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공공성포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디어공공성포럼은 미디어 공공성 유지를 위해 노력한 기사, 프로그램, 개인, 단체를 선정하여 언론상을 시상하는 단체이다. 2010년부터 매년 언론상을 수여해 왔으며, 수상자 및 수상작은 사회 현안에 대한 비판적 보도, 소외된 계층의 문제 제기, 언론 자유 수호 등을 통해 미디어 공공성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포럼은 또한 미디어 관련 저술 활동도 펼치고 있다.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은 미디어 공공성 유지 및 강화를 위해 노력한 기사, 프로그램, 개인, 단체를 선정하여 시상한다. 2010년 제1회 시상[1]을 시작으로 매년 시상하고 있다.
2.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
연도 수상자 주요 내용 2010년 1회[1] 프레시안 경제팀, 반올림, MBC <PD수첩>팀, 최상재 전국언론노조 위원장, 김용진 KBS 울산방송국 기자 삼성 반도체 노동자 백혈병 문제, 4대강 사업, 천안함 사건, 미디어법 투쟁, G20 정상회의 과잉 보도 문제점 등을 다룸 2011년 2회[2] 시사인 주진우 기자, <나는 꼼수다>, 전국언론노동조합 부산일보지부 내곡동 MB사저 부지 매입 보도, 대안언론 역할 수행, 지배구조 개선 및 편집권 독립운동 진행 2012년 3회[3] 뉴스타파, 전국언론노조 문화방송본부, 전국언론노조 KBS본부 리셋 KBS 뉴스9팀, 노종면, 최성진 한겨레신문 기자 4대강 사업, 민간인 불법사찰, 삼성반도체 노동자 문제, 언론자유와 미디어 공공성, 정수장학회 언론사 지분 매각 추진 대화록 보도 2013년 4회[4] 뉴스타파 조세회피처 프로젝트, 한겨레신문 정환봉 기자, 한국일보 비상대책위원회,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소형석 PD 조세회피처 한국인 명단 공개, 국정원 대선개입 특종, 편집권 독립 및 언론 자유 투쟁, 사학비리 고발 2014년 5회[5] JTBC 세월호 특별취재팀, 뉴스타파 국정원 간첩조작 연속보도팀, KBS 인사검증TF팀, 경향신문 ‘양극화-문제는 분배다’취재팀 세월호 참사 보도, 국정원 간첩 조작 사건 진실 보도, 고위공직자 검증 보도, 소득 분배 문제 심층 분석 2015년 6회[6] JTBC 드라마 <송곳>, 뉴스타파 <친일과 망각> 4부작 시리즈, 한겨레 노동 문제, 친일파 후손 문제, MB 자원외교 정경유착, 신자본주의 사회 문제 2016년 7회 한겨레 <최순실 국정농단 보도> 특별 취재팀, JTBC <최순실 국정농단 보도> 특별 취재팀, 뉴스타파 <조세도피처의 한국인들 2016> 최순실-박근혜 국정농단, 조세도피처 한국인들 보도 2017년 8회 영화 <공범자들> 제작진, 시사인 주진우 기자, JTBC 팩트체크팀, 비마이너 이명박-박근혜 정부 언론 장악, MB 프로젝트 탐사 보도, 가짜 뉴스 판별, 선감학원 부랑인 피해 보도 2018년 9회 뉴스타파 가짜학회 취재팀, 진실탐사그룹 <셜록> 박상규, 팩트체크 미디어 뉴스톱 가짜 국제학술단체 와셋(WASET) 고발, 양진호 폭행 사건 최초 보도, 허위정보 팩트체크 2019년 10회 부산MBC 예산추적프로젝트 <빅벙커>, TBS 예산 사용 문제점 지적, 서민과 사회적 약자 문제, 요양 현실 탐사보도, 4대강 사업 폐해 보도, 방송노동환경 개선 2020년 11회 KBS <시사기획 창> ‘론스타 17년, 원죄와 면죄부’, 포항MBC 특집 다큐멘터리 ‘그 쇳물 쓰지 마라’, 박정훈 라이더유니온 위원장, 한겨레21 ‘디지털 성범죄 끝장프로젝트 너머n’, KBS창원 특집다큐멘터리 ‘소멸의 땅’ 해외 투기자본 문제, 철강 노동자 직업병 문제, 플랫폼 노동 현실, 디지털 성범죄, 지방 소멸 문제 2021년 제12회 뉴스타파 ‘판도라페이퍼스: 조세도피처로 간 한국인들 2021’, CBS씨리얼 ‘용돈없는 청소년’, 한겨레 ‘젠더데이터· 빈칸을 채우자’, 경향신문 ‘감염병 시대, 집회의 미래’, 강원CBS ‘역세권 투기 의혹 연속보도’, 미디어오늘 ‘연합뉴스 등 기사형광고 실태 보도’, KBS 다큐인사이트 기후변화 특별기획 4부작 ‘붉은 지구’ 조세도피처 한국인들, 청소년 빈곤 문제, 젠더 편향, 코로나19 집회 문제, 지역 개발 투기 의혹, 기사형 광고 문제, 기후변화 문제 2022년 제13회 KNN 김민욱 외 ‘영업비밀에 가려진 화학물질 독성 단독 기획보도’, 뉴스타파 봉지욱 기자 ‘대장동 검찰 수사 탐사보도’, 동아일보 원대연 기자 ‘尹“내부 총질이나 하던 당 대표 바뀌니 달라져”’, KBS 홍사훈 기자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제7광구 대륙붕 개발 보도’ 화학물질 독성 문제, 대장동 사건, 정치 현실, 권력 핵심 의혹 2023년 제14회 검찰 예산 검증 공동취재단, MBC 나세웅, 김상훈, 손구민, 정상빈, 김지인 기자 ‘이태원 참사1만2천쪽 수사기록 연속보도’, KBS대전 백상현, 신유상, 박평안 기자 ‘도립요양원 학대 행정처분 추적보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150인 검찰 특활비 문제, 이태원 참사 국가 책임, 노인 요양원 학대 문제, 방심위 가짜뉴스 심의센터 파행
2. 1. 제1회 (2010년)
미디어공공성포럼은 2010년에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그러나 현재 주어진 자료에는 미디어공공성포럼이 처음 개최된 해가 2010년이라는 정보 외에는 제1회 포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 따라서 제1회 포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확인할 수 없다.
참조
[1]
뉴스
'삼성 백혈병' 보도, 미디어 공공성포럼 언론상 수상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
뉴스
나꼼수ㆍ부산일보 노조,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
http://www.mediaus.c[...]
[3]
뉴스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에 ‘뉴스타파’ 등 선정
http://www.pdjournal[...]
[4]
문서
[5]
뉴스
뉴스타파,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 3년 연속 수상
http://www.mediatoda[...]
[6]
뉴스
JTBC 드라마 ‘송곳’,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 수상
http://www.mediaus.c[...]
미디어오늘
[7]
뉴스
‘여의도 텔레토비’ 가 언론특별상을 받은 이유
http://www.mediato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