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이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얀마 이름은 전통적으로 한 음절로 이루어졌으나, 서구 문화의 영향으로 음절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미얀마에서는 이름에 존칭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회적 지위나 나이에 따라 다양한 존칭이 사용된다. 또한 미얀마 불교도들은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점성술을 사용하여, 출생 요일에 따라 이름의 첫 글자를 결정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문화 - 미얀마의 공휴일
미얀마의 공휴일은 역사, 문화, 종교적 다양성을 반영하며 독립기념일, 연방의 날, 띤잔, 농민의 날, 노동절, 순교자의 날, 소수민족 신년, 이슬람교 축제일 등이 포함된다. - 미얀마의 문화 - 싯두인
싯두인은 미얀마의 전통 보드 게임으로, 체스와 유사하지만 기물 구성, 규칙, 전략에서 차이가 있으며, 미얀마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여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 언어학에 관한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 언어학에 관한 - 개명
개명은 개인이나 법인이 이름을 바꾸는 행위로, 결혼, 이혼, 이민, 종교 개종, 성 정체성 확인, 사회적 이미지 개선, 범죄 회피 등 여러 이유로 행해지며, 절차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법적 제약과 고려 사항이 따른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알카에다
알카에다는 압둘라 아잠에 의해 1988년 설립되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끌었던 국제적인 지하디스트 테러 조직으로, 샤리아 법에 기반한 세계적인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9·11 테러를 비롯한 수많은 테러에 연루되어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재를 받고 있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미얀마 이름 | |
---|---|
개요 | |
유형 | 미얀마어 이름 |
관련 민족 | 버마족 및 미얀마의 다른 민족 |
이름 체계 | |
특징 | 대부분의 미얀마 사람들은 성을 사용하지 않으며, 이름은 일반적으로 한 음절로 구성됨. 이름은 요일과 관련된 특정 문자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음. |
요일별 문자 | 월요일: က (ka), ခ (kha), ဂ (ga), ဃ (gha), င (nga) 화요일: စ (ca), ဆ (cha), ဇ (ja), ဈ (jha), ည (nya) 수요일: လ (la), ဝ (wa) 목요일: ပ (pa), ဖ (pha), ဗ (ba), ဘ (bha), မ (ma) 금요일: သ (sa), ဟ (ha) 토요일: တ (ta), ထ (hta), ဒ (da), ဓ (dha), န (na) 일요일: အ (ah) |
이름 길이 | 이름은 최대 4음절까지 사용 가능하지만, 2~3음절 이름이 흔함. |
문화적 중요성 | |
영향 | 이름은 점성술 및 수비학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음. 이름은 개인의 성격이나 운명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짐. |
관습 | 존경을 나타내기 위해 이름 앞에 경칭을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음. 나이가 많은 사람이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는 특별한 경칭을 사용함. |
역사적 배경 | |
기원 | 미얀마 이름은 버마어, 팔리어,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함. |
변화 | 시대에 따라 이름의 인기와 스타일이 변화해 왔음. |
현대적 경향 | |
인기 있는 이름 | 현대 미얀마에서는 전통적인 이름과 현대적인 이름이 모두 사용됨. |
국제적 영향 | 서구 문화의 영향으로 새로운 스타일의 이름이 등장하기도 함.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미얀마 이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련 서적이나 웹사이트를 참고하십시오. |
2. 전통 이름
미얀마의 전통 이름은 보통 한 음절로만 이루어진다. 미얀마어는 고립어이자 성조어이기 때문이다.[2] 우 누와 우 탄트가 그러한 예인데, 여기서 '우(U)'는 존칭이다. 20세기 중반, 많은 미얀마인들이 특별한 형식을 갖추지 않은 채 두 음절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1890년대 후반, 영국 학자들은 라카인족이 일반적으로 세 음절의 이름을 채택하는 반면, 버마족은 여전히 최대 한두 음절의 이름을 사용한다는 것을 관찰했다.[2] 서구 문화에 더 익숙해지면서, 미얀마 사람들은 다양한 형식을 사용하여 자녀의 이름 음절 수를 점차 늘리고 있다. 오늘날 남성은 최대 네 음절, 여성은 최대 다섯 음절의 이름이 일반적이다.
탄트 민트-우와 같은 학자들은 복잡한 미얀마 개인 이름의 증가가 버마 왕조의 붕괴로 인해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버마 왕조가 붕괴하면서 팔리어-버마어 스타일, 왕실 봉사 및 지배 계층 칭호의 정교한 시스템이 종식되었고, 이로 인해 대부분의 미얀마인들이 한 음절의 이름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3] "min" (မင်း|민my; "지도자")과 같은 이전의 칭호는 개인 이름의 일부로 재사용되었다.[3]
예를 들어, 미얀마 민족주의자 아웅 산의 부모는 파(ဖာ|파my)와 수(စု|수my)로, 둘 다 한 음절 이름이다. 그의 출생 이름은 테인 린(ထိန်လင်း|테인 린my)이었지만, 나중에 아웅 산(အောင်ဆန်း|아웅 산my)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의 자녀 이름은 아웅 산 수 치 (အောင်ဆန်းစုကြည်|아웅 산 수 치my)이다. 이름의 첫 부분인 "아웅 산"은 그가 태어났을 당시 아버지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고, "수"는 할머니에게서, "치"는 그의 어머니 킨 치(ခင်ကြည်|킨 치my)에게서 유래되었다. 이처럼 아버지나 어머니의 이름을 사람의 이름에 추가하는 것은 이제 매우 흔하지만, 성씨의 발전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다른 명명 시스템도 사용된다.
2. 1. 이름에 쓰이는 요소
바마족 이름은 일반적으로 팔리어에서 파생된 단어와 토착 버마어 단어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여성 이름:
- * ''sanda'' (စန္ဒာ|산다my, ''canda''에서 유래, "달")
- * ''thanda'' (သန္တာ|탄다my, ''santa''에서 유래, "산호")
- * ''thiri'' (သီရိ|티리my, ''siri''에서 유래, "화려함")
- * ''hayma'' (ဟေမာ|헤마my, "숲", 히말라야 산맥 비교)
- 남성 이름:
- * ''thura'' (သူရ|투라my, ''sūra''에서 유래, "용감한, 씩씩한")
- * ''thiha'' (သီဟ|티하my, ''sīha''에서 유래, "사자")
- * ''zeya'' (ဇေယျာ|제야my, ''jāya''에서 유래, "승리")
- * ''wunna'' (ဝဏ္ဏ|운나myကောင်း|까웅my, "최고")
외국인과 결혼하거나 성을 사용하는 국가로 이주한 미얀마 사람들은 이름의 일부를 성처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툰 민트의 아내는 성을 민트로 사용했지만, 민트는 그의 개인 이름의 일부이다.
3. 이름에 붙는 존칭
미얀마에서는 이름에 존칭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대화할 때나 글을 쓸 때 모두 흔히 사용된다. 존칭 사용은 미얀마 지역의 모든 문화권에 널리 퍼져 있으며, 특정 민족 집단은 고유한 존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집단에서도 이러한 존칭을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사용한다.
예를 들어, 아웅 산의 부모는 일반적으로 우 파(U Pha)와 도 수(Daw Suu)로 불린다. 이를 "미스터 파"와 "미스 수"로 번역할 수도 있지만, 종종 더 친근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미얀마 문화에서 사용되는 존칭은 매우 다양하다. 아래는 흔히 쓰이지 않는 존칭들이다.
- 빈냐, 반야(Binnya, Banya) (ဗညားmy 또는 ဗညာmy): 왕족과 귀족을 나타내며, 몬족 용어 ဗညmnw에서 파생되었다 (예: 빈냐 우).
- 바야/파야(Baya/Phaya) (ဘုရားmy): 부처, 왕, 승려, 주교 및 고위 왕족 구성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 지(Gyi) (ကြီးmy): 존경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접미사이다 (예: 킨지 표).
- 쿤(Khun): 샨 남성(예: 쿤 툰 우)과 파오 남성에게 사용된다.
- 난트(Nant) (နမ့်pwo): 카렌 여성에게 사용되며, 특히 서부 포 카렌어에서 사용된다.
- 난(Nan) (နန်းmy): 카렌 여성에게 사용되며, 특히 동부 포 카렌어에서 사용되며, 샨족 여성에게도 사용된다.
- 소(Saw) (စောmy): 샨 왕족에게 사용된다 (사오의 버마화된 형태) (예: 소 몬 훌라); 또한 카렌 남성에게도 사용되며, 특히 사고 카렌어와 동부 포 카렌어에서 사용된다 (예: 소 응가 만, 소 보 미야).
- 사(Sa) (စpwo): 카렌 남성에게 사용되며, 특히 서부 포 카렌어에서 사용된다.
- 타메인(Thamein) (သမိန်my): 몬족 왕족이 사용하는 몬족 သၟီmnw의 버마화된 형태이다 (예: 스밈 타우).
- 예바우(Yebaw) (ရဲဘော်my): 혁명 단체의 남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예: 예바우 툰 마웅).
- 테이판(Theippan) (သိပ္ပံmy): 작가에게 사용된다 (고어; 예: 테이판 마웅 와).
3. 1. 흔히 쓰이는 존칭
경칭 | 미얀마어 | 뜻 | 설명 |
---|---|---|---|
아신 | အရှင်|아신my 또는 အသျှင်|아신my | Lord | 스님, 귀족에게 사용되며, 드물게 여성에게도 사용된다. |
보/보교크 | ဗိုလ်|보my 또는 ဗိုလ်ချုပ်|보교크my | 장관, 사령관 | 군 지휘관에게 사용된다. (예: 보교크 아웅 산) |
도 | ဒေါ်|도my | 아주머니 | 사회적 지위가 높고 나이가 많은 여성에게 사용된다. (예: 아웅 산 수 치) |
두와 | ဒူးဝါး|두와kac | Chief | 카친족 사람들에게 사용된다. |
코 | ကို|코my | 맏이, 형 | 비슷한 나이의 남성에게 사용된다. (예: 먀 아예) |
마 | မ|마my | 누이, 누나 | 비슷한 나이의 여성에게 사용된다. |
만 | မန်း|만kar | Mr | 카렌족 남성에게 사용된다. (예: 윈 마웅) |
마웅 | မောင်|마웅my (약어 Mg) | 형제 | 어린 남성을 지칭하며, 이름의 일부로도 사용된다. |
미 | မိ|미my | Ms | 몬족 여성들이 사용한다. |
민 | မင်း|민my | 임금, 왕 | 왕에게 사용된다. (예: 민돈 민) |
나이 | နိုင်|나이my | Mr | 몬족 남성이 사용하며, "우"와 비슷하다. (예: 나이 슈웨 킨) |
낭 | နန်း|낭my | Ms | 샨족 여성이 사용한다. |
나우 | နော်|나우ksw | Ms | 카인족 여성이 사용한다. |
사이 | စိုင်း|사이my | Mr | 샨족 남성이 사용한다. (예: 사이 티 사이) |
살라이 | ဆလိုင်း|살라이my | 친족 남성이 사용한다. | |
사오 | စဝ်|사오my | 샨족 왕족이 사용한다. (예: 사오 슈웨 타이크) | |
소브와 | စော်ဘွား|소브와my | Chief | 샨족 족장들에게 붙는 호칭이다. (예: 냐웅슈웨 소브와 사오 슈웨 타이크) |
사야 | ဆရာ|사야my | 선생님(남자) |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나이가 많은 남성에게 사용된다. |
사야도 | ဆရာတော်|사야도my | 궁정 교사 | 나이든 스님들에게 사용된다. (예: 우 판디타) |
사야마 | ဆရာမ|사야마my | 선생님(여자) | 사회적 지위 또는 나이가 많은 여성에게 사용된다. |
신 | ရှင်|신my 또는 သျှင်|신my | Lord | 스님과 귀족 여성들이 사용한다. (예: 신 아라한, 야웨이 신 흐투웨) |
타킨 | သခင်|타킨my | Master | 미얀마 군사조직인 도바마 아시아요네 멤버들이 사용했다. (예: 타킨 코도 하잉) |
우 | ဦး|우my | 아저씨, 아재 | 사회적 지위가 높은 나이든 남성과 스님들에게 사용된다. (예: 우 탄트, 우 오타마) |
4. 점성술 기반 작명 시스템
많은 미얀마 불교도는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점성술을 활용하는데, 이는 전통적인 8요일 체계에서 아이가 태어난 요일에 따라 이름에 사용되는 첫 글자가 결정되는 방식이다. 오늘날 이 명명 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4. 1. 요일별 이름 첫 글자
많은 미얀마 불교도는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점성술을 이용한다. 이는 전통적인 8요일 체계에서 아이가 태어난 요일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월요일에 태어난 아이는 "k" (က|카my)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질 수 있다. 다음은 출생 요일과 아이 이름에 사용되는 첫 글자를 짝지은 표이다. 오늘날에는 이 방식이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요일 | 글자 |
---|---|
월요일 (တနင်္လာ|따닌라my) | က|카my (ka), ခ|카my (kha), ဂ|가my (ga), ဃ|가, 가my (ga, gha), င|응아my (nga) |
화요일 (အင်္ဂါ|아인가my) | စ|싸my (sa), ဆ|싸, 싸my (sa, hsa), ဇ|자my (za), ဈ|자, 자my (za, zha), ည|냐my (nya) |
수요일 오전 (ဗုဒ္ဓဟူး|보우다후my) | လ|라my (la), ဝ|와my (wa) |
수요일 오후 (ရာဟု|야후my) | ယ|야my (ya), ရ|야, 라my (ya, ra) |
목요일 (ကြာသာပတေး|짜다바떼이my) | ပ|빠my (pa), ဖ|파, 파my (hpa, pha), ဗ|바my (ba), ဘ|바, 바my (ba, bha), မ|마my (ma) |
금요일 (သောကြာ|따우짜my) | သ|타my (tha), ဟ|하my (ha) |
토요일 (စနေ|싸네이my) | တ|따my (ta), ထ|타my (hta), ဒ|다my (da), ဓ|다, 다my (da, dha), န|나my (na) |
일요일 (တနင်္ဂနွေ|따닌가누이my) | အ|아my (a) |
참조
[1]
간행물
Burmese Names: A Guide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1958-02
[2]
논문
The Arakanese Dialect of the Burman Languag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897-07
[3]
서적
The Making of Modern Bur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문서
Indexes: A Chapter from The Chicago Manual of Style
http://www.press.uch[...]
the Chicago Manual of Style
2014-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