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세이 난카이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세이 난카이 지진은 1854년 12월 24일 기이반도와 시코쿠 해역을 진원으로 발생한 거대 지진이다. 이 지진은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침강하는 난카이 해곡을 따라 발생한 해구형 지진으로, 시코쿠 대부분과 간사이 인근 해안 지역에서 진도 6을 기록했다. 안세이 난카이 지진은 안세이 도카이 지진, 안세이 에도 지진과 함께 안세이 3대 지진으로 불리며, 지진으로 인해 3,000명가량이 사망하고, 가옥 2만 채가 파괴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 지진으로 인한 지각 변동과 쓰나미로 인해 시코쿠 및 기이반도 동남부가 융기하고, 중국 상하이에서도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4년 12월 - 호요 해협 지진
호요 해협 지진은 1854년 12월 7일에 발생했으며, 이요국, 분고국, 부젠국 등에서 강한 진동이 감지되었고 중국 상하이에서도 감지되었으며, 쓰나미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주택 붕괴 등의 피해가 있었다. - 1854년 12월 - 안세이 도카이 지진
안세이 도카이 지진은 1854년 도카이도 지역에서 발생한 난카이 해곡 해구형 지진으로, 간토에서 긴키 지방에 걸쳐 피해를 초래했으며, 특히 시즈오카현 해안 지역과 시모다, 하마나호, 나고야 등이 쓰나미로 큰 타격을 입어 이후 도카이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 1854년 지진 - 호요 해협 지진
호요 해협 지진은 1854년 12월 7일에 발생했으며, 이요국, 분고국, 부젠국 등에서 강한 진동이 감지되었고 중국 상하이에서도 감지되었으며, 쓰나미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주택 붕괴 등의 피해가 있었다. - 1854년 지진 - 이가우에노 지진
1854년 이가우에노 지진은 미에현 이가시 북부에서 발생한 규모 7.25의 지진으로, 우에노 지역을 중심으로 단층 발생과 995명의 사망자를 포함한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여 자연재해 대비의 중요성을 일깨운 역사적 사건이다. - 1854년 일본 - 미류수호조약
미류수호조약은 미국이 류큐를 일본 본토 진출의 거점으로 삼기 위해 1854년 류큐 왕국과 체결한 조약으로, 양국 간 평화와 우호 관계, 주권 존중, 외교 및 통상 관계 수립 등을 내용으로 하지만, 복잡한 배경으로 인해 실효 여부에 논란이 있다. - 1854년 일본 - 미일 화친 조약
미일 화친 조약은 1854년 에도 막부와 미국이 흑선 내항을 계기로 쇄국정책을 종식시키고 시모다와 하코다테 두 항구를 개항하기로 한 조약으로, 이후 불평등 조약과 일본 근대화의 발판이 되었으나 정치적 격변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안세이 난카이 지진 | |
---|---|
지도 정보 | |
지진 정보 | |
이름 | 안세이 난카이 지진 |
다른 이름 | 안세이 지진 안세이 대지진 도라노 오오헨 (호랑이 해의 대재앙) |
![]() | |
날짜 | 1854년 12월 24일 |
시간 | 16시 20분경 (일본 표준시) |
지속 시간 | 알 수 없음 |
진앙 | 남해도 해역 일본 |
깊이 | 알 수 없음 |
규모 | M8.4 |
모멘트 규모 | Mw8.7 |
최대 진도 | 6-7 |
최대 진도 지역 | 기이 신구, 도사 나카무라 |
쓰나미 | 태평양 연안, 특히 기이 수도, 도사 만. 최대 16.1m |
지진 유형 | 해구형지진 역단층형 지진 |
지질학적 정보 | |
단층 | 난카이 해구 |
유형 | 해구형 지진 |
여진 정보 | |
여진 발생 횟수 | 1년간 유감 지진 817회 이상 |
주요 여진 | 1854년 12월 26일 규모 M7.4 호요 해협 지진 |
피해 정보 | |
사망자 | 수천 명 |
피해 지역 | 기나이, 산인도, 산요도, 남해도, 사이카이도 |
산사태 | 다수 발생 |
2. 에도 시대의 관련 지진
에도 시대에는 난카이 해곡을 진원으로 하는 거대 지진으로, 1707년(호에이 4년)에 일어난 호에이 지진이 있었다.[177] 안세이 난카이 지진은 호에이 지진의 여파로 일어난 지진으로 추정되기도 한다.[178]
1854년 12월 24일 신하각경(오후 4시 반경) 기이반도에서 시코쿠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거대지진이 일어났다.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침강하는 난카이 해곡을 따라 일어난 해구형지진으로 추정된다.[186]
1605년(게이초 9년)에 일어난 게이초 지진은 난카이 해곡의 해일지진이라는 견해도 있었으나,[180] 진원역에 대한 여러 설이 존재하여 의문점이 남아 있다.[178]
안세이 난카이 지진 이틀 후에는 호요 해협에서 규모 7.0의 호요 해협 지진이 일어났다.[182] 이듬해인 1855년에는 간토 지방에서 규모 6.9-7.4의 안세이 에도 지진이 일어났다.[183] 안세이 도카이 지진, 난카이 지진, 에도 지진을 묶어 '''안세이 3대 지진'''(安政三大地震일본어)이라 하며,[184] 1854년 이가우에노 지진, 1858년 히에쓰 지진 등 안세이 연간 연달아 일어난 대지진을 묶어 안세이 대지진이라 일컫는다.[185]
3. 지진
오바마번(현재의 후쿠이현 오바마시)[191]과 오와세구키(현재의 미에현 오와세시)[192]에서는 도카이 지진을 더 강하게 느꼈다고 기록했지만, 나치카쓰우라(현재의 와카야마현 나치카쓰우라정),[193] 유아사(현재의 와카야마현 유아사정),[194] 히로(현재의 와카야마현 히로가와정)[195]에서는 난카이 지진을 더 강하게 느꼈다고 기록하고 있다. 교토(현재의 교토시)는 도카이 지진을 약간 더 강하게 느꼈다거나[196] 둘을 비슷하게 느꼈다[197]는 등 기록이 엇갈리며, 오사카에서도 두 지진의 강도는 거의 비슷하다고 기록되어 있으나,[198] 난카이 지진은 쓰나미 피해가 더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174]
가와스미 히로시는 지진 규모를 Mk7로 추정했으며, 이는 규모 8.4급이다.[218] 우사미 타쓰오는 규모 8.4에 가까울 것이라 추정했다.[219] 안도 마사타카는 2개 단층 모델을 가정했고,[186] 아이다 이사무는 안도의 모델에서 동쪽 단층을 북쪽으로 옮겨 가정했다.[216] 각 단층의 개별 모멘트 규모 Mw는 서쪽부터 각각 8.4, 8.2(총 모멘트 규모 8.5)로 추정했다.
2015년 일본 내각부의 보고서에서는 도카이 지진을 포함한 안세이 지진 전체의 모멘트 규모를 Mw8.84로 가정했고,[217] 안세이 난카이 지진의 모멘트 규모는 Mw8.7로 추정했다.
3. 1. 지진동
1854년 12월 24일 16시 반경, 기이반도에서 시코쿠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거대지진이 발생했다.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침강하는 난카이 해곡을 따라 일어난 해구형지진으로 추정된다.[186]
도사국(현재의 고치현)에서는 따뜻한 날씨에 스모 순회공연이 열리던 중 지진이 발생하여 혼란이 발생했다.[187] 기나이 지방에서는 오사카 평야를 중심으로 주택이 붕괴하는 등 진도 6약에서 최대 6강의 흔들림이 있었다.[189] 도카이 지방에서도 지진을 느꼈으며, 서쪽에서 천둥 소리가 들렸다는 기록이 있다.[190]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진도 6으로 추정되는 영역은 시코쿠 태평양 연안 지역에서 기이 수도 연안, 아와지섬, 오사카 평야 및 반슈 평야이며, 진도 4 이상을 느낀 영역은 규슈에서 주부 지방에 이르는 가로 400km 영역으로 추정된다.[199][200][201] 당시 청나라에서도 지진을 느꼈으며, 상하이시 지역에서도 진동을 느꼈다는 기록이 있다.[203]
우사미(1983, 2003)의 연구에 따른 추정 진도 분포는 다음과 같다.
가도 | 추정 진도[165][166] |
---|---|
기나이 | 교토(4-5), 후시미주쿠(5), 우지(5), 가도마(5-6), 핫토리(6), 오사카(5-6), 후세(6), 사카이(5), 기시와다(5-6), 나라(5), 고리야마(5), 고조(5), 아마가사키(5-6), 니시노미야(5-6), 신궁(5) |
도카이도 (슈쿠바) | 에도(e) - 시나가와 - 가와사키 - 가나가와 - 호도가야 - 도쓰카 - 후지사와(E) - 히라쓰카 - 오이소 - 오다와라 - 하코네 - 미시마 - 누마즈 - 하라 - 요시와라 - 간바라 - 유이 - 오키쓰 - 에지리(E) - 후추 - 마리코 - 오카베 - 후지에다 - 시마다 - 가나야 - 닛사카 - 가케가와(4-5) - 후쿠로이(4-5) - 미쓰케 - 하마마쓰 - 마이사카 - 아라이(E) - 시라스카 - 후타가와 - 요시다(E) - 고유 - 아카사카 - 후지카와 - 오카자키 - 지류 - 나루미 - 미야 - 구와나(4-5) - 욧카이치(5-6) - 이시야쿠시 - 요노 - 가메야마 - 세키 - 사카시카 - 쓰치야마 - 미나쿠치 - 이시베 - 구사쓰 - 오쓰(S) - 교토(4-5) |
도카이도 | 조시(E), 구마가이(M), 나라시노(e), 고슈(e), 고후(4-5), 사가라(4-5), 니시오(E), 다하라(e), 나고야(4-5), 쓰(5), 히사이(E) |
도산도 | 모카(e), 나카노조(e), 수와(E), 고마가네(e), 이이다(E), 후쿠시마(E), 나카쓰가와(E), 오이(E), 다카야마(e), 오가키(5), 다루이(5), 가미시즈(5), 히코네(S) |
호쿠리쿠도 | 분수(e), 가시와자키(e), 다카오카(E), 히미(M), 가가(4), 오노(E), 후쿠이(5), 사바에(E), 오바마(4-5) |
산인도 | 가메야마(4), 소노베(4-5), 사사야마(4), 미야즈(E), 이즈시(E), 도요카(5), 이쿠노(e), 돗토리(5), 사카이미나토(5), 마쓰에(5), 히로세(5), 대사(5-6), 마스다(4-5), 조슈(5), 나가토(4) |
산요도 | 아카시(5-6), 가코가와(6), 히메지(5), 다쓰노(5-6), 아보시(6), 아코(5-6), 쓰야마(4-5), 가쓰야마(e), 오카야마(5), 고지마(5), 구라시키(5), 미요시(5), 후쿠야마(5-6), 도모노우라(5), 오노미치(5), 미하라(5), 다케와라(5-6), 구레(5), 히로시마(5), 이와쿠니(5), 도쿠야마(5), 야마구치(4) |
난카이도 | 신구(6-7), 나치카쓰우라(6), 고자(5-6), 구시모토(5-6), 난키시라하마(5), 기타나베(6), 히로무라(5-6), 기슈(5-6), 스모토(5-6), 나루토(6), 도쿠시마(6), 유키(5-6), 히와사(6), 아사카와(6), 가이요(6), 시시쿠이(6), 소다니산(5), 쓰다(5), 다카마쓰(6), 사카이데(5-6), 마루가메(5-6), 다도쓰(5-6), 젠쓰지(5), 고토히라(4-5), 가와노에(5), 다카히마(5), 니시조(5-6), 고마쓰(5-6), 이마바리(5), 마쓰야마(5), 오즈(5), 이요 요시다(5-6), 우와지마(5-6), 간노우라(5-6), 노네(6), 무로토(5-6), 야스(6), 아카오카(6), 나가오카군(5-6), 고치(5-6), 아가와군 우라토(6), 사카와(5-6), 다카오카군 우사(6), 스사키(6), 다카오카군 가미노카에(5-6), 구보카와(5-6), 유스하라(5), 하타군 이리노(6), 나카무라(6-7), 아시즈키(6), 가시와지마(6), 스쿠모(6) |
사이카이도 | 고쿠라(5), 후쿠오카(e), 쓰시마 후추(e), 다자이후(e), 구루메(4), 사가(4-5), 이사하야(e), 야나가와(E), 구마모토(5), 야쓰시로(5), 히토요시(5-6), 모리(4), 나카쓰(4-5), 기쓰키(5), 히지(5), 벳푸(5-6), 오카(5), 후나이(5-6), 우스키(5-6), 사이키(5), 다카치호(5), 노베오카(5), 다카나베(5), 사도와라(5) |
S: 강한 지진(≧4), E: 대지진(≧4), M: 중지진(2-3), e: 소지진(≦3) |
3. 2. 피해
주부 지방에서 규슈에 걸친 일본 대부분 지역에서 피해가 발생했으나, 도카이 지진과 난카이 지진이 겹친 긴키 지방에선 두 지진의 피해를 서로 구별하기 어려웠다. 이요국, 분고국, 히고국 히토요시번에선 난카이 지진 약 40시간 후 일어난 호요 해협 지진과도 피해가 겹쳤다.[205][206]동지 무렵 저녁 식사 시간에 지진이 발생하여 화재가 많이 일어났다. 특히 고치시, 스쿠모시, 나카무라정은 대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다.[207] 도사국 영주 야마우치 요도의 집계에선 도사국 내에서만 372명이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08]
요시노강 하류에선 액상화현상이 일어났다.[209] 가미이타정의 간야케 유적에서도 안세이 난카이 지진으로 인한 토양액상화 흔적이 남아있다.[210]
지진으로 시코쿠 및 기이반도 동남부가 융기하는 경동 현상이 일어나 구시모토는 1m-1.2m, 무로토곶은 1.2m 융기하였다. 아시즈리곶은 이사우라에서 1.5m 융기하였다.[211] 반대로 가다는 1m, 가노우라는 1.2m 침강하였으며 고치 인근도 약 1m 침강하여 시오에무라, 신마치 게치이치 등 신덴 지역이 바닷속으로 잠겼다.[212] 우사에선 '우사 후쿠시마 지역은 한 면이 바다와 접하게 되었다'라는 기록이 있으며[213] 가미노카에는 1.5m 정도 침강한 것으로 추정된다.[206]
안세이 난카이 지진으로 도고 온천의 온천물이 106일간 멈췄다. 1855년 4월 9일(그레고리력 2월 23일)에야 다시 온천물이 솟아오르기 시작했으며 5월 21일(4월 6일)이 되어서야 온천 목욕이 다시 허용되었다. 나마리야마촌 온천도 지진 이듬해 3월까지 온천물이 나오지 않았고 유노미네 온천도 지진 이듬해 2-3월까지 온천물이 나오지 않았다.[215][166]
3. 3. 지각 변동
지진으로 시코쿠 및 기이반도 동남부가 융기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구시모토는 1-1.2m, 무로토곶은 1.2m 융기하였다. 아시즈리곶은 이사우라에서 1.5m 융기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211] 반면, 가다는 1m, 가노우라는 1.2m 침강하였으며, 고치시 인근도 약 1m 침강하여 시오에무라 등 신덴 지역이 바닷속으로 잠겼다.[212] 우사에서는 '우사 후쿠시마 지역은 한 면이 바다와 접하게 되었다'라는 기록이 있으며,[213] 가미노카에는 '다이헨약기'(大変略記)에서 "가미노카에의 조수는 평생 본 조수보다 5척 더 높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며,[214] 1.5m 정도 침강한 것으로 추정된다.[206]안세이 난카이 지진으로 도고 온천의 온천물이 106일간 용출이 멈췄다. 다음 해 2월 23일(그레고리력 1855년 4월 9일)에야 다시 온천물이 솟아오르기 시작했으며, 4월 6일(1855년 5월 21일)이 되어서야 온천 목욕이 다시 허용되었다. 난키시라하마 온천도 지진 이듬해 3월까지 온천물이 나오지 않았고, 유노미네 온천도 지진 이듬해 2-3월까지 온천물이 나오지 않았다.[215][166]
이러한 일본 동남부의 융기 현상은 호에이 지진 및 쇼와 도난카이/난카이 지진에서도 관측되었고, 이는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이 유라시아판의 단층 각도가 낮은 역단층형 충상단층의 해구형지진이라는 것을 시사한다.[186]
3. 4. 지진 규모
가와스미 히로시(1951)는 지진 규모를 Mk7로 추정했으며, 이는 규모 8.4급이다.[218] 우사미 타쓰오(1970)는 규모 8.4에 가까울 것이라 추정했다.[219] 안도 마사타카(1975)는 2개 단층 모델을 가정했고,[186] 아이다 이사무(1981)는 안도의 모델에서 동쪽 단층을 북쪽으로 옮겨 가정했다.[216] 각 단층의 개별 모멘트 규모 Mw는 서쪽부터 각각 8.4, 8.2(총 모멘트 규모 8.5)로 추정했다.2015년 일본 내각부의 보고서에서는 도카이 지진을 포함한 안세이 지진 전체의 모멘트 규모를 Mw8.84로 가정했고,[217] 안세이 난카이 지진의 모멘트 규모는 Mw8.7로 추정했다.
3. 5. 여진
난카이 지진 발생 40시간 후인 1854년 12월 26일 오전 9-10시경 분고 수도 해역을 진원으로 하는 호요 해협 지진(M7.4)가 발생하여 이요국에서 분고국 지역이 격렬하게 흔들렸고, 오즈 번과 이요 요시다 번에서는 가옥 붕괴 피해가 있었다.[229]1855년 2월 16일 (안세이 원년 오미소카) 오전 8-9시경 고치에서 대규모 여진이 발생하여 도쿠시마 및 다나베에서 강한 진동을 느꼈으며, 이후 여진 횟수가 급격하게 늘었다.[166]
도사시 우사 진각사(眞覚寺)의 주지인 이노우에 시즈카가 기록한 지진 피해 기록서인 '진각사일기'(眞覚寺日記)[213]에는 매일 있었던 지진이 기록되어 있는데, 1864년 2월 7일(분큐 3년) '더 이상의 지진이 없어 책을 마무리'하며 지진 일기를 끝내기까지 9년간 지진이 2,979회(도카이, 난카이 본진 2회 포함 2,981회) 기록되었다. 유감여진 횟수는 쇼와 난카이 지진보다 더 컸다. 이 여진 횟수를 오모리 공식에 대입하면 계수 p는 0.9-1.0, c는 0.8-1.0이 된다.[230]

고치 성벽 아래에서 반조초 수문장이 기록한 지진일기에서는 지진 후 1년간 여진이 817회 기록되었다.[231][232][233] 고치성에서 느낀 유감지진 횟수는 진원역에 가까운 우사에서보다도 적었다.[234]
월 | 고치성 기록 | 우사 진각사일기 기록 | |||||||
---|---|---|---|---|---|---|---|---|---|
대 | 중 | 소 | 계 | 대 | 중 | 소 | 지진 | 계 | |
가에이 7년 11월 | 7 | 44 | 196 | 247 | 2 | 5 | 22 | 89 | 118 |
안세이 원년 12월 | 3 | 20 | 73 | 96 | 2 | 16 | 40 | 88 | 146 |
안세이 2년 1월 | 8 | 107 | 115 | 3 | 229 | 91 | 396 | 719 | |
2월 | 7 | 56 | 63 | 47 | 48 | 34 | 129 | ||
3월 | 6 | 42 | 48 | 27 | 69 | 12 | 108 | ||
4월 | 1 | 4 | 41 | 46 | 29 | 69 | 11 | 109 | |
5월 | 1 | 2 | 31 | 34 | 1 | 18 | 49 | 2 | 70 |
6월 | 1 | 31 | 32 | 19 | 52 | 5 | 76 | ||
7월 | 6 | 30 | 36 | 21 | 46 | 67 | |||
8월 | 10 | 9 | 19 | 15 | 52 | 1 | 68 | ||
9월 | 2 | 19 | 20 | 2 | 16 | 39 | 1 | 58 | |
10월 | 1 | 28 | 29 | 11 | 40 | 51 | |||
11월 | 18 | 18 | 16 | 33 | 49 | ||||
12월 | 14 | 14 | 6 | 42 | 2 | 50 |
4. 쓰나미
(1977-84)
(2007-11)
1본송 8m[88]
아고이향 7m-8m[93]
야키자카 16.1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