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사자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다사자과는 기각류에 속하는 포유류의 한 과로, 바다사자, 물개, 털물개 등을 포함한다. 형태학적, 분자적 증거에 따르면 족제비상과와 공통 조상을 가지며, 마이오세 시대에 북태평양에서 기원하여 남반구로 널리 퍼졌다. 과거에는 털물개아과와 바다사자아과로 구분되었으나, 최근 연구를 통해 7개 속, 16종, 2아종으로 재분류되었다. 바다사자과는 육상에서 걷는 것이 가능하고, 수영 시 앞지느러미를 사용하며, 귓바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은 번식기에 하렘을 형성하며, 물고기, 오징어 등을 먹는다. 지능이 높아 훈련을 통해 재주를 부릴 수 있지만, 갑작스러운 접근에는 공격성을 보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바다사자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Otariidae |
명명자 | Gray, 1825 |
모식 속 | 오타리아 |
모식 속 명명자 | Péron, 1816 |
어원 | 고대 그리스어 otarion |
화석 범위 | 마이오세 - 홀로세 (17.1 - 0 백만 년 전) |
분류 | |
속 | 미나미오트세이속 (Arctocephalus) 키타오트세이속 (Callorhinus) 에오타리아속 (Eotaria) 토도속 (Eumetopias)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속 (Neophoca) 오타리아속 (Otaria) 뉴질랜드바다사자속 (Phocarctos) 피타노타리아속 (Pithanotaria) 프로테로제테스속 (Proterozetes) 탈라솔레온속 (Thalassoleon) 강치속 (Zalophus) |
2. 진화 및 분류
바다사자과는 마이오세(1500만~1700만 년 전)에 북태평양에서 출현하여 남반구로 빠르게 분화하였다.[6] 가장 초기에 알려진 화석 바다사자과는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발견된 ''Eotaria crypta''이다. 북방털물개 속(''Callorhinus'')은 현존하는 모든 바다사자류 중 가장 오래된 화석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중기 플라이오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멸종된 털물개 속 ''Thalassoleon''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형태학적 및 분자적 증거는 기각류가 족제비상과와 공통 조상을 공유하는 단일 계통임을 뒷받침한다.[3][4] 과거에는 바다사자과가 현대 곰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통 조상에서 유래되었다는 가설도 있었다.[5]
바다사자와 물개를 포함하는 기각류는 식육목에 속하며, 육상 육식동물 그룹인 열각류에서 분화된 해양 육식동물 그룹이다. 기각류는 바다사자과, 물범과, 바다코끼리과의 세 과로 나뉜다. 이 중 바다코끼리는 한때 북태평양에서 번성했지만, 현재는 바다코끼리(1속 1종)만이 생존해 있다.
바다코끼리를 제외한 현생 기각류는 바다사자과와 물범과로 나뉘며, 수중 생활에 더 적응한 물범류가 훨씬 우세하다. 현생 기각류의 약 90%는 물범과가 차지한다. 과거에는 바다사자류가 곰과에, 물개는 족제비과에 가깝다는 설이 우세했지만,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모든 기각류는 단일 계통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화석 증거에 따르면 기각류의 조상은 곰과 근연한 암피키온류일 것으로 추정된다.
분기도는 다양한 계통 발생 분석을 결합하여 바다사자류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2]
2. 1. 계통 분류
전통적으로 바다사자과는 털물개아과(Arctocephalinae)와 바다사자아과(Otariinae)로 나뉘었으나, 최근의 분자계통학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분류는 유효하지 않다.[9][10] 털물개아과에는 북방털물개(''C. ursinus'')가 속한 ''Callorhinus'' 속과 남반구에 8종이 있는 ''Arctocephalus'' 속이 포함되고, 바다사자아과는 5개 속에 5종으로 구성되었다.[7] 그러나 유전학적 증거에 따르면 북방털개는 여러 바다사자 종과 더 가깝고,[8] 일본바다사자 (''Zalophus japonicus'')는 캘리포니아바다사자 (''Zalophus californius'')의 아종이 아닌 별도의 종으로 간주된다.이러한 증거를 바탕으로 아과 분류는 사라지고, 바다사자과는 7개 속, 16종, 2아종으로 구성된다.[9][10]
아과 | 속 | 종 | 비고 |
---|---|---|---|
남극물개아과(물개) | Arctocephalus | 갈색물개, 남극물개, 과달루페물개, 후안페르난데스물개, 갈라파고스물개, 뉴질랜드물개, 아남극물개, 남아메리카물개 | |
Callorhinus | 북방물개 | ||
바다사자아과(바다사자) | Eumetopias | 스텔러바다사자 | |
Neophoca |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 | ||
Otaria | 남아메리카바다사자 | ||
Phocarctos | 뉴질랜드바다사자 | ||
Zalophus | 캘리포니아바다사자, †일본바다사자(1970년대 멸종[16][17]), 갈라파고스바다사자 |
"털물개"와 "바다사자"는 형태학적, 행동적 유사성 때문에 종 그룹 간의 차이를 논의할 때 유용한 범주로 남아있다. 털물개는 바다사자보다 작고, 성적 이형성이 크며, 작은 먹이를 먹고, 긴 먹이 탐사 여행을 한다. 또한 털물개는 굵고 짧은 털을 가진다.
최근 연구에서는 바다사자과 내에 세 개의 분지군이 있음을 제시한다. 북방바다사자(''Eumetopias''와 ''Zalophus''), 북방물개(''Callorhinus'')와 멸종된 친척, 나머지 남반구 종 전체가 그것이다.[20]
바다사자와 물개 그룹인 기각류는 족제비상과와 공통 조상을 공유한다.[3][4] 과거에는 바다사자과가 곰과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에서 유래했다는 가설도 있었다.[5]
2. 2. 하위 분류
바다사자과는 크게 물개아과와 바다사자아과의 두 아과로 분류된다.- '''물개아과(Arctocephalinae)''' (물개)
- 북방물개속 (''Callorhinus'')
- 북방물개 (''Callorhinus ursinus'')
- 남방물개속 (''Arctocephalus'')
- 남극물개 (''Arctocephalus gazella'')
- 과달루페물개 (''Arctocephalus townsendi'')
- 후안페르난데스물개 (''Arctocephalus philippii'')
- 갈라파고스물개 (''Arctocephalus galapagoensis'')
- 뉴질랜드물개 (''Arctocephalus forsteri'')
- 아남극물개 (''Arctocephalus tropicalis'')
- 갈색물개 (''Arctocephalus pusillus'')
- 남아프리카물개 또는 케이프물개 (''A. pusillus pusillus'')
- 오스트레일리아물개 (''A. pusillus doriferus'')
- 남아메리카물개 (''Arctocephalus australis'')
- '''바다사자아과(Otariinae)''' (바다사자)
- 큰바다사자속 (''Eumetopias'')
- 큰바다사자 (''Eumetopias jubatus'')
- 바다사자속 (''Zalophus'')
- 캘리포니아바다사자 (''Zalophus californianus'')
- 바다사자 (''Zalophus japonicus'') (멸종)
- 갈라파고스바다사자 (''Zalophus wollebaeki'')
- 남아메리카바다사자속 (''Otaria'')
- 남아메리카바다사자 (''Otaria flavescens'')
-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속 (''Neophoca'')
-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 (''Neophoca cinerea'')
- 뉴질랜드바다사자속 (''Phocarctos'')
- 뉴질랜드바다사자 (''Phocarctos hookeri'')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캘리포니아바다사자의 아종으로 여겨졌던 일본바다사자는 독립된 종으로 간주된다.[23][24]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과 구분 없이 7속 16종 2아종으로 구성하는 분류 체계도 제안되고 있다.
3. 형태 및 생태
바다사자과는 물범과 동물보다 큰 앞지느러미와 가슴 근육을 가지고 있으며, 뒷다리를 앞으로 돌려 네 다리로 걸을 수 있어 육상에서 더 기동성이 뛰어나다. 이들은 주로 육지에서 번식하고 물범보다 더 자주 육지로 나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생 생활에 덜 적응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물속에서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고 기동성이 뛰어나다. 수영 능력은 물범과 바다코끼리가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물결치는 전신 움직임보다는 지느러미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바다사자과는 개와 같은 머리, 날카롭고 잘 발달된 송곳니, 그리고 눈에 보이는 귓바퀴를 가지고 있다. 송곳니 뒤 치아는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원추형이다. 바다사자는 굵은 털로 덮여 있는 반면, 물개는 두꺼운 속털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상업적인 착취의 대상이 되었다.
수컷 바다사자는 가장 작은 70kg 갈라파고스물개부터 1,000kg이 넘는 스텔라바다사자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성숙한 수컷 바다사자는 암컷보다 2~6배 더 무거우며, 머리, 목, 가슴이 비례적으로 더 커서 모든 포유류 중에서 가장 성적 이형성이 두드러진다.[11]
3. 1. 물범과의 차이점
바다사자과는 물범과와 몇 가지 뚜렷한 차이점을 보인다. 우선, 바다사자과는 귓바퀴가 있지만, 물범과는 귓구멍만 있다.[11] 그러나 바다사자과의 귓바퀴는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가장 큰 차이점은 이동 방식이다. 바다사자과는 뒷다리를 앞으로 굽혀 네 다리로 걸을 수 있지만, 물범과는 뒷다리를 앞으로 굽힐 수 없어 배를 땅에 대고 기어 다녀야 한다.[11] 수영 방식도 다른데, 바다사자과는 주로 앞지느러미를 사용하여 추진력을 얻는 반면, 물범과는 뒷다리와 몸통을 좌우로 흔들어 추진력을 얻는다.[11] 바다사자과의 유영 방법은 펭귄이나 바다거북과 유사하게 앞다리가 날개 역할을 하여 양력을 발생시켜 앞으로 나아간다. 반면 물범과는 뒷다리를 어류의 꼬리지느러미처럼 좌우로 흔들어 추진력을 얻는다.
3. 2. 번식 및 행동
바다사자과는 뚜렷하게 정해진 번식기에 육지에서 번식한다. 호주바다사자를 제외하고, 이들은 해변이나 암석 지형, 종종 섬에서 연례 집단을 형성한다. 모든 종은 일부다처제이다. 즉, 성공적인 수컷은 여러 암컷과 번식한다. 대부분의 종에서 수컷은 번식지에 먼저 도착하여 소리와 시각적 과시, 때로는 싸움을 통해 영역을 구축하고 유지한다. 암컷은 일반적으로 출산 며칠 전에 해안에 도착한다. 사회적 동물로 여겨지지만, 서식지에는 영구적인 계층 구조나 지위가 확립되지 않는다. 수컷이 암컷이나 영역을 통제하는 정도는 종에 따라 다르다. 북방털물범과 남아메리카바다사자는 특정 하렘 관련 암컷을 몰아넣는 경향이 있으며, 때로는 상처를 입히기도 한다. 반면에 스텔러바다사자와 뉴질랜드바다사자는 공간적 영역을 통제하지만, 일반적으로 암컷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암컷 뉴질랜드바다사자는 번식기 동안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2km까지 숲으로 이동하는 유일한 바다사자과이다.바다사자과는 육식성이며, 물고기, 오징어 및 크릴새우를 먹는다. 바다사자는 용승 지역의 해안 가까이에서 먹이를 찾는 경향이 있으며, 더 큰 물고기를 먹는다. 이들은 시각적인 사냥을 한다. 일부 암컷은 최대 400m까지 잠수할 수 있다.
바다사자과에 속하는 모든 종은 번식기에 하렘을 형성한다. 하렘에서는 하렘 마스터 또는 비치 마스터라고 불리는 한 마리의 수컷이 여러 암컷을 자신의 영역에 둔다. 하렘 마스터가 되지 못한 수컷들은 하렘 주변에 무리를 이루며, 때로는 하렘의 암컷을 유괴하기도 한다. 주로 물고기를 먹지만, 지역에 따라 학습을 통해 펭귄 등을 습격하여 먹기도 한다.
지능이 높아서 길들이면 사람에게 매우 잘 따르고 간단한 재주를 익힐 수 있다. 동물원이나 수족관에서 열리는 '바다사자 쇼'는 방문객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다.
하지만 갑자기 접근하면 놀라서 사람을 공격할 수 있으므로 위험하다.
4. 인간과의 관계
바다사자과는 높은 지능과 사회성을 가지고 있어 인간에게 친숙한 동물이다. 그러나 야생 바다사자에게 갑작스럽게 접근하면 공격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4] 과거에는 털과 가죽을 얻기 위해 사냥당하기도 했다.[4] 현재는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어업과의 충돌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4]
참조
[1]
서적
"Otary, n., etymology of"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dictionary.oe[...]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2]
논문
The Origin and Evolutionary Biology of Pinnipeds: Seals, Sea Lions, and Walruses
Annual Reviews
2018-05-30
[3]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Laurasiatheria) inferred from mitochondrial genomes
2021-02-16
[4]
서적
Pinniped Evolution
http://dx.doi.org/10[...]
Elsevier
2009
[5]
논문
Use of spectral analysis to test hypotheses on the origin of pinnipeds
1995-01-01
[6]
논문
The oldest known fur seal
[7]
서적
Seal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8]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eared seals (Otariidae: Carnivora): implications for the historical biogeography of the family
[9]
논문
Fur seals and sea lions (Otariidae): identification of species and taxonomic review
http://journals.camb[...]
[10]
간행물
[11]
논문
Sexual-size dimorphism: influence of mass and mating systems in the most dimorphic mammals.
[12]
논문
Aggregation and dispersion of female New Zealand sea lions at the Sandy Bay breeding colony, Auckland Islands: How unusual is their spatial behaviour?
https://brill.com/vi[...]
2009-01-01
[13]
논문
On-land habitat preferences of female New Zealand sea lions at Sandy Bay, Auckland Islands
https://onlinelibrar[...]
2012
[14]
논문
Quantifying apart what belongs together: A multi-state species distribution modelling framework for species using distinct habitats
2018
[15]
논문
Integrated SDM database: Enhancing the relevance and utility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in conservation management
https://onlinelibrar[...]
[16]
간행물
''Zalophus japonicus''
2017
[17]
웹사이트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 (CR)], Red Data Book, Japan Integrated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Ministry of the Environment (Japan)]]
http://www.biodic.go[...]
[18]
논문
The monophyletic origin of sea lions and fur seals (Carnivora; Otariidae) in the Southern Hemisphere
[19]
논문
Pinniped phylogeny and a new hypothesis for their origin and dispersal
[20]
논문
Pinniped Taxonomy: evidence for species and subspecies
[21]
서적
“Otary, n., etymology of”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dictionary.oe[...]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22]
서적
Seals of the World
Cornell University Press
[23]
논문
Fur seals and sea lions (Otariidae): identification of species and taxonomic review
http://journals.camb[...]
[24]
간행물
2008-08-06
[2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eared seals (Otariidae: Carnivora): implications for the historical biogeography of the family
https://doi.org/10.1[...]
[26]
논문
Phylogeny and divergence of the pinnipeds (Carnivora: Mammalia) assessed using a multigene dataset
http://www.biomedcen[...]
[27]
논문
The Origin and Evolutionary Biology of Pinnipeds: Seals, Sea Lions, and Walruses
Annual Reviews
2018-05-30
[28]
저널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