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전구군지역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전구군지역사령부는 주한 미군과 주독 미군을 지원하기 위해 창설 및 해산된 부대이다. 1955년 한국에서 제8군 지원사령부로 시작하여 1957년 제7군수사령부로 개편되어 대구에 본부를 두고 제8군을 지원했다가, 1964년 해산되었다. 1965년 서독 보름스에서 제7군 지원사령부로 재소집되어 NATO 북부군집단을 지원했으며, 1978년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서 제7지원사령부로 재소집되어 제21지원사령부의 지휘를 받았다. 1988년 전구군지역사령부로 개편되었으며, 1990년 해산되었다. 산하에는 다양한 지원 부대가 있었으며, 역대 지휘관으로는 로버트 E. 피터스, 셀턴 E. 롤리스, 핸리 K. 밴슨 Jr.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7전구군지역사령부 | |
---|---|
개요 | |
이름 | 제7전구군지역사령부 |
원어 이름 | 7th Theater Army Area Command |
약칭 | 7th TAAC |
활동 기간 | 1957년 7월 1일 ~ 1964년 8월 1일 1965년 6월 1일 ~ 1969년 6월 25일 1978년 10월 21일 ~ 1990년 6월 18일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종류 | 지원부대 |
표어 | Vanguard for Support |
표어 (번역) | 지원을 위한 선봉 |
2. 역사
제7전구군지역사령부의 역사는 6.25 전쟁 이후 주한 미군 지원 임무를 수행하던 부대에서 시작되었다. 1955년 7월, KCOMZ를 재편하여 제8군 지원사령부가 창설되었고, 1957년 7월 1일에는 대구에서 제7군수사령부로 개편되어 미 제8군을 지원했다. 이 부대는 1964년 8월 1일 해산되었다.
이후 1965년 6월 1일, 서독 보름스에서 제7군 지원사령부로 재창설되어 NATO 군 지원 임무를 맡았으나, 1969년 6월 25일 다시 해산되었다. 1978년 10월 21일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서 제7지원사령부로 재소집되어 제21지원사령부의 지휘를 받으며 활동을 재개했다. 1982년 라인베르크로 본부를 이전했으며, 1988년 11월 1일 전구군지역사령부로 개편되었다. 최종적으로 1990년 6월 18일 라인베르크에서 해산되었다.
2. 1. 주한 미군 지원 (1955년 ~ 1964년)
6.25 전쟁 중 창설된 KCOMZ를 재편하여 1955년 7월 제8군 지원사령부가 설립되었다. 이 부대는 2년 후인 1957년 7월 1일, 제7군수사령부로 개편되었으며, 본부는 대구시에 두었다. 제7군수사령부는 제8군을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1964년 8월 1일까지 활동하다가 이후 제8군의 창사령부와 후방본부로 대체되었다.주한 미군 지원 시기에는 다음과 같은 의료 지원 부대가 예하에 있었다.
2. 2. 주독 미군 지원 (1965년 ~ 1990년)
한반도에서 해산한 지 10개월 뒤인 1965년 6월 1일, 서독의 보름스에서 제7군 지원사령부로 다시 소집되었다. 이 부대는 NATO 중앙유럽 연합군 소속 북부군집단이 관할하는 지역 중 하나인 독일 보름스에 자리 잡았다. 주요 임무는 독일 북부와 네덜란드에 주둔한 NATO 군사 전력에 대한 전투근무지원이었다. 그러나 군대의 주된 작전 단위가 야전군에서 군단 중심으로 바뀌는 지원체계 개편에 따라 1969년 6월 25일에 해산되었다.이후 1978년 10월 21일,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서 제7지원사령부라는 이름으로 다시 소집되었다. 이때부터는 제21지원사령부의 지휘통제를 받았으며, 미국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에 있는 제310전구군지역사령부의 전방 부대 역할을 수행했다. 평시에는 독일 북부와 네덜란드에 있는 북부군집단 소속 미군을 지원하고, 전시에는 후방전투지역(RCZ, Rear Combat Zone)과 통신지대(COMZ, Communications Zone)를 지원하는 임무를 맡았다.
1982년 6월 15일에는 본부를 라인베르크로 이전했다.
1988년 11월 1일, 사령부는 전구군지역사령부로 조직이 개편되었다. 이 과정에서 제54지역지원단의 일부 임무가 제29지역지원단과 제21전구군지역사령부로 이관되었다. 또한 라인베르크의 계약 담당관, 제256헌병중대의 라인베르크 현장 사무소, 범죄수사사령부의 라인베르크 분견대, 제532통신중대 분견대, 제111총무중대 (우편 담당) 등 예하 부대의 운영 범위가 축소되거나 다른 부대로 옮겨졌다.
1990년 6월 18일, 라인베르크의 레이첼 빌딩에서 부대기 반납 행사를 마지막으로 제7전구군지역사령부, 제54지역지원단, 제11재무지원부대는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라인베르크에 있던 근무지원처의 기능 대부분은 Shinnen 군사공동체로 이전되었다.
3. 산하 조직
(내용 없음)
3. 1. 1950년대 (주한 미군 지원)
6.25 전쟁 중 창설된 KCOMZ가 재편되어 1955년 7월 제8군 지원사령부가 설립되었다. 이 사령부는 2년 뒤인 1957년 7월 1일, 대구광역시에 본부를 둔 제7군수사령부로 대체되었다. 제7군수사령부는 주한 미군에 대한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1950년대에 활동한 주요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3. 2. 1950년대 (주독 미군 지원)
부대 | 주둔지 | 비고 |
---|---|---|
제2병참단 | 루트비히스부르크 | |
제30의무단 | 바이힌겐 | |
제31의무단 | 다름슈타트 | |
제62의무단 | 바트크로이츠나흐 | |
제8수송단 | 오버슐라이스하임 | (이동 통제) |
제10수송단 | 루트비히스부르크 | (중형 화물차), 1965년 ~ 1967년 |
제47병기단 | 루트비히스부르크 | |
제51병기단 | 만하임-샌드호펜 | |
제57병기단 | 카이저슬라우테른 | |
제521공병단 | 카이저슬라우테른 | |
제1보충대대 | 츠바이브뤼켄 | |
제85화학대대 | 바움홀더 | |
제385헌병대대 | Kornwestheim|코른베스트하임deu | |
제545통신중대 | 만하임 Käfertal|케퍼탈deu |
3. 3. 1960년대
부대명 | 주둔지 | 비고 |
---|---|---|
본부 및 본부중대 | ||
제7재고통제소 | 카를스루에 | |
특수병력 본부중대 | 뵈블링엔 | |
제1지원여단 (후방) | 만하임 | 1965년 6월 23일 창설, 1969년 6월 25일 COMZEUR로 전속됨. |
제2지원여단 (제7군단 지원) | 하나우 | 1965년 6월 24일 창설, 1969년 6월 2일 제5군단 지원사령부로 대체됨. |
제3지원여단 (제5군단 지원) | 주펜하우젠 | 1969년 3월, 제7군단 지원사령부로 재편성됨. |
제7의무여단 | Vaihingen | |
제15헌병여단 | 푸랑크푸르트 | |
제57병기여단 | 카이저슬라우테른 | |
제107수송여단 | 루트비히스부르크 | |
비행분견대 | 옛 제60항공중대 |
3. 4. 1980년대
- 물자관리원
- 제54지역지원단
- * 제6931민간지원소 (6931st Civilian Support Centereng)
- * 제8017민간지원단
- * 라인베르크 예비저장처 (Reserve Storage Activity Rheinbergeng)
- * 율리히 정비공장 (Jülich Maintenance Plantdeu) - 독일 연방육군 운영
- 유럽 전투장비단(Combat Equipment Group, Europeeng; CEGE) - 라인베르크 단지
- * 9개 장비저장고
- 제60병기단 - 라인베르크 단지
- * 3개 탄약고
- 제11재무지원부대
4. 역대 지휘관
- 준장 Robert E. Peters|로버트 E. 피터스영어[1]
- 준장 Shelton E. Lollis|셀턴 E. 롤리스영어
- 준장 Henry K. Benson, Jr|핸리 K. 밴슨 Jr.영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