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나미칸토 직하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은 일본 간토 지방 남부 지역을 진원으로 하는 규모 7 정도의 지진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사가미 해곡에서 일어나는 대규모 지진(사가미 해곡 거대지진)과는 별개로, 수십 년에 한 번씩 발생하는 M7급 지진을 의미하며, 1293년 가마쿠라 지진, 1855년 안세이 에도 지진 등이 대표적이다. 이 지역은 필리핀해판이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가라앉는 복잡한 지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다. 2000년대 초반부터 지진 발생 확률을 평가해 왔으며, 2021년 1월 1일 기준 사가미 해곡에서 M7급 지진이 30년 내에 발생할 확률은 약 70%로 예측된다. 미나미칸토 직하지진 발생 시 건물 붕괴, 화재, 경제적 손실 등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방재 대책이 추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토 지방의 지리 - 게이힌 공업지대
    게이힌 공업지대는 도쿄만을 중심으로 도쿄, 가와사키, 요코하마 등 여러 도시에 걸쳐 형성된 일본의 대표적인 공업 지대로, 정밀 기계, 조선, 자동차, 철강, 화학 등의 산업이 발달했으며, 무역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환경 문제와 토지 부족 등의 어려움을 겪으며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 간토 지방의 지리 - 간토 단편
    간토 단편은 유라시아판 아래로 필리핀해판과 태평양판이 침강하는 지역에서 발생하며, 약 200~300만 년 전 태평양판의 파단으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진과 관련된 지질학적 현상이다.
  • 간토 지방의 역사 - 닛코 가도
    닛코 가도는 에도 시대에 에도와 닛코를 잇는 중요한 도로로서 도쿠가와 쇼군의 참배와 물류 수송에 사용되었으며, 근대화 시대를 거치며 훼손되었지만 현재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관광 자원으로서 보존되고 있다.
  • 간토 지방의 역사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에서 발생한 Mw 9.0~9.1 규모의 초대형 해구형 지진인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은 대규모 쓰나미를 동반하여 동일본 대지진이라는 대규모 재해를 야기했으며, 연동형 지진으로 지구 자전축 이동과 같은 지구적 규모의 영향과 지진 예측 시스템의 한계를 드러냈다.
  • 일본의 지진 - 간토 대지진
    1923년 9월 1일 간토 지방 남부에서 발생한 간토 대지진은 대규모 지진과 그로 인한 화재, 여진, 쓰나미로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으며, 간토 대학살과 같은 비극을 낳고 일본의 재해 예방 및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준 일본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 일본의 지진 - 일본 해구
    일본 해구는 태평양판과 오호츠크판의 수렴경계에 위치한 깊고 활발한 지진 활동을 보이는 해구로, 잦은 지진과 쓰나미 위험을 야기하며 지질학적 및 해양생물학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다.
미나미칸토 직하지진
개요
명칭수도 직하 지진
다른 명칭남간토 직하 지진
수도권 직하 지진
지역
위치남간토 지역 (수도권)
관련 지역도쿄도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발생 메커니즘
유형활단층형 지진
주요 원인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의 경계에 위치
복잡한 단층 구조
발생 빈도 및 규모
예상 진도최대 진도 7
규모M7급
발생 확률30년 이내 70% (추정)
피해 예상
사망자최대 23,000명 (최악의 경우)
건물 피해광범위한 건물 붕괴 및 화재 발생 가능성
경제적 피해막대한 경제적 손실 예상
대비책
정부 대책건물 내진 설계 강화
방재 훈련 및 교육
긴급 구조 시스템 구축
개인 대책비상 용품 준비
대피 계획 수립
가족과의 연락망 확보
참고
관련 정보간토 대지진
사가미 해곡 거대지진

2. 역사적 배경

남칸토 지역은 과거부터 여러 차례 큰 지진을 겪었다. 사가미 트러프에서는 200-400년 주기로 규모 8 정도의 거대지진(사가미 해곡 거대지진, 간토 지진)이 발생한다.[11]사가미 해곡은 사가미 만에서 필리핀해 플레이트가 육지 플레이트(북아메리카 플레이트) 아래로 침강하면서 형성된 해저 골짜기 지형이다.

이와 별개로, 미나미칸토 지역에서는 규모 M7급 지진이 수십 년에 한 번꼴로 발생하며, 이를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이라 부른다. 1855년 안세이 에도 지진(M6.9), 1894년 메이지 도쿄 지진(M7.0) 등이 이에 해당한다.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은 대륙판 내 지진인 직하형지진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계간 지진(해구형지진) 및 해양판 슬래브 내 지진도 포함된다.[13]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은 진원이 해저가 아니기 때문에, 긴급지진속보 발신이 S파 도달 직후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된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의 발생 확률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2012년에는 최대 진도 7을 포함한 예상 진도 분포가 발표되었다.[15]

2. 1. 주요 지진 목록

발생 시각 (일본 표준시)진원지규모
1293년가마쿠라불명
1703년 12월 31일사가미만M8.1-8.5[62]
1855년 11월 11일도쿄도M6.9
1894년 6월 20일도쿄도M7.0
1923년 9월 1일사가미만M7.9-8.3[62]


3. 지진 발생 원인 및 특징

미나미칸토 지역은 대륙판 아래에 해양판이 2개나 가라앉아 있는 복잡한 지구조론 형태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가미 만에서 필리핀해 플레이트가 육지 플레이트(북아메리카판) 아래로 침강하고 있으며, 보소 반도 남쪽을 지나 미야케 섬 동쪽 부근까지 판 경계가 사가미 해곡을 형성하고 있다.[62]

이러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미나미칸토 지역은 지진 발생 빈도가 높다. 사가미 해곡에서는 겐로쿠 지진(1703년, M8.1-8.5), 간토 대지진(1923년, M7.9-8.3)과 같은 규모 8 정도의 거대지진(사가미 해곡 거대지진)이 200-400년 간격으로 발생하고 있다.[11][12][63][64] 사가미 해곡 외에도 간토 지방 남부 지역에서는 규모 7 정도의 지진(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이 평균 수십 년에 한 번 꼴로 발생하고 있다. 안세이 에도 지진(1855년, M6.9), 메이지 도쿄 지진(1894년, M7.0)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3]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은 내륙 지각 내 지진(직하형 지진)뿐만 아니라 플레이트 간 지진(해구형 지진), 슬래브 내 지진도 포함된다.[14]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은 진원이 얕아 강한 흔들림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간토 평야는 두꺼운 퇴적층으로 덮여 있어 지진파가 증폭되기 쉽고, 도쿄만 연안이나 강 유역은 지반이 약해 피해가 커질 수 있다. 아래 표는 야마노테선 안쪽 주요 철도역의 지진 증폭률을 나타낸다.[16]

야마노테선 안쪽 주요 철도역의 지진 증폭률
증폭률이 낮은(지반이 강한) 역증폭률이 높은(지반이 약한) 역
순위역명증폭률순위역명증폭률
1위히가시신주쿠역1.311위아키하바라역1.85
1위요요기역1.311위스이도바시역1.85
3위이케부쿠로역1.323위하마마쓰초역1.74
4위신주쿠역1.334위도쿄역1.74
5위요쓰야역1.345위간다역1.69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은 도쿄를 포함한 수도권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며, 경제 및 국가 안전 보장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15]

3. 1. 미나미칸토 활단층

간토 지역의 주요 활단층 지도. 범례는 미나미칸토 지역(도쿄도, 가나가와현, 지바현, 사이타마현, 이바라키현)에 해당하는 단층만 언급했다.

미나미칸토의 직하형지진 중 진원 깊이가 매우 얉고 활동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되는 활단층은 다음과 같다.[65] 강바닥이나 호수 바닥, 해저의 단층은 조사가 매우 어려우며 미나미칸토 지역 자체가 간토구조분지운동으로 인해 두꺼운 퇴적층이 덮혀 있어 매우 깊은 곳까지 파여 기반암이 보이는 단층면이 있어 거의 조사되지 않았다. 즉 발견되지 않은 단층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주의해야 한다.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어난 광역적인 지각변동으로 다치카와 단층대미우라반도 단층군과 같은 일부 단층대는 지진발생확률 위험도가 높아졌다고 발표되었다.[66] 또한 간토 지역 활단층의 지진은 "30년 내 발생 확률 70%"에 속해 있지 않은 지진이다.

4. 과거의 미나미칸토 직하지진



미나미칸토에서 일어나는 직하형지진 중 진원 깊이가 매우 얉고 활동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되는 활단층은 다음과 같다.[65]

강바닥, 호수 바닥, 해저의 단층은 조사가 매우 어려우며, 미나미칸토 지역은 간토구조분지운동으로 인해 두꺼운 퇴적층이 덮여 있어 매우 깊은 곳까지 파야 기반암이 보이는 단층면이 나타나기 때문에 거의 조사되지 않았다. 따라서 발견되지 않은 단층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광역적인 지각변동으로 다치카와 단층대나 미우라반도 단층대와 같은 일부 단층대는 지진 발생 확률 위험도가 높아졌다고 발표되었다.[66] 또한, 간토 지역 활단층의 지진은 "30년 내 발생 확률 70%"에 속해 있지 않은 지진이다.

과거 미나미칸토 지역에 피해를 입힌 주요 지진은 다음과 같다.

  • 1293년 가마쿠라 지진
  • 1703년 겐로쿠 지진
  • 1855년 에도 지진
  • 1894년 도쿄 지진
  • 1923년 간토 대지진

4. 1. 목록

지진 이름년도월일진앙진원 깊이규모종류사망자수쓰나미
고닌 지진818년7월군마사이타마현 경계 부근매우 얉음?7.5직하형?다수
사가미-무사시 지진878년11월 1일이세하라 단층매우 얉음7.4?다수발생?
닌지 가마쿠라 지진1241년5월 22일불명매우 얉음7.0?발생
쇼카 가마쿠라 지진1257년10월 9일사가미만?매우 얉음7 이상다수
에이닌 가마쿠라 지진1293년5월 27일사가미만매우 얉음7 이상2만 3천명 이상발생?
에이쿄 사가미 지진1433년11월 6일사가미만?매우 얉음?7 이상발생
겐나 에도 지진[70]1615년6월 26일가나가와현 서부?대략 20km?6.3?발생
간에이 오다와라 지진1633년3월 1일사가미만 서부?매우 얉음7.0?150발생
쇼호 사가미 지진[70]1647년6월 16일가나가와현 서부?매우 얉음6.5?발생
게이안 사가미 지진1648년6월 13일불명불명6 이상1
게이안 가와고에 지진1649년7월 30일사이타마현 남부약간 깊음6.5-6.750명 이상
게이안 가와사키 지진[70]1649년9월 1일가와사키 부근약간 깊음6.4?다수
도쿄만 부근 지진[75]1697년11월 25일도쿄만 부근6.5
겐로쿠 간토 지진1703년12월 31일노지마곶 해역매우 얉음8.1-8.4NA-PHS1만명 이상대형 쓰나미
덴메이 오다와라 지진1782년8월 23일가나가와현 서부?20km?6.8-7.0[71]발생발생?
교와 가즈사 지진[75]1801년5월 27일구루리 부근6.5?
분카 가나가와 지진[70]1812년12월 7일가나가와 부근30km?6.4?PHS내?발생
텐포 아시가라-고텐바 지진1843년3월 9일가나가와현 서부약간 깊음6.5
가에이 오다와라 지진1853년3월 11일가나가와현 서부20km?6.6-6.8[71]100명낮은 쓰나미
안세이 에도 지진1855년11월 11일도쿄만 부근40km?6.9-7.4PHS내?1만명 이상없음
사이타마현 중남부 지진1856년11월 4일사이타마현 구메가와정 부근약간 깊음6.0-6.5없음
야마나시현 동부 지진[72]1891년12월 24일야마나시현 동부30km 부근6.5없음
메이지 도쿄 지진1894년6월 20일도쿄만 부근 (아라카와강 하구 부근)40km[73], 80km 정도[74]7.0PHS내 또는 PHS-PAC[74][75]31명없음
도쿄만 부근 지진[70]1894년10월 7일도쿄만 부근90km6.7PAC내-없음
이바라키현 남부 지진1895년1월 18일이바라키현 남부 (가스미가우라호 부근[77])약 40km - 60km 또는
약 60km - 80km[76]
7.2[77]PAC내?[76][75]9명없음
이바라키현 남부 지진1921년12월 8일이바라키현 남부53km[75] 또는
약 60km - 80km[76]
6.4[79], 7.0[77]PHS내[76][75]-없음
가나가와현 동부 지진1922년4월 26일도쿄만 부근[78][75]40km-70km[78], 71±21km,[80], 53km[75]6.8PHS내[78][80][75]2명없음
다이쇼 간토 지진1923년9월 1일가나가와현 서부23km7.9-8.2NA-PHS10만명 이상거대한 쓰나미 발생
(위의 여진)1923년9월 1일도쿄만 북부 부근0km7.2---
(위의 여진)1923년9월 1일단자와 부근0km7.3---
(위의 여진)1923년9월 1일사가미만42km6.5---
(위의 여진)1923년9월 1일사가미만39km6.5---
(위의 여진)1923년9월 2일지바현 동남쪽 해역14km7.3---
단자와 지진1924년1월 15일가나가와현 서부 (미나미아시가라시 인근)0km - 10km7.3-19명없음
서사이타마 지진1931년9월 21일사이타마현 북부 (요리이정 인근)3km6.9직하형16명없음
지바현 동쪽 해역 지진1987년12월 27일지바현 동쪽 해역 (구주구리 해변 인근)[81]58km[81]6.7PHS내[81]2명없음



아래는 미나미칸토에서 일어난 규모 M6.5 이상의 지진 목록이다. 일본 지진조사위원회의 미나미칸토 직하지진 발생확률평가에 사용한 지진은 굵게 강조하고 분홍 계열로 배경을 색칠하였다. 노란색은 사가미 해곡 거대지진으로 밝혀졌거나 그 종류로 추정되는 지진이다. "종류" 열의 기호는 다음과 같다.

# 직하형 : 대륙판(북아메리카판필리핀해판) 내부에서 일어나는 "내륙지각 내 지진". 진원 깊이 20km 이하.

# NA-PHS : 대륙판인 북아메리카판과 필리핀해판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판 경계간 지진". 진원 깊이는 지표 부근이나 깊이 50km 부근.

# PHS내 : 필리핀해판 내부에서 일어나는 "슬래브 내 지진". 깊이 10km-60km 부근.

# PHS-PAC : 필리핀해판과 태평양판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판 경계간 지진". 깊이 50km-80km 부근.

# PAC내 : 태평양판 내부에서 일어나는 "슬래브 내 지진". 깊이 50km-100km 부근.

4. 2. 추정 지진 발생 확률

일본 정부의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는 2000년대 초반부터 "미나미칸토 지역의 규모 M7급 지진"의 발생 확률을 평가하기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정하였다. 과거 지진 발생 기록 및 현재 밝혀진 범위 내에서 2007년에서 2036년 사이 규모 M6.7-7.2의 해구형/슬래브내형 지진이 70% 확률로 일어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82] 2020년 시점에서는 사가미 해곡 주변에서 일어나는, 필리핀해판의 침강에 따른 규모 M7급 지진의 확률만을 별도로 계산한다. 대륙판 내부에서 일어나는 여러 단층대에서 일어나는 "내륙 지각 단층 지진"은 각 단층의 지진확률평가에 계산되어 있으므로 아래의 확률 계산에서 제외하였다.[84]

지진 발생 확률 (일본 지진조사위원회 인용)[84]
구역지진 종류2021년 1월 1일 기준
규모(M)10년 내 발생 확률30년 내 발생 확률
사가미 해곡판의 침강에 따른
규모 M7급의 지진
M7 정도 (M6.7-7.3)약 30%약 70%



하지만 이 추정 확률은 과거 100년 정도의 지진 데이터도 포함되어 있으나, 과거의 피해 기록 및 지질 조사와 같은 간접적인 근거로만 추정한 것이 많기 때문에 규모 M7급과 같은 대부분의 가정은 불확실성이 너무 많다는 의견도 있다.[69]

5. 미나미칸토 활동기

가쓰도키 미조메구미 등 여러 연구자들은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의 활동기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한다.[85]


  • 제1기
  • : 간토 지진 발생으로부터 약 70-80년 사이의 기간이다. 간토 지진으로 미나미칸토 지역의 단층과 판에 쌓인 응력이 해소되어 지진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평온한 시기이다.
  • 제2기
  • : 그 다음 70-80년 사이의 기간이다. 단층 사이에 쌓인 응력이 점점 쌓여 간토 지진 발생에 필요한 응력 축적량의 1/3 이상까지 쌓이며, 미나미칸토 각지에서 지진 활동이 활발해진다. 규모 M7급의 직하형지진이 일어나기도 한다.
  • 제3기
  • : 미나미칸토 곳곳에서 지진 활동이 더욱 활발해지는 기간이다. 경미한 피해를 입히는 지진이 여러 차례 일어나며, 규모 M7급의 직하형지진도 수 차례 일어난다. 간토 지진이 다시 일어나는 시기이다.

6. 타 지진과의 연관성

사가미 해곡에서는 규모 8 정도의 거대지진이 200-400년 간격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이를 "사가미 해곡 거대지진(간토 지진)"이라고 부른다.[63][64] 이와는 별개로, 간토 지방 남부 지역에서는 규모 7급의 지진이 평균 수십 년에 한 번 꼴로 일어나는데, 이를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이라고 부른다.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은 직하형지진뿐만 아니라 해구형지진 및 해양판 슬래브 내 지진도 포함한다.[62]

6. 1. 기타 지진과의 연동 예

1855년 안세이 에도 지진 발생 1년 전에는 난카이 해곡의 거대 지진인 안세이 도카이 지진안세이 난카이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 지진들이 에도 지진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86]

또한, 869년 일본 해구 부근에서 발생한 연동형지진으로 추정되는 조간 지진이 일어난 9년 후인 878년에 사가미·무사시 지진이 발생했고, 그 9년 후인 887년에는 난카이 해곡에서 연동형 거대 지진으로 추정되는 닌나 지진이 발생했다.

6. 2.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의 수도권 지진 활동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이후, 수도권에서는 유발 지진 활동으로 인해 지진 발생 횟수가 증가했다. 동일본 대지진(본진)은 일본 해구 부근에서 발생한 연동형 지진이다.

도쿄 대학 지진 연구소의 사카이 신이치 관측 개발 기반 센터 부교수와 히라타 나오시[41] 교수 등의 연구 그룹은 '구텐베르크-리히터 법칙'과 '개량 오모리 공식'을 조합한 '여진의 확률 평가 기법'을 사용하여, M6.7-M7.2 규모의 지진이 수도권에서 발생할 확률을 2011년 9월에 "향후 30년 동안 98%, 4년 이내에 70%"로 추산했다.[42][43] 그러나, 이 수치는 큰 오차를 포함하고 있어 숫자 자체에는 큰 의미가 없으며, 동일본 대지진의 유발 지진 활동과 수도 직하 지진을 포함한 정적인 지진 활동과의 관련성은 불분명하여 단순 비교는 부적절하다고 밝혔다.[44][45] 2012년 2월 상순 보도에 따르면, 재계산 결과 4년 이내 50% 이하, 30년 이내 83%로 산출되었다.

도다 신지 교토 대학 방재 연구소 부교수[46] 등의 2012년 1월 21일까지의 계산 결과에서는, 수도권에서 M7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5년 이내에 28%, 30년 이내에 64%였다.[47]

7. 예상 피해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수도권에서는 유발 지진 활동으로 지진 발생 횟수가 증가했다. 여러 연구 기관에서 미나미칸토 직하지진 발생 가능성과 예상 피해를 연구해 왔다.

교토 대학 방재 연구소 도다 신지 부교수[46] 등은 2012년 1월 21일까지의 계산 결과, 수도권에서 M7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5년 이내에 28%, 30년 이내에 64%라고 발표했다.[47]

도쿄 대학 지진 연구소 사카이 신이치 관측 개발 기반 센터 부교수를 중심으로 하는 히라타 나오시[41] 교수 등의 연구 그룹은 2011년 9월, M6.7-M7.2 규모의 지진이 수도권에서 발생할 확률을 "향후 30년 동안 98%, 4년 이내에 70%"로 추산했다.[42][43] 그러나 이 수치는 큰 오차를 포함하고 있어, 숫자 자체에는 큰 의미가 없다는 점을 밝혔다.[44] 이후 재계산 결과 4년 이내 50% 이하, 30년 이내 83%로 수정되었다.

7. 1. 주요 예상 피해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이 발생하면 건물 붕괴, 화재, 교통 마비, 통신 두절 등 다양한 피해가 예상된다. 특히 간토 평야는 퇴적층이 두꺼워 지진의 흔들림이 증폭되기 쉽고, 도쿄만 연안이나 아라카와, 톤네가와 유역은 지반이 약해 피해가 커질 수 있다.[16]

2013년 중앙 방재 회의 보고에 따르면, 최악의 경우 사망자 약 23,000명, 건물 약 61만 동 붕괴, 경제 피해 약 95조이라는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48] 도쿄도 방재 회의는 2022년 도심 남부 직하 지진 발생 시 사망자를 6,148명으로 예상했다.[49]

다음은 주요 지진 종류별 예상 피해 상황이다. (겨울 저녁, 풍속 8m/초 기준)

지진 종류건물 피해 (소실 포함)사망자부상자피난자
도심 남부 직하 지진 (M7.3)194,431동약 6,148명93,435명299만 명
다마 동부 직하 지진 (M7.3)161,516동약 4,986명81,609명276만 명
다이쇼 간토 대지진54,962동약 1,777명38,746명151만 명
다치카와 단층대 지진51,928동약 1,490명19,229명59만 명



이 외에도 장주기 지진동에 의한 고층 건축물 피해, 액상화 현상, 쓰나미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갇힘, 건물 유리 파손, 도로 및 교통 시설 마비, 화재 선풍, 가스 및 석유 탱크 화재 등 다양한 피해가 예상된다.[54][55][56][59][60]

경제적으로는 도쿄 증권 거래소 등 금융 시장 마비, 경상 수지 적자, 공급망 단절, ODA 부족 등 심각한 영향이 예상된다. 또한 수도 기능 이전 논의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8. 방재 대책

일본 정부는 1992년에 "남칸토 지역 직하 지진 대책에 관한 대강"을 제정하고, 2003년에는 중앙방재회의에 "수도 직하 지진 대책 전문 조사회"를 설치하여 수도 특유의 문제를 포함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50] 기업들은 지진 발생 시 본사 기능 마비를 막기 위해 간토 지방 이외 지역에 본사 기능을 대체하는 체제를 만들거나, 지진을 대비한 사업 연속성 계획(BCP)을 추진하고 있다. 자치단체들은 방재 거점 및 재해 시 체제 정비, 남칸토 이외 자치단체와의 광역 연계를 추진하고 있다.

학교, 의료기관, 복지 시설, 상업 시설수도, 도시 가스, 전기, 공항, 철도, 버스, 도로공공성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내진성을 강화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조기에 복구하여 지진 발생 시와 이후 중장기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도로의 경우 지진 발생 시 귀가 곤란자로 인한 정체를 막아 긴급 차량이나 자위대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경찰은 수도권을 담당하는 경시청, 가나가와현 경찰, 지바현 경찰, 사이타마현 경찰 관내에서 강력한 교통 규제를 할 준비가 되어 있다. 경시청에서는 도내에서 진도 6약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즉시 교통 규제를 실시하고 긴급 차량만 주행시키는 것이 도 조례로 정해져 있다. 실제로 경시청은 도내 주요 교차점 500개소 이상에 경찰관을 급파하여 교통 규제를 하는 훈련을 반복하고 있으며, 남칸토 직하 지진에 대한 많은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고 한다. 방위성은 육상자위대에서 자위관 약 11만 명, 해상자위대에서 함정 50척, 항공자위대에서 구조 부대를 수도권에 투입할 방침이다.

문부과학성・수도 직하 지진 방재·감재 특별 프로젝트는[50] 수도권 지진 관측망을 구축하고 도쿄 대학 지진 연구소를 중심으로 44억을 투입하여 직하 지진 대책을 연구하고 있다. 수도권 학교 등에 300곳의 지진계를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 중이다.[51]

프로젝트 연구팀이 도쿄만 북부를 진원으로 하는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이 기존 예상을 뛰어넘는 진도 7이 될 것이라고 예상함에 따라, 중앙 방재 회의는 팀의 최종 보고에 근거하여 수도 직하 지진의 피해 상정을 재검토하기로 했다.[52] 해당 팀은 2012년에 의 깊이가 기존보다 10km 얕다고 추정하고 있다.

9. 미나미칸토 직하지진을 소재로 한 작품


  • '''소설'''

:** 일본 침몰 (고마쓰 사쿄, 1973년)

:** 도쿄대지진 M8 (이쿠타 나오치카, 1980년)

:** 도쿄대진재: 무방비의 도시에 직하형지진이 덮친 날 (구니미쓰 시로, 1995년)

:** M8 (다카시마 데쓰오, 2004년)

:** 헤이세이 간토대진재-언젠가 온다고 생각했지만 오늘 온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후쿠이 하루토시, 2007년)

  • '''영화'''

:** 일본 침몰 (1973년)

:** 지진열도 (1980년)

:** 일본 침몰 (2006년)

:** 싸이보그 그녀 (2008년)

:** 252명 생존자 있음 (2008년)

  • '''텔레비전 드라마'''

:** 도쿄대지진 매그니튜드 8.1 (1980년, 요미우리 TV 방송)

:** 어스웨이크 2006년 봄 도쿄대지진 (2006년, 니혼테레비)

:** 구명 병동 24시 (2009년 3기 방송, 후지 TV)

:** NHK 스페셜 시리즈 체감 수도 직하 지진 「패러렐 도쿄」(2019년)

  • '''만화'''

:** 일본 침몰 (1973년, 사이토 다카오)

:** TOMORROW ~ 해가 뜨는 거리 ~ (2004년, 모리모토 리나)

:** 그녀를 지키는 51가지 방법 (2006년, 후루야 우사마루)

  • '''애니메이션'''

:** 샹그리라 (2009년)

:** 도쿄 매그니튜드 8.0 (2009년)

  • '''다큐멘터리'''

:** NHK 스페셜 시리즈 체감 수도 직하 지진 (2019년)

참조

[1] 웹사이트 首都直下型地震とは https://kotobank.jp/[...] 2021-05-24
[2] 웹사이트 首都直下地震とは https://kotobank.jp/[...] 2021-05-24
[3] 웹사이트 南関東地震とは https://kotobank.jp/[...] 2021-05-24
[4] 웹사이트 首都直下地震「今後30年で70%」の根拠は|災害列島 命を守る情報サイト|NHK NEWS WEB https://www3.nhk.or.[...] 2019-11-25
[5] 웹사이트 30年以内に70%の確率で起きる!? もし首都直下地震が起きたら…専門家が算出する被害想定は?(TOKYO FM+)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1-05-24
[6] 웹사이트 首都直下地震対策について http://www.bousai.go[...] 2013-02-19
[7] 문서 首都直下地震対策専門調査会報告 平成17年7月 中央防災会議p4 http://www.bousai.go[...]
[8] 웹사이트 特集 首都直下地震の被害想定と対策について(最終報告)-内閣府防災情報のページ : 防災情報のページ – 内閣府 http://www.bousai.go[...] 2021-05-24
[9] 웹사이트 首都直下地震 被害想定 死者約2万3000人|災害列島 命を守る情報サイト|NHK NEWS WEB https://www3.nhk.or.[...] 2019-11-25
[10] 웹사이트 首都直下地震の被害想定:朝日新聞デジタル http://www.asahi.com[...] 2021-05-24
[11] 문서 地震調査委員会による推定(2011年時点)。
[12] 문서 相模トラフ沿いの巨大地震は更に2つのタイプに分けられると考えられ、200 - 400年間隔で神奈川県~千葉県付近の相模トラフ西側半分が滑るM7.9-8.2前後の「大正型」と、2,000 - 2,300年程度の間隔で神奈川県~千葉県南東沖の相模トラフ全体が滑るM8.1-8.5前後の「元禄型」がある。なお、「元禄型」は「大正型」の震源域に加えて、相模トラフの東側半分にあたる千葉県南東沖の震源域が同時に破壊される([[固有地震|固有]]の両震源域における)[[連動型地震]]との見方もある。
[13] 문서 政府の想定では三浦半島断層群や箱根ヶ崎断層帯などの既知の活断層は評価に含まれていない。
[14] PDF 首都直下地震対策専門調査会報告 平成17年7月 中央防災会議p4 https://www.bousai.g[...]
[15] webarchive 3月11日以降の首都圏の地震活動の変化について http://outreach.eri.[...] 東大地震研 広報アウトリーチ室 2012-01-27
[16] 문서 二線以上の鉄道接続駅。独立行政法人[[防災科学技術研究所]][https://www.j-shis.bosai.go.jp/ 「地震ハザードステーション」] による。
[17] 논문 関東南部地震69年周期の証明とその発生の緊迫度ならびに対策の緊急性と問題点 https://doi.org/10.5[...] 1970
[18] 웹사이트 立川断層帯における重点的な調査観測 史料地震学による断層帯周辺の被害地震の解明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2-2014
[19] 간행물 天明相模の地震及び嘉永小田原地震の被害分布と震源位置 http://www.histeq.jp[...] 2010
[20] 서적 地震の事典 (第2版)(普及版) http://www.asakura.c[...] 朝倉書店
[21] 간행물 明治27年東京地震・安政2年江戸地震・元禄16年関東地震の震度分布 https://cais.gsi.go.[...] 1972
[22] 간행물 明治二十七年六月二十日東京激震ノ調査 https://hdl.handle.n[...] 1899
[23] 간행물 古い地震計から読み取れる明治以降の南関東地域の地震の特性 2001
[24] PDF 過去地震の類別化と長期評価の高度化に関する調査研究 https://www.eri.u-to[...] 首都直下地震防災・減災特別プロジェクト
[25] 문서 野口(1998)、勝間田(2001)、地震調査委員会(2004)による。
[26] 간행물 1885年~1925年の日本の地震活動 : M6以上の地震および被害地震の再調査 https://hdl.handle.n[...] 1979
[27] 간행물 多層構造モデルのもとで多点のS-P時間をもちいた古い地震の震源再計算 https://doi.org/10.4[...] 1975
[28] 간행물 1921年12月8日に茨城県南西部で発生した地震の発震機構と地震モーメント https://doi.org/10.4[...] 2000
[29] 문서 石橋(1975)、勝間田(2001)、地震調査委員会(2004)による。
[30] 간행물 1923年関東地震の本震直後の2つの大規模余震 1999
[31] 문서 地震調査委員会(1999, 2004)による。
[32] 웹사이트 相模トラフ沿い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について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地震調査委員会 2004
[33] 웹사이트 相模トラフ沿い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について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地震調査委員会 2014
[34] 서적 地震活動総説 http://www.utp.or.jp[...] 東京大学出版会
[35] 문서 図3 南関東におけるM7程度の地震の評価領域と過去に発生した主要な地震
[36] 웹사이트 2005年千葉県北西部の地震 ─震源メカニズム・強震動─ https://taro.eri.u-t[...]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強震動グループ 2005
[37] 뉴스 首都直下地震:地震の種類で揺れ度合い変化 文科省が中間報告 http://mainichi.jp/s[...] 2010-06-01
[38] PDF 相模トラフ沿い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について https://www.jishin.g[...]
[39] 서적 地震予知と社会 http://id.nii.ac.jp/[...] 古今書院 2003-03-20
[40] 웹사이트 2011年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過去に起きた大きな地震の余震と誘発地震 http://www.eri.u-tok[...] 東京大学地震研究所
[41] 문서 ひらたなおし
[42] 뉴스 平田は2012年1月26日発行の[[夕刊フジ]]で、1894年明治東京地震以降データと1965年以降のデータを比較したものだとしている。また「8月以降地震の数が減ってきたので、5-7年以内に70%」と述べている。
[43] 뉴스 『地震研の手法は観測データが増えると再計算が必要で、そのたびに確率も変わる。』「首都直下型M7地震「4年内50%以下」 東大地震研が再計算、観測データ増加で」日本経済新聞2012年2月6日
[44] 인터뷰 酒井の[[週刊文春]]のインタビュー記事によれば「プラスマイナス30%」。
[45] 웹사이트 3月11日以降の首都圏の地震活動の変化について https://www.eri.u-to[...] 東大地震研 広報アウトリーチ室
[46] 문서 1999年東北大学博士・東京大学地震研究所助手
[47] 뉴스 首都圏M7級地震、京大は「5年以内に28%」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48] PDF 首都直下地震対策の概要 http://www.bousai.go[...]
[49] 웹사이트 東京都の新たな被害想定 ~首都直下地震等による東京の被害想定~ https://www.bousai.m[...] 東京都 2023-11-30
[50] 웹사이트 首都直下地震防災・減災特別プロジェクト https://www.eri.u-to[...]
[51] 기사 首都直下地震 隠された「震度7」 AERA 2012-02-20
[52] 뉴스 首都直下地震:震度7を予想…「6強」見直し 文科省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2-03-08
[53] 문서 仮設住宅の建設は最良の条件下で3ヶ月で約7万戸、相模トラフ沿いの巨大地震では約3年かかる。
[54] 문서 5,000人の建物関連の死者を想定。
[55] 문서 鉄道、道路すべてを含めての想定は死者200人。
[56] 문서 [[東京大空襲]]、[[関東大震災]]当時は木造家屋がほとんどだったが、[[ドレスデン大空襲]]では現在の東京より木造家屋は少なかったのに、大被害が出た。
[57] 문서 [[新京葉変電所]]からの電気は、軟弱地盤を通り[[新豊洲変電所]]から都心部に供給されている。湾内の発電所が海面の油などにより冷却水を取り入れられず、燃料船も接岸できない。地盤自体が弱く損傷の可能性がある。
[58] 보고서 『AERA』8月22日号「封印された"東京湾炎上"」、元は[[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臨海部の地震被災影響検討委員会報告書」2009年3月
[59] 문서 東京湾内には約5、600基あり、9割が市原市と川崎市の沿岸部に集中している。
[60] 문서 帰宅困難者が郊外の自宅へ帰宅するために、木造住宅の多い都心周辺部を通るときに火災にはばまれてパニック状態になったり、炎に囲まれる場合が心配されている。
[61] 뉴스 首都直下地震に備える!江戸川区江東区の「ハザードマップ」(NEWSポストセブン/『女性セブン』2020年2月20日号より) https://www.news-pos[...]
[62] 웹인용 首都直下のM7クラスの地震及び相模トラフ沿いのM8クラスの地震等の震源断層モデルと震度分布・津波高等に関する報告書首都直下のM7クラスの地震及び相模トラフ沿いのM8クラスの地震等の震源断層モデルと震度分布・津波高等に関する報告書 http://www.bousai.go[...] 일본 총무성 2019-08-21
[63] 학술자료 1293年永仁鎌倉地震と相模トラフ巨大地震の再来時間 http://ci.nii.ac.jp/[...] 地震学会秋季大会 1991
[64] 서적 『大地動乱の時代 -地震学者は警告する-』 岩波新書 1994
[65] 웹인용 長期評価による地震発生確率値の更新について http://www.static.ji[...] 地震調査委員会 2019-02-26
[66] 웹인용 長期評価による地震発生確率値の更新について http://www.static.ji[...] 地震調査委員会 2013-02-26
[67] 논문 http://www2.jpgu.org[...]
[68] 웹사이트 2005年千葉県北西部の地震 ─震源メカニズム・強震動─ http://taro.eri.u-to[...]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強震動グループ 2005
[69] 뉴스 首都直下地震:地震の種類で揺れ度合い変化 文科省が中間報告 http://mainichi.jp/s[...] 2010-06-01
[70] 웹인용 立川断層帯における重点的な調査観測 史料地震学による断層帯周辺の被害地震の解明 http://www.jishin.go[...]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71] 저널 天明相模の地震及び嘉永小田原地震の被害分布と震源位置 http://www.histeq.jp[...] 2016-11-06
[72] 서적 地震の事典 (第2版)(普及版) http://www.asakura.c[...] 朝倉書店
[73] 저널 明治二十七년六월二十일東京激震ノ調査 https://repository.d[...] 2018-01-07
[74] 저널 古い地震計から読み取れる明治以降の南関東地域の地震の特性 2001
[75] 웹인용 首都直下地震防災・減災特別プロジェクト ①首都圏でのプレート構造調査、震源断層モデル等の構築等平成23年度成果報告書 3.3.4 http://www.eri.u-tok[...] 도쿄 대학 2019-08-21
[76] 문서 野口(1998)、勝間田(2001)、地震調査委員会(2004)による。
[77] 저널 1885년~1925년の일本の地震活動 : M6 이상の地震および被害地震の再調査 http://hdl.handle.ne[...] 2018-01-07
[78] 저널 多層構造モデルのもとで多点のS-P時間をもちいた古い地震の震源再計算 https://doi.org/10.4[...] 2018-01-07
[79] 저널 1921년12월8일に茨城県南西部で発生した地震の発震機構と地震モーメント https://doi.org/10.4[...] 2018-01-07
[80] 문서 石橋(1975)、勝間田(2001)、地震調査委員会(2004)による。
[81] 문서 地震調査委員会(1999, 2004)による。
[82] 웹인용 相模トラフ沿い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概要資料 https://www.jishin.g[...] 일본 총무성 2019-08-21
[83] 웹인용 相模トラフ沿い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概要資料 https://www.jishin.g[...] 일본 총무성 2019-08-21
[84] 웹인용 長期評価による地震発生確率値の更新について http://www.static.ji[...] 地震調査委員会 2022-01-18
[85] 문서 監修:神沼克伊、平田光司、共著:神沼克伊、島村英紀、杉原英和 ほか 、『[http://id.nii.ac.jp/1013/00003086/ 地震予知と社会]』 地震予知と社会 古今書院 2003-03-20, ISBN 4772240462
[86] 웨이백 2011年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過去に起きた大きな地震の余震と誘発地震 http://www.eri.u-tok[...]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0200824013348
[87] 문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판이 섭입 당하는 판, 그 반대쪽이 섭입하는 판
[88] 문서 소멸된 판
[89]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쳐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