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비 (2006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비》(2006)는 1968년 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을 배경으로, 앰배서더 호텔에 모인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그린 영화이다. 에밀리오 에스테베즈가 감독, 각본, 출연을 맡았으며, 앤서니 홉킨스, 헬렌 헌트, 애슈턴 커처, 샤이아 러버프 등 다수의 배우들이 출연했다. 영화는 1960년대 음악을 배경으로 제작되었으며,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나, 여러 시상식에서 후보로 지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버트 F. 케네디를 소재로 한 영화 - D-13
2000년에 개봉한 미국의 정치 스릴러 영화 D-13은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백악관 내부의 긴박한 상황을 배경으로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보좌관들이 핵전쟁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케빈 코스트너 등이 출연했고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에밀리오 에스테베즈 감독 영화 - 궁둥이에 총을 쏜 남자
1985년 영화 《궁둥이에 총을 쏜 남자》는 로스앤젤레스 쓰레기 수거원 칼과 제임스가 부패한 시의원 살인 사건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찰리 쉰, 에밀리오 에스테베즈 등이 출연했으며 엇갈린 평가에도 불구하고 박스 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 에밀리오 에스테베즈 감독 영화 - 더 웨이 (영화)
더 웨이는 아들의 죽음 이후 산티아고 순례길을 걷는 아버지의 여정을 그린 2010년 미국의 드라마 영화이다.
바비 (2006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제목 | 바비 |
원제 | Bobby |
이미지 파일 | Bobby poster.jpg |
이미지 설명 | 극장 개봉 포스터 |
감독 | 에밀리오 에스테베스 |
제작자 | 에드워드 배스 홀리 위어즈마 미셸 리트바크 |
각본가 | 에밀리오 에스테베스 |
음악 | 마크 아이셤 |
촬영 감독 | 마이클 배럿 |
편집자 | 리처드 추 |
제작사 | 볼드 필름스 |
배급사 |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와인스타인 컴퍼니 |
개봉일 | TIFF 2006년 9월 14일 미국 2006년 11월 17일 일본 2007년 2월 24일 |
상영 시간 | 116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400만 달러 |
흥행 수익 | 2070만 달러 |
음악 정보 | |
주제가 | 브라이언 애덤스 알레사 프랭클린 메리 J. 블라이즈 Never Gonna Break My Faith |
2. 등장인물
이 영화는 1968년 6월 5일, 로버트 F. 케네디 암살 당일 로스앤젤레스 앰배서더 호텔에 있었던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로버트 알트만의 영화 내슈빌과 유사한 앙상블 플롯 장치를 사용하며, 대부분 허구의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영화는 호텔 직원, 투숙객, 선거 운동원 등 다양한 인물들을 보여준다. 은퇴한 도어맨 존 케이시, 알코올 중독 가수 버지니아 팰런과 그녀의 남편 팀 팰런, 호텔 매니저 폴 에버스와 그의 아내 미리엄 에버스, 인종차별적인 식음료 매니저 대릴 티먼스, 흑인 요리사 에드워드 로빈슨, 멕시코계 미국인 직원 호세와 미겔, 케네디 선거 운동 자원봉사자 지미와 쿠퍼, 체코슬로바키아 출신 기자 렌카 야나치코바 등이 주요 등장인물이다.
영화는 실제 방송 및 뉴스 영상 자료를 사용하여 상원의원의 모습을 극적인 장면과 교차 편집함으로써, 당시의 분위기를 재현하고 케네디가 불러일으킨 희망을 보여준다.
역할 | 배우 | 한국어 더빙 |
---|---|---|
존 케이시 | 앤서니 홉킨스 | 석두원 |
버지니아 팔론 | 데미 무어 | 정미숙 |
미리엄 에버스 | 샤론 스톤 | 김혜미 |
윌리엄 에이버리 | 엘라이저 우드 | 신용우 |
다이앤 | 린제이 로한 | 김연우 |
사만다 | 헬렌 헌트 | 윤여진 |
티몬스 | 크리스찬 슬레이터 | 김영선 |
폴 에버스 | 윌리엄 H. 메이시 | 김관진 |
안젤라 | 헤더 그레이엄 | 박선영 |
에드워드 로빈슨 | 로렌스 피시번 | 김승준 |
피셔 | 애쉬튼 커처 | |
잭 스티븐스 | 마틴 신 | 김정호 |
호세 | 프레디 로드리게스 | |
팀 팔론 | 에밀리오 에스테베스 | |
넬슨 | 해리 벨라폰테 | 김기현 |
패트리샤 | 조이 브라이언트 | 정혜원 |
드웨인 | 닉 캐논 | |
지미 | 브라이언 제라티 | 김현욱 |
웨이드 벡클리 | 조슈아 잭슨 | 최승훈 |
필 | 데이비드 크럼홀츠 | |
쿠퍼 | 시아라보프 | 이호산 |
렌카 야나체크 | 스베틀라나 메토키나 | 김옥경 |
미구엘 | 제이콥 바르가스 | |
수잔 | 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테드 | 김하영 |
2. 1. 주요 등장인물
Robert F. Kennedy assassination영어 당일, 로스앤젤레스 앰배서더 호텔에서 근무하거나 투숙했던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존 케이시 (앤서니 홉킨스): 은퇴한 호텔 도어맨. 친구 넬슨과 체스를 두며 시간을 보낸다.
- 넬슨 (해리 벨라폰테): 존 케이시의 친구.
- 버지니아 팰런 (데미 무어): 전성기가 지난 알코올 중독 가수.
- 팀 팰런 (에밀리오 에스테베스): 버지니아 팰런의 남편 겸 매니저.
- 필 (데이비드 크럼홀츠): 버지니아 팰런의 에이전트.
- 미리엄 에버스 (샤론 스톤): 호텔 미용실에서 일하는 미용사.
- 폴 에버스 (윌리엄 H. 메이시): 호텔 매니저이자 미리엄 에버스의 남편. 교환원 안젤라와 불륜 관계에 있다.
- 안젤라 (헤더 그레이엄): 호텔 전화 교환원.
- 대릴 티먼스 (크리스천 슬레이터): 인종차별적인 태도로 해고당한 식음료 매니저.
- 에드워드 로빈슨 (로런스 피시번): 흑인 소셰프.
- 호세 로하스 (프레디 로드리게스): 멕시코계 미국인 보이.
- 미겔 (제이컵 바르가스): 호세 로하스와 같은 멕시코계 미국인 보이.
- 다이앤 하우저 (린지 로한): 친구 윌리엄과 파병을 베트남 전쟁의 전장이 아닌 독일의 군 기지로 보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결혼한다.
- 윌리엄 에이버리 (일라이자 우드): 다이앤 하우저의 친구.
- 수전 테일러 (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 호텔 커피숍 웨이트리스.
- 지미 (브라이언 게러티): 케네디 선거 운동 자원봉사자.
- 쿠퍼 (샤이아 러버프): 케네디 선거 운동 자원봉사자, 지미의 친구.
- 피셔 (애슈턴 커처): 마약상.
- 사만다 스티븐스 (헬렌 헌트): 부유한 사회 명사이자 선거 운동 기부자.
- 잭 (마틴 신): 사만다 스티븐스의 남편.
- 웨이드 버클리 (조슈아 잭슨): 선거 운동 매니저.
- 드웨인 클라크 (닉 캐넌): 선거운동 직원. 안젤라의 동료 패트리샤를 사랑한다.
- 패트리샤 (조이 브라이언트): 안젤라의 동료.
- 렌카 야나치코바 (스베틀라나 멧키나): 체코슬로바키아 출신 기자. 케네디와의 인터뷰를 확보하려 한다.
- 시르한 시르한 (데이비드 코브잔체프): 로버트 F. 케네디 암살범.
2. 2. 실제 인물
이 영화는 대부분 허구의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몇몇 실존 인물들도 등장한다.- 해리 벨라폰테 - 넬슨 역
- 조이 브라이언트 - 퍼트리샤 역
- 닉 캐넌 - 드웨인 클라크 역
- 에밀리오 에스테베스 - 팀 팰런 역
- 로런스 피시번 - 에드워드 로빈슨 역
- 데이브 프론세스 - 로버트 F. 케네디 역
- 제리던 프라이 - 에설 케네디 역
- 스펜서 개릿 - 데이비드 역
- 브라이언 게러티 - 지미 역
- 헤더 그레이엄 - 앤절라 역
- 앤서니 홉킨스 - 존 케이시 역
- 헬렌 헌트 - 서맨사 스티븐스 역
- 조슈아 잭슨 - 웨이드 버클리 역
- 데이비드 코브잔체프 - 시르한 시르한 역
- 데이비드 크럼홀츠 - 필 요원 역
- 애슈턴 커처 - 피셔 역
- 샤이아 러버프 - 쿠퍼 역
- 린지 로핸 - 다이앤 하우저 역
- 윌리엄 H. 메이시 - 폴 에버스 역
- 스베틀라나 멧키나 - 렌카 역
- 데미 무어 - 버지니아 팰런 역
- 프레디 로드리게스 - 호세 로하스 역
- 마틴 신 - 잭 역
- 크리스천 슬레이터 - 대릴 티먼스 역
- 샤론 스톤 - 미리엄 에버스 역
- 제이컵 바르가스 - 미겔 역
- 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 - 수전 테일러 역
- 일라이자 우드 - 윌리엄 에이버리 역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케네디는 수락 연설을 마친 후 시르한 시르한에게 총에 맞는다. 시르한 시르한은 암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케네디는 총에 맞은 후 호세가 도움이 올 때까지 감싸 안고 보호한다. 케네디는 다음날 아침 부인 에텔 곁에서 부상으로 사망했다.
3. 제작 과정
에밀리오 에스테베즈는 각본 집필 중 작가의 막힘(writer's block)을 겪었으나, 피스모 비치의 한 모텔에서 만난 여성과의 대화를 통해 '다이앤' 캐릭터를 구상하며 이야기를 풀어나갔다.[5] 영화 속 암살 장면에서 총에 맞는 인물들은 실제 희생자들과는 다르지만, 웨이터 호세는 케네디의 시신을 안고 있던 후안 로메로를 모델로 했다. 호세는 돈 드라이스데일이 6경기 연속 완봉승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경기 티켓을 가졌지만, 이중 근무로 인해 경기를 보지 못했다. 실제로 드라이스데일은 1968년 6월 4일에 6번째 완봉승을 거두었고, 케네디는 총격 직전 승리 연설에서 이를 축하했다.[6]
3. 1. 기획 및 각본
에밀리오 에스테베즈 감독 겸 각본가는 자신의 저서 『바비: 미국 서사시의 제작(Bobby: The Making of an American Epic)』에서 각본 개발 과정의 어려움을 이야기한다. 그는 작가의 막힘(writer's block)을 겪다가 피스모 비치(Pismo Beach)의 한 모텔에 투숙하여 글쓰기에 집중하려 했다. 프런트 데스크 직원과의 대화에서, 그는 그 여성이 케네디 암살 당일 앰배서더 호텔에 있었고, 이후 두 젊은 남성이 징병을 피하도록 돕기 위해 그들과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에스테베즈는 이 여성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이앤이라는 캐릭터를 만들었고, 나머지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완성되었다.암살 장면에서 총에 맞는 다른 다섯 명의 등장인물은 실제 희생자들과 일치하지 않는다.[5]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한 또 다른 등장인물은 웨이터 호세(José)인데, 그는 케네디가 총에 맞은 직후 그의 시신을 부둥켜안고 있는 모습이 사진에 찍힌 후안 로메로(Juan Romero)를 대표한다. 호세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경기 티켓을 가지고 있었고, 이 경기에서 돈 드라이스데일이 6경기 연속 완봉승 기록을 세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호세는 이중 근무를 해야 해서 경기를 볼 수 없었다. 실제로 드라이스데일은 1968년 6월 4일에 6번째 완봉승을 거두었고, 케네디는 총에 맞기 직전 승리 연설에서 그를 축하했다.[6]
3. 2. 음악
영화 음악은 마크 이샴이 작곡했으며, 엔딩 크레딧에는 브라이언 애덤스가 작곡하고 아레사 프랭클린, 메리 J. 블라이지, 그리고 할렘 소년 합창단이 부른 "네버 고나 브레이크 마이 페이스"가 사용되었다.[7] 또한, 영화에서 데미 무어가 직접 부른 새롭게 녹음된 "루이 루이" 버전도 사용되었다.[7]영화 전반에 걸쳐 1960년대 음악이 사용되었는데, 다음 곡들이 포함되어 있다.[7]
- 스모키 로빈슨 & 미라클스 - "더 트랙스 오브 마이 티어스"
- 미라클스 - "미키스 몽키"
- 스티비 원더 - "아이 워즈 메이드 투 러브 허"
- 사이먼 & 가펑클 - 어쿠스틱 버전 "사일런스의 사운드"
- 데미 무어 - "루이 루이"
- 슈프림스 - "컴 시 앱바웃 미"
- 휴 매서커 - "그레이징 인 더 글래스"
- 로스 브라보스 - "블랙 이즈 블랙"
- 허먼스 허미츠 - "데어스 어 카인드 오브 허쉬"
- 크림 - "스푼풀"
- 도노반 - "시즌 오브 더 위치", "허디 거디 맨"
- 잭 존스 - "와이브스 앤드 러버스"
- 아레사 프랭클린 - "베이비, 아이 러브 유"
- 미리엄 메이커바 - "파타 파타"
사운드트랙 앨범 ''바비''에는 슈프림스, 쇼티 롱, 휴 마세켈라, 무디 블루스, 그리고 로스 브라보스가 참여했다.[7]
4. 한국어 더빙 (MBC)
성우 | 배역 | 배우 |
---|---|---|
박일 | 로버트 F. 케네디 | 본인 음성/데이브 프라운스 |
박기량 | 폴 | 윌리엄 H. 메이시 |
송도영 | 사만다 | 헬렌 헌트 |
최성우 | 미리엄 에버스 | 샤론 스톤 |
기경옥 | 버지니아 폴론 / 렌카 | 데미 무어 / 스벳라나 멧키나 |
이종혁 | 팀 폴론 / 피셔 | 에밀리오 에스테베즈 / 애슈턴 쿠처 |
황일청 | 존 캐시 | 안소니 홉킨스 |
김태훈 | 넬슨 | 해리 벨라폰테 |
김명수 | 잭 | 마틴 신 |
최상기 | 팀 | 하코브 바르가스 |
이우신 | 드웨인 / 로빈슨 | 닉 캐넌 / 로런스 피시번 |
황윤걸 | 웨이드 / 필 | 조슈아 잭슨 / 데이비드 크럼홀츠 |
김동현 | 데릴 | 크리스천 슬레이터 |
이진홍 | 쿠퍼 / 윌리엄 | 샤이아 러버프 / 일라이저 우드 |
정남 | 안젤라 | 헤더 그레이엄 |
김호성 | 시르한 시르한 | 데이빗 콥잔세브 |
박선영 | 수잔 | 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 |
고성일 | 지미 | 브라이언 게러티 |
김두희 | 호세 | 프레디 로드리게스 |
유상우 | 다이앤 / 안젤라의 친구 | 린지 로언 / 조이 브라이언트 |
5. 평가 및 반응
기준, 영화 《바비》(2006)는 로튼 토마토에서 176개의 평론을 바탕으로 46%의 신선도 지수를 기록했으며, 평균 점수는 5.6/10이다.[8] 메타크리틱에서는 31명의 평론가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54점을 받아 엇갈리거나 평균적인 평가를 받았다.[9] 시네마스코어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관객들은 A+에서 F까지의 등급에서 평균 "B+" 점수를 부여했다.[10]
A. O. 스콧은 ''뉴욕 타임즈''에서 감독의 "크고 숭고한 과제"와 "매우 훌륭한" 의도에도 불구하고, "배우들은 진짜 1968년식 미국인이라기보다는 '매우 특별한 게스트 스타'처럼 보인다... 일부 이야기는 너무나도 멜로드라마틱하게 느껴지는 반면, 다른 이야기들은 알 수 없을 정도로 모호하다."라고 썼다.[11]
케빈 크러스트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즈''에서 이 영화를 "진심으로 가득 차 있고 향수에 젖은 야심찬 영화로, 보관 자료 영상을 통해 제목의 아이콘이 제공하는 에너지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다른 면에서 극적으로 실패한다."라고 언급했다.[12]
데보라 영은 ''버라이어티''에서 에스테베즈에 대해 "이전에는 결코 해본 적 없는 방식으로 작가이자 감독으로 나선 그는 복잡하게 설계된 이야기를 성공적으로 만들어냈다"라고 말했고, 이 영화는 "많은 통찰력을 순식간에 이해하게 만드는 이상한 시의성을 지닌다"고 덧붙였다.[13] 아몬드 화이트는 ''뉴욕 프레스''에서 이 영화가 "인간적인 달콤함"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민족 집단, 노동 계급, 사회 계급을 문자 그대로 생생하게 통합"하는 방식은 "계획적이지 않다—그 정확성과 신뢰성은 토크빌적인 탁월함을 지닌다"라고 썼다.[14]
스티브 퍼설은 ''세인트피터스버그 타임즈''에서 이 영화에 C학점을 주며 "너무 많은 허구, 몇 안 되는 사실, 그리고 어떤 추측도 없는 잘못된 혼란"이라고 평했고, 마이클 메드베드는 이 영화에 별 네 개 중 세 개를 주며 "흥미롭지만 완벽하지 않다"고 평했다.[15][16]
리처드 로퍼는 "에스테베즈는 많은 열정으로 연출하고 감독하지만, 미묘함은 그렇지 않다... 그는 이 영화가 ''내슈빌''과 같은 로버트 알트만 영화 수준이 되기를 원하지만, 미치지 못한다."고 말했다.[17] 피터 트래버스는 ''롤링 스톤''에서 이 영화에 별 하나를 주며 "진부한 허구"이자 "맛없는 무능력"의 작품이라고 불렀다. 그는 이 영화를 2006년 최악의 영화 중 하나로 평가했는데, 루 루머릭도 ''뉴욕 포스트''에서 이 영화를 "야심 차지만 완전히 잘못된 사소화"라고 부르며 같은 의견을 보였다.[18]
6. 수상 내역
시상식 | 후보 | 결과 |
---|---|---|
알마상(ALMA Award) 최우수 영화상 | 바비 | 후보 |
알마상(ALMA Award) 최우수 감독상 | 후보 | |
알마상(ALMA Award) 최우수 각본상 | 후보 | |
방송영화비평가협회상(Broadcast Film Critics Association Award) 최우수 출연진상 | 바비 | 후보 |
골든 글로브상(Golden Globe Award) 최우수 드라마 영화상 | 후보 | |
골든 글로브상(Golden Globe Award) 최우수 주제가상 | "네버 고나 브레이크 마이 페이스 (Never Gonna Break My Faith)" (브라이언 애덤스(Bryan Adams), 엘리엇 케네디(Eliot Kennedy), 안드레아 레만다(Andrea Remanda) 작곡) | 후보 |
할리우드 영화제(Hollywood Film Festival) 최우수 앙상블 출연진상 | 바비 | 수상 |
할리우드 영화제(Hollywood Film Festival) 최우수 신인 여우상 | 린제이 로한(Lindsay Lohan) | 수상 |
NAACP 이미지상(NAACP Image Award) 최우수 남우조연상 | 해리 벨라폰테(Harry Belafonte) | 후보 |
피닉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Phoenix Film Critics Society Award) 올해의 신인 감독상 | 바비 | 수상 |
미국 배우 조합상(Screen Actors Guild Award) 최우수 영화 출연진상 | 후보 | |
2007 틴 초이스 어워드(2007 Teen Choice Awards) 드라마 부문 최우수 여우주연상 | 린제이 로한(Lindsay Lohan) | 후보 |
베니스 영화제(Venice Film Festival) Biografilm상 | 에밀리오 에스테베즈(Emilio Estevez) | 수상 |
베니스 영화제(Venice Film Festival) 황금사자상 | 후보 |
7. 사회적 의미와 영향
1968년 6월 5일, 로스앤젤레스 앰배서더 호텔에서는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운동 중이던 로버트 F. 케네디 상원의원을 맞이할 준비가 한창이었다. 호텔에는 여러 인종과 계층의 사람들이 일하거나 투숙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각자 삶의 문제와 고민을 안고 있었다. 멕시코 출신 이민자들은 인종차별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었고, 한 흑인 요리사는 인종차별적인 대우를 받다 해고 통보를 받는다. 베트남 징집을 피하기 위한 위장 결혼, 인기가 시들해진 가수의 고뇌, 마약에 빠진 젊은이들,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부부 등 다양한 인간 군상이 묘사된다.
케네디의 연설이 시작되고, 사람들은 그의 말에 귀를 기울인다. 연설이 끝나고 주방을 지나가던 중 케네디는 암살자의 총에 맞고, 주변에 있던 사람들도 총상을 입는다. 케네디는 다음 날 아침 병원에서 사망한다. 영화에서는 케네디의 실제 영상을 사용하여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obby
http://www.afi.com/m[...]
2016-10-25
[2]
웹사이트
'BOBBY' (15)
https://www.bbfc.co.[...]
2007-01-08
[3]
웹사이트
Bobby (2006)
https://www.the-numb[...]
2016-10-25
[4]
웹사이트
Bobby
https://www.boxoffic[...]
2016-10-25
[5]
간행물
A Life On The Way To Death
http://www.time.com/[...]
1968-06-14
[6]
웹사이트
Don Drysdale at
https://baseballbiog[...]
baseballbiography.com
2013-02-28
[7]
웹사이트
Bobby Soundtrack (2006)
http://www.soundtrac[...]
2017-09-10
[8]
웹사이트
Bobby
https://www.rottento[...]
2021-04-04
[9]
웹사이트
Bobby
https://www.metacrit[...]
2017-09-10
[10]
웹사이트
Home
https://www.cinemasc[...]
2022-11-29
[11]
뉴스
Bobby - Review - Movies
https://www.nytimes.[...]
2006-11-17
[12]
웹사이트
Los Angeles Times' review
http://www.calendarl[...]
Calendarlive.com
2013-02-28
[13]
웹사이트
Review of Bobby - Variety.com
https://www.variety.[...]
2008-04-12
[14]
뉴스
Healing with Hope
http://www.nypress.c[...]
2006-12-06
[15]
웹사이트
'Bobby' is a misnomer
http://www.sptimes.c[...]
2006-11-22
[16]
문서
http://images.michae[...]
2016-11
[17]
웹사이트
At the Movies
http://bventertainme[...]
2008-09-24
[18]
간행물
Bobby
https://www.rollings[...]
2013-02-28
[19]
웹사이트
Bobby (2006) - Box office / business
http://www.imdb.com/[...]
IMDb
[20]
웹사이트
Bobby
https://www.boxoffic[...]
Amazon.com
[21]
웹사이트
Trailer Music: Bobby (2006)
http://www.soundtrac[...]
Soundtrack.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