g[21]이다. 부리가 길고 머리가 크며[30] 목, 꼬리, 다리는 짧다. 수컷의 부리는 검지만 암컷은 아랫부리가 붉어 수컷과 구별된다.[34] 또한 암컷보다 수컷이 약간 더 색이 선명하다.[31][35] 머리, 뺨, 등은 파란색이고, 머리에는 비늘 같은 무늬가 있다. 턱과 귀 주변은 흰색이며, 가슴과 배, 눈 앞쪽은 주황색이다. 다리는 붉다.[30] 어린 새는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띠며 광택이 적다.[29]

물총새의 파란색은 색소에 의한 것이 아니라 깃털의 미세 구조에 의해 빛의 각도에 따라 파란색으로 보이는 구조색이다.[28][36] 이는 비누방울이 여러 가지 색으로 보이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3. 생태

물총새는 해안, 강, 호수, 연못 등 물가에 살며, 공원의 연못과 같은 도시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먹이를 찾을 때는 물가 근처의 돌이나 나뭇가지 위에서 물속으로 뛰어들어 물고기나 수생 곤충을 부리로 잡는다. 새우나 개구리도 잡아먹으며, 가끔은 공중에서 정지비행을 하다가 물속으로 뛰어들기도 한다.[28] 물속에 잠수할 때는 눈을 순막(瞬膜)으로 덮어 물속에서도 정확하게 먹이를 잡는다.[29] 큰 먹이는 발판에 여러 번 내리쳐 뼈를 부순 후 삼키고, 소화되지 않은 것은 펠릿 형태로 입에서 토해낸다.[28]

번식기에는 수컷이 암컷에게 먹이를 선물하는 '구애급식'을 한다. 짝짓기를 한 후에는 암수가 함께 수직 절벽에 50~90cm 정도의 가로 구멍을 파서 둥지를 만든다. 둥지 안에는 보통 3~4개의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어미새에게 먹이를 받아먹으며 자라고, 깃털이 다 자라면 둥지를 떠난다.

비번식기에는 세력권 의식이 강해 한 마리씩 따로 행동한다. 물총새는 수면 위를 날아다니거나, 먹이를 찾을 수 있는 나뭇가지나 돌 위에서 휴식하는 모습을 보인다.

4. 분포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 전역에 널리 분포한다. 주로 북위 60도 이남에 서식한다. 유라시아 지역 대부분에서 흔히 번식하지만, 북아프리카에서는 주로 겨울 철새이다. 다만, 모로코와 튀니지 해안에서는 드물게 번식하는 텃새이기도 하다. 온대 지역에서는 맑고 유속이 느린 하천, 강, 호수 등에서 서식하며, 겨울에는 해안가, 강어귀, 항구 등에서 먹이를 찾는다. 열대 지역 개체군은 유속이 느린 강, 맹그로브 습지, 늪지에서 발견된다.

큰 물총새는 담수 생태계 건강의 중요한 지표종이다. 번식 조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은 물이 맑고 강둑에 나무나 관목이 있는 서식지이다. 이러한 서식지는 수질이 우수하여 이 새의 존재는 수질 기준을 확인해준다.[8] 그러나 수류 개선을 위한 조치는 이러한 서식지를 파괴할 수 있으며, 특히 자연적인 강둑을 인공적인 제방으로 대체하는 것은 어류, 양서류, 수서 파충류 개체군을 크게 감소시키고, 물가에 사는 조류를 사라지게 한다.[9] 물이 깨끗하다면 어느 정도의 도시화는 견딜 수 있다.

겨울에 장기간 동결 상태가 되는 지역에서는 번식 후 이동해야 한다. 대부분의 새들은 번식지 남쪽에서 겨울을 나지만, 소수는 지중해를 건너 아프리카로 이동하거나 말레이시아 산맥을 넘어 동남아시아로 이동한다. 주로 야간에 이동하며, 시베리아에서 번식하는 일부 개체는 번식지와 월동지 사이 최소 3000km를 이동해야 한다.

유럽과 아프리카 북부, 인도, 동남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넓은 분포역에서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19][40] 따뜻한 지방에서는 텃새로 서식하지만, 고위도 지방의 개체는 겨울에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한다. 한국에서는 아종 흰물떼새(*A. a. bengalensis*)가 텃새로 서식하며, 홋카이도(北海道)와 혼슈(本州) 북부[41]에서는 여름철새이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1년 내내 볼 수 있다.[28]

5. 보전 상태

물총새는 넓은 서식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안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는 관심대상종(LC)으로 지정되어 있다.[18][8][19] 유럽에만 약 16만~32만 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는 1960~70년대에 하천 콘크리트화로 인해 서식지가 감소했으나,[28] 1990년대 이후 도시 지역에서 다시 관찰되는 등 수질 개선과 함께 개체수가 회복되는 경향을 보인다.[43] 맑은 시내가 있는 환경에 서식하기 때문에 환경 오염의 척도로 여겨지기도 한다.[44] 일본의 여러 도도부현에서는 멸종 위기종 또는 준멸종 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46]

도도부현등급
도쿄도 구부멸종위기 II류 (키타타마, 미나미타마, 니시타마는 준멸종위기)
지바현보호종(C) (환경성의 멸종위기II류에 상당)[47]
오사카부준멸종위기[49]
도야마현, 돗토리현준멸종위기[50]
고치현, 오키나와현준멸종위기[51]
나라현희귀종 (환경성의 준멸종위기에 상당)
이와테현D랭크
사이타마현지역 개체군[52]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서식지 파괴와 수질 오염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어 보호가 필요하다.

6. 인간과의 관계

물총새는 아름다운 외모 때문에 관상용으로 사육되거나 박제되기도 했다.[53] 깃털은 모자 제작에 사용되기도 했다.[53] 낚시꾼들은 물총새를 경쟁자로 여겨 박해하기도 했다.[53]

신칸센 500계 전차의 노즈 디자인은 터널 미기압파를 줄이기 위해 물총새의 부리 모양을 본떠 설계되었다.[53]

다음은 물총새를 상징새로 지정한 일본의 지자체 목록이다. (괄호) 안은 과거에 존재했던 시정촌이다.

지역지자체
홋카이도에니와시, 삿포로시, 도우베쓰정
아키타현다이센시
후쿠시마현스가가와시
이바라키현히타치오타시, 토리데시, (키타소마군 후지시로마치)
도치기현(도치기현 이마이치시, 나스군 바토마치)
사이타마현히다카시, 후지미시, 히키군토키가와마치(다마가와무라), 치치부군요코세마치
도쿄 도마치다시, 히노시, 코가네이시, 코쿠분지시
가나가와현아야세시, 후지사와시, 아이코군아이카와마치
니가타현(니가타현 카리와군 타카야나기마치)
이시카와현(이시카와현 카시마군 나카시마정)
야마나시현고후시[44]
기후현세키시, 모토스군 호쿠호쿠정, (모토스군 스나미마치)
시즈오카현시즈오카시, 미시마시, 순토군 시미즈정, 슈치군 모리마치, 마키노하라시
시가현고카시
교토 부우지시, (후나이군 소노베정)
나라현요시노군 시모키타야마촌
오사카 부히라카타시
돗토리현동학군금포정
시마네현(시마네현오치군오치정)
오카야마현쿠라시키시, 와키군사이키정
히로시마현(히로시마현히바군히와정)
야마구치현(야마구치현쿠카군유우정)
도쿠시마현요시노가와시
에히메현(에히메현 카미우키나군 미카와촌)
고치현시만토시(하타군 니시토사촌), 스사키시, 타카오카군 사가와정, (토사군 토사야마촌)
후쿠오카현우키하시, 온가군오카가키정, 나카가와시(커뮤니티버스에도 "가와세미 버스"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우키하군우키하정)
구마모토현야츠시로시, 쿠마군쿠마무라, (혼도시)
미야자키현니치난시


참조

[1] iucn Alcedo atthis 2021-11-19
[2] 문서 Note: What is now the subspecies ''A. a. ispida'' is described on p. 115 as ''Alcedo ispida''.
[3]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Kingfisher Alcedo atthis (Linnaeus, 1758) http://blx1.bto.org/[...]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2008-08-21
[5] 논문 Feeding behavior, toe count, an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alcedinine kingfishers (Alcedininae)
[6] 웹사이트 Rollers, ground rollers & kingfisher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7-05-17
[7] 서적 Birds of Israel Shalit Publishers Ltd.
[8] 논문 Some factors related to distribution by breeding Kingfisher (Alcedo atthis L.)
[9] 논문 Effect of ditch living thing by process of original structure replacement by RC irrigation ditch http://min-shiang.co[...]
[10] 웹사이트 Survival and threats https://www.rspb.org[...] Royal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Birds 2008-08-23
[11] 웹사이트 Longevity list of birds ringed in Europe http://www.euring.or[...] EURING 2008-08-23
[12] 논문 Non-fish prey in the diet of an exclusive fish-eater: the common kingfisher Alcedo atthis 2015-00-00
[13] 논문 The role of floods in the lives of fish-eating birds: predator loss or benefit? 2013-00-00
[14] 논문 Smooth newts Lissotriton vulgaris as more than just occasional items in the diet of the Eurasian kingfisher Alcedo atthis https://www.thebhs.o[...] 2023-00-00
[15] 논문 Lamprey (Lampetra sp.) in the diet of common kingfisher (Alcedo atthis) 2017-00-00
[16] 논문 Effect of brood size on food provisioning rate in Common Kingfisher Alcedo atthis 2017-00-00
[17] 논문 Halcyon days 2004-05-00
[18] iucn Alcedo atthis
[19] 웹사이트 Alcedo atthis in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2.2. http://www.iucnredli[...] 국제자연보전연맹 2012-11-26
[20] 웹사이트 Alcedo atthis (Linnaeus, 1758) http://www.itis.gov/[...] ITIS 2012-11-26
[21] 서적 Birds of East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서적 Kingfishers, Bee-eaters & Rollers Christopher Helm
[23] 서적 山溪名前図鑑 野鳥の名前 山と溪谷社
[24] 서적 山溪カラー名鑑 日本の野鳥 山と溪谷社
[25] 문서 「翠鳥」は現在の漢名(中国名)でもある(翠鳥、翠鸟、cuìniǎo)。
[26] 논문 カワセミ雑考 文一総合出版 2004-07-00
[27] 문서 「立」偏に「鳥」、U+9D17
[28] 서적 ひと目でわかる野鳥 成美堂出版 2010-01-00
[29] 서적 山溪ハンディ図鑑7 日本の野鳥 増補改訂新版 山と溪谷社 2011-12-30
[30] 서적 フィールドガイド 日本の野鳥 増補改訂版 日本野鳥の会 2007-00-00
[31] 서적 日本の鳥550 山野の鳥 増補改訂版 文一総合出版 2004-00-00
[32] 서적 カラー写真による 日本産鳥類図鑑 東海大学出版会 1981-00-00
[33] 서적 野鳥識別ハンドブック 日本野鳥の会
[34] 서적 日本の野鳥590 平凡社
[35] 논문 鳥界のアイドル 文一総合出版 1998-07-00
[36] 논문 カワセミ類の形態解説〜カワセミ 文一総合出版 2004-07
[37] 문서 古い自転車のブレーキ音とも形容される。
[38] 서적 図説 鳥名の由来辞典 柏書房 2005
[39] 서적 何でも読める難読漢字辞典 株式会社三省堂 1995-09-10
[40] 서적 The Clements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Cornell University Press
[41] 웹사이트 カワセミ https://www.cgr.mlit[...] 2024-12-07
[42] 뉴스 追われる東京の自然 朝日新聞 1970-11-28
[43] 서적 散歩で楽しむ野鳥の本(街中篇) 山と溪谷社 2008-10-21
[44] 웹사이트 カワセミ http://www.city.kofu[...] 甲府市 2012-11-26
[45] 웹사이트 魚・鳥・人にやさしい川づくり http://www.as.hkd.ml[...] 2011-12
[46]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カワセミ」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2-11-26
[47] 웹사이트 千葉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動物編(2011年改訂版) http://www.bdcchiba.[...] 千葉県 2012-11-26
[48] 웹사이트 千葉市の保護上重要な野生生物-千葉市レッドリスト- http://www.city.chib[...] 千葉市 2012-11-26
[49] 웹사이트 大阪府における保護上重要な野生生物-大阪府レッドデータブック-・カワセミ http://www.epcc.pref[...] 大阪府 2012-11-26
[50] 웹사이트 レッドデータブックとっとり (動物) http://www.pref.tott[...] 鳥取県 2012-11-26
[51] 웹사이트 改訂版 レッドデータおきなわ-動物編- http://www.pref.okin[...] 鳥取県 2012-11-26
[52] 웹사이트 埼玉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2008 動物編 http://www.pref.sait[...] 埼玉県 2012-11-26
[53] 웹사이트 カワセミと500系新幹線電車 https://www.birdfan.[...] 2017-11-14
[54] 웹사이트 NHKアーカイブス保存番組詳細「みどりの地球 カワセミがもどってきた」(1985年6月25日放送) http://nhk.jp/chroni[...] NHK 2011-12-22
[55] 웹사이트 NHKアーカイブス保存番組詳細「野鳥百景カワセミ多摩川」(1996年4月1日放送) http://nhk.jp/chroni[...] NHK 2011-12-22
[56] 웹사이트 NHKアーカイブス保存番組詳細「ふるさと自然発見 青い宝石・カワセミに魅せられて 〜北海道旭川市・江丹別〜」(1997年6月21日放送) http://nhk.jp/chroni[...] NHK 2011-12-22
[57] 웹사이트 NHKアーカイブス保存番組詳細「ハイビジョンスペシャル カメラマン嶋田忠 野生の瞬間に挑む カワセミ 最古の森にきらめく」(2004年3月23日放送) http://nhk.jp/chroni[...] NHK 2011-12-22
[58] 웹사이트 東京へ進出中! 清流の宝石カワセミ(2012年11月18日放送) http://cgi2.nhk.or.j[...] NHK 2012-11-26
[59] 웹사이트 野鳥JAPAN(第8回)カワセミ、クロツグミ、ライチョウ https://www.bs-tvtok[...] テレビ東京 2012-11-26
[60] IUCN Alcedo atthis 2021-11-19
[61]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62] 논문 Nombres en castellano de las aves del mundo recomendados por la Sociedad Española de Ornitología (Sexta parte: Coliiformes, Trogoniformes y Coraciiformes) https://www.ardeola.[...] 2013-12-27
[63] 웹사이트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지정,관리 http://env.seoul.go.[...] 2017-07-30
[64] 서적 한반도 조류독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