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규 (195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규(1952년)는 대한민국의 교회사 학자이다. 고신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교회와 역사연구소 소장, 부산경남 교회사연구회 회장, 한국장로교 신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한국 교회사, 개혁주의 신학, 호주 장로교회 선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25권의 단행본과 1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한국신학회 야립대상, 근정훈장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신대학교 교수 - 강영안
강영안은 한국의 철학자이자 기독교 윤리학자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루뱅 가톨릭 대학교,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고, 여러 대학교와 신학교에서 교수를 지냈으며, 한국칸트학회와 한국철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철학과 신학의 대화적 관계와 믿음과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철학신학 연구를 수행했다. - 고신대학교 교수 - 이환봉
이환봉은 고신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중국 다니엘 개혁신학교 상임원장이며, 고신대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신학과 학과장, 기획실장, 총장 직무대행 등을 역임하고, 개혁주의학술원 초대원장을 지냈다. - 기독교 역사학자 - 민경배
한국의 교회사학자 민경배는 '민족교회사관'이라는 독자적인 학문적 관점으로 한국교회사를 연구하고, 《한국의 기독교회사》를 통해 한국교회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연세대학교 교수와 서울장신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 기독교 역사학자 - 이은선
이은선은 한국의 신학자이자 교회사학자로, 칼뱅 신학, 종교개혁사, 한국 교회사를 중심으로 연구하며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회장, 한국개혁신학회 회장,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고신대학교 동문 - 김은숙 (1958년)
김은숙(1958년)은 1958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나 소설가, 번역가, 사회운동가로 활동했으며, 1982년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으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 후 소설가로 등단하여 활동하다 2011년 위암으로 사망했다. - 고신대학교 동문 - 노윤석
평안북도 선천 출신의 노윤석 목사는 고신대학교와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여러 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했으며,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이사와 기독교개혁신보사 이사장을 역임하며 성경신학적 설교와 개혁신학에 따른 목회를 추구했다.
이상규 (195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업 | 교수, 학자 및 신학자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53년 12월 13일 |
학력 | 신학사, 신학석사, 목회학 석사, 신학박사 |
모교 | Australian College of Theology |
종교 | 장로교(예장고신) |
학문 분야 | |
주요 관심사 | 기독교 초대 기독교 칼뱅주의 한국 기독교 |
직장 | 백석대학교 |
주요 활동 | |
알려진 업적 | 한국 기독교, 초대 기독교, 기독교, 칼뱅주의 연구 |
수상 | 올해의 신학자 (2012년) |
웹사이트 | International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and Life - Unio Cum Christo |
참고 자료 | |
관련 링크 | 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수 소개 “교회가 정체성 회복할 때 물질·권력으로부터 자유” (국민일보 기사) ‘올해의 신학자’ 선정을 축하하며 (크리스천투데이 기사) |
2. 학력
학력 |
---|
고신대학교 신학부 신학과 신학사(B.Th.) |
고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목회학석사(M.Div.) |
고신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신학석사(Th.M.) |
호주빅토리아 장로교 신학대학 대학원 |
호주 신학대학교(ACT) 신학박사(Th.D.) |
이상규는 1950년 음력 12월 13일(양력 1951년 1월 20일) 경상북도 영주군 안정면 용산동의 시골 마을에서 10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6.25 전쟁 중이던 1952년 2월 24일, 태어난 지 1년 11일 만에 아버지를 여의었다. 그의 어머니 박귀돌(1910-93) 여사는 시부모를 모시고, 남편 잃은 자부와 손자, 그리고 5남매의 자녀를 키워야 하는 힘든 삶을 살았다. 그의 회고록에 따르면, 어머니는 마지막 희망을 찾아 교회에 나갔고, 마치 니고데모처럼 밤중에 몰래 아랫동네 대룡산(大龍山) 교회를 찾았는데, 이것이 신앙의 시작이었다고 한다. 이상규도 초등학교 입학 무렵 어머니를 따라 교회를 다니기 시작했다. 기독교 신앙과 가치는 어린 그의 가슴에 깊이 새겨졌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어머니 모니카와 웨슬리 형제의 어머니 수잔나처럼, 어머니의 기도는 그에게 큰 힘이 되었을 것이다. 또한 이상규는 자신이 학문의 길로 들어서도록 영향을 준 인물로 할아버지를 떠올린다. 어린 시절 한학자인 할아버지로부터 배운 천자문, 명심보감, 동몽선습, 소학 등은 훗날 교회사 연구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20]
이상규는 한국교회사 학자로서 고신대학교의 역사, 초기 기독교회사, 16세기 종교개혁사, 개혁주의 신학, 한국교회사, 오스트레일리아 장로교회와 선교사, 부산·경남 지역의 기독교사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으며, 25권의 단행본과 170편의 논문을 저술했다.
3. 경력
기간 내용 1983년 - 2019년 2월 고신대학교 교수 2002년 - 2008년 호주 맥쿼리 대학교 연구교수 2005년 ~ 현재 한국교회와 역사연구소 소장 2006년 ~ 현재 부산경남 교회사연구회 회장 2007년 1월 ~ 현재 한국복음주의 신학회 편집위원 2014년 3월 29일 ~ 2016년 한국장로교 신학회 회장 2014년 10월 ~ 2017년 개혁신학회 회장 2015년 2월 ~ 국제학술지 Unio cum Christo 편집위원 2019년 ~ 백석대학교 교수 미국 캘빈 대학교 방문 학자 (Visiting scholar) 미국 Associated Mennonite Biblical Seminary 방문 학자 (Visiting scholar)
4. 생애
그는 교회사가가 된 계기에 대해 “고등학교 3학년 때 유명한 교회사가인 민경배 교수가 쓴 문고판 「한국의 기독교회사」를 읽었다”며, “물론 다 읽지 못했고 이해도 못 했지만 교회사 연구에 대해 동기를 부여해준 책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역사를 연구하면 기독교인뿐만 아니라 비기독교인에게도 기여할 수 있겠다고 생각해 학부 시절부터 교회사를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고 밝혔다.[21]
그는 고신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호주 신학대학교(신학 박사)에서 공부했다. 2002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 그랜드 래피즈의 칼빈 대학교, 재세례파 메노나이트 성서 신학교(AMBS), 호주의 맥쿼리 대학교 등을 방문했다. 그는 한국교회사연구원 원장(2005 ~ 현재), 부산경남교회사연구회 회장(2006 ~ 현재)을 맡고 있다. 한국장로교신학회 회장(2016년 3월 29일 ~ ), 개혁신학회 회장(2014년 10월 ~ 2017년), 국제 학술지 《유니오 쿰 크리스토》 편집위원(2015년 2월)을 역임했다. 고신대학교(1983-2019년 2월)에서 정년퇴임했으며, 2019년부터 백석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다.
그는 한국교회사 학자로서 고신대학교의 역사, 초기 기독교회사, 16세기 종교개혁사, 개혁주의 신학, 한국교회사, 오스트레일리아 장로교회와 선교사, 부산·경남 지역의 기독교사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는 25권의 단행본과 170편의 논문이 있다. 그는 칼뱅주의의 기초 위에 교회사를 연구했지만, 교회사 해석의 관점은 성서 진리의 본질성을 바탕으로 보다 휴머니스트적인 관점인 실증 사관으로 해석한다. 그가 처음 쓴 책은 「한국에서의 칼빈 연구 100년」(1984)이다. 이는 그의 학술적 기반이 "오직 성경"을 외친 종교개혁의 전통에 뿌리내리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2007년에는 「개혁주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썼다. 서양 교회사와 한국 지역 교회사를 오가는 균형 잡힌 역사 연구 또한 특징이다. 1997년에 발행한 「교회개혁사」는 16세기 종교개혁사를 기술했다. 1991년부터 신앙 잡지 「월간 고신대」에 4년간 연재한 내용을 모았다. 2004년에는 16세기 이후의 역사를 담은 「교회개혁과 부흥운동」을 출판했다. 2001년에 발행한 「부산 지방의 기독교 전래사」는 부산·경남 지역 교회사의 최초 연구서이다. 그 외에도, 2012년의 「부산경남 지방의 기독교회의 선구자」, 「한상동과 그의 시대」, 「주남선과 거창교회」 등 지역 교회사 서적을 발행했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장로교 한국 선교사와 관련된 저서도 다수 집필했다. 「왕길지(王吉志)의 한국 선교」, 「To Korea with Love」 등이 있다. 한국교회사 전반에 관해서는 「한국교회의 역사와 신학」, 「해방 전후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학」과 같은 서적이 대표적 저서로 꼽힌다. 「한국교회의 역사와 신학」에서는 일제강점기 한국 기독교가 민족적 성격을 띠게 된 배경과 교회가 기여한 부분, 신사참배와 같은 한계를 조사했다. 「해방 전후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학」에서는 한국 장로교 130년 역사에서 장로교회가 남긴 대조와 이합집산, 민주화와 통일 운동사에 대한 영향 등을 소개했다.
5. 연구 방법론 및 주요 연구 분야
그의 첫 저서인 「한국에서의 칼빈 연구 100년」(1984)은 그의 학문적 기반이 "오직 성경"을 외친 종교개혁 전통에 있음을 보여준다. 2007년에는 「개혁주의란 무엇인가」를 저술했다.
1997년 저술한 「교회개혁사」는 16세기 종교개혁사를 다루었으며, 월간 고신에 4년간 연재한 내용을 묶은 것이다. 2004년에는 16세기 이후의 역사를 담은 「교회개혁과 부흥운동」을 출판했다.
2001년 출판한 「부산 지방의 기독교 전래사」는 부산·경남 지역 교회사의 최초 연구서 중 하나이다. 이 외에도 「한상동과 그의 시대」, 「주남선과 거창교회」(2012) 등 지역 교회사 관련 서적을 다수 집필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장로교 한국 선교사와 관련된 저서로는 「왕길지(王吉志)의 한국 선교」, 「To Korea with Love」 등이 있다.
한국교회사 전반에 관해서는 「한국교회의 역사와 신학」, 「해방 전후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학」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교회의 역사와 신학」에서는 일제강점기 한국 기독교가 민족적 성격을 띠게 된 배경, 교회의 기여, 신사참배와 같은 한계를 다루었다. 「해방 전후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학」에서는 한국 장로교 130년 역사에서 장로교회가 남긴 대조와 이합집산, 민주화 운동과 통일 운동사에 대한 영향 등을 소개했다.
5. 1. 연구 방법론
이상규는 연구 방법론에서 '개혁주의'와 '통합사적 연구'라는 두 가지 핵심 키워드를 사용한다. 그는 평생 장 칼뱅의 신학에 기초한 개혁주의를 토대로 학문을 연구했다. 자유주의, 무교회주의, 재세례파, 메노나이트 등 다양한 신학적 흐름을 연구하며 폭넓은 관점을 익혔지만, 개혁주의 신학을 견지했다. 또한, 서양교회사나 한국교회사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통합적인 역사 연구를 수행하고자 노력했다. 한국교회사만의 고유성을 강조하거나 서양교회사의 보편성에 매몰되지 않고 균형과 긴장을 유지하며 연구를 진행했다.[22] 그는 교회사가이면서도 실증사관에 입각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대해 이상규는 "역사가는 당대가 아니라 다음 시대에 학문적으로 정직했다고 평가받는 것이 중요하며, 기독교인은 학문적 도구로서 실증주의를 중시하면서도 역사의 주인이 하나님이라는 관점을 가져야 한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중심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박응규, 주광식, 우병훈 세 연구자는 이상규의 교회사 관점이 실증사관을 중시하면서도 교회론적 사관을 지향한다고 평가한다.[23][24] 김홍만 박사, 우병훈 교수, 신민석 박사의 연구 결과도 이와 유사하다.
5. 2. 주요 연구 분야
이상규는 평생 장 칼뱅의 신학에 기초한 개혁주의를 토대로 학문을 연구해 왔으며, '개혁주의'와 '통합사적 연구'를 핵심 방법론으로 삼았다.[22] 그는 자유주의, 무교회주의, 재세례파, 메노나이트 등 다양한 신학적 흐름을 연구하면서도 개혁주의적 관점을 유지했다. 또한 서양교회사와 한국교회사 중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과 긴장을 유지하며 통합사적 연구를 수행했다.[22]
박응규, 주광식, 우병훈 등의 연구자에 따르면, 이상규의 교회사 관점은 실증사관을 중시하면서도 교회론적 사관을 지향한다.[23][24] 김홍만, 우병훈, 신민석 등의 연구 결과도 이와 유사하다.
그는 한국교회사 학자로서 고신대학교의 역사, 초기 기독교회사, 16세기 종교개혁사, 개혁주의 신학, 한국교회사, 오스트레일리아 장로교회와 선교사, 부산·경남 지역의 기독교사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그는 칼뱅주의의 기초 위에서 교회사 연구를 했지만, 교회사 해석의 관점은 성서 진리의 본질성을 바탕으로 보다 휴머니스트적인 관점인 실증 사관으로 해석한다.
그의 주요 연구 분야와 관련된 논문들은 다음과 같다.
논문 제목 |
---|
일제강점기 기독교 교육 연구: 특히 호주 장로교 선교의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
경상남도 1930년대 신사참배 문제: 특히 호주 장로교 선교를 중심으로 |
한국 개신교의 시작과 발전, 1830-1888 |
한국 장로교 100주년, 신학적 고찰 |
영남지역 기독교 문화유산의 과제 |
한국 장로교회에서의 세계교회협의회(W.C.C.) |
교회사에서 본 장로제도 - 장로제도와 장로교 치리제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
부산지방 기독교 전래사(1880-1900) |
특집 : 한국 교회에서의 교회사 교육과 연구: 1900-1960년대까지 |
역사논문 : 민족과 교회: 한국교회 통일운동에 대한 복음주의적 평가 |
한국 장로교회의 연합과 일치 : 1950년대 한국 장로교회 분열과 연합에 대한 검토 |
6. 주요 저서
이상규는 한국교회사 학자로서 고신대학교의 역사, 초기 기독교회사, 16세기 종교개혁사, 개혁주의 신학, 한국교회사, 오스트레일리아 장로교회와 선교사, 부산·경남 지역의 기독교사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는 25권의 단행본과 170편의 논문이 있다. 다음은 이상규의 주요 저서 목록이다.
- 「칼빈연구 100년(1884-1984)」,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5).
- 「성경 연구의 이론과 실제」,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교육부, (1986).
- 「교회, 그리고 교회사」, S.F.C., (1991. 7)
- 「한국교회의 역사적 흐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위원회, (1991. 9)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해설」,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교육부, (1991. 12. 12).
- 「고람데오 성경 연구」,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교육부, (1992).
- 「기독교 세계관에서의 결혼」, CUP, (1992. 6).
- 「행복한 가정생활」, CUP, (1993. 5. 5).
- 「기독교 세계관으로 조명된 서윤재」, CUP, (1993. 10. 10).
- 「교회개혁사」, 성광문화사, (1997. 3).
- 「성경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1998. 3).
- 「고신 선교 40년」, 총회출판국, (1998. 9).
- 「교회의 역사」, 도서출판 영문, (1999. 9)
- 「의료선교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2000. 1)
- 와타나베 노부오 (이상규), 「크리스천의 강박이란 무엇인가?」, (2000. 5).
- 「한상동, 그의 생애와 신앙」(글마당, 2000. 11)
- 「부산지방 기독교 전래사」(글마당, 2001, 11)
- 「가난과 부를 넘어」, SFC, (2002. 5).
- 「신약 성경은 무엇인가?」, 시드니중앙장로교회, (2003. 5).
- 「구약 성경은 무엇인가?」, 시드니중앙장로교회, (2003. 12. 12).
- 「교회개혁과 부흥운동」 (SFC, 2004)
- 「한국교회역사와 신학」 (생명의 양식, 2007)
- 「이 땅에서의 하나님의 주권」, SFC, (2013).
- 「한국교회의 역사와 신학」 (생명의 양식, 2008, 2014)
- 「해방후 한국장로교회의 역사와 신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5)
- 「베어드의 선교일지」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2013)
- 「교회 쇄신운동과 고신교회의 형성」 (생명의 양식, 2016)
- 「초기 기독교와 로마 사회: 로마 제국 하에서의 기독교」 (SFC: 2016)
- 「왕길지(Gelson Engel)의 한국선교」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17)
- 「문화를 통해 본 종교 개혁」, 영음사, (2017).
- 「한국교회와 개혁신학」 (도서출판 카리타스, 2018)
7. 연구 업적 및 평가
이상규는 고신 역사, 초기 기독교회사, 16세기 종교개혁사, 개혁주의 신학, 한국교회사, 호주장로교회와 선교사, 부산·경남 지방 기독교사 등 여러 분야에서 25권의 단행본과 1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왕성한 연구 활동을 펼친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25]
7. 1. 주요 연구 업적
이상규는 한국교회사 학자로서 고신대학교의 역사, 초기 기독교회사, 16세기 종교개혁사, 개혁주의 신학, 한국교회사, 오스트레일리아 장로교회와 선교사, 부산·경남 지역의 기독교사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1] 25권의 단행본과 170편의 논문을 저술하였다.[1]그의 연구 방법은 칼뱅주의에 기초를 두고 있지만, 교회사 해석은 성서 진리의 본질성을 바탕으로 하는 실증 사관이라는 휴머니스트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다.[1] 1984년에 출간된 「한국에서의 칼빈 연구 100년」은 그의 학문적 기반이 "오직 성경"을 외친 종교개혁 전통에 뿌리내리고 있음을 보여준다.[1] 2007년에는 「개혁주의란 무엇인가」를 저술했다.[1]
서양 교회사와 한국 지역 교회사를 균형 있게 연구한 것도 특징이다.[1] 1997년에 발행한 「교회개혁사」는 16세기 종교개혁사를 다루고 있으며, 이는 1991년부터 4년간 잡지 「월간 고신대」에 연재한 내용을 묶은 것이다.[1] 2004년에는 16세기 이후의 역사를 담은 「교회개혁과 부흥운동」을 출판했다.[1]
2001년에 발행한 「부산 지방의 기독교 전래사」는 부산·경남 지역 교회사를 최초로 연구한 저서 중 하나이다.[1] 그 외에도 「부산경남 지방의 기독교회의 선구자」(2012), 「한상동과 그의 시대」, 「주남선과 거창교회」 등 지역 교회사 관련 서적을 다수 집필했다.[1] 또한, 「왕길지(王吉志)의 한국 선교」, 「To Korea with Love」 등 오스트레일리아 장로교 한국 선교사와 관련된 저서도 집필했다.[1]
한국교회사 전반에 관해서는 「한국교회의 역사와 신학」, 「해방 전후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학」과 같은 서적이 대표적이다.[1] 「한국교회의 역사와 신학」에서는 일제강점기 한국 기독교가 민족적 성격을 띠게 된 배경과 교회의 기여, 신사참배와 같은 한계를 다루었다.[1] 「해방 전후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학」에서는 한국 장로교 130년 역사에서 장로교회가 남긴 대조와 이합집산, 민주화와 통일 운동사에 대한 영향 등을 소개했다.[1]
그의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1]
- 일제강점기 기독교 교육 연구: 특히 호주 장로교 선교의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hristian Education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Educational Work of th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 경상남도 1930년대 신사참배 문제: 특히 호주 장로교 선교를 중심으로 = Shinto Shrine Issue of the 1930s in the South Kyung Sang Province :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 한국 개신교의 시작과 발전, 1830-1888 =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Protestantism in Korean, 1830-1888
- 한국 장로교 100주년, 신학적 고찰 = A Centenary Histo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 Theological Appraisal
- 영남지역 기독교 문화유산의 과제 = The Issues of Christian Cultural Heritage in the Gyungsang Province
- 한국 장로교회에서의 세계교회협의회(W.C.C.) = W.C.C. i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 교회사에서 본 장로제도 - 장로제도와 장로교 치리제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 A Historical Approach on the Development of Eldership
- 부산지방 기독교 전래사(1880-1900) = Church in Pusan
- 특집 : 한국 교회에서의 교회사 교육과 연구: 1900-1960년대까지 = A Brief History of Study and Education of Church History in Korean Churches from 1900 to 1960s
- 역사논문 : 민족과 교회: 한국교회 통일운동에 대한 복음주의적 평가 = Historical : Church And Nation: The Discussion of the National Unification of Korea from an Evangelical Perspective in the Korean Church
- 한국 장로교회의 연합과 일치 : 1950년대 한국 장로교회 분열과 연합에 대한 검토 = An Appraisal of the Divisions and Reunion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n the 1950s.
7. 2. 학계 평가
이상규는 고신 역사, 초기 기독교회사, 16세기 종교개혁사, 개혁주의 신학, 한국교회사, 호주장로교회와 선교사, 부산·경남지방 기독교사 등 여러 분야에서 25권의 단행본, 1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연구자로 평가받고 있다.[25]8. 수상
연도 | 수상 내역 |
---|---|
1991 | 통합연구학회 학술상 |
2010 | 한국교회사학연구원 학술상[12][27] |
2010 | 제4회 기독교문화대상(21세기크리스천포럼) |
2012 | 올해의 신학자상(요한칼빈탄생500주년기념사업회) |
2018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신학자상 |
2018 | 대한민국 녹조 근정훈장 |
2021 | 한국신학회 야립대상 |
2024 | Edurank 선정, 주목할만한 고신대학교 동문 2위[26] |
참조
[1]
논문
Contributions : An Appraisal of Historiography in Church History from 16th to 18th Century
http://www.riss.kr/s[...]
2001
[2]
웹사이트
교수소개 | 고신대학교 신학과
http://depart.kosin.[...]
[3]
뉴스
“교회가 정체성 회복할 때 물질·권력으로부터 자유”
http://news.kmib.co.[...]
2018-04-10
[4]
논문
이상규의 『해방 전후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학』
https://www.kci.go.k[...]
2016
[5]
간행물
An Academic Sketch of ‘a Church Historian for the Church,’ Dr. Sang Gyoo Lee’s Academic Pilgrimage
http://kiss.kstudy.c[...]
2017
[6]
뉴스
‘올해의 신학자’ 선정을 축하하며
http://www.christian[...]
2012-04-09
[7]
뉴스
고신대학교 이상규 명예교수,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학술상 수상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18-10-30
[8]
뉴스
한국 성경주석 미래, ‘영적 의미 잘 드러내는 것
http://www.christian[...]
christiantoday
2014-11-22
[9]
뉴스
‘만인이 제사장’이면 일반 성도와 목사는 무엇이 다른가
http://www.christian[...]
christiantoday
2016-10-10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and Life - Unio Cum Christo
https://uniocc.com/
[11]
웹사이트
Journal editors
https://uniocc.com/a[...]
[12]
뉴스
이상규 교수, 한국교회사학연구원 학술상 수상
http://www.christian[...]
2010-11-03
[13]
웹사이트
고신대학교 교수소개
http://depart.kosin.[...]
[14]
뉴스
올해의 신학자
http://www.christian[...]
크리스챤투데이
2012-04-09
[15]
웹사이트
UNIO CUM CHRISTO
http://uniocc.com/
[16]
웹인용
고신대학교 교수소개
http://depart.kosin.[...]
2017-05-25
[17]
뉴스
“교회가 정체성 회복할 때 물질·권력으로부터 자유”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8-04-10
[18]
뉴스
올해의 신학자
http://www.christian[...]
크리스챤투데이
2012-04-09
[19]
웹사이트
UNIO CUM CHRISTO
http://uniocc.com/
[20]
서적
이상규박사의 생애와 신학
아벨서원
2021
[21]
뉴스
백석대학교 이상규 석좌교수
http://www.gdknews.k[...]
기독교신문
2021-10-19
[22]
뉴스
백석대학교 이상규 석좌교수
http://www.gdknews.k[...]
기독교신문
2021-10-19
[23]
서적
이상규 박사의 교회사학 연구
카리타스
2018
[24]
논문
‘교회를 위한 교회사가,’ 이상규 박사의 학문여정에 관한 소고(小考)
http://kiss.kstudy.c[...]
2017
[25]
뉴스
“교회가 정체성 회복할 때 물질·권력으로부터 자유”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8-04-10
[26]
웹사이트
Edurank
https://edurank.org/[...]
2024
[27]
뉴스
이상규 교수, 한국교회사학연구원 학술상 수상
http://www.christ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