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경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경배는 대한민국의 신학자이자 한국 교회사학자로, 1934년 황해도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영국 애버딘 대학교에서 유학했으며, 장로회신학대학교를 졸업했다. 연세대학교 교수를 거쳐 서울장신대학교 총장을 역임했고, 한국 교회사 연구에 기여했다. 그의 대표 저서인 『한국기독교회사』는 한국 교회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민족교회사관을 제시하여 한국 교회의 주체적인 역사를 강조했다. 그는 한국 교회사학을 개척하고 발전시킨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저술과 번역, 그리고 학술 활동을 통해 한국 기독교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역사학자 - 이은선
    이은선은 한국의 신학자이자 교회사학자로, 칼뱅 신학, 종교개혁사, 한국 교회사를 중심으로 연구하며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회장, 한국개혁신학회 회장,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기독교 역사학자 - 이상규 (1952년)
    이상규는 개혁주의 신학에 기반하여 한국교회사 등을 연구하고 실증사관에 입각한 교회사 해석을 지향하는 대한민국의 교회사학자이며, 고신대학교 교수와 한국교회사연구원 원장, 부산경남교회사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신학자 - 함석헌
    함석헌은 평안북도 출신의 인권운동가,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서, 일제강점기와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펼치며 '씨알의 소리'를 통해 '씨알사상'을 알렸고, 비폭력·민주·평화 사상으로 '한국 간디'라 불리며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신학자 - 강원용
    강원용은 함경남도 출신의 개신교 목사이자 사회운동가로, 경동교회 설립과 대화문화 아카데미 창설을 통해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인권 신장에 기여했으며, 언론, 사회,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개신교 신학자 - 함석헌
    함석헌은 평안북도 출신의 인권운동가,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서, 일제강점기와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펼치며 '씨알의 소리'를 통해 '씨알사상'을 알렸고, 비폭력·민주·평화 사상으로 '한국 간디'라 불리며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개신교 신학자 - 강원용
    강원용은 함경남도 출신의 개신교 목사이자 사회운동가로, 경동교회 설립과 대화문화 아카데미 창설을 통해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인권 신장에 기여했으며, 언론, 사회,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민경배
기본 정보
민경배 연세대학교 교수
이름민경배
활동 기간1970년~
출생일1934년 06월 22일
직업대학 교수, 저술가
언어한국어, 영어, 일본어
장르역사, 강의, 저술
종교개신교
국적대한민국
학력일본 동지사대 대학원

2. 생애

백낙준 박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을 설립한 김양선 박사와 함께 민경배 박사는 한국 교회 연구와 발전에 큰 영향을 준 인물로 평가받는다.[7]

황해도 장연 출신인 민경배는 해방 후 가족과 함께 월남했다. 한국 전쟁 참전 중 큰 부상을 입었으나, 이는 그의 신학과 역사학 연구에 실존적인 출발점이 되었다.

연세대학교에서 47년간 교육자로 활동하며 후학을 양성했고, 서울장신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하며 행정가로도 활동했다. 연세대학교 학술상,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백주년 기념 최우수 저작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7]

그는 '민족교회사관'을 확립하여 한국교회사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7]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민경배는 1934년 6월 22일 황해도 장연군 장연읍 읍내리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곳은 한국 최초의 교회인 솔내교회가 설립된 '한국 프로테스탄트의 요람'이었다.[7] 이 인연으로 '솔내'는 그의 아호가 되었다.

1952년 서울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와 인연을 맺었다. 그러나 한국 전쟁에 해군 제20기로 입대하여 종군했지만, 척추 부근에 파편이 박히는 큰 부상을 입고 명예 제대하였다.[7] 이러한 경험은 그의 신학과 역사학 연구에 있어서 실존적인 출발점이 되었다.

1956년 연희대학교 신과대학을 7기로 졸업하고, 대학원 졸업 후 1958년 3월부터 연세대학교 부산 분교 전임강사로 임용되어 교육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7]

2. 2. 학문적 여정

민경배는 1934년 6월 22일 황해도 장연군 장연읍 읍내리에서 태어났다. 1952년 서울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와 인연을 맺었다. 한국전쟁에 해군으로 참전하여 큰 부상을 입고 명예제대하였다.[7]

1956년 연희대학교 신과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공부하였다. 1958년 연세대학교 부산분교 전임강사로 임용되어 교육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영국 에버딘대학교에서 수학하고 1960년 졸업 시 'First Class Honour', 'Margaret Christie Prize'를 수상했다. 1962년 에버딘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귀국 후 장로회신학대학 신학대학원 과정을 마치고 1967년 목사안수를 받았다.[7]

1952년부터 연세대학교에서 조교,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를 거쳐 1999년 명예교수가 될 때까지 47년간 연구와 교육 활동을 했다. 2001년 백석대학교 석좌교수를 거쳐 2002년 서울장신대학교 총장으로 부임하였다. 1987년 'International Who's Who in Education, Cambridge'에 등재되었다.[7]

3. 연구 방법

민경배는 예일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백낙준숭실대학교김양선, 김영재, 이만열과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교회사학자로 평가받는다. 백낙준은 한국교회사 연구의 시작을 알렸고, 김양선은 관련 자료와 유물을 수집했으며, 민경배는 이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민족교회사를 태동시켰다.[7]

민경배의 교회사관은 '민족교회사관'으로 불리며, 백낙준의 '선교사관'이나 이만열의 '실증주의사관'과 구별된다.

3. 1. 민족교회사관

백낙준의 선교사 관점이나,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이만열의 '실증주의사관'과는 달리, 민경배는 '민족교회사관'이라는 학맥을 형성하였다.[8]

3. 2. 다른 역사관과의 비교

백낙준 박사는 세계적인 교회사가이자 지도교수인 라토렛 박사의 선교적 역사관을 자신의 한국개신교 연구 방법론으로 수용하여 선교사 관점을 취했다. 반면 민경배 박사는 선교사 중심의 역사관을 비판하고 한국 교회의 주체성을 강조했다.[8]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이만열 박사는 사건 그 자체의 기록 또는 연결을 강조하는 '실증주의사관'을 주장했다. 이와 달리 민경배는 '민족교회사관'이라는 학맥을 형성하였다.[8]

4. 『한국기독교회사』

민경배 박사의 대표적인 명저 『한국기독교회사』는 기존 한국교회사 연구 방법론에 일대 전환을 가져온 저서로 평가받는다. 이 책은 한국 교회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다룬 통사(通史)이다. 이상규 박사는 이 책을 한국교회사에 대한 보다 완전한 최초의 통사라고 평가하며, 1968년 판(전 3편 16장)을 기본 골격으로 재구성 및 증보하여 전 3편 21장, 442쪽의 통사로 발전시켰다고 설명한다. 기본 구조는 1968년 판과 유사하지만 내용과 구성은 완전히 새로운 저술이며, 한국교회 역사에 대한 학문적 체계를 갖춘 교과서로서 손색이 없다고 평가한다. 특히 ‘한국 민족교회 형성과정사’라는 제안은 큰 주목을 받았으며, 이 책을 통해 민경배 교수는 교회사학자로서의 학문적 위상을 확고히 정립했다.[9]

이상규 박사의 연구 "민경배 박사의 한국교회사 연구"에 따르면, 『한국기독교회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9]


  • 구조적 일관성: 1968년 초판 이후 1993년 결정판(신개정판), 2007년 순 한글판까지 25년 또는 40여 년간 구조적 일관성을 유지했다. 내용은 수정 및 증보되었지만, 1968년 판의 기본 골격은 유지하면서 약 700쪽에 달하는 대작으로 발전했다.
  • '한국 민족교회 형성 과정사': 1972년 판부터 “한국 민족교회 형성 과정사”라는 부제를 붙여, 한국교회를 ‘한국 민족교회’로, 한국교회사를 ‘민족교회 형성사’로 인식하는 새로운 관점(史眼)을 제시했다. 이는 기존의 ‘선교사 중심의 선교 역사’ 관점에서 벗어나 한국 민족의 현실 속에서 한국교회를 이해하려는 시도였다.
  • 독특한 레토릭: 역사 서술에 서양의 학문 이론과 동양의 재예(才藝)를 결합한 독특한 레토릭, 즉 예술적 기술(記述)을 활용했다. 한문 또는 한자어에 대한 수사학적 표현은 감성의 여백을 자극하는 심미적 힘을 지닌다.


한국민족교회사관을 최초로 소개한 민경배 박사의 저서 한국기독교회사

4. 1. 책의 구성과 내용

『한국기독교회사』는 민경배 박사의 대표적인 저서로, 한국교회사 연구 방법에 큰 변화를 가져온 책으로 평가받는다. 이 책은 한국 교회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다룬 통사(通史)이다. 이상규 박사는 이 책이 한국교회사에 대한 완전한 최초의 통사였다고 평가했다. 1968년 판은 전 3편 16장으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재구성 및 증보되어 전 3편 21장, 442쪽의 통사로 발전했다. 1968년 판과 기본 구조는 유사하지만, 내용과 구성 면에서 완전히 새로운 저술이며, 한국교회 역사에 대한 학문적 체계를 갖춘 교과서로 평가받는다.[9]

이상규 박사의 연구 "민경배 박사의 한국교회사 연구"에 따르면, 『한국기독교회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지닌다.[9]

  • 첫째, 1968년 초판 이후 1993년 결정판(신개정판), 2007년 순 한글판이 출판되기까지 25년에서 40여 년간 구조상의 일관성을 유지했다. 내용은 수정되거나 증보되었지만, 1968년 판의 기본 골격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일부 내용 수정 외에는 증보와 첨가를 통해 40여 년 동안 약 700쪽에 달하는 대작으로 발전했다. 다수의 장(章)과 절(節) 제목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저자의 한국교회사 인식이 이미 1960년대 말에 확정되었고, 34세의 젊은 나이에 이룬 학문적 성취가 40년간 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 둘째, 1972년 판부터 "한국 민족교회 형성 과정사"라는 부제를 붙였다. 이는 저자가 한국교회를 '한국 민족교회'로 파악하고, 한국교회사를 '민족교회 형성사'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기존의 선교사 중심의 '선교의 역사' 관점에서 벗어나, 한국교회를 한국 민족의 현실 속에서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것이다. 민경배 교수는 한국교회를 '민족교회'로, 한국교회 역사를 '한국 민족교회 형성사'로 인식하고 있음을 명시적으로 밝혔다. 이러한 역사 인식은 『한국민족교회형성사론』(1974), 『교회와 민족』(1981), 『일제하의 한국기독교 민족.신앙운동사』(1991) 등 다른 저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 셋째, 역사 서술에서 독특한 레토릭, 즉 예술적 기술(記述) 방식을 사용했다. 서양의 학문 이론과 동양의 재주와 기예(才藝)를 결합한 방식으로, 이는 민경배 교수의 수사학적 묘미이자 책의 가독성을 높여주는 요소이다. 한문 또는 한자어에 대한 수사학적 표현은 감성의 여백을 자극하는 심미적 힘을 지니고 있으며, 한문을 공부한 세대에게는 상당한 호소력을 가진다.


4. 2. 학문적 의의와 영향

민경배 박사의 대표적인 저서인 『한국기독교회사』는 한국 교회사 연구 방법에 큰 변화를 가져온 책으로 평가받는다. 이상규 박사는 이 책이 한국 교회 역사를 전체적으로 다룬 최초의 통사이며, 1968년 판을 바탕으로 내용과 구성을 완전히 새롭게 하여 학문적 체계를 갖춘 교과서로 발전했다고 평가했다.[9] 특히 '한국 민족교회 형성 과정사'라는 제안은 큰 주목을 받았으며, 민경배 교수가 교회사학자로서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9]

이상규 박사의 연구 "민경배 박사의 한국교회사 연구"에 따르면, 『한국기독교회사』가 가지는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9]

  • 첫째, 이 책은 1968년 이후 1993년 결정판(신개정판), 2007년 순 한글판이 출판되기까지 25년, 혹은 40여 년간 구조상의 일관성을 유지해 왔다. 내용은 수정되거나 증보되었지만, 1968년 판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700쪽에 달하는 대작으로 발전했다. 이는 저자의 한국 교회사 인식이 1960년대 말에 이미 확정되었음을 보여준다.
  • 둘째, 1972년 판부터 '한국 민족교회 형성 과정사'라는 부제를 붙였다. 이는 저자가 한국 교회를 '한국 민족교회'로, 한국 교회사'를 '민족교회 형성사'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선교사 중심의 '선교 역사'가 아니라 한국 민족의 현실에서 한국 교회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역사 인식은 『한국민족교회형성사론』(1974), 『교회와 민족』(1981), 『일제하의 한국기독교 민족.신앙운동사』(1991) 등 다른 저서에서도 나타난다.
  • 셋째, 그의 역사 서술에는 서양의 학문 이론과 동양적 재능이 결합된 독특한 표현 방식이 나타난다. 이는 민경배 교수의 수사학적 묘미이자, 그의 책의 가독성을 높여주는 요소이다. 특히 한문 또는 한자어에 대한 표현은 독자들에게 감성적인 여운을 남기며, 한문을 공부한 세대에게는 큰 호소력을 가진다.


5. 평가

민경배 박사는 백낙준 박사, 김양선 박사, 김영재 박사, 이만열 박사와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교회사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백낙준 박사가 한국교회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아버지와 같은 역할을, 김양선 박사가 한국교회 역사 자료와 유물을 수집하며 어머니와 같은 역할을 했다면, 민경배 박사는 이 두 신학자의 학문과 역사 속에 한국민족교회사를 태동시킨 인물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삼위일체적인 조화로운 사역과 유산은 한국교회 연구와 발전을 풍부하게 만들었다.[7]

역사학자 이상규 박사는 민경배 박사가 한국교회사학을 개척하고 발전시킨 선구자이자 독창적인 역사관을 제시한 학자였다고 평가한다. 이상규 박사에 따르면 민경배 박사의 연구는 하기오그래피(hagiography)에 그쳤던 한국교회사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고,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연구의 기초를 제공했다. 그의 『한국기독교회사』는 한국 최초의 통사로써 한국교회사의 교과서로 인정받았으며, 그의 다양한 연구서들은 후학들을 위한 표준적인 안내서가 되었다. 또한 개혁교회 전통을 잇는 교회관, 한국교회에 대한 민족교회사적 인식, 역사 이해에 있어서의 내연과 외연의 현상학은 그의 독창적인 역사관이었다.[7]

민경배 박사의 교회사관은 '민족교회사관'이라고 불리며, 백낙준 박사가 한국교회의 고백과 증언을 고려하지 못한 '선교사관'에 서 있는 것과 달리, 한국교회사의 주체를 한국교회로 보는 것에서 출발하는 '민족교회사관'에서 한국교회 역사를 접근한다는 점에서 큰 공헌을 했다고 평가받는다.[7]

6. 학력

7. 경력

직책기관기간
연세대학교 교목실장[7]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신학대학원장[7]연세대학교
총장[7]서울장신대학교2002년 3월 ~
협동목사[7]신촌교회
부이사장[7]서울 YMCA
명예원장[7]한국교회사학연구원
명예교수[7]연세대학교 신학대1999년 ~
석좌교수[7]백석대2001년 ~
상임의장[7]동북아시아기독교사학협의회
명예위원장[7]한국교회개혁실천위원회
명예편찬위원장[7]한국기독교성령1백주년 기념사업회
수상[7]세계성신클럽(교육자 부문)
전임강사[7]연세대학교 부산분교1958년 3월 ~


8. 수상

수상 내역
국민훈장 목련장[7]
용재학술상[7]
대한기독교서회 창립백주년기념 최우수 저작상[7]
서울 YMCA 창립 90주년 공로상[7]
제2회 대한민국 국민상[7]
국무총리 표창[7]
연세대학교 우수업적교수 표창[7]
제 6회 한국기독교학술상 수상 (2009년)[7]
International Whos Who in Education, Cambridge' 등재 (1987년)[7]
연세대학교 학술상[7]


9. 저서

출판 연도제목출판사비고
2007《한국기독교회사: 한국 민족교회 형성 과정사》연세대학교 출판부
1991《일제하의 한국기독교 민족·신앙운동사》대한기독교서회
1998《역사와 신앙: 역사의 기독교적 해석》연세대학교출판부
《한국기독교회사》
《한국민족교회형성사론》
《한국크리스챤 아카데미10년사》
《새문안교회80년사》
《경동교회사》
《연합신학대학원25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백년사》
《순교자 주기철목사》
《한국기독교사회운동사》
《알렌의 선교와 근대한미외교》
《역사와 신앙》
《서울YMCA운동100년사》
《한국교회찬송가사》
《월드비전 한국50년운동사》
《정인과와 그 시대》
《한국현대사론》공저
《대한민국사》공저
《韓國キリスト敎會史》
《アジア キリスト敎史》공저
《神の榮光のみ》
《A History of Christian Churches in Korea》
《A Centennial History of the Seoul YMCA》
《글로벌시대와 한국, 한국교회》
《한국 최초의 개신교 순교자 로버트 J. 토마스》


10. 역서


  • J. S. McEwen, 『존 녹스의 생애와 사상』
  • J. A. Mackay, 『에큐메닉스』
  • H. Cox, 『세속도시』(공역)
  • S. Hiltner, 『목회신원론』
  • H. Smith, 『세계의 종교들』(공역)
  • W. Walker, 『세계기독교회사』(공역)

11. 참고 문헌


  • 이상규, 민경배 박사의 한국교회사 연구, 교회사학, 12권 1호 (2007): 5-34.

참조

[1] 뉴스 솔내 민경배 박사 은퇴 https://www.kidok.co[...] 기독신문 1999-06-23
[2] 뉴스 2002 신임 총장(2) 서울장신대~안양대 https://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02-03-02
[3] 뉴스 아름다운세상/ 교회사 연구에 헌신 다짐하는 민경배 박사와 제자들 https://pckworld.com[...] 한국기독공보 2004-06-26
[4] 뉴스 민경배 교수,한국기독교학술상 수상 https://news.kmib.co[...] 국민일보 2009-07-14
[5] 뉴스 민경배 박사, 한국기독학술원 학술상 수상 https://www.christia[...] 크리스천투데이 2009-07-27
[6] 뉴스 민경배 총장, 연세대 용재상 수상 https://www.christia[...] 크리스천투데이 2005-03-09
[7] 뉴스 아름다운세상/ 교회사 연구에 헌신 다짐하는 민경배 박사와 제자들 https://pckworld.com[...] 한국기독공보 2004-06-26
[8] 뉴스 민경배 교수,한국기독교학술상 수상 https://news.kmib.co[...] 국민일보 2009-07-14
[9] 논문 민경배 박사의 한국교회사 연구 https://academic.nav[...]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