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신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간신앙은 대규모 종교 체계와 다른 소규모 지역 사회의 종교나, 대중적 수준에서의 종교적 신념과 관습을 의미한다. 이는 오래된 종교 형태의 잔재, 공식 종교와 민족 종교의 혼합, 전통 사회의 신앙, 의례, 관습, 신화의 상호 작용, 종교에 대한 민중의 해석과 표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된다. 학문적으로는 용어의 문제와 부정적인 인식도 존재한다. 유럽에서는 1900년대 초부터 연구가 시작되었고,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문화인류학을 중심으로 연구가 발전했다. 한국에서는 민속학, 종교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문화유산으로 보존하고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술적 사고 - 강박장애
강박장애는 반복적인 강박 사고와 강박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사회적, 직업적 기능에 손상을 초래하고, 인지 행동 치료와 약물 치료를 통해 치료한다. - 주술적 사고 - 위치크래프트
위치크래프트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악의적인 힘을 행사하는 해로운 마법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사회적, 경제적 긴장과 연결되어 마녀사냥의 원인이 되었고 종교에 따라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 민간신앙 - 토템
토템은 특정 집단의 표상 또는 상징으로 기능하는 동물, 식물, 사물 등을 지칭하며, 토테미즘은 원시 사회 및 고대 문명에서 나타나는 사회 구조 및 종교 의식과 관련된 신앙 형태이다. - 민간신앙 - 부두교
부두교는 베냉 등 폰족에서 유래하여 카리브해 지역으로 전파된 종교로, 다양한 신과 정령을 숭배하며, 식민지 시대와 독재 정권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신앙의 자유를 얻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종교인류학 - 애니미즘
애니미즘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나 정령이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종교의 초기 형태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 신 애니미즘 개념이 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종교인류학 - 토템
토템은 특정 집단의 표상 또는 상징으로 기능하는 동물, 식물, 사물 등을 지칭하며, 토테미즘은 원시 사회 및 고대 문명에서 나타나는 사회 구조 및 종교 의식과 관련된 신앙 형태이다.
민간신앙 | |
---|---|
지도 정보 | |
개요 | |
다른 이름 | 민속 신앙 대중 종교 전통 종교 토착 종교 향토 신앙 고유 신앙 민속 종교 자생 종교 |
정의 및 특징 | |
정의 | 공식적인 종교 교리와 구별되는 종교적 표현 |
특징 | 특정 종교의 공식 교리나 신학에서 벗어나거나, 그 일부로 여겨지는 민속적인 신앙과 관습 특정 사회나 문화의 전통적 가치관과 세계관을 반영 지역 사회의 특성과 역사적 경험을 기반으로 형성 종교적 실천이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 영혼, 정령, 조상 숭배, 자연 숭배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 무속, 점술, 치유 의례 등 다양한 의례와 관습을 포함 종교적 전문가 외에 일반 신자들이 신앙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 |
관련 개념 | |
유사 개념 | 토속 신앙 민속 종교 민간 종교 전통 종교 향토 신앙 |
역사와 발전 | |
기원 | 인류 사회의 초기 단계부터 자연스럽게 발생 |
발전 과정 | 문자와 조직화된 종교가 등장하기 이전부터 존재 조직화된 종교와 공존하며 상호 영향을 주고받음 지역 사회의 역사, 문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 |
다양한 형태 | |
형태 | 영혼 숭배 조상 숭배 자연 숭배 토템 숭배 샤머니즘 점술 미신 민간 치료 민간 의례 |
지역별 사례 | |
한국 | 무속신앙, 토속신앙과 결합된 형태 |
중국 | 도교 및 불교와 혼합된 민간 신앙 형태 |
일본 | 신토와 결합된 지역 신앙 형태 |
아프리카 | 조상 숭배와 자연 숭배를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토착 신앙 형태 |
라틴 아메리카 | 카톨릭과 토착 신앙이 혼합된 형태 |
현대 사회의 민간 신앙 | |
현대 사회 |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지속되며, 새로운 형태로 변화 |
영향력 | 개인의 정신적 안정과 사회적 결속에 기여 |
연구 | 사회학, 인류학, 종교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진행 |
2. 정의
민간신앙은 제도화된 종교와 달리, 명확한 교리나 체계가 없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전승되고 실천된다. 존 보커(John Bowker)는 "민간 종교"를 "대규모 종교 체계의 규범을 따르지 않는 소규모 지역 사회에서 발생하는 종교" 또는 "대중적 수준에서의 종교적 신념과 관습의 수용"으로 특징지었다.[3]
돈 요더(Don Yoder)는 민간 종교를 정의하는 다섯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3]
- 문화 진화 관점: 민간 종교를 오래된 종교 형태가 남은 것으로 이해한다.
- 공식 종교와 민족 종교의 혼합: 민간 종교가 공식 종교와 여러 민족 종교가 혼합된 것을 나타낸다는 견해이다.
- 신앙, 의례, 관습, 신화의 상호작용: 민간 종교를 "전통 사회에서 신앙, 의례, 관습, 신화의 상호 작용"으로 본다.
- 민중의 종교 해석: 민간 종교가 "종교에 대한 민중의 해석과 표현"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 요더의 최종 정의: "엄격한 신학적이고 의례적인 공식 종교의 형태와는 별개로 그리고 함께 존재하는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는 종교에 대한 모든 견해와 관행의 총체"이다.
요더는 "민간 종교"가 "조직화된 종교와 관련하여, 그리고 그것과 긴장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고 설명했다.[3] 마티아스 지크 바룰(Matthias Zic Varul)은 "민간 종교"를 "일상적인 초월(everyday transcendence)"로 정의했다.[3]
사회학에서 민간 종교는 엘리트 종교와 대조된다. 민간 종교는 종교 지도자가 아닌 곳에서 유래한 신념, 관행 등으로 정의된다.
2. 1. 용어의 문제점
'민간신앙'이라는 용어는 학문적으로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돈 요더(Don Yoder)는 '민간 종교'라는 용어 사용의 문제점 중 하나로, 이 용어가 오직 조직 종교만을 '종교'로 간주하는 학자들의 연구에 부적합하다는 점을 지적했다.[3] 그는 에밀 뒤르켐을 예로 들며, 뒤르켐이 종교를 마법과 대조하기 위해 조직화된 것으로 정의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관점을 가진 학자들은 '민간 종교' 대신 '민간 신앙'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3]요더가 지적한 또 다른 문제는 일부 종교 사회학 분야 학자들이 '민간 종교'를 특정 민족이나 국가 집단과 밀접하게 관련된 종교, 즉 민족 종교(국가 종교 또는 부족 종교)의 동의어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는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보편 종교'와 대조되는 개념이다.[3]
민속학자 레오나드 노먼 프리미아노는 '민간 종교', '대중 종교', '비공식 종교'와 같은 용어들이 학자들이 연구하는 종교 형태에 큰 피해를 준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용어들이 "잔여적이고 경멸적"이며, 종교에 '순수한 요소'가 있고 이것이 인간 공동체에 노출되면서 변형되거나 오염된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비판했다.[3] 프리미아노는 대안으로 '일상 종교'라는 용어를 제안하며, 이 용어가 "인간이 종교를 만나고, 이해하고, 해석하고, 실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고 정의했다.[3]
하지만 카팔로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비판하며, '민간 종교'에서 '일상 종교'로 바꾸는 것이 학자가 "세상에서 다른 것을 선택하는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그는 두 용어 모두 "이데올로기적이고 의미론적인 짐"을 지니고 있으며, 학자들은 각 단어가 지닌 연관성에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3]
3. 역사적 연구
유럽에서는 "민간 종교" 연구가 독일어 religiöse Volkskundede 연구에서 출발했다. 이 용어는 "민속 문화의 종교적 측면 또는 종교의 민속 문화적 측면"을 가리킨다.[49] 1901년 독일 루터교 목사인 파울 드레우스(Paul Drews)가 Religiöse Volkskunde, eine Aufgabe der praktischen Theologiede라는 논문에서 처음 사용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요제프 바이거트(Josef Weigert), 베르너 베테(Werner Boette), 막스 룸프(Max Rumpf)는 독일 농촌 공동체의 종교성에 초점을 맞춘 religiöse Volkskundede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했다.[49] 게오르크 슈라이버(Georg Schreiber)는 뮌헨(Munich)에 인스티투트 휘어 렐리기어제 폴크스쿤데(Institut für religiöse Volkskunde)를, 한스 코렌(Hanns Koren)은 잘츠부르크(Salzburg)에 비슷한 부서를 설립했다.[49] 하인리히 샤우어트(Heinrich Schauert)와 루돌프 크리스(Rudolf Kriss)도 연구에 참여했으며, 크리스는 유럽에서 가장 큰 민속 종교 예술 및 물질 문화 컬렉션 중 하나를 수집하여 바이에른 국립 박물관(Bayerisches Nationalmuseum)에 소장했다.[49] 20세기 동안 유럽에서는 민간 종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순례(pilgrimage)와 성지(shrines) 사용에 주목했다.[49]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문화인류학(cultural anthropology)자들을 중심으로 민간신앙 연구가 발전했다.[49] 로버트 레드필드(Robert Redfield)의 1930년 저서 ''테포스틀란: 멕시코 마을(Tepoztlán: A Mexican Village)''은 농촌 공동체에서 "민간 종교"와 "공식 종교"의 관계를 조사했다.[49] 영어 "민간 종교"라는 용어는 독일어 Volksreligionde의 번역으로 추정된다.[49] 조슈아 트랙텐버그(Joshua Trachtenberg)의 1939년 저서 ''유대 마법과 미신: 민간 종교 연구(Jewish Magic and Superstition: A Study in Folk Religion)'' 제목에 처음 사용된 이래,[49] 비교종교학(comparative religion)에서 호리 이치로(Ichiro Hori)의 ''일본의 민간 종교(Folk Religion in Japan)'', 마르틴 닐손(Martin Nilsson)의 ''그리스 민간 종교(Greek Folk Religion)'', 찰스 레슬리(Charles Leslie)의 ''민간 종교 인류학(Anthropology of Folk Religion)'' 등에 사용되었다.[49] 미국에서는 인디애나 대학교(Indiana University)의 존 메신저(John Messenger)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의 돈 요더(Don Yoder) 등이 민간 종교 연구 강좌를 개설했다.[49]
3. 1. 유럽
"민간 종교" 연구는 독일어 ''religiöse Volkskunde'' 연구에서 출발했다. 이 용어는 "민속 문화의 종교적 측면 또는 종교의 민속 문화적 측면"을 가리킨다.[49] 1901년 독일 루터교 목사인 파울 드레우스(Paul Drews)가 "''Religiöse Volkskunde, eine Aufgabe der praktischen Theologie''"라는 논문에서 처음 사용했는데, 이 논문은 신학교를 졸업하는 젊은 루터교 목사들이 회중들 사이의 다양한 루터교 형태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쓰였다.[49]1920년대와 1930년대에 민속학자 요제프 바이거트(Josef Weigert), 베르너 베테(Werner Boette), 막스 룸프(Max Rumpf)는 독일 농촌 공동체의 종교성에 초점을 맞춘 ''religiöse Volkskunde''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했다.[49] 게오르크 슈라이버(Georg Schreiber)는 뮌헨(Munich)에 인스티투트 휘어 렐리기어제 폴크스쿤데(Institut für religiöse Volkskunde)를 설립했고, 한스 코렌(Hanns Koren)은 잘츠부르크(Salzburg)에 비슷한 부서를 설립했다.[49] 하인리히 샤우어트(Heinrich Schauert)와 루돌프 크리스(Rudolf Kriss)도 이 현상 연구에 참여했으며, 크리스는 유럽에서 가장 큰 민속 종교 예술 및 물질 문화 컬렉션 중 하나를 수집하여 바이에른 국립 박물관(Bayerisches Nationalmuseum)에 소장했다.[49] 20세기 동안 유럽에서는 민간 종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순례(pilgrimage)와 성지(shrines) 사용에 주목했다.[49]
3. 1. 1. 중세
유럽에서는 중세를 통틀어 지배층이나 성직자들의 지적인 종교 세계와는 별개로, 민중 사이에도 독자적인 신앙이 존재했고, 카닝 포크와 같은 기도, 민간 의료, 점을 치는 직업이 있었다.[49]게르만족 사이에 기독교가 수용되었을 당시, “하나님의 전능”은 상당히 마술적으로 해석되었다. 예를 들어 클로비스는 아내 클로틸드로부터 기독교 개종을 권유받자, 기독교의 신이 자신의 승리에 기여한다면 신앙을 받아들이겠다고 약속하고, 승리한 후 개종했다. 이는 게르만 신화의 전쟁의 신 오딘이 룬을 익혀 마법을 사용하는 마술의 신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마술적인 신에 대한 신앙으로서 기독교를 바라보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마르크 블로크는 『봉건 사회』에서 바이킹의 개종에 대해 언급하며, 초기에는 마술적인 이국의 신으로서 그리스도가 숭배되었다는 점을 논하고 있다.[49] 중세 초기에는 성직자들이 종종 마술적인 힘을 지녔다고 믿어졌다. 성직자는 민중으로부터 존경의 시선을 받는 한편, 마술사로서 두려워하고 싫어하기도 했다. 11세기 덴마크에서는 성직자가 날씨에 대해 마술적인 힘을 지녔다고 믿어졌고,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박해를 받았다. 13세기 프랑스에서는 어떤 마을에서 역병이 유행했을 때, 사제를 희생함으로써 마을을 구하려고 했던 사례가 있다. 11세기 그레고리오 개혁에서 교회가 배제하려고 했던 것은 왕권의 기적 능력과 성직자에 대한 이러한 마술적 미신이었다. 그레고리오 7세는 왕이나 성인의 기적을 부정하는 한편, 덴마크에서 날씨가 좋지 않을 때 행해졌던 성직자에 대한 박해를 비난하고 있다.
10세기 말 무렵부터 기존의 신앙 형태와는 다른 여러 대중적인 종교 운동이 나타났다. 이 무렵 기존의 수도원과는 다른 형태로, 예수의 삶에 더 가까운 수도 생활을 추구하는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의 기원은 동로마 제국에 가까운 남이탈리아 칼라브리아 지방의 그리스계 수도승들의 생활에서 시작되었고, 남이탈리아에 이슬람교도들이 공격을 가하자 그들은 피난하여 북상하였다. 11세기가 되면 전 유럽 규모에서 이 새로운 운동을 기반으로 한 수도원 설립이 활발해졌다. 특히 큰 영향을 미친 것은 13세기에 등장한 아시시의 프란체스코로, 그의 청빈 운동에는 많은 평신도 신자들이 공감하여 함께 가난한 삶을 살았다. 같은 시기에 마찬가지로 청빈을 주장한 이단인 발도파도 많은 평신도 신자들을 확보했다. 이처럼 성직자들의 귀족적인 공동 생활이었던 수도 생활이 예수의 청빈이라는 이상을 통해 민중 사이에 널리 받아들여졌다.
또한 이 무렵, 성물과 성인에 대한 숭배가 높아지면서, 각지에 보관된 성물과 성인의 고향으로의 순례가 성행하였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와 성지 예루살렘으로의 순례는 대중 운동이 되었다. 후에는 십자군 운동과 결합하여 많은 신자들이 십자군에 참가하거나, 특히 소년 십자군에 대표되는 것처럼, 자발적으로 대중의 십자군이 조직되기도 하였다. 서유럽의 교통망은 11세기까지 성지 네트워크로 형성되었고, 점차 정기 시장과 항구로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그 거점에는 금융 시장이 형성되었다. 이렇게 성립된 중세의 교통망은 고대 로마 제국의 도로망과는 상당히 달랐다.
기독교가 서유럽 사회에 퍼져나가는 과정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어머니 마리아의 이미지도 크게 변화했다.
먼저 기원 1000년경부터 ‘하느님의 아들’ 예수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면서, 특히 엄격한 심판자 또는 위엄 있는 왕으로서의 그리스도상이 자주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12세기경부터 다시 한번 그리스도상에 큰 변화가 나타나, 가난하고 고난으로 가득 차 있으며 빈자의 편에 서는 인간적인 예수의 모습도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그리스도상을 그의 청빈한 자세와 성흔의 기적으로 구현한 인물이 바로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였다.
성모에 대한 여러 숭배도 이 시기에 확립되었다. 먼저 12세기경에 성모 마리아도 사후에 하늘로 승천했다는 “성모 승천”, 14세기에는 그리스도를 잉태한 마리아는 원죄를 지고 있을 리 없다는 “무염시태” 등이 등장했는데, 이들은 격렬한 논쟁의 씨앗이 되었다. 성모는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어머니로서 신자와 예수 그리스도 사이를 중재하는 특별한 존재로서 숭배를 받았다. 12세기에는 기도문 “아베 마리아”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한 숭배는 때로는 그녀를 그리스도의 속죄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 속죄의 보완자로 보는 견해로 이어지기도 했지만, 교회는 이 견해를 일관되게 배척했다.
3. 2. 아메리카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문화인류학자들을 중심으로 민간신앙 연구가 발전했다.[1] 이 분야의 선구자는 로버트 레드필드였으며, 그의 1930년 저서 ''테포스틀란: 멕시코 마을''은 농촌 공동체에서 "민간 종교"와 "공식 종교"의 관계를 대조하고 조사했다.[1] 영어로 된 "민간 종교"라는 용어의 가장 초기 사용례는 알 수 없지만, 아마도 독일어 ''Volksreligion''의 번역으로 발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 이 용어는 조슈아 트랙텐버그의 1939년 저서 ''유대 마법과 미신: 민간 종교 연구''의 제목에서 처음 사용된 이래,[1] 비교종교학 학문 분야에서 호리 이치로의 ''일본의 민간 종교'', 마르틴 닐손의 ''그리스 민간 종교'', 찰스 레슬리의 독본 ''민간 종교 인류학'' 등의 제목에 등장하며 널리 사용되었다.[1] 미국에서는 인디애나 대학교의 존 메신저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돈 요더 등이 민간 종교 연구에 대한 강좌를 개설했다.[1]3. 3. 한국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민속학, 종교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민간신앙을 연구해 왔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주도로 민간신앙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이는 식민 통치를 위한 목적이 강했다. 해방 이후에는 한국전쟁 등으로 인해 민간신앙 연구가 위축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민족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시 활발해졌다. 최근에는 민간신앙을 문화유산으로 보존하고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4. 각 지역의 민간신앙
중국 민간 종교는 중국과 한족을 중심으로 현재까지 주된 신앙 체계를 이루어 온 여러 민족 종교 전통들을 일컫는 용어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신앙에는 자연의 힘과 조상에 대한 숭배, 악령 퇴치, 그리고 인간과 통치자, 영혼과 신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자연의 합리적인 질서, 우주의 균형, 현실에 대한 믿음이 포함된다. 숭배는 자연 현상, 인간 행위 또는 혈통의 시조가 될 수 있는 신과 신선들의 계층(神|shén중국어)에게 바쳐진다. 이러한 신들에 관한 이야기들은 중국 신화에 수록되어 있다. 11세기 (송대)가 되면서 이러한 관습들은 불교의 업(자신의 행위)과 윤회, 그리고 도교의 신들 계층에 대한 가르침과 융합되어 오늘날까지 많은 면에서 지속되어 온 대중적인 종교 체계를 형성했다.[4]
중국 민간 종교는 수 세기 동안 제도적 도교가 지역 종교들을 동화하거나 관리하려고 시도해왔기 때문에 때때로 도교와 함께 분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교는 민간 종교와 중국 철학에서 출현하여 그것과 겹친다. 중국 민간 종교는 때때로 중국 전통 종교의 구성 요소로 간주되지만, 더 자주 두 용어는 동의어로 여겨진다. 약 4억 5,400만 명의 신자, 즉 세계 인구의 약 6.6%를 가지고 있는[8] 중국 민간 종교는 세계의 주요 종교 전통 중 하나이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인구의 30% 이상이 중국 민간 종교 또는 도교를 따릅니다.[9]
태평천국 운동부터 문화 대혁명까지 지난 2세기 동안 심각한 탄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중국 본토와 대만 모두에서 현대적인 부흥을 경험하고 있다.[10][11] 중국 정부는 마조교 (공식적으로 약 1억 6천만 명의 중국인이 마조를 숭배한다)[12], 황제 숭배,[13][14] 흑룡 숭배(산시성)[15][16][17], 그리고 재신 숭배[18] 등 다양한 형태를 지원해 왔다.
5. 한국의 민간신앙
한국의 민간신앙은 샤머니즘, 무속 신앙, 조상 숭배, 마을 신앙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6. 현대 사회와 민간신앙
현대 사회에서 민간신앙은 과학적 사고방식과 충돌하거나, 미신으로 치부되기도 한다. 그러나 민간신앙은 여전히 한국인의 의식과 생활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으며, 심리적 안정, 공동체 의식 함양 등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Religion: empirical studies
Ashgate Publishing
[2]
서적
Lightning from the East: Heterodoxy and Christianity in Contemporary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2024-08-28
[3]
서적
The Religion of the American Jew
Jewish Publication Society
[4]
서적
Religions of China: The World as a Living System
New York: Harper & Row
1986-01-01
[5]
서적
Reinventing Chinese Syncretic Religion: Shenism
https://books.google[...]
2007-02-23
[6]
웹사이트
How we came to 'pai shen'
http://blogs.straits[...]
Straits times
2009-09-07
[7]
서적
Religious Diversity in Singapore
https://books.google[...]
2001-09-11
[8]
간행물
Encyclopædia Britannica
[9]
웹사이트
Chinese Folk Religion Adherents by Country
http://chartsbin.com[...]
Charts bin
2009-09-16
[10]
웹사이트
Roundtable before the Congressional-Executive Commission on China
http://bulk.resource[...]
[11]
웹사이트
The Upsurge of Religion in China
http://www.journalof[...]
[12]
웹사이트
China's Leaders Harness Folk Religion For Their Aims
https://www.npr.org/[...]
Npr.org
2010-07-23
[13]
웹사이트
Over 10,000 Chinese Worship Huangdi in Henan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06-04-01
[14]
웹사이트
Compatriots across the strait honor their ancestry
http://china.chinaa2[...]
[15]
웹사이트
Return to folk religions brings about renewal in rural China
http://wwrn.org/arti[...]
Wwrn.org
2001-09-14
[16]
학술지
The Policy of Legitimation and the Revival of Popular Religion in Shaanbei, North-Central China
https://www.jstor.or[...]
2005-01-01
[17]
서적
Miraculous response: doing popular religion in contemporary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8-07-21
[18]
웹사이트
苍南金乡玄坛庙成华夏第八财神庙
http://blog.voc.com.[...]
Blog.voc.com.cn
[19]
웹사이트
State, Society and Religious Engineering: Towards a Reformist Buddhism in Singapore. (Book Review)
http://www.highbeam.[...]
2004-10-01
[20]
서적
Popular Filipino Spiritual Beliefs with a proposed Theological Response
Mandaluyong: OMF Literature Inc.
[2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eligion and Emo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Folk Hinduism
http://sociology.ire[...]
[23]
서적
Hinduism: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Popular and Folk Hinduism
https://www.oxfordbi[...]
2011-01-27
[25]
서적
Religion, Heritage and the Sustainable City: Hinduism and urbanisation in Jaipu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6]
서적
Hinduism and Law: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The Aryan Controversy Decided? Ancient India between the Early Aryans and the Indus Civilization (Review Essay on Asko Parpola's The Roots of Hinduism)
https://www.research[...]
2018-06-01
[28]
서적
Jewish Magic and Superstition: A Study in Folk Religion
Forgotten Books
[29]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Fields of Offerings: Studies in Honor of Raphael Patai
[31]
서적
Fields of Offerings: Studies in Honor of Raphael Patai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32]
서적
Fields of Offerings: Studies in Honor of Raphael Patai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33]
서적
Comparative Perspectives on Judaisms and Jewish Identitie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34]
서적
Comparative Perspectives on Judaisms and Jewish Identitie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35]
서적
Popular religion in Russia
Routledge
2009-07-01
[36]
서적
The Church of England in industrialising society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09-07
[37]
서적
Neighboring faiths: a Christian introduction to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09-07
[38]
서적
Spirituality and Psychiatry
RCPsych Publications
[39]
서적
Major World Religions: From Their Origins To The Present
Routledge
[40]
서적
Ernest Gellner and Contemporary Soci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서적
Ideology and Power in the Middle East: Studies in Honor of George Lenczowski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42]
서적
Islam in the Middle East: A Living Tradition
Wiley-Blackwell
[43]
서적
Islam and Modernity: Key Issues and Debates
Edinburgh University Press
[44]
서적
Why Gods Persist: A Scientific Approach to Religion
Routledge
[45]
서적
Islam In an Era of Nation-States: Politics and Religious Renewal in Muslim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46]
서적
Islam in Modern Asia
MD Publications
[47]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48]
간행물
中奥の民間信仰
[49]
서적
封建社会
[50]
백과사전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51]
백과사전
민간신앙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