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세라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오세라믹은 부식 방지, 생체 적합성, 심미적 특성을 갖는 세라믹 재료로, 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1969년 L. L. 헨치의 바이오글라스 발견은 생체 세라믹 연구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1988년 제1회 국제 생체 세라믹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바이오세라믹은 치과 및 뼈 임플란트, 관절 교체, 심박 조율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인산 칼슘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최근에는 암 치료,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환자 맞춤형 제작 등 미래 지향적인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강악안면외과학 - 과잉치
정상적인 치아 수 외에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치아인 과잉치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 또는 특정 질환과 관련되어 발생하며, 인접 치아 맹출 방해나 부정교합을 유발하고 심미적 문제나 치과 교정상의 이유로 제거되기도 한다. - 구강악안면외과학 - 르포르 골절
르포르 골절은 르네 르포르가 분류한 안면 골절의 한 유형으로, 외상으로 인해 상악골과 주변 뼈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골절을 의미하며, 골절선 위치에 따라 I형, II형, III형으로 분류되고, 상악하악 고정술 또는 개방 정복 및 내고정술로 치료하며, CT 촬영으로 진단하고, 치료 후 치아 교합 부전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의공학 - 카테터
카테터는 체내에 삽입하여 액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의료기기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혈관조영술, 인공수정, 투석 등에 사용되지만 감염 등의 위험성이 있고 한국에서는 의료기기로 분류된다. - 의공학 - 이식물
이식물은 손상된 신체 기능을 회복, 대체하거나 미용, 피임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료 기기이며,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어 감염, 염증, 이식 거부 반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생체 재료 - 탄탈럼
탄탈럼은 1802년 발견된 청회색 전이 금속으로, 니오븀과 유사한 화학적 성질, 뛰어난 내식성, 높은 융점을 가지며 축전기, 합금, 의료용 임플란트 등에 사용되고 콩고민주공화국 콜탄 채굴과 관련된 분쟁 광물 이슈가 있다. - 생체 재료 -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은 철에 크롬을 10.5% 이상 첨가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합금으로, 다양한 종류와 뛰어난 내식성, 강도를 가지며 여러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100% 재활용 가능한 지속 가능한 소재이다.
바이오세라믹 | |
---|---|
일반 정보 | |
종류 | 생체 재료 |
용도 | 의학 치과 |
특징 | 생체 적합성 생체 활성 내마모성 생체 모방 |
구성 물질 | |
세라믹 | 산화 알루미늄 (Al2O3) 산화 지르코늄 (ZrO2) 탄산 칼슘 (CaCO3) 인산 칼슘 (Ca3(PO4)2) 수산화인회석 (Ca10(PO4)6(OH)2) 이산화 티타늄 (TiO2) 유리 세라믹 바이오 활성 유리 |
응용 분야 | |
정형외과 | 뼈 이식 재료 관절 치환물 |
치과 | 임플란트 치아 수복 재료 |
약물 전달 | 약물 탑재 및 방출 시스템 |
기타 | 조직 공학 상처 치료 진단 |
추가 정보 | |
고려 사항 | 생체 적합성 기계적 강도 다공성 표면 특성 |
연구 분야 | 새로운 바이오 세라믹 개발 기존 바이오 세라믹 개선 임상 적용 연구 |
2. 역사
1925년 이전에는 임플란트 수술에 사용되는 재료는 주로 비교적 순수한 금속이었다. 1930년대는 더 나은 수술 기법의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비탈리움과 같은 합금이 처음 사용된 시기이기도 하다.
1969년, L. L. 헨치 등은 다양한 종류의 유리와 세라믹이 살아있는 뼈에 결합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4][5] 헨치는 재료에 관한 회의에 가는 길에 영감을 받았다. 그는 베트남 전쟁에서 막 돌아온 대령 옆에 앉아 있었다. 대령은 부상을 입은 군인들의 몸이 종종 임플란트를 거부한다고 말했다. 헨치는 흥미를 느껴 생체 적합한 재료를 조사하기 시작했다. 최종 제품은 그가 바이오글라스라고 부르는 새로운 재료였다. 이 연구는 생체 세라믹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분야에 영감을 주었다.[6] 바이오글라스의 발견으로 생체 세라믹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
1988년 4월 26일, 제1회 국제 생체 세라믹 심포지엄이 일본 교토에서 개최되었다.[7]
2. 1. 초기 역사
1925년 이전에는 임플란트 수술에 주로 금속 재료가 사용되었다. 1930년대에 들어 비탈리움과 같은 합금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더 나은 수술 기법의 시대가 열렸다.[4][5]1969년, L. L. 헨치는 바이오글라스라는 새로운 재료를 개발하여 생체 세라믹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베트남 전쟁에서 돌아온 대령과의 대화를 통해 생체 적합한 재료 연구에 착수했다. 1988년 4월 26일에는 일본 교토에서 제1회 국제 생체 세라믹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7]
2. 2. 바이오글라스 발견과 생체 세라믹 분야 발전
1930년대 비탈리움과 같은 합금이 임플란트 수술에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다.[4][5] 1969년, L. L. 헨치 등은 다양한 종류의 유리와 세라믹이 살아있는 뼈에 결합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헨치는 베트남 전쟁에서 막 돌아온, 부상 군인들의 몸이 임플란트를 거부한다는 이야기를 하는 대령의 옆자리에 앉아 영감을 받아 생체 적합한 재료를 조사하기 시작했고, 바이오글라스라고 부르는 새로운 재료를 개발했다.[6] 바이오글라스의 발견은 생체 세라믹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연구에 영감을 주었으며, 생체 세라믹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계기가 되었다.[6] 1988년 4월 26일, 일본 교토에서 제1회 국제 생체 세라믹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7]3. 응용 분야
생체 세라믹은 치과 및 뼈 임플란트로 의료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8][9] 외과용 서멧이 정기적으로 사용된다. 관절 교체는 마모와 염증 반응을 줄이기 위해 생체 세라믹 물질로 코팅되는 경우가 많다. 생체 세라믹의 다른 의료 사용 예로는 심박 조율기, 신장 투석기 및 인공 호흡기가 있다.[6]
다수의 이식용 세라믹은 실제 특정 생의학적 응용 분야를 위해 설계되지 않았다. 그러나 세라믹의 특성과 우수한 생체 적합성으로 인해 다양한 이식형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세라믹 중에는 탄화 규소, 질화 티타늄 및 탄화물, 그리고 질화 붕소 등이 있다. TiN은 엉덩이 보철물의 마찰 표면으로 제안되었다. 세포 배양 검사에서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보였지만, 임플란트 분석 결과 TiN 층의 박리와 관련된 상당한 마모가 나타났다. 탄화 규소는 생체 적합성이 좋은 것으로 보이며 뼈 임플란트에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현대 세라믹이다.[10]
생체 활성 세라믹은 전통적인 특성 외에도 생물학적 활성 때문에 특정 용도로 사용된다. 인산 칼슘, 산화물, 수산화물이 흔한 예이다. 바이오글라스 및 기타 복합재와 같이 일반적으로 동물 기원의 다른 천연 재료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L-락트산): PLLA, 폴리(에틸렌)과 HAP, 알루미나 또는 이산화 티타늄과 같은 무기물-유기 복합 재료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 재료는 생분해성 또는 비생분해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후자는 생분해성 인산 칼슘(HAP)과 비생분해성 고분자 (PMMA, PE)의 조합의 결과이다. 이러한 재료는 많은 조합 가능성과 뼈와 유사한 기계적 특성과 생물학적 활성을 결합하는 적성으로 인해 미래에 더 널리 사용될 수 있다.[11]
3. 1. 정형외과 분야
세라믹은 치과 및 뼈 임플란트로 의료 분야에서 사용된다.[8][9] 외과용 서멧이 사용되기도 한다. 관절 교체는 마모와 염증 반응을 줄이기 위해 생체 세라믹 물질로 코팅되기도 한다.[6] 인공 고관절, 무릎, 어깨, 팔꿈치, 손목 등 관절 재건에 사용되며, 뼈판, 나사, 철사 등 골절 수리에도 사용된다. 또한 골수강 내 못, 해링턴 막대 등 척추 관련 질환 치료에도 사용된다.
3. 2. 치과 분야
세라믹은 치과 및 뼈 임플란트로 의료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8][9] 생체 활성 세라믹은 생물학적 활성 때문에 특정 용도로 사용되며, 인산 칼슘, 산화물, 수산화물이 흔한 예이다. 바이오글라스 및 기타 복합재와 같이 일반적으로 동물 기원의 다른 천연 재료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L-락트산): PLLA, 폴리(에틸렌)과 HAP, 알루미나 또는 이산화 티타늄과 같은 무기물-유기 복합 재료의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 재료는 생분해성 또는 비생분해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후자는 생분해성 인산 칼슘(HAP)과 비생분해성 고분자 (PMMA, PE)의 조합의 결과이다.[11]
3. 3. 기타 의료 분야
세라믹은 심박 조율기, 신장 투석기 및 인공 호흡기 등 생체 기능 보조 장치에도 사용된다.[6]4. 기계적 특성 및 조성
생체 세라믹은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세라믹은 인체 내에서 비활성적이며 경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나 뼈와 치아를 대체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일부 세라믹은 마찰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 오작동하는 관절을 대체하는 재료로 유용하다.
알루미나 (Al2O3)는 여러 이식형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에 사용될 수 있다.[11]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복합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충치를 채우는 잠재적인 방법이다. 또한 유리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치아 세라믹의 색상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10][12] 이트륨 산화물로 도핑된 지르코니아는 골관절 보철물용 알루미나의 대체재로 제안되었으며, 주요 장점은 파괴 강도가 더 크고 피로에 대한 저항성이 좋다는 것이다.
유리질 탄소는 가볍고 내마모성이 있으며 혈액과 호환되므로 심장 판막 대체에 주로 사용된다.[11] 인산 칼슘 기반 세라믹은 정형외과 및 악안면 응용 분야에서 선호되는 뼈 대체 재료인데, 이는 뼈의 주요 무기질상과 구조 및 화학적 조성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공성 재료는 일반적으로 뼈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낮아 고도로 다공성인 임플란트는 매우 섬세하다. 세라믹 재료의 탄성 계수 값은 일반적으로 주변 뼈 조직보다 높기 때문에 임플란트는 뼈 경계면에서 기계적 응력을 유발할 수 있다. 생체 세라믹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인산 칼슘에는 수산화인회석(HAP) Ca10(PO4)6(OH)2; 삼인산 칼슘 β (β TCP): Ca3 (PO4)2; HAP와 β TCP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재료 | 영률(GPa) | 압축 강도(MPa) | 결합 강도(GPa) | 경도 | 밀도(g/cm3) |
---|---|---|---|---|---|
불활성 Al2O3 | 380 | 4000 | 300-400 | 2000-3000(HV) | >3.9 |
ZrO2 (PS) | 150-200 | 2000 | 200-500 | 1000-3000(HV) | ≈6.0 |
흑연 | 20-25 | 138 | NA | NA | 1.5-1.9 |
(LTI)열분해 탄소 | 17-28 | 900 | 270-500 | NA | 1.7-2.2 |
유리질 탄소 | 24-31 | 172 | 70-207 | 150-200(DPH) | 1.4-1.6 |
생체 활성 HAP | 73-117 | 600 | 120 | 350 | 3.1 |
생체 유리 | ≈75 | 1000 | 50 | NA | 2.5 |
AW 유리 세라믹 | 118 | 1080 | 215 | 680 | 2.8 |
뼈 | 3-30 | 130-180 | 60-160 | NA | NA |
4. 1. 주요 생체 세라믹 종류
생체 세라믹은 체외 순환 시스템(예: 투석) 또는 엔지니어링된 생물 반응기, 임플란트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10] 세라믹은 인체 내에서 비활성적이며 경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나 뼈와 치아를 대체하는 데 유용하며, 일부 세라믹은 마찰 저항력이 뛰어나 오작동하는 관절을 대체하는 재료로 유용하다. 외관 및 전기 절연과 같은 특성도 특정 생의학적 응용 분야에서 고려된다.[10]알루미나 (Al2O3)는 중이 소골, 안구 보철물, 심장 박동기용 전기 절연체, 카테터 구멍 및 심장 펌프와 같은 수많은 이식형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에 사용될 수 있다.[11]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치과 보철물, 순수 또는 세라믹-고분자 복합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세라믹-고분자 복합재는 독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아말감을 대체하여 충치를 채우는 잠재적인 방법이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또한 유리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레진으로 된 인공 치아와 달리 치아 세라믹의 색상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10][12] 이트륨 산화물로 도핑된 지르코니아는 골관절 보철물용 알루미나의 대체재로 제안되었으며, 주요 장점은 파괴 강도가 더 크고 피로에 대한 저항성이 좋다는 것이다.
유리질 탄소는 가볍고 내마모성이 있으며 혈액과 호환되므로 심장 판막 대체에 주로 사용된다. 다이아몬드는 동일한 응용 분야에 사용할 수 있지만 코팅 형태로 사용된다.[11]
인산 칼슘 기반 세라믹은 정형외과 및 악안면 응용 분야에서 선호되는 뼈 대체 재료를 구성하며, 이는 뼈의 주요 무기질상과 구조 및 화학적 조성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합성 뼈 대체 또는 스캐폴드 재료는 전형적으로 다공성이므로 골유착을 촉진하는 표면적이 증가하여 세포 집락 형성 및 재혈관 형성을 유도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공성 재료는 일반적으로 뼈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낮아 고도로 다공성인 임플란트는 매우 섬세하다. 세라믹 재료의 탄성 계수 값은 일반적으로 주변 뼈 조직보다 높기 때문에 임플란트는 뼈 경계면에서 기계적 응력을 유발할 수 있다. 생체 세라믹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인산 칼슘에는 수산화인회석(HAP) Ca10(PO4)6(OH)2; 삼인산 칼슘 β (β TCP): Ca3 (PO4)2; HAP와 β TCP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장치 | 기능 | 생체 재료 |
---|---|---|
인공 고관절, 무릎, 어깨, 팔꿈치, 손목 | 관절염 또는 골절된 관절 재건 | 고밀도 알루미나, 금속 생체 유리 코팅 |
뼈판, 나사, 철사 | 골절 수리 | 생체 유리-금속 섬유 복합재, 폴리설폰-탄소 섬유 복합재 |
골수강 내 못 | 골절 정렬 | 생체 유리-금속 섬유 복합재, 폴리설폰-탄소 섬유 복합재 |
해링턴 막대 | 만성 척추 만곡 교정 | 생체 유리-금속 섬유 복합재, 폴리설폰-탄소 섬유 복합재 |
영구 이식형 인공 사지 | 누락된 사지 대체 | 생체 유리-금속 섬유 복합재, 폴리설폰-탄소 섬유 복합재 |
척추 간격 유지 장치 및 신장 장치 | 선천적 기형 교정 | Al2O3 |
척추 융합 | 척수를 보호하기 위해 척추를 고정 | 생체 유리 |
치조골 대체재, 하악 재건 | 틀니의 적합성을 개선하기 위해 치조 능선 복원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 탄소 복합재, 다공성 Al2O3, 생체 유리, 치밀 아파타이트 |
골성 치아 대체 임플란트 | 병든, 손상되거나 느슨해진 치아 대체 | Al2O3, 생체 유리, 치밀 수산화인회석, 유리질 탄소 |
치아 교정 앵커 | 기형을 변경하는 데 필요한 응력 적용을 위한 기둥 제공 | 생체 유리 코팅 Al2O3, 생체 유리 코팅 비탈륨 |
4. 2. 생체 세라믹의 기계적 특성 (표)
wikitable재료 | 영률(GPa) | 압축 강도(MPa) | 결합 강도(GPa) | 경도 | 밀도(g/cm3) |
---|---|---|---|---|---|
불활성 Al2O3 | 380 | 4000 | 300-400 | 2000-3000(HV) | >3.9 |
ZrO2 (PS) | 150-200 | 2000 | 200-500 | 1000-3000(HV) | ≈6.0 |
흑연 | 20-25 | 138 | NA | NA | 1.5-1.9 |
(LTI)열분해 탄소 | 17-28 | 900 | 270-500 | NA | 1.7-2.2 |
유리질 탄소 | 24-31 | 172 | 70-207 | 150-200(DPH) | 1.4-1.6 |
생체 활성 HAP | 73-117 | 600 | 120 | 350 | 3.1 |
생체 유리 | ≈75 | 1000 | 50 | NA | 2.5 |
AW 유리 세라믹 | 118 | 1080 | 215 | 680 | 2.8 |
뼈 | 3-30 | 130-180 | 60-160 | NA | NA |
5. 생체 적합성
바이오세라믹스는 부식 방지, 생체 적합성 및 심미적 특성으로 인해 의료용으로 매우 적합하다.[11] 지르코니아 세라믹은 생체 불활성이며 세포 독성이 없다.[11] 탄소는 뼈와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또 다른 대안이며, 혈액 적합성, 조직 반응 없음 및 세포에 대한 무독성도 특징이다.[11] 생체 불활성 세라믹은 골유착으로 알려진 뼈와의 결합을 나타내지 않지만, 생체 활성 세라믹과의 복합체를 형성하여 생체 활성을 얻을 수 있다.[11] 바이오글라스를 포함한 생체 활성 세라믹은 무독성이어야 하며 뼈와 결합을 형성해야 한다.[11]
골 재생용 스캐폴드와 같은 뼈 복구 응용 분야에서 바이오세라믹스의 용해도는 중요한 매개변수이며, 대부분의 바이오세라믹스의 느린 용해 속도는 뼈 성장 속도에 비해 치료 사용에서 여전히 문제이다.[11] 유리 세라믹은 결정질 재료에 비해 더 높은 용해 속도로 골유도 특성을 나타내며, 결정질 인산칼슘 세라믹 또한 조직에 대한 무독성 및 생체 흡수성을 나타낸다.[11]
세라믹 입자 보강은 세라믹/세라믹, 세라믹/폴리머 및 세라믹/금속 복합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응용 분야에 더 많은 재료를 선택하게 했다.[11] 세라믹/폴리머 복합 재료는 주변 조직으로 유해 물질을 방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금속은 부식 관련 문제에 직면하며, 금속 임플란트의 세라믹 코팅은 장기간 사용 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된다.[11] 세라믹/세라믹 복합재는 뼈 미네랄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우수성을 누리고 있으며, 생체 적합성과 성형 용이성을 나타낸다.[11] 바이오세라믹스의 생물학적 활성은 다양한 ''생체 외'' 및 ''생체 내''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성능 요구 사항은 특정 이식 부위에 따라 고려해야 한다.[11]
6. 가공
생체 세라믹은 분말 및 천연 또는 합성 화학 첨가제와 같은 원료로 구성되며, 압축(열간, 냉간 또는 등방 압축), 경화(수압 또는 화학적) 또는 소결 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사용된 배합 및 성형 공정에 따라 바이오세라믹은 시멘트, 세라믹 증착물 또는 세라믹 복합재로서 밀도와 다공성이 달라질 수 있다. 다공성은 바이오유리를 포함한 바이오세라믹에서 종종 요구된다. 결정질 재료의 경우, 결정립 크기와 결정 결함은 생분해 및 골유착을 향상시키는 추가적인 경로를 제공한다.
생체 모방 공정에 기반한 재료 가공 기술은 자연 및 생물학적 공정을 모방하여 상온에서 바이오세라믹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낮은 가공 온도는 단백질 및 생물학적 활성 분자(성장 인자, 항생제, 항종양제 등)를 첨가하여 향상된 생물학적 특성을 가진 광물 유기 복합체를 만들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는 기계적 특성이 좋지 않으며, 이는 결합 단백질과 결합하여 부분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7. 상업적 이용
임상에서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한 생체 활성 물질에는 45S5 생체 활성 유리, A/W 생체 활성 유리 세라믹, 고밀도 합성 HA, 폴리에틸렌–HA 혼합물과 같은 생체 활성 복합재가 있으며, 이 모든 물질은 인접 조직과 계면 결합을 형성한다.[12]
고순도 알루미나 생체 세라믹은 현재 다양한 제조업체에서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영국의 제조업체인 모건 어드밴스드 세라믹스(MAC)는 1985년에 정형외과 장치를 제조하기 시작하여 엉덩이 관절 치환을 위한 세라믹 대퇴골두의 인정받는 공급업체가 되었다. MAC 생체 세라믹스는 1985년부터 HIP Vitox® 알루미나를 제조하여 알루미나 세라믹 재료에 대한 가장 긴 임상 기록을 가지고 있다.[13] 아파타이트 구조를 가진 일부 칼슘 결핍 인산염은 삼인산칼슘의 예상 결정 구조를 나타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삼인산칼슘"으로 상업화되었다.[13]
HA로 설명되는 수많은 상업적 제품이 다양한 물리적 형태(예: 과립, 특정 용도에 맞게 특별히 설계된 블록)로 판매되고 있다. HA/폴리머 복합재(HA/폴리에틸렌, HAPEXTM) 또한 귀 이식, 연마재, 정형외과 및 치과 임플란트를 위한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으로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다.[13]
생체 세라믹은 대마초 또는 델타 8 장치의 추출물 기화를 위한 심지로도 사용된다.[14]
8. 미래 동향
생체 세라믹은 암 치료법으로 제안되어 왔다. 제안된 치료 방법으로는 고온 요법과 방사선 치료가 있다.[15] 고온 요법 치료는 페라이트 또는 기타 자기 물질을 포함하는 생체 세라믹 재료를 이식한 후, 교류 자기장에 노출시켜 이식물과 주변 부위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또는 생체 세라믹 재료에 β-방출 물질을 도핑하여 암 부위에 이식할 수도 있다.[2]
다른 동향으로는 특정 작업을 위한 생체 세라믹 엔지니어링이 있다. 생체 적합성 개선을 위한 재료의 화학, 조성, 미세 및 나노 구조 연구가 진행 중이다.[16][17][18]
9. 한국에서의 연구 개발 동향
한국은 고령화 사회 진입과 함께 생체 세라믹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16][17][18] 특히,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환자 맞춤형 생체 세라믹 제작 기술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다. 한국의 연구진들은 생체 세라믹의 생체 적합성, 기계적 강도, 골유착 성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생체 세라믹은 암 치료에도 이용될 수 있는데 고온 요법과 방사선 치료 두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고온 요법 치료는 페라이트 또는 기타 자기 물질을 포함하는 생체 세라믹 재료를 이식하고 교류 자기장에 노출시켜 이식물과 주변 부위가 가열되도록 한다.[15] 또는, 생체 세라믹 재료에 β-방출 물질을 도핑하여 암 부위에 이식할 수 있다.[2]
참조
[1]
서적
CRC metal and ceramic biomaterials
[2]
서적
MSF bioceramics applications of ceramic and glass materials in medicine
[3]
서적
Bioceramics
[4]
논문
Bioceramics: From Concept to Clinic
https://www.ualberta[...]
[5]
서적
CRC Handbook of bioactive ceramics
[6]
서적
Ceramics: From Magic Pots to Man-Made Bones
Twenty-First Century Books
2003
[7]
서적
Bioceramics: Proceedings of 1st International Bioceramic Symposium
https://books.google[...]
Ishiyaku Euroamerica
2016-02-17
[8]
서적
Biomaterials hard tissue repair and replacement
[9]
논문
Bacterial adherence to SiO2-based multifunctional bioceramics
[10]
문서
Ceramic Materials: Processe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2010
[11]
문서
Biological evaluation of bioceramic materials-a review
2004
[12]
문서
Bioceramics: From concept to clinic
1991
[13]
서적
Bioceramics and Their Clinical Applications
Woodhead Publishing Limited
2008
[14]
특허
Bioceramic and carbon-based hydroponi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ttps://patents.goog[...]
2020-08-03
[15]
논문
Designing of macroporous magnetic bioscaffold based on functionalized methacrylate network covered by hydroxyapatites and doped with nano-MgFe 2 O 4 for potential cancer hyperthermia therapy
[16]
논문
Biomaterials Approach to Expand and Direct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17]
논문
Cellular Reactions of Osteoblasts to Micron- and Submicron-Scale Porous Structures of Titanium Surfaces
[18]
논문
Osteoblast cell adhesion on a laser modified zirconia based bioceramic
[19]
서적
CRC metal and ceramic biomaterials
[20]
서적
MSF bioceramics applications of ceramic and glass materials in medicine
[21]
서적
Bioceram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