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사스다인디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사스다인디아는 인도양 모잠비크 해협에 위치한 프랑스령 환초이다. 마다가스카르, 외로파섬, 모잠비크에서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 열대 기후로 사이클론의 영향을 받는다. 최고 지점은 2.4m이며, 10개의 암초가 존재한다. 16세기 초 포르투갈 탐험가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1825년 '바사스다인디아'로 굳어졌다. 프랑스는 1897년 이 지역을 식민지로 편입했으며, 현재는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의 관할을 받는다. 바사스다인디아는 무인도로, 프랑스는 이 지역을 통해 광대한 배타적 경제 수역을 확보하고 있으며, 인근 해역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양의 섬 - 마다가스카르섬
마다가스카르섬은 인도양 서부에 위치하며 곤드와나 대륙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생태학적 보고로, 독특한 지형과 기후, 여우원숭이를 비롯한 다양한 고유 동식물이 서식한다. - 인도양의 섬 - 자와섬
자와섬은 인도네시아의 주요 섬으로, 고대 왕국에서 시작하여 이슬람교의 전파, 네덜란드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는 인도네시아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 무인도 - 코코섬
코스타리카 푼타레나스 주에 속한 코코섬은 화산 활동과 지각판 운동으로 생성된 태평양 해양섬으로, 국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었으며 풍부한 동식물상과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스쿠버 다이빙 명소이자 해적 보물 전설로 유명하다. - 무인도 - 데제르타스 제도
데제르타스 제도는 마데이라 제도와 카나리아 제도 사이에 위치한 3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열도로, 포르투갈의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동식물을 보호하고 있으며, 특히 데제르타 그란데 섬은 자체 수원지가 있어 소수의 인원이 상주하며 생태계를 연구하고 보호한다.
바사스다인디아 | |
---|---|
위치 정보 | |
위치 | 모잠비크 해협 |
일반 정보 | |
명칭 | 바사스다인디아 |
면적 | 0.2 km² |
해안선 길이 | 35.2 km |
최고 고도 | 3 m |
행정 구역 | |
국가 | 프랑스 |
해외 영토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
행정 구역 1 이름 | 관할 구역 |
행정 구역 1 | 프랑스령 인도양 군도 |
기타 정보 | |
분쟁 여부 | 예 |
2. 지리
바사스다인디아는 인도양 서부 모잠비크 해협에 위치해 있으며, 마다가스카르 모롬베에서 서쪽으로 376km, 외로파섬에서 북서쪽으로 114km, 모잠비크 폰타상세바스티앙에서 동쪽으로 435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 있다.[12] 열대 기후에 해당되며, 인도양 남서쪽에서 다가오는 사이클론의 진행 경로에 위치할 때가 많다.[13]
2. 1. 지형
인도양 서부 모잠비크 해협에 위치해 있으며, 마다가스카르 모롬베에서 서쪽으로 376km, 외로파섬에서 북서쪽으로 114km, 모잠비크 폰타상세바스티앙에서 동쪽으로 435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 있다.[12]기후는 열대 기후에 해당되며, 인도양 남서쪽에서 다가오는 사이클론의 진행 경로에 위치할 때가 많다.[13] 최고 지점은 2.4m이며, 파도가 높을 때는 해수면 아래로 잠긴다. 프랑스는 이 섬을 통해 123700km2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확보하고 있다.
- 10개의 무명 소도(암초)

3. 역사
바사스다인디아는 포르투갈 선원 가스파르 곤살베스 (Gaspar Gonçalves)가 발견하였으며 이탈리아의 빈첸초 코로넬리가 지도에 처음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견 이후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는데, 포르투갈어로는 '바이슈다인디아' (Baixo da India), '비유스다인디아' (Bayos da India, 1511년 필레스트리나), '바슈스드라인디아' (Baxos de la India, 1529년 디오구 리베이루) 등으로 표기되었다.
프랑스어로는 '바스드쥐디' (Basses de Judie, 1542년 앙리 2세 지도), '바스쥐브' (Basse Juive, 1770년 드마네빌레트) 등으로 표기되다가, 1825년 영국의 윌리엄 오웬이 제작한 지도에서 '바사스다인디아' (Bassas da India)라는 지명으로 굳혀졌다. 프랑스에서는 이것을 프랑스식으로 읽어 '바사스다앵디아'라고 부른다.
16세기 초 포르투갈 탐험가에 의해 처음 기록된 바사스다인디아는 지도 제작 과정에서 오류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1897년 프랑스의 소유가 되었고, 1968년에는 레위니옹에 거주하는 행정관의 관할하에 놓였다. 마다가스카르는 1960년 독립했으며 1972년부터 이 여울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고 있다. 1968년부터 레위니옹의 지사, 2005년부터는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TAAF)의 최고 행정관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프랑스는 1896년 8월 6일 영토 편입 절차를 위한 법을 제정하고, 1897년 10월 31일 프랑스 식민지로 정식 편입하였다.[15] 1960년 4월 1일 프랑스 정부 법령 제60-555호에 따라 마다가스카르 공화국으로부터 바사다앵디아를 비롯한 프랑스령 인도양 군도를 분리하여 해외영토부 직속 관할 지역으로 두게 되었다.[21]
3. 1. 주요 난파 사건
1506년 페르낭 드 로로냐[2]의 조상을 나타내는 "유대인"이라는 뜻을 가진 포르투갈 선박 '주디아'(Judia)가 이곳에 좌초되면서 이 지형이 발견되었다.[3] 이후 지도 제작자의 실수로 "바사스다인디아"로 이름이 바뀌었다. 1585년에는 '산티아고'가 이 여울에서 침몰했다.1774년 '유로파'에 의해 재발견되어 "유로파 암초"라는 이름이 붙었다.[4] 1842년 7월 27일에는 '말레이'가 유로파 암초에서 침몰했다.[5]
4. 환경
바사스다인디아의 최고 지점은 2.4m로, 파도가 높을 때는 해수면 아래로 잠긴다. 프랑스는 이 섬을 통해 123700km2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확보하고 있다.
4. 1. 해양 환경
직경 12km, 둘레 35.2km 규모의 원형 산호초로 이루어진 환초로서,[14] 바다 밑 해산을 기반으로 얕은 석호를 둘러싼 모습으로 형성되어 있다.[12][15] 환초 형성에 기여하는 산호종은 돌산호이며 아직도 자라나고 있다.[12]바사스다인디아의 육지 표면적은 0.2km2에 불과하며, 최대 고도도 2.4m에 그쳐 만조 때에는 거의 완전히 바닷물에 잠긴다.[12] 따라서 육지에 서식하는 동식물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사람도 거주할 수 없는 무인도이다.[12][15] 2003년 모잠비크 해협에서는 처음으로 갈라파고스 상어가 발견되었다.[16]
프랑스 지리학 전문지 〈제오〉 (Géo)는 바사스다인디아 환초를 '배신자'라고 표현했는데, 바닷물이 차오르면 육지 모습은 감춰지지만 해수면 아래 암초는 여전히 존재하여 인근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들이 암초에 걸려 좌초되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섬 여기저기에는 난파선과 프리깃, 녹슨 닻이 방치되어 있다.[17]

바사스다인디아 환초에 좌초된 것으로 기록된 배는 다음과 같다.[18]
- 1585년 포르투갈 함대의 기함 산티아구 (Santiago) 호[19]
- 1738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상선 서식스 (Sussex) 호[20]
5. 정치
바사스다인디아는 2005년 1월 3일 프랑스 조례에 따라 프랑스령 인도양 군도와 함께 레위니옹 생피에르에 청사를 둔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대표행정관 관할로 이관되었다.[22] 2007년 2월 21일 법령으로 프랑스령 인도양 군도의 다섯번째 관할구역이 되었다.[13] 프랑스 본토나 해외 속령과 달리 기초자치단체 분할 대상이 아니며 유럽 연합에 속하지 않는다.[13]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대표행정관은 단순 행정관이 아닌 영토 수장이자 지사 (préfet)이다.[23] 프랑스령 인도양 군도에는 대표행정관 대리인인 구역대표 (chef de district)가 남방 영토와 남극 권역 기지를 지휘한다.[24]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에는 2600만유로 예산이 배정되며, 바사스다인디아 관련 예산도 여기에 포함된다.[25][26] 프랑스는 경제 자원, 생물 다양성, 문화·자연유산 보호를 위해 인접 해역 주권을 행사한다.[27]
5. 1. 영유권 분쟁
1897년에 프랑스령이 되었다. 1968년부터 레위니옹의 지사, 2005년부터는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TAAF)의 최고 행정관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22] 2005년 1월 3일 프랑스 조례에 따라 프랑스령 인도양 군도와 바사스다인디아는 레위니옹의 생피에르에 청사를 두고 있는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의 대표행정관 관할 지역으로 이관되었다.[22] 2007년 2월 21일 법령에 따라 프랑스령 인도양 군도의 다섯번째 관할구역으로 설정되었다.[13] 이때부터 바사스다인디아는 프랑스 본토나 해외 속령처럼 기초자치단체 분할 대상이 아니며 유럽 연합의 일부로 보지 않는다.[13]바사스다인디아를 관할하는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의 대표행정관은 단순 행정관이 아니라 영토의 수장이자, 지사 (préfet)로 대표하고 있다.[23] 실질적으로 바사스다인디아가 속한 프랑스령 인도양 군도에 대해서는 대표행정관의 대리인인 구역대표 (chef de district)를 두고 있으며 남방 영토와 남극 권역의 기지를 지휘하는 역할을 행사하고 있다.[24]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에는 2600만유로에 달하는 총 예산이 배정되는데 바사스다인디아에 돌아가는 예산 역시 여기에 속해 있다고 볼 수 있다.[25][26] 마지막으로 프랑스는 경제자원은 물론 풍부한 생물다양성, 문화·자연유산의 보호를 위해 인접해역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27]
6. 관광
바사스다인디아에서 선박 계류는 프랑스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7] 허가 없이 어업을 할 경우, 선박이 추방되거나 압수될 수 있다.[8] 2013년 이후 모잠비크 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출발하는 여러 불법 관광 헌장이 프랑스 해군에 의해 압수되었다.[9][10]
7.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Décret n° 78-146 du 3 février 1978 portant création, en application de la loi du 16 juillet 1976, d'une zone économique au large des côtes des îles Tromelin, Glorieuses, Juan-de-Nova, Europa et Bassas-da-India
https://www.legifran[...]
Government of France
1978-02-03
[2]
백과사전
Relaçam do navfragio da nao Santiago & itenerario da gente que delle se salvou
Off. da Congregaçao do Oratorio
1736
[3]
저널
The location and identity of the Baixos da Judia : Portuguese historical cartography of the Mozambique Channel and its relevance to the wreck of the Santiago in 1585
Council of the Natal Museum
2000-12
[4]
서적
The Africa Pilot, Part III : South and east coasts of Africa from the Cape of Good Hope to Cape Guardafui, including the islands in the Mozambique Channel
Hydrographic Office of Great Britain
1878
[5]
서적
Historical Sketch of Salem, 1626–1879
Essex Institute
1879
[6]
저널
Galapagos sharks (Carcharhinus galapagensis) at the Bassas da India atoll: first record from the Mozambique Channel and significance can have a nursery area
[7]
웹사이트
Accès et mouillage dans les Eparses
https://taaf.fr/acce[...]
Government of France
2020-02-03
[8]
간행물
Loi n° 83-582 du 5 juillet 1983 relative au régime de la saisie et complétant la liste des agents habilités à constater les infractions dans le domaine des pêches maritimes
https://www.legifran[...]
Government of France
1983-07-05
[9]
간행물
FAZSOI : Opération combinée de contrôle des pêches dans le canal du Mozambique
https://www.defense.[...]
French Ministry of Defense
2013-11-13
[10]
뉴스
Pêche non autorisée : le ''Floréal'' intercepte un bateau au large de Bassas da India
http://www.ipreunion[...]
Imaz Press Réunion
2014-10-09
[11]
서적
Pays, territoires et villes du monde juillet 2021
http://cnig.gouv.fr/[...]
2023-01-18
[12]
웹사이트
Îles Éparses : Bassas da India
http://www.taaf.fr/r[...]
[13]
웹사이트
Îles Éparses : Introduction
http://www.taaf.fr/r[...]
[14]
문서
Nadège Monschau, « Cinq pépites perdues dans l'océan Indien », dans ''Géo'', 348, février 2008.
[15]
웹사이트
Bassas da India
http://permanent.acc[...]
[16]
저널
Galapagos sharks (Carcharhinus galapagensis) at the Bassas da India atoll: first record from the Mozambique Channel and possible significance as a nursery area
http://www.neil4shar[...]
[17]
문서
Nadège Monschau, « Cinq pépites perdues dans l'océan Indien », dans ''Géo'', 348, février 2008.
[18]
웹사이트
Plusieurs sites font référence à ces épaves
[19]
서적
Le naufrage du Santiago : Sur les Bancs de la Juive
https://www.amazon.f[...]
[20]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an English East Indiaman at Bassas da India, a French atoll in the Indian Ocean: the Sussex (1738)
http://onlinelibrary[...]
[21]
웹인용
S.Caceres, Université de la Réunion
http://etic.univ-reu[...]
2024-05-14
[22]
웹사이트
Arrêté du 3 janvier 2005 relatif à l'administration des îles Tromelin, Glorieuses, Juan-de-Nova, Europa et Bassas da India (îles Éparses)
http://www.legifranc[...]
[23]
웹인용
Le préfet, administrateur supérieur - Terres australes et antarctiques françaises
http://www.taaf.fr/L[...]
2020-09-23
[24]
웹인용
Chef de district - Terres australes et antarctiques françaises
http://www.taaf.fr/L[...]
2020-09-23
[25]
간행물
Cols bleus, le magazine de la Marine Nationale 3023 du 23 novembre 2013 pages 4 et 5
[26]
웹인용
Présentation de la collectivité - Terres australes et antarctiques françaises
http://www.taaf.fr/P[...]
2020-09-23
[27]
간행물
Cols bleus, le magazine de la Marine Nationale 3023 du 23 novembre 2013 pages 4 et 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