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인 제이콥스의 저서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은 당시 주류 도시 계획 및 재건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제이콥스는 정원도시, 분산주의, 르 코르뷔지에의 빛나는 도시, 아름다운 도시 운동 등 '정통 도시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도시의 다양성, 보도의 중요성, 공원의 역할, 그리고 도시 지역의 개념을 강조한다. 그녀는 복합 용도 개발, 짧은 블록, 다양한 건물, 적절한 도시 밀도를 도시의 활력을 위한 요소로 제시했으며, 로버트 모세스와 같은 도시 재개발 추진 세력에 반대하며 주민 의견을 존중하는 도시 계획을 옹호했다. 이 책은 도시 계획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도시의 다양성과 활력을 강조하는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도시 계획 - 플러싱 메도스 코로나 파크
    플러싱 메도스 코로나 파크는 뉴욕 퀸스에 위치한 대규모 공원으로, 과거 쓰레기 매립지였으나 뉴욕 세계 박람회를 통해 공원으로 탈바꿈하여 유니스피어, 스포츠 시설, 문화 시설 등을 갖춘 시민들의 주요 휴식 공간이 되었으며, 최근에는 침수 문제와 개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미국의 도시 계획 - 1811년 위원회 계획
    1811년 위원회 계획은 맨해튼 섬에 격자형 도로망을 구축하고 토지 경계선을 설정하여 뉴욕시 도시 계획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계획으로, 위원회 구성, 측량 과정, 계획 내용, 공공 공간 부족, 실행 과정의 어려움, 수정 및 확장, 그리고 다양한 평가와 비판을 포함하며 뉴욕시의 도시 구조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61년 책 - 신세계역 성경
    신세계역 성경은 여호와의 증인에 의해 번역되어 300개 이상의 언어로 발행된 성경으로, 직역을 통해 원어의 정확한 의미 전달을 추구하지만, 교리적 해석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961년 책 - 역사란 무엇인가
    E.H. 카가 1961년에 발표한 역사학 이론 서적인 "역사란 무엇인가"는 역사가와 사실의 관계, 사회와 개인, 역사 속의 인과 관계, 역사적 진보 등 역사학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다루면서 실증주의 역사관을 비판하고 역사가의 주관적인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책이다.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제목미국의 위대한 도시의 죽음과 삶
원제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저자제인 제이콥스
국가미국
언어영어
주제도시 계획
출판사랜덤 하우스, 뉴욕시
출판일1961년
미디어 유형인쇄물
쪽수458 (1989년판)
ISBN0-679-74195-X
OCLC500754
후속작도시의 경제

2. 정통 도시주의

제인 제이콥스는 이 책의 서두에서 "이 책은 현재의 도시 계획과 재건에 대한 비판이다."라고 선언하며 논의를 시작한다. 그녀는 1959년 보스턴의 노스엔드North End, Boston영어 지역 방문 경험을 소개하는데, 그곳은 그녀가 보기에 친절하고 안전하며 활기 넘치는 건강한 동네였다. 하지만 지역의 엘리트 계획가들과 금융가들은 같은 장소를 재개발이 시급한 "끔찍한 빈민가"로 평가절하했다.

제이콥스는 도시에 대한 당시의 주류 이론을 "정교하게 학습된 미신"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이러한 미신이 도시 계획가, 관료, 은행가들의 사고방식에 깊이 뿌리내렸다고 지적한다. 그녀는 이러한 지배적인 도시 계획 사상을 "정통 도시주의"orthodox urbanism영어라고 명명하고, 이 책을 통해 그 기원을 추적하고 문제점을 파헤칠 것임을 예고한다.

2. 1. 정원 도시 운동

현대 도시계획 이론은 에비니저 하워드의 정원도시 운동에서 그 시작을 찾을 수 있다. 하워드는 19세기 후반 런던이 겪고 있던 소음과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정원도시 개념을 제시했다. 이는 농업 녹지대에 둘러싸인 자급자족적인 마을 형태로, 학교와 주택이 엄격하게 구획된 상업 중심지를 감싸는 새로운 마스터플랜이었다.

정원도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도록 구상되었다.

  • 인구 규모: 각 도시당 최대 3만 명의 주민을 수용한다.
  • 토지 이용 규제: 토지 이용을 신중하게 규제하고, 무분별한 상업 활동 확장이나 인구 밀도 증가를 막기 위해 영구적인 공공 기관이 토지를 관리한다.
  • 산업 시설 배치: 산업 공장은 녹지 뒤에 가려지는 조건으로 도시 주변부에 배치될 수 있었다.


이러한 정원도시 개념은 실제로 영국의 레치워스와 웰윈 정원도시, 그리고 미국 뉴저지주의 래드번 교외 지역 개발을 통해 처음으로 구현되었다.

하워드의 정원도시 개념은 미국에도 영향을 미쳐, 루이스 멈퍼드, 클라렌스 스타인, 헨리 라이트, 캐서린 바우어와 같은 도시 계획가 및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캐서린 바우어는 이들을 "분산주의자(Decentrists)"라고 칭했다. 분산주의자들은 혼잡한 도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 계획을 주장했다. 그들은 저밀도의 외곽 지역과 교외 지역에 새로운 생활 공간을 조성하여, 과밀화된 도시 중심부의 인구를 분산시키고자 하였다.

하지만 정원도시 지지자들과 분산주의자들은 몇 가지 공통된 관점을 공유했는데, 이는 현대적 관점에서 '반도시적 편견'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 자급자족적 공동체: 공동체는 외부와 분리된 자급자족적인 단위여야 한다는 믿음.
  • 토지 이용의 분리: 주거, 상업, 공업 등 다양한 용도의 토지가 혼합되는 것은 혼란스럽고 부정적인 환경을 조성한다는 생각.
  • 거리에 대한 부정적 인식: 거리는 소음과 위험 등으로 인해 인간적인 상호 작용에 적합하지 않은 장소라는 관점.
  • 주택 배치: 주택은 번잡한 거리에서 벗어나 안쪽의 녹지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는 주장.
  • 도로 체계: 잦은 교차로가 있는 소규모 블록보다는 간선도로로 연결되는 거대한 블록(초대형 블록)이 더 효율적이고 우수하다는 믿음.
  • 고정된 계획 선호: 도시의 중요한 세부 사항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유기적인 역동성보다는, 초기에 수립된 영구적인 계획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는 입장.
  • 인구 밀도 억제: 높은 인구 밀도는 부정적으로 간주되어 억제되어야 하며, 불가피할 경우 고립감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위장되어야 한다는 생각.


이러한 정원도시 운동과 분산주의자들의 생각은 이후의 도시 계획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나, 도시 고유의 활력과 다양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2. 2. 분산주의

현대 도시계획 이론에서 중요한 흐름 중 하나는 에비니저 하워드의 정원도시 운동에서 시작된다. 19세기 후반 영국 런던의 혼잡과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구상된 정원도시는, 농업 녹지대에 둘러싸인 자급자족적인 마을을 목표로 했다. 이곳에서는 학교와 주택이 상업 중심지를 둘러싸고 있었으며, 토지 이용과 인구 밀도(최대 3만 명)가 엄격하게 통제되었다. 산업 시설은 녹지 뒤편의 주변부에만 제한적으로 허용되었다. 이러한 정원도시 개념은 영국의 레치워스와 웰윈 정원도시, 미국의 뉴저지주 래드번 교외 지역 개발을 통해 처음 현실화되었다.

하워드의 영향은 미국에서 활동한 루이스 멈퍼드, 클라렌스 스타인, 헨리 라이트, 캐서린 바우어 등에게 이어졌는데, 바우어는 이들을 "분산주의자(Decentrists)"라고 불렀다. 분산주의자들은 혼잡한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역 계획을 제안했다. 이는 저밀도의 외곽 지역과 교외 지역에서의 새로운 정주 환경 조성을 통해 과밀한 도시 중심부의 인구를 분산시키려는 시도였다.

분산주의자들은 몇 가지 공통된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다소 '반도시적 편견'으로 비춰질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한다. 그들은 공동체가 자급자족적인 단위여야 한다고 보았으며, 다양한 용도의 토지가 섞이는 것을 혼란스럽고 부정적인 것으로 여겼다. 또한 거리는 인간적인 교류보다는 이동을 위한 공간으로 간주했고, 주택은 거리에서 벗어나 녹지 공간을 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작은 블록과 잦은 교차로 대신, 간선도로로 연결되는 거대한 블록(초대형 블록)을 선호했으며, 도시의 세부적인 모습은 자연스러운 변화보다는 고정된 계획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인구 밀도는 낮게 유지되거나, 최소한 밀집되어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2. 3. 르 코르뷔지에의 빛나는 도시

르 코르뷔지에는 전통적인 도시계획에 대한 대안으로 빛나는 도시Radiant City영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그의 구상은 넓은 공원 안에 24개의 고층 건물을 세우는 것이었다. 이는 1에이커당 1,2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수직 도시 모델이었다.

겉보기에는 하워드의 영향을 받은 '분산주의자'들이 추구했던 저층, 저밀도 이상과는 반대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르 코르뷔지에는 자신의 수직 도시가 주요 정원도시 개념을 도시 전체로 확장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즉, 초대형 블록을 만들고, 이웃을 규격화하여 계획하며, 자동차 접근성을 높이고, 보행자를 거리에서 분리하기 위해 넓은 잔디 공간을 두는 등의 특징을 포함했다. 르 코르뷔지에의 명확한 목표는 침체된 도심 지역을 새롭게 바꾸는 것이었다.

2. 4. 아름다운 도시 운동

아름다운 도시 운동은 시카고 만국박람회의 전시장을 모방하여 도심 지역을 장식하려는 시도였다. 이 운동의 특징 중 하나는 자연스러운 보행 동선과 연결되지 않은 채 단일 용도로 계획된 공공 공간 개념을 차용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개념은 시민 센터, 바로크 양식의 대로, 새로운 기념 공원 등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구체화되었다.

3. 제이콥스의 비판

제인 제이콥스는 이 책의 서두에서 "이 책은 현재의 도시 계획과 재건에 대한 비판이다"라고 단호하게 선언하며 시작한다.[1] 그녀는 1959년 보스턴의 노스엔드(North End) 지역 방문 경험을 예로 들며, 그곳이 실제로는 친절하고 안전하며 활기찬 공동체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엘리트 계획가들과 금융가들은 재개발이 필요한 "끔찍한 빈민가"로 치부했다고 지적한다.[1] 제이콥스는 도시에 대한 이러한 주류 이론을 "정교하게 학습된 미신"이라 규정하고, 이것이 계획가, 관료, 은행가들의 사고방식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다고 비판하며 '전통적인 도시주의(orthodox urbanism)'의 문제점을 파헤친다.[1]

제이콥스는 에비니저 하워드의 정원도시 운동, 이를 계승한 미국의 "분산주의자들(Decentrists)", 르 코르뷔지에의 빛나는 도시 구상, 그리고 아름다운 도시 운동 등 현대 도시계획의 주요 흐름들을 차례로 검토하며 비판의 날을 세운다.[1] 그녀는 정원도시나 분산주의자들이 내세운 저밀도, 녹지 중심의 교외형 아이디어 자체는 특정 수요에 부합할 수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도시 반대적 편견이 도시 자체를 계획하고 재개발하는 데 있어 주류적인 접근법이 되어버린 현실을 개탄한다.[1] 특히, 토지 이용의 엄격한 분리, 거리와 보행자의 분리, 획일적인 대규모 계획 등은 도시의 생명력인 다양성과 활기를 저해한다고 본다.[1]

제이콥스는 이러한 도시 반대적 사고방식이 학계뿐만 아니라 주택 정책, 모기지 금융, 도시 재개발, 구역 설정(zoning) 등에 관한 연방 및 주 정부의 법률에까지 깊이 뿌리내렸다고 지적한다.[1] 그녀는 "진심으로 위대한 도시를 강화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마침내 그 도시의 경제를 약화시키고 죽이기 위해 솔직하게 고안된 방법들을 채택하게 되었다는 것, 이것이 이 전체 비극적인 이야기에서 가장 놀라운 사건"이라고 강하게 비판한다.[1]

르 코르뷔지에의 이상적인 도시 계획에 대해서는 더욱 비판적인데, 그의 계획이 현실 도시의 복잡한 작동 방식과 동떨어져 있음에도 건축가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받으며 실제 공공 주택이나 상업 지구 개발 등에 무분별하게 적용되었다고 지적한다.[1] 또한, 아름다운 도시 운동처럼 도시의 미관 개선에만 치중하여 '일상적인 도시'와 단절된 채 조성된 공간들은 오히려 활력을 잃고 쇠퇴하기 쉬우며, 역설적으로 도시의 몰락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고 평가한다.[1]

3. 1. 도시 반대적 편견

제인 제이콥스는 이 책의 서두에서 "이 책은 현재의 도시 계획과 재건에 대한 비판이다"라고 단언하며 시작한다.[1] 그녀는 1959년 보스턴 노스엔드 지역 방문 경험을 통해 그곳이 친절하고 안전하며 활기찬 공동체였음을 설명한다. 그러나 당시 엘리트 계획가들과 금융가들은 이 지역을 재개발이 필요한 "끔찍한 빈민가"로 여겼다고 대조하며 지적한다.[1] 제이콥스는 이러한 주류 도시 이론을 "정교하게 학습된 미신"으로 규정하고, 이것이 계획가, 관료, 은행가들의 사고방식에 깊이 스며들었다고 비판하며, 이러한 "전통적인 도시주의"의 기원을 추적한다.[1]

현대 도시계획 이론의 시작점으로 제이콥스는 에비니저 하워드의 정원도시 운동을 제시한다. 19세기 후반 런던의 소음과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구상된 정원도시는 농업 녹지대에 둘러싸인 자급자족적 마을 형태를 띠었다.[1] 학교와 주택이 상업 중심지를 둘러싸고, 도시 당 인구는 최대 3만 명으로 제한되며, 토지 이용은 엄격히 규제되고 공공 기관이 상업 활동이나 인구 밀도 증가를 통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 산업 시설은 녹지 뒤편 주변부에만 허용되었다.[1] 이 개념은 영국의 레치워스와 웰윈 정원도시, 미국의 뉴저지주 래드번 교외 지역 등에서 처음 구현되었다.[1]

하워드의 영향은 루이스 멈퍼드, 클라렌스 스타인, 헨리 라이트, 캐서린 바우어 등 미국의 주요 인물들에게 이어졌는데, 바우어는 이들을 "분산주의자(Decentrists)"라고 명명했다.[1] 분산주의자들은 지역 계획을 통해 저밀도 외곽 및 교외 지역 개발을 유도하여 혼잡한 도시 중심부의 인구를 분산시키고자 했다.[1] 제이콥스는 정원도시 지지자들과 분산주의자들이 공유하는 도시 반대적 편견을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1]

  • 공동체는 자급자족적 단위여야 한다는 믿음
  • 다양한 토지 이용의 혼합이 혼란스럽고 부정적인 환경을 만든다는 생각
  • 거리는 인간 상호작용에 부적합한 장소라는 인식
  • 주택은 거리에서 벗어나 녹지 공간을 향해야 한다는 주장
  • 간선도로로 연결된 초대형 블록이 작은 블록과 교차로보다 우월하다는 관점
  • 도시의 세부 사항은 유기적 역동성이 아닌 영구적인 계획으로 결정되어야 한다는 입장
  • 인구 밀도는 억제되거나, 최소한 고립감을 조성하도록 위장되어야 한다는 생각


르 코르뷔지에의 도시 계획 역시 전통적 도시주의의 연장선상에서 분석된다. 그의 빛나는 도시 개념은 넓은 공원 안에 24개의 고층 빌딩을 배치하는 것이었다.[1] 이는 분산주의자들의 저층, 저밀도 이상과는 겉보기에 달라 보이지만, 제이콥스는 르 코르뷔지에가 초대형 블록, 규격화된 이웃 계획, 자동차 중심의 접근성, 보행자를 거리에서 멀어지게 하는 넓은 녹지 공간 등 주요 정원도시 개념을 도시에 적용하여 침체된 도심을 재창조하려 했다고 본다.[1] 또한, 시카고 만국박람회의 전시장을 모방하여 자연스러운 보행 동선과 단절된 단일 용도의 공공 공간, 바로크 양식 대로, 기념 공원 등으로 도심을 장식하려 했던 아름다운 도시 운동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언급된다.[1]

정원도시나 분산주의 아이디어 자체는 프라이버시와 자동차를 중시하는 교외 환경에는 적합할 수 있다고 제이콥스는 인정한다.[1] 그러나 그녀가 근본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이러한 도시 반대적 편견이 도시 자체의 설계에 대한 주류 학계와 정치적 합의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는 점이다. 이 편견은 도시 계획 교육 과정뿐만 아니라 주택 정책, 모기지 금융, 도시 재개발, 구역 설정(zoning) 결정 등에 영향을 미치는 연방 및 주 정부 법률에까지 반영되었다.[1] 제이콥스는 이를 "진심으로 위대한 도시를 강화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마침내 그 도시의 경제를 약화시키고 죽이기 위해 솔직하게 고안된 방법들을 채택하게 되었다는 것, 이것이 이 전체 비극적인 이야기에서 가장 놀라운 사건"이라고 평가한다.[1]

그녀는 르 코르뷔지에에 대해서는 더욱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그의 이상적인 도시 계획이 비현실적이고 기존 도시의 실제 상황과 동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축가들에게 열광적인 지지를 받으며 저소득층 공공 주택부터 사무용 건물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무분별하게 적용되었다고 개탄한다.[1] 또한, "일상적인 도시"와의 연계를 피하려 했던 아름다운 도시 운동의 고립된 시도들이 결국 방문객 유치에 실패하고 오히려 불쾌한 분위기와 쇠퇴를 불러왔으며, 역설적으로 도시 몰락을 가속화했다는 점에 우려를 표한다.[1]

3. 2. 이상적인 도시의 문제점

제인 제이콥스는 에비니저 하워드의 정원도시나 지역 계획을 추구한 "분산주의자들(Decentrists)"의 아이디어가 교외 지역에는 적합할 수 있다고 인정한다. 녹지 공간과 저밀도 주택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매력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이콥스는 이러한 도시 반대적(anti-urban) 편견이 도시 자체의 설계에 대한 주류 학계와 정치적 합의의 일부가 된 것을 비판한다. 그녀는 이를 도시의 경제를 약화시키고 활력을 잃게 만드는 "비극적인" 현상으로 보았다.[1]

특히 르 코르뷔지에의 이상적인 도시에 대해서는 더욱 비판적이다. 그의 빛나는 도시(Radiant City) 구상과 같은 아이디어는 비현실적이며 기존 도시의 실제 작동 방식과 동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축가들에 의해 맹목적으로 받아들여져 저소득층 주거 사업부터 사무용 건물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여러 곳에 구현되었다고 개탄한다.[1] 또한 아름다운 도시 운동(City Beautiful movement)의 결과물들이 "일상적인 도시"로부터 분리되려 하면서 오히려 방문객을 유인하지 못하고, 불쾌한 장소로 변하거나 쇠퇴하기 쉬웠으며, 역설적으로 도시의 몰락을 부추겼다고 지적한다.[1]

3. 3. 아름다운 도시 운동의 한계

제인 제이콥스는 아름다운 도시 운동이 도시를 개선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도시의 활력을 해치는 결과를 낳았다고 비판한다. 이 운동은 시카고 만국박람회의 전시장을 모방하여 도심 지역에 시민 센터, 바로크 양식의 대로, 새로운 기념 공원 등을 조성하는 데 집중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들은 대부분 단일 용도로 구상되었고, 도시의 자연스러운 보행로나 주변 환경과 제대로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제이콥스는 아름다운 도시 운동의 결과물들이 '일상적인 도시'의 활기와 다양성으로부터 스스로를 고립시키려 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고립은 의도와 달리 방문객을 끌어들이는 데 실패했으며, 오히려 불쾌한 어슬렁거림과 낙담스러운 쇠퇴에 취약한 공간이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결국, 도시 미관을 개선하려던 노력은 역설적으로 도시의 쇠퇴를 더욱 부추겼다는 것이 제이콥스의 핵심적인 비판이다. 이는 도시의 실제 생활과 동떨어진 채 미적인 요소만을 강조한 계획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4. 보도의 중요성

제인 제이콥스보도를 도시 질서 유지를 위한 중심 메커니즘으로 규정한다.[1] 그녀는 보도에서의 일상적인 활동을 "개별 무용수와 앙상블 모두가 독특한 역할을 수행하고 기적적으로 서로를 강화하여 질서 정연한 전체를 구성하는 복잡한 발레"에 비유하며, 보도가 그 무대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1]

제이콥스는 도시가 본질적으로 낯선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1]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모여 살기 때문에, 집 밖을 나서면 아는 사람보다 낯선 사람을 훨씬 많이 마주치게 된다. 따라서 도시의 중요한 과제는 이러한 낯선 사람들 속에서 시민들이 안전하고 사회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1] 제이콥스에 따르면, 건강한 보도는 범죄 예방과 타인과의 접촉을 촉진함으로써 이 목표 달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제이콥스는 보도 그 자체만으로는 의미를 갖기 어렵다고 강조한다. 보도는 주변의 건물이나 다른 용도들과 함께 고려될 때 비로소 그 기능과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1] 즉, 보도의 활력과 기능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현된다.

4. 1. 안전

제인 제이콥스는 보도를 도시 질서 유지를 위한 중심 메커니즘으로 간주한다. 도시는 본질적으로 낯선 사람들로 가득한 공간이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시민들이 안전하고 사회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시의 주요 과제이다. 제이콥스에 따르면, 건강한 보도는 범죄 예방과 타인과의 접촉을 촉진함으로써 이러한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보도는 단순히 길 그 자체가 아니라, 주변의 건물 및 다른 용도와 함께 고려될 때 비로소 의미를 가진다. 도시의 보도와 그 이용자들은 단순히 안전의 수동적인 수혜자나 위험의 희생자가 아니라, 무질서에 맞서고 문명을 보존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체이다.

건강한 도시 보도는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경찰 감시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대신, 사람들 사이의 자발적이고 거의 무의식적인 통제와 기준의 복잡한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이 유지되며, 이는 사람들 자신에 의해 시행된다. 사람이 많이 이용하는 거리는 비교적 범죄로부터 안전한 반면, 사람이 없는 거리는 위험할 가능성이 높다. 활기찬 거리는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끌어 자연스러운 감시망을 형성하고, 문제 발생 시 초기 대응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높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활기찬 보도는 도시의 수많은 낯선 사람들을 잠재적 위협에서 안전을 위한 자산으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자발적인 안전 유지 메커니즘은 거리를 '자연적인 소유주'가 감시할 때 특히 효과적이다. 자연적 소유주란 거리 활동 관찰을 즐기고, 암묵적인 행동 규범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필요시 다른 사람들의 지지를 확신하는 개인들을 의미한다. 이들은 보도 질서 유지의 최전선을 형성하며, 필요한 경우 경찰력이 이를 보완한다.

제이콥스는 안전한 도시 거리를 위해 필요한 세 가지 핵심 요소를 제시한다.

# 공공 공간과 사적 공간의 명확한 구분

# 거리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고 거리를 향해 건물이 충분히 배치될 것

# 효과적인 감시를 보장하기 위한 지속적인 거리 이용 (사람들의 꾸준한 왕래)

이러한 '거리 감시' 개념은 이후 범죄학 연구에서 범죄 예방 전략으로 주목받았다.[3][4]

반대로, 제이콥스는 텅 빈 거리나 고층 공공 주택 단지처럼 사람들의 시선이 닿지 않는 '눈 없는 공간'(복도, 엘리베이터, 계단 등)의 위험성을 지적한다. 이러한 공간은 낯선 사람의 존재 자체가 위협으로 느껴지기 쉬우며, 공공의 감시 부재로 인해 파괴적이고 악의적인 행동이 발생하기 쉽다. 주민들이 아파트 외부 공간에서 불안감을 느끼면 건물 생활 참여를 줄이고 점차 외부와 단절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도시의 안전을 위해서는 활기찬 보행자 환경 조성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보도를 따라 상점, 바, 레스토랑 등 다양한 공공장소를 배치하여 사람들의 활동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만약 도시 계획가들이 보도 생활의 중요성을 간과하여 거리가 황폐해지고 안전하지 않게 되면, 주민들은 위험을 피해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거나, 자동차에 의존하여 도보 활동을 피하거나, 거주지를 외부와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게 된다.

4. 2. 낯선 사람과의 관계

제인 제이콥스에 따르면, 도시가 마을이나 교외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주로 낯선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는 사실이다. 도시에서는 좁은 지리적 범위 안에 많은 사람이 모여 살기 때문에, 문밖을 나서는 순간부터 아는 사람보다 낯선 사람을 훨씬 많이 마주치게 된다. 따라서 도시의 핵심 과제는 수많은 낯선 사람들이 끊임없이 오가는 환경 속에서도 시민들이 안전하고 사회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제이콥스는 활기찬 보도가 이러한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활기찬 보도는 도시의 많은 낯선 사람들을 단순한 잠재적 위협(부채)에서 오히려 안전과 도시 생활의 활력을 더하는 존재(자산)로 바꿀 수 있다.

보도에서의 삶은 길을 묻거나, 가게 주인에게 조언을 구하고, 지나가는 사람에게 가볍게 인사하거나, 새로 산 를 칭찬하는 등 다양하고 일상적인 공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제이콥스는 이러한 교류들이 "표면적으로는 사소해 보일 수 있지만, 그 총합은 결코 사소하지 않다"고 강조한다. 이 상호작용들이 모여 "공적인 존중과 신뢰의 그물망"을 형성하며, 중요한 점은 이것이 "개인적인 약속을 함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도시 거주민들은 보도 위의 공적 생활에 참여하면서도 자신의 소중한 사생활을 지킬 수 있다. 복잡한 인간관계에 얽매이거나 개인사를 과도하게 드러낼 필요 없이 공적인 교류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보도에서의 공적 생활이 부족한 교외 지역과는 대조적이다. 제이콥스에 따르면, 교외 거주자들은 소수의 사람들과 깊은 관계를 맺으며 사생활을 더 많이 노출하거나, 아니면 아예 사회적 접촉을 최소화하는 선택에 놓이기 쉽다. 또한, 다양한 소득, 인종, 교육 배경을 가진 낯선 사람들과의 일상적이고 가벼운 접촉 기회가 적기 때문에, 자신과 매우 다른 집단의 사람들과 깊은 개인적 관계를 맺는 것을 상상하기 어려워하거나 기본적인 상호작용조차 피하도록 길들여질 수 있다. 번화한 도시 보도에서는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존엄성과 통행권이 주어지며, 사생활 침해나 새로운 개인적 의무 부담 없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역설적으로, 도시 거주자들에 비해 교외 거주자들이 사회생활에서 사생활을 덜 보장받고, 공적인 관계망(public acquaintances)도 훨씬 좁아지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4. 3. 아이들의 사회화

보도는 부모나 거리의 다른 '자연적인 관리자'들의 일반적인 감독 아래 아이들이 놀기에 좋은 장소이다. 더 중요하게, 보도는 아이들이 "도시 생활의 첫 번째 기본 원칙, 즉 서로 아무런 연고가 없더라도 사람들은 서로에게 최소한의 공공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배우는 사회화의 장이다. 아이들은 수많은 사소한 상호작용을 통해, 보도의 자연적인 관리자들이 친족이나 가까운 친구가 아니며 공식적인 책임 관계가 없음에도 자신의 안전과 안녕에 관심을 가진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이러한 배움은 고용된 인력을 통해 제도화하거나 복제할 수 없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유기적이고 비공식적인 책임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제인 제이콥스는 약 9.14m에서 약 10.67m 너비의 보도가 일반적인 놀이, 나무 그늘 아래 활동, 보행자 통행, 성인의 공공 생활, 어슬렁거림까지 포용할 수 있어 이상적이라고 본다. 그러나 자동차 시대에는 이런 너비가 사치이며, 줄넘기는 어렵더라도 활기찬 혼합 사용이 가능한 약 6.10m 너비의 보도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적절한 너비가 부족하더라도, 보도는 위치가 편리하고 거리가 흥미롭다면 아이들이 모여 성장할 수 있는 매력적인 장소가 될 수 있다.

5. 공원의 역할

전통적인 도시 계획에서는 공원을 단순히 "도시의 빈곤층에게 주어지는 혜택"으로 여겼다. 그러나 제인 제이콥스는 이러한 시각에 도전하며, 오히려 공원을 "생명과 감사라는 혜택이 필요한 궁핍한 장소"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공원이 성공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보도와 마찬가지로 주변의 다양한 용도와 이용자들이 만들어내는 활력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즉, 공원 주변의 활동이 공원 자체의 생명력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제이콥스는 활기찬 지역 중심에 잘 설계된 공원은 도시의 큰 자산이 될 수 있다고 인정했지만, 동시에 비효율적인 공원 조성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했다. 그녀는 자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공원에 예산을 낭비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공원이 단순히 녹지 공간 확보 차원을 넘어 도시 전체의 활력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5. 1. 공원 설계 원칙

전통적인 도시 계획공원을 "도시의 빈곤층에게 주어지는 혜택"으로 정의한다. 제인 제이콥스는 이러한 관점을 뒤집어 공원을 "생명과 감사라는 혜택이 필요한 궁핍한 장소"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그녀에 따르면, 공원이 활기차고 성공적인 이유는 보도와 마찬가지로 "인접한 용도의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다양성, 그리고 따라서 이용자와 그들의 일정의 다양성 때문"이다.

제이콥스는 우수한 공원 설계를 위한 네 가지 원칙을 제시한다:

  • '''복잡성''': 다양한 용도를 통해 여러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찾도록 유도한다.
  • '''중심''': 주요 교차로나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멈추는 지점, 혹은 정점에 위치시킨다.
  • '''일조량''': 충분한 햇빛을 확보한다.
  • '''둘러싸임''': 주변 건물과 다양한 환경으로 둘러싸여 안정감을 준다.


이웃 보도의 기본 원칙인 "활기와 다양성은 더 많은 활기를 끌어들이고, 죽음과 단조로움은 생명을 밀어낸다"는 이웃 공원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제이콥스는 활기찬 지역의 중심부에 잘 설계된 공원이 매우 가치 있는 자산이 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재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너무 크고, 너무 빈번하며, 너무 형식적이고, 너무 위치가 좋지 않아 사용하기에 지루하거나 불편한 공원, 놀이터, 프로젝트 토지 용도에 돈을 낭비하는 것"에 대해 경고한다.

5. 2. 공원 조성의 문제점

전통적인 도시 계획에서는 공원을 '도시 빈곤층에게 주어지는 혜택'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제인 제이콥스는 이러한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오히려 공원을 "생명과 감사라는 혜택이 필요한 궁핍한 장소"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즉, 공원 자체도 활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제이콥스에 따르면, 공원이 성공적으로 기능하는 원리는 보도와 유사하다. 공원 주변에 다양한 용도의 시설이 있고, 그로 인해 다양한 이용자들이 다양한 시간대에 공원을 찾을 때 활기를 띤다. 그녀는 성공적인 공원 설계를 위한 네 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 복잡성: 다양한 용도와 반복적인 이용자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 중심성: 주요 교차로나 사람들이 멈추는 지점, 혹은 정점에 위치해야 한다.
  • 일조량: 충분한 햇빛이 들어야 한다.
  • 둘러싸임: 건물과 다양한 주변 환경으로 둘러싸여 있어야 한다.


이러한 원칙은 이웃 공원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활기와 다양성은 더 많은 활기를 끌어들이고, 죽음과 단조로움은 생명을 밀어냅니다." 제이콥스는 활기찬 지역 중심에 잘 설계된 공원은 큰 자산이 될 수 있다고 인정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도시 투자가 필요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비효율적인 공원 조성에 예산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다고 비판한다. 그녀는 "너무 크고, 너무 빈번하며, 너무 형식적이고, 너무 위치가 좋지 않아 사용하기에 지루하거나 불편한 공원, 놀이터, 프로젝트 토지 용도"에 자원을 낭비하는 것을 경고했다. 이는 결국 도시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6. 도시 지역 (Neighborhoods)

제인 제이콥스는 이 책의 서두에서 "이 책은 현재의 도시 계획과 재건에 대한 비판이다"라고 선언하며 논의를 시작한다. 그녀는 1959년 보스턴의 노스엔드(North End) 지역 방문 경험을 예로 든다. 제이콥스는 노스엔드가 실제로는 친절하고 안전하며 활기찬 건강한 동네였지만, 당시 지역의 엘리트 계획가들과 금융가들은 그곳을 재개발이 필요한 "끔찍한 빈민가"로 여기고 있었다고 지적하며 현실과 계획 사이의 괴리를 드러낸다. 그녀는 도시에 대한 당시의 주류 이론을 "정교하게 학습된 미신"이라 비판하며, 이러한 생각이 계획가, 관료, 은행가들에게 만연해 있다고 주장한다. 제이콥스는 이러한 "전통적인 도시주의(도시 이론)"의 기원을 추적하며 그 문제점을 파헤친다.

제이콥스는 에버니저 하워드의 정원도시나 분산주의자들의 아이디어가 교외 지역 개발에는 나름의 타당성이 있을 수 있다고 인정한다. 녹지 공간과 저밀도 주택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매력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녀가 근본적으로 비판하는 지점은 이러한 반도시적(anti-urban) 편견이 도시 자체를 설계하는 주류 학계와 정치적 합의의 핵심 요소가 되어버렸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편견은 도시 계획 교육 과정뿐만 아니라 주택 및 모기지 금융, 도시 재개발, 구역 설정(zoning) 결정 등에 영향을 미치는 연방 및 주 정부 법률에까지 깊숙이 반영되었다. 제이콥스는 "진심으로 위대한 도시를 강화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마침내 그 도시의 경제를 약화시키고 죽이기 위해 솔직하게 고안된 방법들을 채택하게 되었다는 것"이야말로 이 비극적인 이야기의 가장 놀라운 부분이라고 개탄한다.

그녀는 르 코르뷔지에의 이상적인 도시 계획안에 대해서는 더욱 비판적이다. 그의 계획이 비현실적이고 기존 도시의 실제 상황과 동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축가들에게 열광적인 지지를 받으며 저소득층 공공 주택부터 사무실 건물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무분별하게 적용되었다고 지적한다. 또한, 아름다운 도시 운동(City Beautiful movement)처럼 "일상적인 도시"의 혼잡함에서 벗어나 고립된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던 시도들이 오히려 방문객을 끌어들이지 못하고, 불쾌한 분위기와 쇠퇴를 야기하며 역설적으로 도시 몰락을 재촉했다고 비판한다.

제이콥스는 도시 지역(neighborhood)을 단순히 기능적으로 분리된 단위(예: 초등학교나 지역 상점 유지에 필요한 인구 기준)로 보는 전통적인 관점을 비판하며, 도시 전체, 구역(district), 거리(street)라는 다층적인 수준에서 지역 사회를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지역 사회의 자생력과 보호 능력을 강조하며 효과적인 도시 지역 계획 원칙을 제시했고, 특히 샌프란시스코의 필모어 지구(Fillmore District) 사례처럼 기존 공동체를 파괴하는 대규모 도시 재개발 방식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6. 1. 지역 사회의 정의

제인 제이콥스는 도시 지역을 약 7,000명 주민(초등학교 및 지역 시장, 커뮤니티 센터 유지에 필요한 추정 인구)으로 구성된 모듈식으로 격리된 집단으로 보는 전통적인 도시 계획에 비판적이었다. 그녀는 위대한 도시의 특징이 다양한 크기와 성격의 지역을 넘나드는 주민들의 이동성과 유동적인 사용이며, 결코 모듈식으로 분열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대신 제이콥스는 도시 지역을 도시 수준, 구역 수준, 거리 수준이라는 세 가지 지리적 및 정치적 조직 수준에서 정의하는 대안을 제시한다.

  • 도시 수준: 뉴욕시 전체와 같이 도시 전체가 하나의 지역 사회를 이룬다. 주요 지방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오페라 단체부터 공공 노조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회 및 문화 기관이 도시 수준에서 운영된다.
  • 구역 수준: 그린위치 빌리지와 같이 공유된 기능적 정체성과 공통 구조를 가진 지역 사회다. 구역 지역 사회의 주요 목적은 거리 수준 지역 사회의 요구와 도시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자원 배분 및 정책 결정 사이를 중재하는 것이다. 제이콥스는 효과적인 도시 구역의 최대 크기를 인구 20만 명, 면적 1.5mi2 정도로 추정했지만, 공간적 정의보다는 기능적 정의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즉, "시청과 싸울 만큼 크지만, 거리 지역 사회가 구역의 관심을 끌고 중요하게 여길 수 없을 만큼 크지 않은" 크기여야 한다는 것이다. 구역 경계는 유동적이고 중복될 수 있지만, 때로는 주요 도로나 랜드마크 같은 물리적 장애물에 의해 정의되기도 한다.
  • 거리 수준: 그린위치 빌리지의 허드슨 스트리트(Hudson Street)와 같은 개별 거리 역시 지역 사회로 볼 수 있다. 거리 수준의 도시 지역은 공공 거리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상업 활동, 활기, 이용 및 관심이 있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제이콥스는 지역 사회의 질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스로를 얼마나 잘 다스리고 보호할 수 있는지의 문제로 보았으며, 이는 주거 협력, 정치적 영향력, 재정적 활력의 결합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효과적인 도시 지역 계획을 위한 네 가지 핵심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활기차고 흥미로운 거리를 조성한다.
  • 거리 구조를 잠재적인 소도시 규모와 힘을 가진 구역 전체에서 가능한 한 연속적인 네트워크로 만든다.
  • 공원, 광장, 공공 건물 등을 거리 구조의 일부로 활용하여, 다른 용도들을 분리하기보다는 구조의 복잡성과 다용도성을 강화한다.
  • 구역 수준에서 기능적 정체성을 육성한다.


제이콥스는 특히 샌프란시스코의 필모어 지구(Fillmore District) 사례처럼 지역 사회 전체를 철거하는 방식의 도시 재개발 프로그램을 비판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 주민들, 특히 빈곤층을 흩어지게 만들 뿐만 아니라, 고립되고 부자연스러운 도시 공간을 만들어 지역 사회와 혁신적인 경제를 파괴한다고 주장했다. (비장소, 초현실 참조)

6. 2. 효과적인 도시 지역 계획

제인 제이콥스는 지역 사회의 질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민들이 스스로 얼마나 잘 다스리고 보호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고 보았다. 이는 주거 협력, 정치적 영향력, 재정적 활력이 결합된 결과이다. 이를 바탕으로 제이콥스는 효과적인 도시 지역 계획을 위한 네 가지 핵심 원칙을 제시했다.

  • 활기차고 흥미로운 거리를 조성해야 한다.
  • 거리 구조는 잠재적인 소도시 규모와 힘을 가진 구역 전체에 걸쳐 가능한 한 연속적인 네트워크를 이루도록 만들어야 한다.
  • 공원, 광장, 공공 건물 등은 다른 용도와 분리하기보다 거리 구조의 일부로 활용하여, 도시 구조의 복잡성과 다양한 쓰임새를 강화해야 한다.
  • 구역(District) 수준에서 기능적 정체성을 만들어내야 한다.


제이콥스는 특히 샌프란시스코의 필모어 지구 사례처럼 기존 지역 사회를 완전히 철거하는 방식의 도시 재개발 프로그램을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에 살던 가난한 주민들을 뿔뿔이 흩어지게 만들 뿐만 아니라, 고립되고 부자연스러운 도시 공간을 만들어 결국 지역 사회와 혁신적인 경제를 파괴한다고 주장했다. (비장소 및 초현실 참조)

6. 3. 도시 재개발의 문제점

제인 제이콥스는 도시 재개발 프로그램, 특히 샌프란시스코의 필모어 지구처럼 지역 사회 전체를 철거하는 방식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1] 그녀는 이러한 방식의 도시 재개발이 기존에 살던 빈곤층 주민들을 뿔뿔이 흩어지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1] 제이콥스는 이러한 정책이 결국 지역 사회와 그곳의 경제적 기반을 파괴하며, 사람들로부터 고립되고 부자연스러운 도시 공간(비장소)만을 만들어낼 뿐이라고 주장했다.[1] (초현실 참조)

7. 제안된 대안

제인 제이콥스는 기존의 도시 계획 이론, 특히 정원도시나 르 코르뷔지에의 이상적인 도시 계획이 실제 도시의 활력을 해친다고 비판했다. 그녀는 이러한 접근 방식들이 도시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무시하고, 오히려 도시를 쇠퇴시키는 결과를 낳는다고 보았다. 특히, 도시 재개발이라는 명목 하에 진행되는 대규모 계획들이 실제 주민들의 삶과 동떨어져 있으며, 도시의 경제적, 사회적 생태계를 파괴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이콥스는 도시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다양성의 네 가지 생성 요소"를 제시했다. 이 요소들은 도시가 경제적으로 효과적인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5]

1. 복합 주요 용도: 상업, 주거, 문화 시설 등 다양한 용도의 건물들이 섞여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하루 중 시간대에 따라 여러 활동이 일어나 거리가 지속적으로 활기를 띠게 된다.

2. 짧은 블록: 블록의 길이가 짧으면 사람들이 걸어서 이동하기 편리해지고, 다양한 경로 선택이 가능해져 보행자 투과성이 높아진다. 이는 거리의 활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3. 다양한 연령과 수리 상태의 건물: 오래된 건물과 새 건물이 공존해야 한다. 이는 다양한 경제적 수준의 사람들과 활동들이 도시에 자리 잡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오래된 건물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를 제공하여 소규모 상점이나 새로운 사업이 시작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4. 밀도: 충분한 인구 밀도는 거리의 활력을 유지하고 다양한 상업 및 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데 필수적이다. 밀도가 높을수록 거리의 눈(eyes on the street)이 많아져 자연스럽게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제이콥스의 이러한 주장은 질서와 효율성을 중시하는 모더니즘의 미학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다. 그녀는 도시의 예측 불가능성과 겉으로 보이는 무질서함 속에서 나타나는 잉여성활력을 옹호했다. 그녀는 뉴욕시의 그리니치 빌리지를 성공적인 도시 공동체의 대표적인 예로 자주 언급했으며, 실제로 그녀의 글과 행동주의는 그리니치 빌리지를 포함한 여러 유사한 지역 공동체들이 대규모 재개발로부터 보존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8. 평가와 영향

제인 제이콥스는 이 책을 "이 책은 현재의 도시 계획과 재건에 대한 비판이다."라는 단호한 문장으로 시작한다. 그녀는 1959년 보스턴의 노스엔드(North End) 지역 방문 경험을 통해, 그곳이 겉보기와 달리 실제로는 친절하고 안전하며 활기찬 공동체였음을 이야기한다. 이는 해당 지역을 재개발이 필요한 "끔찍한 빈민가"로 여기던 당시 엘리트 계획가 및 금융가들의 시각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제이콥스는 당대의 주류 도시 이론을 "정교하게 학습된 미신"이라 비판하며, 이러한 사고방식이 계획가, 관료, 은행가들에게 만연해 있다고 지적하고 그 기원을 간략히 추적한다.

제이콥스는 정원도시(Garden City)나 분산주의(Decentrists)의 아이디어 자체는 특정 요구(사생활 중시, 자동차 선호, 녹지 공간, 저밀도 주택 등)에 부합할 수 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녀는 이러한 도시 반대적인 편견이 도시 자체의 설계에 대한 주류 학계와 정책(교육 과정, 주택 및 모기지 금융, 도시 재개발, 구역 설정 등)의 핵심 일부가 되어버린 현실을 비판한다. 그녀는 "진심으로 위대한 도시를 강화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마침내 그 도시의 경제를 약화시키고 죽이기 위해 솔직하게 고안된 방법들을 채택하게 되었다는 것"이 이 이야기의 가장 놀라운 비극이라고 말한다.

르 코르뷔지에의 이상적인 도시에 대해서는 더욱 비판적이다. 그의 계획이 비현실적이고 기존 도시의 실제 삶과 동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축가들에게 열광적인 지지를 받으며 저소득 공공 주택부터 사무실 건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프로젝트에 구현되었다고 지적한다. 또한, 아름다운 도시 운동(City Beautiful)처럼 "일상적인 도시"와의 분리를 통해 고립된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던 시도들이 오히려 방문객 유치에 실패하고 쇠퇴를 가속화하는 역설적인 결과를 낳았다고 우려한다.

8. 1. 비판적 시각

도시 이론가 루이스 멈퍼드는 제인 제이콥스의 방법론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뉴욕 서평''에서 제이콥스의 초기 저술들을 격려했다.[7] 멈퍼드는 제이콥스의 방법론에서 오류를 발견하기도 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욕 서평''(New York Review of Books)에 서평을 쓸 기회를 제공했다.[13]

8. 2. 사회적 영향

이 책은 제인 제이콥스의 저서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도시 계획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널리 읽히고 있다. 6개 언어로 번역되어 250,000권 이상 판매되었다.[6][12]

특히 이 책은 로버트 모세스와 같은 근대주의 도시계획가들에 대한 여론을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8] 로버트 캐로는 모세스의 전기인 ''파워 브로커''를 집필할 때 제이콥스의 책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9] 또한 제이콥스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서 스파디나 고속도로 건설 반대 운동에 참여했는데, 이 책은 해당 지역의 무분별한 재개발을 늦추는 데에도 기여했다.[10]

학계에서도 주목받았다. 도시 이론가 루이스 멈퍼드는 제이콥스의 방법론에 일부 비판적인 시각을 가졌으나, 그의 초기 저술을 ''뉴욕 서평''을 통해 소개하며 격려하기도 했다.[7][13] 새뮤얼 델러니의 저서 ''타임스 스퀘어 레드, 타임스 스퀘어 블루''는 도시 연구에서 사회적 관계의 본질을 분석하는 데 있어 이 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13]

9. 참고 문헌


  • 제인 제이콥스.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eng). 초판 1961년. 모던 라이브러리(Modern Library) 양장판, 랜덤 하우스(Random House), 1993년 2월. ISBN 0-679-60047-7. (1993년 판본에는 저자의 새로운 머리말이 포함됨)
  • [https://www.academia.edu/15810739/Insights_and_Reflections_on_Jane_Jacobs_Legacy._Toward_a_Jacobsian_theory_of_the_city 제인 제이콥스의 유산에 대한 통찰과 성찰: 제이콥스식 도시 이론을 향하여] (Insights and Reflections on Jane Jacobs' Legacy. Toward a Jacobsian theory of the cityeng)
  • 로버트 카니겔. ''거리의 눈: 제인 제이콥스의 삶'' (Eyes on the Street: The Life of Jane Jacobseng). 알프레드 A. 크노프(Alfred A. Knopf), 2016. ISBN 9780307961907.

참조

[1] 웹사이트 Jane Jacobs' Radical Legacy https://web.archive.[...] 2006-06-01 # Summer 2006을 6월 1일로 가정
[2] 뉴스 Jane Jacobs, Urban Activist, Is Dead at 89 https://www.nytimes.[...] 2006-04-26
[3] 논문 Revisiting Jane Jacobs's 'Eyes on the Street' for the Twenty-First Century: Evidence from Environmental Criminology 2012
[4] 논문 Paws on the Street: Neighborhood-Level Concentration of Households with Dogs and Urban Crime http://dx.doi.org/10[...] 2022-06-25
[5] 문서 p. 151.
[6] 뉴스 Jane Jacobs: Critic of the modernist approach to urban planning who believed that cities were places for people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6-06-03
[7] 웹사이트 Jane Jacobs Interviewed by Jim Kunstler for Metropolis Magazine, March 2001 http://www.kunstler.[...]
[8] 비디오 The Next American System — The Master Builder (1977) https://www.pbs.org/[...] PBS 2010-02-03
[9] 웹사이트 Transcript of Robert Caro's speech at the Jane Jacobs Medal awards dinner, 2008 https://web.archive.[...]
[10] 서적 The Transit Metropolis: A Global Inquiry Island Press 1998
[11] 웹사이트 Jane Jacobs' Radical Legacy http://www.nhi.org/o[...] 2006-06-01 # Summer 2006을 6월 1일로 가정
[12] 뉴스 Jane Jacobs: Critic of the modernist approach to urban planning who believed that cities were places for people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6-06-03
[13] 웹사이트 Jane Jacobs Interviewed by Jim Kunstler for Metropolis Magazine, March 2001 http://www.kunstl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