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중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중왕은 고구려의 제4대 왕으로, 해색주 또는 해읍주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유리명왕의 아들이자 대무신왕의 동생이며, 44년에 대무신왕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민중왕은 재위 기간 동안 사면령을 내리고 연회를 베푸는 등 내정을 다스렸으며, 홍수 피해를 입은 백성을 구휼했다. 47년에는 민중원을 발견하고 사후 매장을 명했으며, 48년에 사망하여 유언에 따라 석굴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8년 사망 - 메살리나
    메살리나는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세 번째 아내이자 냉혹하고 문란한 황후로 알려졌으나, 현대에는 그녀의 삶에 대한 재해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 1세기 한국의 군주 - 기루왕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으로, 다루왕 사후 즉위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신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말갈의 침입 시 신라의 지원을 받았고 자연재해가 빈번했다.
  • 1세기 한국의 군주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고구려 국왕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고구려 국왕 - 보장왕
    보장왕은 연개소문의 난으로 즉위하여 연개소문 사후 권력 다툼으로 혼란을 겪다 고구려 멸망 후 부흥을 시도하다 유배되어 사망했다.
민중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민중왕
원래 이름해색주
해색주(解色朱), 해읍주(解邑朱)
재위 기간44년 10월 ~ 48년 (음력)
능묘민중원(閔中原)
신상 정보
출생 추정 시기5년 ~ 18년
사망 년도48년
가계
부친유리명왕
왕조고구려 해씨 왕조
왕위
왕위 계승 순서제4대 고구려 국왕
선임자대무신왕
후임자모본왕
시호
시호민중(閔中)

2. 생애

민중왕의 이름은 해색주(解色朱) 또는 해읍주(解邑朱)이다. 《삼국사기》에는 해색주로, 《동국통감》에는 해읍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색(色)과 읍(邑)의 필획이 비슷하여 《동국통감》의 저자들이 《삼국사기》를 참고하여 집필하던 중 오자를 쓴 것으로 보인다.[2]

동명성왕의 손자이자 유리명왕의 아들이다. 어머니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대무신왕의 동생으로, 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다만, 《삼국유사》에는 대무신왕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이설이 존재한다.[2]

형인 대무신왕이 4년에 태어났고 아버지 유리명왕이 18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출생년도는 5년에서 18년 사이로 추정된다. 48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사망 당시 나이는 최소 30세에서 43세 사이로 추정된다.

44년 음력 10월, 대무신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삼국사기》에는 대무신왕이 사망할 당시 대무신왕의 아들인 태자 해우(모본왕)가 어렸기 때문에 나라 사람들이 해색주를 왕으로 추대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8] 하지만 해우는 12년 전인 32년(대무신왕 15년)에 이미 태자로 책봉된 상태였기 때문에 어떤 이유로 민중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8]

민중왕은 즉위 후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44년(민중왕 1년) 음력 11월에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고,[9] 45년(민중왕 2년) 음력 3월에는 신하들에게 큰 연회를 베풀었다. 같은 해 음력 5월에는 나라 동쪽에 홍수가 나서 백성들이 굶주리자 창고를 열어 구제하였다.[9] 민중왕의 5년 통치 기간 동안 그는 군사적 충돌을 피하고 왕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평화를 유지했다.

47년(민중왕 4년) 10월에는 잠우락부(蠶友落部)의 대가(大家)인 대승(戴升) 등 1만여 가(家)가 낙랑으로 가서 후한에 투항하였다.[9]

47년(민중왕 4년), 민중왕은 사냥 중 민중원(閔中原)에서 석굴을 발견하고, 이곳에 자신을 장사지낼 것을 명하였다. 48년(민중왕 5년), 민중왕은 병으로 사망하였고, 유언에 따라 민중원의 석굴에 장사지내졌다. 능묘의 이름을 따서 민중왕(閔中王)이라는 시호가 붙여졌다.[9]

2. 1. 탄생과 가계

민중왕의 이름은 해색주(解色朱) 또는 해읍주(解邑朱)이다. 《삼국사기》에는 해색주로, 《동국통감》에는 해읍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색(色)과 읍(邑)의 필획이 비슷하여 《동국통감》의 저자들이 《삼국사기》를 참고하여 집필하던 중 오자를 쓴 것으로 보인다.[2]

동명성왕의 손자이자 유리명왕의 아들이다. 어머니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대무신왕의 동생으로, 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다만, 《삼국유사》에는 대무신왕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이설이 존재한다.[2]

형인 대무신왕이 4년에 태어났고 아버지 유리명왕이 18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출생년도는 5년에서 18년 사이로 추정된다. 48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사망 당시 나이는 최소 30세에서 43세 사이로 추정된다.

2. 2. 즉위와 통치

44년 음력 10월, 대무신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삼국사기》에는 대무신왕이 사망할 당시 대무신왕의 아들인 태자 해우(모본왕)가 어렸기 때문에 나라 사람들이 해색주를 왕으로 추대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8]

하지만 대무신왕의 아들인 해우는 12년 전인 32년(대무신왕 15년)에 이미 태자로 책봉된 상태였기 때문에 어떤 이유로 민중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8]

민중왕은 즉위 후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44년(민중왕 1년) 음력 11월에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고,[9] 45년(민중왕 2년) 음력 3월에는 신하들에게 큰 연회를 베풀었다. 같은 해 음력 5월에는 나라 동쪽에 홍수가 나서 백성들이 굶주리자 창고를 열어 구제하였다.[9] 민중왕의 5년 통치 기간 동안 그는 군사적 충돌을 피하고 왕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평화를 유지했다.

47년(민중왕 4년) 10월에는 잠우락부(蠶友落部)의 대가(大家)인 대승(戴升) 등 1만여 가(家)가 낙랑으로 가서 후한에 투항하였다.[9]

2. 3. 민중원과 죽음

47년(민중왕 4년), 민중왕은 사냥 중 민중원(閔中原)에서 석굴을 발견하고, 이곳에 자신을 장사지낼 것을 명하였다. 같은 해 음력 10월, 잠우락부(蠶友落部)의 대가(大家) 대승(戴升) 등 1만여 가(家)가 낙랑으로 가서 후한에 투항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9]

48년(민중왕 5년), 민중왕은 병으로 사망하였고, 유언에 따라 민중원의 석굴에 장사지내졌다. 능묘의 이름을 따서 민중왕(閔中王)이라는 시호가 붙여졌다.[9]

3. 가족 관계

구분이름비고
아버지유리명왕기원전 38년 ~ 기원후 18년
어머니미상
왕비미상삼국사기》에 왕후의 존재를 암시하는 기록이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전해지지 않는다.


4. 평가

민중왕은 짧은 재위 기간 동안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자연재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등 안정적인 통치를 이어갔다는 평가를 받는다.[5] 즉위 직후인 44년 11월에는 대사령을 내렸고, 45년 8월에는 국내 동부에 홍수가 발생하자 곡창을 열어 굶주린 백성을 구휼하였다. 47년 4월과 7월에는 민중원에서 사냥을 하고, 석굴을 둘러본 후 자신의 사후에는 능묘를 만들지 말고 이 석굴에 매장할 것을 지시했다.

이러한 민중왕의 통치 방식은 현대 정치에서도 귀감이 될 만하다. 특히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 추진에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만, 47년 10월 잠지부락의 대가 대승 등 1만여 가구가 낙랑으로 가서 후한에 투항한 사건은 당시 고구려 사회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Korea: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Hollym International
[2] 웹사이트 King Minjung, King Mobon http://world.kbs.co.[...] 2021-04-29
[3] 웹사이트 민중왕 https://www.doopedia[...] Doopedia 2016-02-28
[4] 문서 閔中王及び慕本王の諱に「解」の字が共通しており、夫余王の解夫婁、東明聖王伝説に見る朱蒙の父解慕漱の連想でこれを姓とみる説もある。解(해)は太陽・日輪の古朝鮮語を転写したものであり、天帝の子を自称した解慕漱にふさわしいとする。 1987 #추정 날짜, 추가 정보 필요
[5] 문서 後漢書
[6] 서적 삼국사기
[7] 서적 동국통감
[8] 서적 삼국사기
[9] 서적 삼국사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