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워키 프로토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워키 프로토콜은 광견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실험적인 방법으로, 인위적인 혼수상태를 유도하여 뇌를 보호하고 면역 체계가 항체를 생성하도록 돕는 치료법이다. 2004년 미국에서 박쥐에 물린 제나 기즈에게 처음 적용되어, 그녀가 광견병에서 회복되는 데 기여했다. 이후 치료 방법이 개선되었으며, 다른 환자들에게도 적용되었다. 밀워키 프로토콜의 효과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 치료법은 한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과학 - 2004년 4월 19일 일식
    2004년 4월 19일 일식은 달의 반그림자가 지구에 닿아 시작되었으며, 최대 일식 등급은 0.73674였고, 사로스 119 주기의 일부로 18년 11일 주기로 반복된다.
  • 2004년 과학 - 2004년 금성 일면통과
    2004년 6월 8일에 발생한 금성 일면통과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에서 관측이 용이했으며, 협정 세계시 기준으로 네 번의 접촉이 일어난 현상이다.
  • 광견병 - 광견병 백신
    광견병 백신은 광견병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며, 노출 전 예방 접종과 노출 후 예방 접종으로 나뉘고, 안전하며 여러 종류가 존재하고, 야생 동물에서의 광견병 확산을 통제하기 위해 경구 광견병 백신 접종 프로그램이 사용된다.
  • 광견병 - 쿠조 (영화)
    1983년 개봉한 공포 영화 쿠조는 스티븐 킹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광견병에 걸려 흉폭해진 세인트 버나드견 쿠조에게 한 가족이 공격받는 이야기를 다룬다.
  • 신경학 - 신경가소성
    신경가소성은 뇌의 구조와 기능이 경험, 학습, 손상에 따라 변화하는 능력이며, 시냅스 가소성, 구조적 가소성으로 나뉘어 뇌졸중, 학습 장애 등의 치료와 재활, 명상, 예술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신경학 - 신경학적 검사
    신경학적 검사는 병력 청취와 다양한 신체 검사를 통해 근육 힘, 반사, 감각, 균형, 조정 능력 등을 평가하여 신경계 질환을 진단하고 병변 위치와 성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이다.
밀워키 프로토콜
일반 정보
이름밀워키 프로토콜
다른 이름바비-윌러비 프로토콜
약물 유도 혼수 상태
설명광견병 치료를 위한 실험적인 치료 프로토콜
고안자로드니 윌러비
최초 사용2004년
최초 성공 사례제나 기즈
성공률낮은 성공률
상태논란 중
비판일관되지 않은 결과
높은 사망률
대안백신 접종 및 면역글로불린 투여
추가 정보추가 연구 및 개선된 프로토콜이 필요함

2. 경과

2004년 9월 12일, 미국 성모 마리아 스프링스 고등학교 학생 제나 기즈(당시 15세)는 위스콘신 নিজ 고향 근처 교회에서 박쥐를 잡다가 왼쪽 검지를 물렸다. 과산화 수소로 응급 처치를 했으나, 가족들은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14][12]

37일 후, 제나는 신경계 이상 증상을 보이며 성 아그네스 병원에 입원했다. 입원 당시 39°C의 고열, 다시증(하나의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현상), 횡설수설, 왼팔 물어뜯기 등의 증상을 보였다.[14] 제나는 증상 발현 전까지 치료를 받지 않았고, 입원 당시 이미 백신 치료 시기를 놓친 상태였다.[15]

일반 병원체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으나, 제나의 어머니가 박쥐에게 물린 사실을 언급하면서 광견병 검사를 받게 되었다. 제나는 위스콘신 어린이 병원으로 후송되었고, 미국 CDC 검사를 통해 광견병 감염이 확진되었다.[5]

의학사에 따르면 광견병으로 인한 사망 원인의 대부분은 일시적인 뇌 기능 장애이며, 이는 뇌 자체에는 거의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윌로우바이 박사 연구팀은 광견병 치료를 위한 실험적인 방법을 고안했다.[14] 제나의 부모는 실험적 치료에 동의했다. 윌로우바이 박사는 제나를 인위적 혼수상태에 빠뜨려 뇌를 보호하고, 면역 체계가 광견병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생성할 시간을 벌고자 했다. 케타민, 미다졸람, 페노바르비탈 등을 투여하여 뇌 활동을 억제했으며, 리바비린, 아만타딘 등의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여 광견병에 대한 항체가 면역 체계를 통해 생성되기를 기다렸다.[14] 6일 후, 제나의 면역 체계 동작이 확실히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나자 인위적인 혼수상태를 중단시켰다.[14] 윌로비에 따르면, 기즈(제나)의 치료에는 80만달러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병원에 들어온 후 31일이 지나자, 제나는 자신의 신체에서 광견병 바이러스가 사라졌다고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으며, 격리 병동에서도 나올 수 있었다. 뇌 손상에 대한 염려가 있었지만, 약간의 장애를 겪은 뒤에는 광견병 발병 및 치료 과정이 그녀의 인지 능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되었다. 제나는 수 주간에 걸친 회복 요법을 마친 후 2005년 1월 1일 퇴원하였다.[16] 2005년 초, 혼자서 다시 걸을 수 있게 되었고, 학교에 복귀했으며, 자동차 운전을 시작하였다.[16][7]

마요 클리닉의 신경과 의사 케네스 맥은 제나가 대학에 입학하자 그녀의 상태에 대해 "놀랍도록 잘 회복되었"으며 더 나아질 수 있다고 평하였다.[16] 2011년, 제나는 레이크랜드 대학교를 생물학 전공으로 졸업했다. 그녀는 생물학자나 수의사를 목표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다만, 광견병 후유증으로 주행 및 평형 감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8]

2. 1. 감염

2004년 9월 12일, 미국 성모 마리아 스프링스 고등학교 학생 제나 기즈(당시 15세)는 위스콘신 নিজ 고향 근처 교회에서 박쥐를 잡다가 왼쪽 검지를 물렸다.[14] 과산화 수소로 응급 처치를 했으나, 가족들은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12][14]

37일 후, 제나는 신경계 이상 증상을 보이며 성 아그네스 병원에 입원했다. 입원 당시 39°C의 고열, 다시증(하나의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현상), 횡설수설, 왼팔 물어뜯기 등의 증상을 보였다.[14] 제나는 증상 발현 전까지 치료를 받지 않았고, 입원 당시 이미 백신 치료 시기를 놓친 상태였다.[15]

일반 병원체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으나, 제나의 어머니가 박쥐에게 물린 사실을 언급하면서 광견병 검사를 받게 되었다. 제나는 위스콘신 어린이 병원으로 후송되었고, 미국 CDC 검사를 통해 광견병 감염이 확진되었다.[5]

2. 2. 인위적 혼수상태 요법 (밀워키 프로토콜)

의학사에 따르면 광견병으로 인한 사망 원인의 대부분은 일시적인 뇌 기능 장애이며, 이는 자체에는 거의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윌로우바이 박사 연구팀은 광견병 치료를 위한 실험적인 방법을 고안했다.[14] 제나의 부모는 실험적 치료에 동의했다. 윌로우바이 박사는 제나를 인위적 혼수상태에 빠뜨려 뇌를 보호하고, 면역 체계가 광견병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생성할 시간을 벌고자 했다. 케타민, 미다졸람, 페노바르비탈 등을 투여하여 뇌 활동을 억제했으며, 리바비린, 아만타딘 등의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여 광견병에 대한 항체가 면역 체계를 통해 생성되기를 기다렸다.[14] 6일 후, 제나의 면역 체계 동작이 확실히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나자 인위적인 혼수상태를 중단시켰다.[14] 윌로비에 따르면, 기즈(제나)의 치료에는 80만달러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2. 3. 치료 이후

병원에 들어온 후 31일이 지나자, 제나는 자신의 신체에서 광견병 바이러스가 사라졌다고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으며, 격리 병동에서도 나올 수 있었다. 뇌 손상에 대한 염려가 있었지만, 약간의 장애를 겪은 뒤에는 광견병 발병 및 치료 과정이 그녀의 인지 능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되었다. 제나는 수 주간에 걸친 회복 요법을 마친 후 2005년 1월 1일 퇴원하였다.[16] 2005년 초, 혼자서 다시 걸을 수 있게 되었고, 학교에 복귀했으며, 자동차 운전을 시작하였다.[16][7]

마요 클리닉의 신경과 의사 케네스 맥은 제나가 대학에 입학하자 그녀의 상태에 대해 "놀랍도록 잘 회복되었"으며 더 나아질 수 있다고 평하였다.[16] 2011년, 제나는 레이크랜드 대학교를 생물학 전공으로 졸업했다. 그녀는 생물학자나 수의사를 목표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다만, 광견병 후유증으로 주행 및 평형 감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8]

3. 관련 논쟁

제나 기즈를 생존하게 한 밀워키 프로토콜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치료법 자체는 계획대로 잘 진행된 것으로 보이지만, 당시 제나를 담당했던 의사들은 제나가 약화된 형태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거나, 뇌에서 매우 먼 곳을 물렸기 때문에 그녀의 강한 면역 체계가 바이러스를 제압할 충분한 시간을 벌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제나를 문 박쥐는 회수되지 않아 검사할 수 없었다.[14]

밀워키 프로토콜로 기즈가 생존한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처치는 예정대로 작동한 것으로 보이지만, 주치의는 기즈가 약한 형태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거나, 물린 부위가 뇌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그녀의 면역계가 바이러스와 싸울 시간을 충분히 확보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입원 당시, 그녀의 몸에서 살아있는 바이러스는 발견되지 않았고, 항체만이 분리되었다.[9] 또한 문제의 박쥐를 포획・검사할 수는 없었다.

4. 치료 방법의 개선 (밀워키 프로토콜의 발전)

제나 기즈에게 적용되었던 치료 방법은 이후 다른 환자들에게 적용되면서 변화하였다. 두 번째 버전에서는 리바비린 투여가 생략되었다. 첫 번째 프로토콜로는 25명의 환자 중 두 명이 생존했으며, 개정된 프로토콜로는 10명의 환자 중 두 명이 생존하였다.[17][10]

2011년 6월, 백신 접종 없이 광견병 감염을 이겨낸 또 다른 사례가 보고되었다. 캘리포니아주 Willow Creek, California|위로우 크리크영어에 사는 8세 여아 프레셔스 레이놀즈(Precious Reynolds)는 2011년 4월에 광견병에 감염되었으나, 5월 중순까지 치료를 받지 못하고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심각한 증상을 보였다. 프레셔스의 할머니는 "우리는 소아마비와 같은 병에 걸렸다"고 말했다. 병원 측은 기즈와 함께 처음으로 확립한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프레셔스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여받고 약물로 인한 혼수상태에 빠졌다. 집중 치료 2주 후, 프레셔스는 면역계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고, 이후 일반 소아 병동으로 옮겨졌다.[11]

참조

[1] 간행물 A Cure for Rabies? http://www.scientifi[...] Scientific American 2007-04
[2] 뉴스 Medical Mystery: Only One Person Has Survived Rabies without Vaccine--But How? http://www.sciam.com[...] 2008-10-08
[3] 웹사이트 Rabies Rescue Protocol Fails in New Cases http://www.medpageto[...] 2012-01-15
[4] 웹사이트 Human Rabies --- Indiana and California, 2006 http://www.cdc.gov/m[...] 2012-01-15
[5] 뉴스 Undead: The Rabies Virus Remains a Medical Mystery http://www.wired.com[...] 2012-08-04
[6] 뉴스 Hoping again for a miracle http://www.jsonline.[...] Milwaukee Journal Sentinel 2008-07-16
[7] 뉴스 Giese Overcomes Rabies, Heads to College http://www.weau.com/[...] WEAU 2007-09-04
[8] 뉴스 Rabies survivor Jeanna Giese graduates from college http://www.jsonline.[...] 2011-06-13
[9] 논문 Survival after treatment of rabies with induction of coma http://www.nejm.org/[...]
[10] 논문 Are we getting closer to the treatment of rabies?: medical benchmarks http://www.medscape.[...] MedScape
[11] 웹사이트 UC Davis Children's Hospital patient becomes third person in U.S. to survive rabies http://www.ucdmc.ucd[...] UC Davis Medical Center 2012-05-03
[12] 뉴스 A Cure for Rabies? http://www.scientifi[...] Scientific American 2010-01-19
[13] 뉴스 Medical Mystery: Only One Person Has Survived Rabies without Vaccine--But How? http://www.sciam.com[...] Scientific American 2010-01-19
[14] 뉴스 Hoping again for a miracle http://www3.jsonline[...] Journal Sentinel 2010-01-19
[15] 뉴스 세계 첫 백신없이 광견병 치료 성공 http://www.dailymedi[...] 데일리메디 2010-01-19
[16] 뉴스 Giese Overcomes Rabies, Heads to College http://www.msnbc.msn[...] msnbc 2010-01-19
[17] 뉴스 Are We Getting Closer to the Treatment of Rabies?: Medical Benchmarks http://www.medscape.[...] Medscape Today 2010-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